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013Y1 - 남비 뚜겅용 꼭지 - Google Patents

남비 뚜겅용 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013Y1
KR910003013Y1 KR2019880012861U KR880012861U KR910003013Y1 KR 910003013 Y1 KR910003013 Y1 KR 910003013Y1 KR 2019880012861 U KR2019880012861 U KR 2019880012861U KR 880012861 U KR880012861 U KR 880012861U KR 910003013 Y1 KR910003013 Y1 KR 910003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le
steam
opening
stea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2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475U (ko
Inventor
나처녀
나창수
Original Assignee
나처녀
나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처녀, 나창수 filed Critical 나처녀
Priority to KR2019880012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013Y1/ko
Publication of KR900004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0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남비 뚜겅용 꼭지
제1도는 본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을 결합한 상태의 횡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손잡이를 왼쪽으로 돌려서 증기배출공을 열어준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판 2 : 증기배출공
4 : 요홈부 5, 5' : 괘지턱
6 : 개폐구 7 : 괘지핀
9 : 손잡이 10 : 핀공
11, 11' : 증기배출유도편 12 : 축
본고안은 남비 뚜껑에 부착되는 꼭지자체에 증기 배출을 조절할수 있는 구성을 갖추므로서 음식물 조리시 용기안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음식물의 조리정도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하여 음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할수 있도록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남비뚜껑용 꼭지는 단순이 뚜껑을 열고 닫을때 손으로 잡는 파지부의 기능 밖에 없었으며, 음식물 조리효과를 높이기 위해 뚜껑에 꼭지외에 별도의 증기배출장치를 설치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각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뚜껑 자체를 이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뚜껑을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으며 그 구성 또한 주로 스프링으로 탄발되는 볼베아링 등의 구성으로 되어있어 구조의 복잡성과 제작단가가 높아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으로 증기배출공(2)이 천공된 받침판(1)의 표면 중앙에 요홈부(4) 및 괘지턱(5)(5')이 양단에 형성된 ""형의 괘지부(3)를 돌출 형성하고, 요홈부(4)에는 표면 일측에 괘지핀(7)이 형성되고 타측에 축공(8)이 형성된 개폐구(6)를 삽입하며, 저면부에 핀공(10)이 형성되고 경사진 외주벽에 한쌍의 증기배출 유도편(11)(11')을 돌출한 손잡이(9)를 나합공(13)이 형성된 축(12)에 의해 개폐구(6)의 축공(8)에 회전되게 삽입 한후 보울트(14)로 체결하여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15)는 증기가 통과될때 소리가 나는 발음통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고안은 상단의 손잡이(9)를 좌, 우로 돌리면 손잡이(9)의 핀공(10)에 괘지핀(7)이 끼워져 있는 개폐구(6)가 축(12)을 중심으로 괘지부(3)의 양측 괘지턱(5)(5') 범위내에서 좌, 우로 회전이 되는 것인데, 처음 취사를 시작 할때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상단 손잡이(9)를 왼쪽(OPEN쪽)으로 돌려서 개폐구(6)가 왼쪽 괘지턱(5')에 걸리도록 하여 증기배출공(2)을 열어논 상태에서 취사를 시작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용기속의 음식물이 끓게되면 발생되는 수증기가 발음통(15)을 통해 증기배출공(2)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음통(15)에서 소리가 발생되기 때문에 주부가 쉽게 음식물이 끓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주부는 즉시 가스불을 약하게 줄인후 손잡이(9)를 오른쪽(CLOSE쪽)으로 돌려서 손잡이(9)를 따라 동시에 회전되는 개폐구(6)로 하여금 증기배출공(2)을 밀폐시키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열이 증기배출공(2)으로 배출됨이 없이 음식물을 약한 불에서 양호하게 익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고안은 증기 배출공(2)으로 증기 가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증기 배출공(2) 의 양측을 손잡이(9) 의 증기배출 유도편(11)(11')이 차단하여 주고 있으므로 뜨거운 증기는 양측 증기배출 유도편(11)(11') 사이의 좁은 범위내에서만 배출이 되기 때문에 주부가 손으로 손잡이(9)를 돌려 증기배출공(2)을 닫을때 손잡이(9)가 뜨겁지 않고 안전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고안은 그 구성이 간단하고 합성수지재로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현재 각 가정에서 사용하고있는 통상의 남비뚜껑은 물론 기타 음식물뚜껑의 기존 꼭지와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수 있어 매우 편리한 것이다.

Claims (1)

  1. 일측으로 증기배출공(2)이 천공된 받침판(1)에 있어서 받침판(1)의 표면 중앙에는 요홈부(4) 및 괘지턱(5)(5')이 형성된 ""형의 괘지부(3)를 돌출 형성하고, 외주벽으로 증기배출 유도편(11)(11')이 돌설된 손잡이(9) 저면에는 일체로 회전되게 개폐구(6)를 설치한 다음 손잡이(9)와 받침판(1)을 보울트(14)로 체결하여 손잡이(9)를 돌림에 따라 개폐구(6)가 괘지부(3)의 괘지턱(5)(5') 범위 내에서 증기배출공(2)을 개폐 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비 뚜껑용 꼭지.
KR2019880012861U 1988-08-03 1988-08-03 남비 뚜겅용 꼭지 KR910003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861U KR910003013Y1 (ko) 1988-08-03 1988-08-03 남비 뚜겅용 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861U KR910003013Y1 (ko) 1988-08-03 1988-08-03 남비 뚜겅용 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475U KR900004475U (ko) 1990-03-06
KR910003013Y1 true KR910003013Y1 (ko) 1991-05-09

Family

ID=1927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2861U KR910003013Y1 (ko) 1988-08-03 1988-08-03 남비 뚜겅용 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0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475U (ko) 199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9831T1 (de) Dampfdruckkochtopf mit sicherheitsverriegelung des deckels.
FR2863849B1 (fr) Appareil domestique de cuisson d'aliments sous pression a dispositif de verrouillage ameliore
EA200300208A1 (ru) С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хвата, подъема, перемещения и наклона кухонной посуды с двумя ручками
KR910003013Y1 (ko) 남비 뚜겅용 꼭지
KR930001764Y1 (ko) 음이 발생되는 가열용기의 뚜껑
JPS5920810Y2 (ja)
KR200215655Y1 (ko) 다용도 찜통
KR910000560Y1 (ko) 취사기구의 피리장착 뚜껑
KR200222407Y1 (ko) 조리용 용기의 뚜껑
JPH0328205B2 (ko)
KR800001702Y1 (ko) 취사용기
KR200165145Y1 (ko) 냄비
KR200323681Y1 (ko) 이중뚜껑을 갖춘 조리용기
KR950005366Y1 (ko) 다기능 칼 도마
KR200206781Y1 (ko) 남비
KR900005832Y1 (ko) 취사 용기의 증기 배출을 겸한 뚜껑 손잡이
KR200297807Y1 (ko) 조리용기운반용 착탈식 단열 손잡이 구조
KR100413354B1 (ko) 조리용 용기의 뚜껑
KR200231311Y1 (ko) 뚜껑걸이수단을구비한남비
JP3000242U (ja) 調理器用蓋
KR910001903Y1 (ko) 합성수지 남비.
FR2782259B1 (fr) Appareil de cuisson sous pression a fermeture a baionnettes et a bec verseur
KR960003703Y1 (ko) 취사용구의 신호기
KR960005696Y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
KR910007091Y1 (ko) 일회용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