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017B1 -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017B1
KR910003017B1 KR1019870014914A KR870014914A KR910003017B1 KR 910003017 B1 KR910003017 B1 KR 910003017B1 KR 1019870014914 A KR1019870014914 A KR 1019870014914A KR 870014914 A KR870014914 A KR 870014914A KR 910003017 B1 KR910003017 B1 KR 91000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late
loading
brak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858A (ko
Inventor
김종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017B1/ko
Publication of KR89001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크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로오딩 구동력 전달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a도는 이젝트시의 동 평면도, 제3b도는 언로오딩시의 동 평면도, 제3c도는 로오딩시의 동 평면도, 제3d도는 로오딩 스톱시의 동 평면도, 제3e도는 플레이시의 동 평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캠기어의 평면도, 제4b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캠기어의 캠선도, 제4c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캠기어의 확대 저면도, 제4d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위칭판의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부 발췌 측단면도.
제6a도는 리버어스서어치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브레이크의 일부절취 평면도, 제6b도는 리버어스서어치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브레이크의 일부 절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크 4 : 폴베이스
5 : 록킹판 6 : 인장스프링
11 : 연결핀 12 : 슬라이드판
13, 13' : 리일디스크 15 : 강브레이크
16 : 작동핀 19 : 리버어스서어치 전용 브레이크
22 : 기어 23 : 제어부
24 : 제어볼 25 : 회전통
28 : 핀치아암 31 : 안내공
32 : 연동판 33 : 접점핀
35 : 로오딩모우터 37 : 캠기어
38, 38' : 접점편 39 : 스위칭판
41 : 캠홈 42 : 구동핀
43 : 전동기어 45 : 안내장공
46, 46' : 요입부 47 : 돌출부
본 고안은 비디오 카메라 일체용 또는 간략한 거치형 브이티알(VTR)에 적합한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브이티알은 플레이나 퍼워드, 또는 리와인드, 픽처서어치시 등과 같은 각 모우드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키이를 누르면 로오딩 기구가 적합한 위치로 이동을 하여 각 모우드를 수행토록 하였기 때문에 기구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세트의 소형화에 큰장애가 되었음은 물론 각 모우드로의 변환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또 변환되는 동안 화면의 이상이 발생됨은 물론 세트의 불량률이 매우 높은 점등이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함과 동시에 기구적으로 간소화되게 함은 물론 플레이 모우드에서 다른 모우드로의 변환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외주면 상부에는 기어치를 빙둘러 형성하고, 하부에는 일부분에만 기어치를 형성한 캠기어를 사용하여 테이프 로오딩기어와, 각 모우드 변환을 위한 슬라이드판에 모우터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케 하였으며, 리버어스 픽쳐서어치를 위한 전용 브레이크의 사용과 핀치아암이 슬라이드판에 의해 연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데크(1)의 평면도로서, 양측 폴베이스(3), (3')가 이동을 완료하여 테이프(T)를 드럼(2)에 밀착시켜 준 로오딩 완료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텐션아암(4)은 록킹판(5)에 일끝을 걸어준 인장스프링(6)의 작용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텐션폴(7)이 테이프(T)에 텐션을 주게되고, 록킹판(5)의 록킹공(8)에는 톱로오딩 방식인 카세트 하우징의 일측에 착설된 록킹핀(9)의 하단부가 끼워져 제5도에 보는 바와 같이 하단부에 요입 형성한 록킹홈에 록킹공(8)의 일측내주면이 걸리게 하면 카세트 하우징이 록킹되므로 카세트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하였으며, 이 록킹판(5)은 장공을 통해 지지판(10)으로 데크(1) 상면에 전후이동 자재토록 착설하는 것으로, 그 일측에 착설한 연결핀(11)은 그 하단부를 데크(1)에 뚫은 장공을 관통시켜 하부로 노출되게 하여 저면에 설치하는 슬라이드판(12)에 의해 연동되게 하였다.
한편, 양측 리일디스크(13), (13')는 양쪽의 장공을 통해 안내핀(14)으로 전후진될 수 있게 착설하여 스프링을 걸어준 강 브레이크(15)에 의해 제동이 될 수 있게 하였고, 이 강브레이크(15)의 중간 위치에 착설된 작동핀(16)은 그 하단부를 데크(1)에 뚫은 장공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게 하여 슬라이드판(12)에 의해 연동되게 하였으며, 또 리일디스크(13), (13') 사이에는 캡스턴축(17)을 회전시켜 주는 캡스턴모우터에 의해 회전되는 아이들러(18)를 축착하여 리일디스크들을 회전시켜 주도록 하였고, 리일디스크(13')에는 리버어스서어치 전용 브레이크(19)를 맞물리게 설치하였으며, 이 브레이크(19)에는 일끝에 인장스프링(21)을 걸어준 레버브레이크(20)의 일단이 접촉되게 하였다.
상기 리버어스서어치 전용 브레이크(19)는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어(22)의 저면에 라쳇트형 제어부(23)를 형성하여 수개의 제어볼(24)이 개재되게 원통형 회전통(25)에 결합한 다음 고정핀(26)으로 축착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으로, 리일디스크(13')의 기어와 기어(22)가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하고, 레버브레이크(20)의 일단은 회전통(25)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하였다.
또한, 핀치로울러(27)와 가이드로울러(27')가 축착된 핀치아암(28)은 축(29)으로 회전 자재토록 착설하되 그 일측에 인장스프링(30)을 걸어주어 이 스프링의 수축력에 의해 축(29)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였고, 일끝 부분에는
Figure kpo00001
형상의 안내공(31)을 뚫어서 이에 연동판(32)의 일측에 착설한 전동핀(33)의 상단부를 데크(1)에 뚫은 장공(1a)을 관통시켜 끼워주었다.
한편, 제2도는 테이프(T)의 로오딩 및 각 모우드를 변환시켜주기 위한 구동력 전달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로오딩판(34)의 일측에 착설되는 로오딩모우터(35)의 구동력이 수개의 감속기어(36), (36'), (36"), (36'")들을 거쳐 캠기어(37)에 전달되도록 이들을 축착하고, 캠기어(37)의 저면에는 단일체로된 접점팬(38), (38')을 부착하여 그 하부에 착설되는 스위칭판(39) 상면에 형성시킨 공통접점(40)과 각 모우드 접점(40'), (40"), (40'"), (40"")들을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게하며, 상기 캠기어(37)의 상면에는 제4도(b)에서 보는 바와같이 캠선도를 갖는 캠홈(41)을 형성하여 로오딩판(34)의 상부에 좌·우 이동 자재토록 착설하는 슬라이드판(12)의 저면 소정위치에 착설한 구동핀(42)의 하단을 결합하며, 또 캠기어(37)의 외주면 상부에는 제4도(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어치(37a)를 전부분에 형성하여 감속기어(36'")와 맞물리게 하고, 그 하부에는 일부분만 기어치(37b)를 형성하여 일부분(43a)에 기어치가 형성되지 않은 전동기어(43)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고, 이 전동기어(43)에는 폴베이스(3)를 동작시켜주는 로오딩기어(44)를 이 로오딩기어에는 폴베이스(3')를 동작시켜 주는 로오딩기어(44')를 서로 맞물리게 하였다.
또한, 수개의 안내공을 뚫은 상기 슬라이드판(12)의 좌측에는 좌단부에 경사면(45a)과 협소부(45b)를 형성한 안내장공(45)을 뚫어 록킹판(5)의 일측 저면에 착설한 연결핀(11)의 하단부를 끼워주고, 내면의 중간부분에는 강브레이크(15)의 중간 저면에 착설한 작동핀(16)의 하단부와 접촉되어 이 작동핀(16)을 동작시켜주는 요입부(46), (46')와 이들 사이에 돌출부(47)를 형성하며, 우측하부에는 핀치아암(28)을 동작시켜 주는 연동판(32)을 장공을 통해 두개의 안내핀(48)으로 좌우이동 가능하게 착설함과 동시에 슬라이드판(12)과 연동판(32)의 일측사이에 인장스프링(49)을 걸어주어 이 스프링의 수축력과 상기 안내핀(48)에 의해 연동판(32)의 슬라이드판(12)과 함께 좌우이동되게 하여서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50"은 카세트 인식용 스위치이고, "51, 51'"는 스토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데크(1)에 카세트를 안착시켜주면 이를 통상의 카세트 인식 스위치(50)가 이를 감지하여 각 모우드 선택 스위치를 조작시 로오딩모우터(35)가 구동될 수 있게 하여 주는 것으로 이 로우딩모우터의 구동력은 각 감속기어(36), (36'), (36"'), (36"")를 거쳐 캠기어(37)에 전달되어 이 캠기어(37)를 회전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캠기어(37)가 회전되는 범위는 그 저면에 부착된 접점편(38), (38')이 각 모우드의 선택에 따라 제4도에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칭판(39)의 공통접점(40)과 각 모우드 접점(40), (40'), (40"), (40'")들을 선택적으로 접촉시켜 주는 위치까지 이동되는 정도로만 회전된 다음 정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을 각 모우드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a도는 이젝트 모우드시 구동력 전달장치의 평면도로서, 사용자가 이젝트 선택 스위치를 누르면 로오딩모우터(35)에 전원이 공급되어 이 모우터가 역회전되고, 그 회전력은 각 감속기어(36-36"')들을 거쳐 캠기어(37)에 전달되어 캠기어(37)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구동핀(42)이 캠홈(41)의 내측끝부분, 즉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A"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슬라이드판(12)은 우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가 되어 좌측의 안내장공(45)에 끼워진 연결핀(11)은 경사면(45a)의 끝협소부(45d) 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 연결핀(11)이 록킹판(5)을 제1도 및 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위치에서 화살표 방향(R)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어 록킹공(8)에 걸려있는 카세트 하우징의 록킹핀(9)를 록킹상태에서 해제시켜 주게 되기 때문에 하우징은 통상의 이젝트 장치의 작용에 의해 이젝트되며, 이때 연동판(32) 역시 안내핀(48)에 의해 슬라이드판(12)과 함께 우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전동핀(33)을 안내공(32)의 우측끝으로 이동시켜 주므로 핀치아암(28)은 축(29)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핀치로울러(27)를 캡스턴축(17)에서 완전히 떨어지게 하여 주며, 전동기어(43)는 로오딩기어(44), (44')들을 각기 역회전시켜 주어 폴베이스(3), (3')를 후진시켜 주게 되므로, 테이프(T)는 언로오딩되고 캠기어(37) 저면에 부착된 접점편(38), (38')이 스위칭판(39)의 공통접점(40)과 이젝트접점(40')을 접속시켜 주는 상태가 되면, 로오딩모우터(35)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이젝트 모우드가 완료되면, 이 과정에서 강브레이크(15)에 부착된 작동핀(16)은 슬라이드판(12)의 일측면에 형성된 요입부(46), (46')에서 벗어난 좌측면에 받쳐져 있게 되므로 작동핀(16)이 강브레이크(15)를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R')으로 이동시켜 주게되어 리일디스크(13), (13')들은 강브레이크(15)로부터 해제된 상태이므로 언로오딩되는 테이프(T)를 신속하게 감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b도는 언로오딩스톱모우드시로서 사용자가 언로오딩 선택스위치를 누르면 이때는 로오딩모우터(35)가 정회전하게 되어 캠기어(37)를 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시켜 주게 되어 구동핀(42)이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캠홈(41)의 "B"와 "C"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 구동핀이 슬라이드판(12)을 좌측으로 조금 이동시켜 주게 되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그 이동력이 인장스프링(49)을 통해 연동판(32)으로 전달되어 이 연동판을 함께 좌측으로 조금 이동시켜 주게되며, 이 과정에서는 전동핀(33)이 안내공(31)의 수평부분을 이동하는 상태이므로 핀치로울러(27)는 아직 캡스턴축(17)으로 부터는 완전히 떨어져 있게 되며, 또 연결핀(11)은 경사면(45a)으로 부터 벗어나 안내장공(45)의 폭이 넓은 부분의 좌측에 위치하게 되고, 작동핀(16)은 양측 요입부(46), (46') 사이의 제출부(47)에 위치하게 되므로 강브레이크(15)는 역시 해제된 상태가 되며, 이후 접점편(38), (38')이 스위칭판(39)의 공통접점(40)과 언로오딩스톱접점(40")을 접속시켜 주는 상태가 되면 로오딩모우터(35)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언로오딩모우드가 정지된다.
제3c도는 로오딩모우드시로서, 이때는 사용자가 로오딩선택 스위치를 누르면 모우터(35)가 계속 정회전되어, 구동핀(42)이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캠홈(41)의 "D"와 "E" 사이의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판(12)은 좌측으로 조금 더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인장스프링(49)에 의해 연동판(32)이 함께 좌측으로 더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이동되는 전동핀(33)이 핀치아암(2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므로 전동핀(33)은 안내공(31)의 경사부분에 위치하게 되며, 전동기어(43)는 기어치가 형성되지 않은 일부분(43a)이 아직 캠기어(37)의 기어치가 없는 부분과 접촉된 상태이므로 회전되지 않지만 이후부터는 캠기어(37)의 기어치(37b)와 전동기어(43)의 기어치가 있는 부분이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전동기어(43)가 회전되어 로오딩기어(44), (44')들을 회전시켜 주기 시작하므로 폴베이스(3), (3')가 전진을 하여 테이프(T)를 로오딩시켜 주게 되며, 이때 구동핀(42)은 캠홈(41) "E" 부분 즉, 캠기어(37)의 축에서 동심원 부분을 지나가게 되므로 슬라이드판(12)은 동작을 하지 않게 되고, 작동핀(16)은 아직 돌출부(47)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강브레이크(15)는 해제되어 있어 리일디스크(13), (13')가 원활하게 회전되어 테이프(T)가 로오딩되는 만큼 신속하게 풀리게 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접점편(38), (38')은 스위칭판(39)의 공통접점(40)과 접점(40") 위치를 지나서 접점(40'")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3d도는 로오딩 스톱모우드시로서, 이때는 구동핀(42)이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캠홈(41)의 "E" 부분과 "F" 부분을 지나서 "G"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데, "F" 부분을 지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판(12)이 좌측으로 더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49)에 의해 연동판(32)이 핀치아암(28)을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주게 되어 핀치로울러(27)를 캡스턴축(17)에 근접시켜 주게 되며, 전동기어(43)는 기어치가 없는 일부분(43a)이 캠기어(37)의 기어치가 없는 부분과 다시 만나게 되므로 회전이 정지되고, 이에따라 로오딩기어(44), (44')들도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며, 이 상태가 되면 폴베이스(3), (3')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토퍼(51), (51')까지 도달하게 되어 테이프(T)는 로오딩이 완료되는 것이고, 이때 작동핀(16)은 요입부(46')측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강브레이크(15)는 인장스프링(S)의 수축력에 의해 리일디스크(13), (13')측으로 당겨져 이동되어 이들 리일디스크를 제동시켜 주게 되며, 접점편(38), (38')이 공통접점(40)과 로오딩스톱접점(40'")을 접속시켜 주는 상태가 되면 로오딩모우터(35)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언로오딩모우드가 정지되는 것이다.
한편, 제3e도는 플레이모우드시로서, 사용자가 플레이 선택스위치를 누르면 로오딩모우터(35)가 캠기어(37)를 정회전시켜 주게 되며, 구동핀(42)은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캠홈(41)의 "T"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슬라이드판(12)은 좌측으로 더욱 이동되고,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49)에 의해 연동판(32)도 더욱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핀치아암(28)을 더 회전시켜 핀치로울러(27)를 캡스턴축(17)에 접촉되게 하여 주는데, 이렇게 되면 핀치아암(28)은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되지만 이후에도 슬라이드판(12)이 좌측으로 조금 더 이동되기 때문에 이때 이동되는 간격 만큼은 인장스프링(49)이 늘어나면서 연동판(32)을 당겨주게 되므로 이 스프링의 수축력이 핀치로울러(27)에 전달되어 테이프(T)를 캡스턴축(17)에 압착시켜 주게 되며, 이 과정에서 작동핀(16)은 요입부(46')를 벗어나게 되기 때문에 강브레이크(15)는 다시 해제되어 리일디스크(13), (13')는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후 접점편(38), (38')이 공통접점(40)과 플레이접점(40"")에 접속되면 로오딩모우터(35)는 작동이 정지되는 반면, 캡스턴모우터가 작동되어 그 구동력이 아이들러(18)를 통해 리일디스크(13), (13')에 전달되어서 테이프(T)를 주행시켜 주게 되므로 플레이가 진행되는 것이며, 이러한 플레이모우드에서는 캡스턴모우터의 회전방향이나 속도의 조정으로 퍼워드나 리와인드, 또는 서어치등과 같은 모우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리버어스 서어치시에는 테이프(T)의 주행안정을 위해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전용 브레이크(19)를 사용하였다.
즉, 이 브레이크(19)는 리일디스크(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기어(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어부(23)가 제어볼(2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켜주게 되어 이 제어부는 원활하게 회전되기 때문에 브레이크(19)는 작용하지 않고 레버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력만 작용되며, 리일디스크(1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기어(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제어부(23)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어볼(24)이 제어부(23)와 회전통(25) 사이의 좁은 부분에 끼이는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가 되면 제어부(23)가 회전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19)도 회전되지 않게 되어 제동력이 발생되고, 이 제동력은 리일디스크(13')에 전달되는 것으로 이러한 작용은 리버어스시에만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은 상부에는 기어치를 빙둘러 형성하고 하부에는 기어치를 일측에만 형성한 캠기어를 사용하여 하나의 모우터로 카세트 하우징의 이젝트나 테이프의 로오딩, 핀치아암의 이동 작동을 수행토록 하고, 또 플레이모우드에서 퍼워드, 리와인드, 서어치모우드로 변환시켜 이들 모우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부품과 조립공수가 대폭 감소되고, 이에 따라 데크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또 각 모우드의 변환시 발생되던 화면의 이상도 제거되는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데크의 하부에 로오딩모우터와 캠기어 및 슬라이드판을 설치한 테이프로오딩 구동력 전달장치를 부설하여 상기 로오딩모우터의 구동력이 감속기어들을 거쳐 상면에는 캠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스위칭판의 각 접점들을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접점판을 부착한 상기 캠기어에 전달되게 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은 캠홈에 끼워진 구동핀에 의해 좌우이동되어 카세트 하우징의 록킹판과 리일디스크들용 강브레이크 및 핀치아암 회동용 연동판, 로오딩기어 구동용 전동기어들을 각 모우드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주게 하며, 리일디스크들은 캡스턴모우터로 구동되게 하고, 텐션아암은 인장스프링과 폴베이스에 의해 동작되게 하며, 리버어스 서어치 전용 브레이크를 테이크업 리일디스크에 결합되게 설치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판(12)에는 록킹판(5)에 착설된 연결핀(11)을 동작시켜 주기 위한 협소부와 경사면을 갖는 안내장공(45)과 강브레이크(15)에 착설된 작동핀(16)을 동작시켜 주기 위한 요입부(46), (46')와 돌출부(47)를 각각 형성하며, 캠기어(37)의 외주면 상부에는 전면에 걸쳐 기어치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일부분에만 기어치를 형성하며, 전동기어(43)에는 일부분에만 기어치를 형성하지 않고, 핀치아암(28)의 일단부에는
    Figure kpo00002
    형상의 안내공(31)을 뚫어 연동판(32)에 착설된 전동핀(33)의 상단부를 결합시켜 주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3. 제1항에 있어서, 리버어스서어치 전용 브레이크(19)는 기어(22)의 하부에 형성된 라쳇트형 제어부(23)를 수개의 제어볼(24)과 함께 회전통(25)에 결합시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KR1019870014914A 1987-10-24 1987-10-24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KR91000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914A KR910003017B1 (ko) 1987-10-24 1987-10-24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914A KR910003017B1 (ko) 1987-10-24 1987-10-24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58A KR890010858A (ko) 1989-08-11
KR910003017B1 true KR910003017B1 (ko) 1991-05-15

Family

ID=1926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914A KR910003017B1 (ko) 1987-10-24 1987-10-24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092B1 (ko) * 1996-08-31 1999-09-01 전주범 브이씨알의 테이프 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58A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4277B2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のリール駆動装置
EP0057921B1 (en) Magnetic recording/playback device
JP3050378B2 (ja) カセットおよびテープのローディング装置
US4930720A (e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VCR
GB2079032A (en) Tape recorder
KR910003017B1 (ko) 소형 브이티알의 로오딩 메카니즘
JPH0660485A (ja) 磁気記録再生器のブレーキ装置
US5499151A (en) Mode changing method utilizing one cam gear and one solenoid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US5386333A (en) Head drum cleaning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336616B2 (ja) テープ駆動装置
EP0372250A2 (en) Magnetic recording/playback apparatus
KR880001386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 변환 장치
JP2538279B2 (ja) モ―ド切換装置
JPH0373945B2 (ko)
JPH0528578Y2 (ko)
KR890001431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KR10020059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960016361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브레이크장치
KR940007537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KR890004237Y1 (ko) 브이티알의 테이프 로우딩장치
KR0120094Y1 (ko) 캠코더의 하우징 이젝트 장치
KR0123347Y1 (ko) 오토리버스 카세트 데크의 포워드 우선 타입 기구
KR830001163Y1 (ko) 기록재생장치용 모오드 절환장치
JPH0525077Y2 (ko)
JPH0265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