KR910003121B1 - 여과장치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여과장치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121B1
KR910003121B1 KR1019890009060A KR890009060A KR910003121B1 KR 910003121 B1 KR910003121 B1 KR 910003121B1 KR 1019890009060 A KR1019890009060 A KR 1019890009060A KR 890009060 A KR890009060 A KR 890009060A KR 910003121 B1 KR910003121 B1 KR 910003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es
liquid
fountain
mesh
flu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215A (ko
Inventor
첸치샹
Original Assignee
첸치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첸치샹 filed Critical 첸치샹
Priority to KR101989000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121B1/ko
Publication of KR91000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directing the gas through a wetted wire mesh or a perforated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여과장치 및 그 사용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의 한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
제2도는 그 실시예의 상면도.
제3도는 그 실시예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통로 배치도.
제4도는 망면으로 형성한 액막의 계요 설명을 위한 형태도.
제5도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
제6도 제5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제7도 종래의 청정 집진 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지지상자 2 : 지지체
210 : 안내도랑 211 : 각 망틀 간격의 소정거리
30 : 망틀 33, 71 : 망체
333, 334 : 액막(333 : 작은 방물, 334 : 액막)
40 : 분수수단 41 : 분수 파이프
42, 83 : 분수구 81 : 분수실
82 : 분수반
본 발명은 여과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배연 또는 배기에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여과장치 및 그 여과장치를 이용해서 배연 또는 배기에서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위생이 날로 중요시 되어 가는데 따라서, 공해로 되는 굴뚝의 배연 또는 다른 배기관등의 배기는 중요시 되고 있다. 종래로 부터 굴뚝의 배연 또는 다른 유사한 배기관등의 배기에서 부유입자나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여과 방법은 전기 집진법과 세정 집진법이 알려져 있다.
전기 집진법은 코로나 방전에 의해서 전하를 분진 입자에 부착시켜서, 집진 전극 장치로 그 대전된 분진을 포집하는 건식 집진법이며, 또한 세정 집진법은 배연이나 배기를 물이나 액체로된 약에 흘리거나 역류시켜서 배연이나 배기의 속에 있는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를 스트립핑 또는 흡수에 의해서 제거하는 습식 집진법이다.
제7도에 나타낸 것은 세정 집진법의 한예이다. 도면에서 번호(11)은 배연이나 배기속에 있는 부유 입자를 스트립핑해서 제거하기 위한 스크러버이며, 번호(12)는 배연이나 배기속에 있는 유해가스를 흡수해서 제거하기 위한 스크러버이며, 배연이나 배기를 상부 개구(13)로 부터 스크러버(11)로 도입시켜서 그 스크러버(11)의 위측으로 부터 분무되어서 낙하되는 물(14)의 안개와 접촉시키게 동류시키고, 배연이나 배기속에 있는 부유 입자를 스트립핑해서 제거하고, 이어서 이 기류를 스크러버(12)의 하부 개구(15)에서, 스크러버(11)의 아래측으로부터 분무시켜서 낙하시키는 액체약(16)의 안개와 접촉되게 역류시켜, 그 배연이나 배기속에 있는 유해가스를 흡수제거 한다.
액체약(16)은 배연이나 배기속에 있는 유해가스에 의해서 정하여지나, 이 산화황등의 유화물 가스를 함유하는 배연이나 배기에 대해서 하기 방정식과 같이 그 유화물 가스와 작용할 수 있는 석회수르르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 CO3+SO2→ Ca SO3+CO2
석회석을 사용하게 되면, SO2등의 유화물 가스가 제거될 뿐만 아니라, 전술한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 CaSO3도 석고의 원료로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기 집진법은 건설투자가 매우 높을뿐 아니라, 보수나 점검도 어려워서 사용 수명이 낮은 결점이 있으며, 세정 집진법은 안개로 되어서 분리된 미립자로 되므로, 통과되는 배연이나 배기와 완전히 접촉되지 않고, 여과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하지 않는 결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집진 법은 모두 일단 보수나 점검의 필요가 있을 경우, 시기를 보아서 전체 처리과정을 정지 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도 있다.
전술한 결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배연 또는 배기로부터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여과장치 및 그 여과장치를 이용해서 배연 또는 배기에서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유효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각 그 하단부를 액체가 고이는 곳에 끼워 넣토록 여러개의 망체를 유지 병설하는 동시에, 그 여러개의 망체의 윗쪽에 그 여러개의 망체의 위에서부터 액체를 끼얹어서 각 망체의 망면에 액체막을 형성시킬 수 있게 분수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요지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전술한 여과장치를, 전술한 망면이 배연 또는 배기의 흐르는 방향과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배연 통로를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고, 그리고 그 분수수단에 의해서 그 여러개의 망체의 위로부터 물이나 액체약을 끼얹어서 각 망체의 망면에 물의 막이나 액체약의 막을 형성시켜 통과하는 배연 또는 배기에서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를 재거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전술한 장치 및 방법에 따라 망체의 망면에 의해서 배연 또는 배기에 있는 약간 큰 입자를 여과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망면에 형성되어서 통과하는 배연이나 배기를 통과시켜서, 재차 형성되는 물이나 액체약의 액체막에 의해서, 배연 또는 배기에 있는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와 완전하게 접촉시켜서 그것들을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여러개의 망체를 각각 망틀에 팽팽하게 부착하였으며, 그 망틀을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세워지게 설치된 지지체의 대향면에 소정된 거리마다 평행하게 드리워지게 설치되어 있는 여러개의 대응 안내도랑에 자유롭게 끼웠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지지 고정하고, 각 망틀 사이의 윗 가장자리에 잇닿을 수 있도록 그 여러개의 분수구를 망체의 망면의 윗 가장자리 부분에 대해서 분수 파이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망틀 분수로 구성된 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전술한 여러개의 액체막을 형성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그 여러개의 분수 파이프로 각 망틀사이를 차폐하는 동시에 여러개의 커버를 사용해서 전술한 각 안내 도랑을 각각 차폐하므로서, 각 망틀을 그것과 대응하는 커버를 분리하고 나서 따로 따로 꺼내어서 보수나 점검, 청소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여러개의 망틀의 윗쪽에 여러개의 분수구가 형성된 분수반을 사이에 두고 분수실을 설치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망틀 분수의 구성은 각 망틀을 각각 꺼내어서 보수나 점검 청소를 할 수 없으나, 전술한 요지의 한 실시 상태상 구조가 간단하므로 배연이나 배기나 흐르는 통로에 있어서 여러개의 세트를 설치 하여도 코스트면으로 보아서 저렴하며, 또한 각 여과장치를 따로 따로 분리해서 보수나 점점 청소를 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또는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잇점은 도면을 참조로한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의 한 실시예의 단면 구상도이며,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여과장치는 주로, 지지상자(20)와 여러개의 망틀(30)과 여러개의 분수수단(40)과 받침 접시(액체 고이는 곳)(50)로 되어 있다.
지지상자(20)는 주로 평행하게 대향되게 세워서 설치되고, 또한 그 대향면에 소정의 거리(211)마다 여러개의 대응 안내 도랑(210)이 평행으로 드리워지게 설치된 한쌍의 지지체(21)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개의 망틀(30)은 각각 전술한 안내 도랑(210)에 자유롭게 끼웠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끼워 넣으므로서, 전술한 한쌍의 지지체(21)의 사이에 지지 병설되어 있다. 그 여러개의 망틀(30)은 상자체(31)의 틀 가장자리 부분에 요부(32)를 형성해서 눌름쇠(34)로 상자체(31)의 한쪽면을 전면에 걸쳐서 덮은 망체(33)의 가장자리 부분을 그 요부(32)에 채우므로써 그 상자체(31)에 망면을 형성하여서 된다.
여러개의 부분수단(40)은 각각 사각 파이프(41)로 구성되고, 각 망틀 사이(즉 전술한 소정의 거리(211))의 윗 가장자리 개구부를 따르도록 그 여러개의 분수구(42)를 망틀(30)의 망면(즉 전술한 망체(33)) 윗 가장 자리부분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 여러개의 분수수단(40)은 각 망틀사이(211)의 윗 가장자리 개구부를 각각 차폐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지지상자(20)의 전술한 한쌍의 지지체(21)의 대향면에 평행하게 드리워지게 설치된 여러개의 대응 안내 도랑(210)으로된 여러개의 공간의 윗 가장자리 개구부는 각각 여러개의 커버(22)에 의해서 차폐되어 있다.
받침 접시(50)는 전술한 여러개의 망틀(30)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을 고여 있는 액체에 잠기도록 그 여러개의 망틀(30)을 지지 병설하는 지지상자(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그 받침접시(50)에는 드레인 포오트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체 순환 통로를 사이에 두고, 전술한 분수수단(40) 및 다른 처리 설비와 접속할 수 있다.
다음에 제3도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설명 하기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A는 배연 또는 배기가 흐르는 통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사용예에서는 전술한 망체(33)가 배연 또는 배기의 흐르는 방향과 거의 수직이 되도록 배연 통로 또는 배기 통로(A)에 두 세트의 전술한 여과장치(M), (N)를 설치하고, 그리고 액체 순환 통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그 여과장치(M),(N)에 각각 물과 액체로된 약을 수송하고, 전술한 분수수단(40)을 거쳐서 그 여러 망틀(30)의 위로부터 물(여과장치 M)이나 액체로 된 약(여과장치 N)을 끼얹고, 제4도와 같이 망체(33)의 세로실(331)과 가로실(332)의 교차부에 작은 방울(333)을 형성 하므로서, 각 그물눈이 연속해서 액체막(334)을 형성하도록 각각 망체(33)의 망면을 수막(여과장치 M)이나 액체로된 약의 막(여과장치 N)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 상태하에서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를 포함하고 있는 배연 또는 배기를 그 통로(A)로 통과 시키게 되면 망체(33)의 망면에 의해서 배연 또는 배기에 있는 큰 입자를 여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망면에 형성된 액체의 막은 끊임없이 통과하는 배연이나 배기에 통과되고 나서 재차 재형성되어 통과하는 배연 또는 배기와 수없이 접촉되어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를 유효하게 흡착하고, 액체막의 흐름과 함께 아래쪽으로 움직여서 받침 접시(50)로 흘러 들어 감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되면, 망체(33)의 망면에 예를 들면 부유 입자나 석고 생성물의 침적이 증가 되므로 통과하는 배연이나 배기에 대한 저항이 점점 크게 되므로, 망틀(30)을 분리해서 청소나 보수 점검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 이 사용에는 전술한 종래의 예와 같이 청정 프로세스의 전과정을 정지할 필요가 없고 다만 택일적으로 망틀(30)을 그것과 대응하는 커버(22)를 분리하고 나서 한장씩 꺼내어서 보수나 점검, 청소를 할 수 있다.
다음에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로 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실시예의 여과장치는 지지상자(60)에 의하여, 여러개의 망체(71)로 겹쳐서된 여과체(71)를 지지 고정하고, 이 지지상자(60)의 윗쪽에 여러개의 분수구(83)가 형성된 분수반(82)을 거쳐서 분수실(81)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망틀 분수의 구성은 각 망틀을 각각 꺼내어서 보수나 점검 청소를 할 수 없으나 구조가 간단하며 배연이나 배기의 흐름 통로에 있어서 여러개를 설치하여도 코스트의 면에서 저렴하며, 또한 각 여과장치를 따로 따로 분리해서 보수나 점검 청소를 할 수도 있으므로 앞의 실시예에 비해서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망체(33), (71)는 평면 상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파상으로 하므로써 여과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구성이 간단하며, 설비투자가 낮고, 또한 보수나 점검도 용이하고 사용 수명이 향상 될 뿐만 아니라, 망면에 형성된 액체의 막은 끊임없이 통과하는 배연이나 배기에 돌파되어서 재차 재형성되어 통과하는 배연 또는 배기와 수없이 접촉시켜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를 유효하게 흡착제거 할 수 있으므로 여과 효과는 종래의 어떠한 여과장치보다도 높은 것이다.

Claims (4)

  1. 각기 그 하단부를 액체 고이는곳(50)에 삽입하도록 여러개의 망체(33)를 유지 병설하는 동시에, 여러개의 망체(33), (71)의 윗쪽에 그 여러개의 망체(33), (71)의 위에서부터 액체를 끼얹어서 각 망체(33), (71)의 망면에 액체의 막(333), (334)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분수수단(40)을 설치하여서 된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여러개의 망체(33)를 각각 망틀(30)에 팽팽하게 부착되어 있고 그 여러개의 망틀(30)을 평형하게 대향하게 세워지게 설치된 지지체(21)의 대향면에 소정의 거리마다 평행하게 드리워지게 설치되어 있는 여러개의 대응 안내 도랑(210)에 자유롭게 끼웠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지지 고정하고, 각 망틀 사이(211)의 윗 가장자리에 잇닿을 수 있게 그 여러개의 분수구(42)를 망체(33)의 망면 윗 가장자리 부분을 따른 분수 파이프(41)를 설치한 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여러개의 망체(71)의 윗족에 여러개의 분수구(83)가 형성된 분수반(82)을 거쳐서 분수실(81)을 설치한 여과장치.
  4. 각 그 하단부를 액체가 고여지는곳(50)에 삽입되도록 여러개의 망체(33), (71)를 지지 병설하는 동시에 그 여러개의 망체(33), (71)의 윗쪽에 그 여러개의 망체(33), (71)의 위로부터 액체를 끼얹어서 각 망체(33), (71)의 방면에 액체의 막(333), (334)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분수수단(40)을 설치하여서된 여과장치를 전술한 망체(33), (71)의 망면이 배연 또는 배기의 흐르는 방향과 거의 수직이 되도록 배연통로 또는 배기통로(A)에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고, 그리고 그 분수수단(40)에 의해서 그 여러개의 망체(33), (71)의 위로부터 물이나 액체로된 약을 끼얹어서 각 망체(33)의 망면에 수막이나 액체약의 막(333), (334)을 형성시켜서 통과하는 배연 또는 배기에서 부유 입자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방법.
KR1019890009060A 1989-06-29 1989-06-29 여과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91000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060A KR910003121B1 (ko) 1989-06-29 1989-06-29 여과장치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060A KR910003121B1 (ko) 1989-06-29 1989-06-29 여과장치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15A KR910000215A (ko) 1991-01-29
KR910003121B1 true KR910003121B1 (ko) 1991-05-20

Family

ID=1928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060A KR910003121B1 (ko) 1989-06-29 1989-06-29 여과장치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19B1 (ko) * 2009-05-21 2011-04-11 정영민 습식 공기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14B1 (ko) * 2005-06-20 2007-02-26 이후근 유해가스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19B1 (ko) * 2009-05-21 2011-04-11 정영민 습식 공기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15A (ko) 199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8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nhanced removal of aerosols from a gas stream
KR101469509B1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910003121B1 (ko) 여과장치 및 그 사용방법
CN204672091U (zh) 一种剥离液过滤系统
KR100250107B1 (ko) 배연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863676B1 (ko) 전기 집진장치
JPH0326315A (ja) ろ過装置
JP3187205B2 (ja) 排ガスの処理方法
CN208727079U (zh) 复合式微米级气雾处理装置
CN112755715A (zh) 一种烟气过滤装置
CN103341299A (zh) 连续工作的自动清洗湿式电除尘除雾器
CN220861085U (zh) 一种烟气脱硫净化装置
US6190630B1 (en) Flue gas treating process and apparatus
CN2459085Y (zh) 湿式静电器
KR940001416B1 (ko) 밴츄리형 습식전기 집진기
CN215782258U (zh) 一种环境保护用灰尘颗粒吸收设备
JP5100774B2 (ja) デミスタ洗浄方法
KR20170024624A (ko) 유지 제거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오수 정화 장치
JPH0740055A (ja) 溶接排煙集塵装置
JPH0160289B2 (ko)
SU736995A1 (ru) Газопромыватель
CN220090934U (zh) 一种电厂尾气脱硫脱硝装置
CN215916929U (zh) 一种烟气除尘脱硫脱硝一体化设备的溢流水槽结构
CN219596285U (zh) 一种烟气脱硫脱硝净化除尘装置
KR100970971B1 (ko) 다중의 공기정화부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