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978Y1 -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978Y1
KR910002978Y1 KR2019870006287U KR870006287U KR910002978Y1 KR 910002978 Y1 KR910002978 Y1 KR 910002978Y1 KR 2019870006287 U KR2019870006287 U KR 2019870006287U KR 870006287 U KR870006287 U KR 870006287U KR 910002978 Y1 KR910002978 Y1 KR 910002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cold water
water temperature
uni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6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343U (ko
Inventor
허수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6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978Y1/ko
Publication of KR8800203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3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
제1도는 히터의 발열시 콤프레서가 구동될 경우에 과전류가 입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2도는 종래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의 일예를 보인 회로도.
제3도는 (a)-(e)는 제2도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
제4도는 종래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에 의하여 자동 판매기로 과전류가 입력되는 것을 보인 파형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의 실시예도.
제6도의 (a)-(g)는 제5도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수온도 감지부 20 : 냉수온도 판별부
30 : 콤프레서 구동 제어부 40 : 콤프레서 구동지연부
50 : 콤프레서 구동부 60 : 히터 발열 제어부
CP11: 콤프레서 H : 히터
AC : 교류전원
본 고안은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히터에 전원을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콤프레서가 기동되어 과전류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는 필수적으로 음료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음료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용 콤프레서로 크게 양분하는 2가지의 전기부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냉동용 콤프레서가 기동될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프레서의 기동이 완료되는 약 10초의 시간동안 정상 구동시의 정격 전류보다 많은 기홍 전류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되고 있는 상태에서 콤프레서가 기동될 경우에는 콤프레서의 기동이 완료되는 약 10초의 시간동안 자동 판매기로 과전류가 입력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자동 판매기의 각종 부품들이 파괴 및 손상될 뿐만 아니라 화재의 발생위험도 있었다.
이러한 과전류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를 사용하고 있으나, 히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콤프레서가 기동되는 초기시간에 여전히 과전류가 입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2도는 종래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온도 감지기(1)가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3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될 경우에 동작전원(B)이 냉수온도 감지기(1)를 통해 콤프레서 구동용 릴레이(4)에 인가되므로 릴레이(4)가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되고, 릴레이(4)의 스위치(4a)가 접속되어 콤프레서(6)가 제3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되며, 이 때 동작전원(B)이 냉수 온도 감지기(1)를 통해 지연부(3)의 콘덴서(C1)에 충전되고, 콘덴서(C1)에 전하가 완전히 충전되기 전의 시간 동안은 트랜지스터(5)가 온되므로 히터 차단용 릴레이(2)가 제3도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되고, 릴레이(2)의 스위치(2b)가 개방되어 히터(7)에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이 제3도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되며, 일정시간(T1)이 경과되어 콘덴서(C1)의 전하 충전이 완료되면, 릴레이(2)의 구동이 정지되고, 스위치(2b)가 다시 접속되어 히터(7)에는 다시 온수 온도 감지기(8)의 동작에 따라 교류전원(AC)이 인가되게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는 냉수온도 감지기(1)가 접속될 경우에 동작전원(B)이 지연부(3)를 통해 지연되므로 릴레이(4)가 구동되어 콤프레서(6)가 기동된 일정시간 후 즉, 예를 들면 약 0.5초 후에 릴레이(2)가 구동되어 히터(7)에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프레서(6)가 기동되는 초기의 일정시간 동안은 여전히 과전류가 입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콤프레서의 기동시 먼저 히터의 인가전원을 차단시킨 후 콤프레서를 기동시킴으로써 콤프레서의 기동 초기시간에도 과전류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는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5도 및 제6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고안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의 실시에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수온도 감지부(10)와, 상기 냉수온도 감지부(10)의 출력신호로 냉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다이오드(D11), 콘덴서(C11, C12), 저항(R11-R13), 및 비교기(COMP12)로 된 냉수온도 판별부(20)와, 냉수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에 상기 냉수온도 판별부(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콤프레서(CP11)구동시키게 제어하는 저항(R14, R15), 트랜지스터(TR11) 및 릴레이(RY11)로 된 콤프레서 구동 제어부(30)와, 상기 콤프레서 구동제어부(30)의 구동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다이오드(D12), 저항(R16-R19), 콘덴서(C13) 및 비교기(COMP12)로 된 콤프레서 구동 지연부(40)와, 상기 콤플레서 구동 지연부(40)에서 지연된 구동 신호에 따라 스위치(RYS12a)를 접속시켜 콤프레서(CP11)를 구동시키는 저항(R20), 트랜지스터(TR12) 및 릴레이(RY12)로 된 콤프레서 구동부(50)와, 상기 콤프레서 구동 지연부(40)의 출력신호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스위치(RYS13b)를 개방시켜 히터(H)의 발열열 정지시키는 스위치(RYS11a), 저항(R21-R22), 콘덴서(C14), 다이오드(D13, D14), 트랜지스터(TR13) 및 릴레이(RY13)로 된 히터 발열 제어부(60)로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스위치(RYS11a)(RYS12a)(RYS13b)는 릴레이(RY11)(RY12)(RY13)의 구동에 따라 각기 제어되는 스위치로서 스위치(RYS11a)(RYS12a)는 릴레이(RY11)(RY12)가 구동될 경우에 각기 접속되고, 스위치(RYS13b)는 릴레이(RY13)가 구동되지 않을 경우에 접속된다.
제5도의 도면 설명중 미설명 부호 TH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수온도 감지 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는 동작전원(B+)이 인가된 상태에서 냉수온도 감지부(10)는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출력단자(Vi)로 출력하고, 출력한 냉수온도 감지신호는 냉수온도 판별부(20)이 다이오드(D11), 콘덴서(C11, C12) 및 저항(R11)을 통해 정형된 후 비교기(COMP1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어 동작전원(B+)을 저항(R12, R13)으로 분할한 기준전압(Vref1)과 비교된다.
이 때, 냉수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냉수온도 감지부(10)에서 저전위를 출력하여 비교기(COMP1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냉온도 감지신호의 전압(V1)이 기준전압(Vref1)보다 낮으므로 비교기(COMP11)가 저전위를 출력하고, 압축기 구동 제어부(30)의 트랜지스터(TR11)가 오프되며, 릴레이(RY11)가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히터 발열 제어부(60)의 릴레이 스위치(RYS11a)는 접속되지 않고, 트랜지스터(TR13)는 오프되며, 릴레이(RY13)가 구동되지 않아 릴레이 스위치(RYS13b)가 계속 접속되므로 히터(H)에는 온수온도 감지기(TH)의 감지온도에 따라 교류전원(AC)이 인가 및 차단되면서 온수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트랜지스터(TR11)가 오프됨에 따라 동작전원(B+)이 저항(R16, R17)을 통해 콘덴서(C13)에 충전되면서 비교기(COMP12)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비교기(COMP12)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2)이 그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2)보다 놀으므로 비교기(COMP12)가 저전위를 출력하고, 트랜지스터(TR12)가 오프되며, 릴레이(RY12)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RYS12a)는 접속되지 않고, 콤프레서(CP11)에 교류전원(AC)이 인가되지 않아 콤프레서(CP11)는 구동되지 않는다.
한편, 냉수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아 냉수온도 감지부(20)에서 고전위를 출력하고, 비교기(COMP1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1)이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1)보다 높게 되면, 비교기(COMP12)가 제6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를 출력하고, 그 출력한 고전위에 의해 트랜지스터(TR11)가 온되어 릴레이(RY11)가 제6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된다.
그러므로 릴레이 스위치(RYS11a)가 접속되고 동작전원(B+)이 스위치(RYS11a)를 통해 콘덴서(C14)에 충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13)를 온시켜 제6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RY13)가 구동되고, 스위치(RYS13b)가 개방되며, 히터(H)에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은 제6도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TR11)가 온됨에 따라 콘덴서(C13)의 충전전원이 저항(R17), 다이오드(D12) 및 트랜지스터(TR11)를 통해 접지로 제6도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되고, 콘덴서(C13)의 충전전원이 기준전압(Vref2) 이하로 방전되며, 비교기(COMP12)가 제6도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TR12)가 온되고, 릴레이(RY12)가 구동되므로 릴레이 스위치(RYS12a)가 접속되고, 콤프레서(CP11)에는 교류전원(AC)이 인가되어 제6도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냉수온도가 높아 콤프레서를 동작시킬 경우에 먼저 히터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차단시킨 후 콤프레서에 교류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므로 콤프레서의 기동시 과전류가 입력되지 않아 교류전원을 차단시킨 후 콤프레서에 교류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므로 콤프레서의 기동시 과전류가 입력되지 않아 부품의 손상 및 파괴를 방지하고, 화재의 발생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냉수온도가 높을 경우에 콤프레스(CP11)의 구동이 완료되는 일정시간 동안 히터(H)의 인가 교류전원(AC)을 차단시키는 히터 발열 제어부(60)를 구비한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에 있어서, 냉수온도 감지부(10)에서 출력되는 냉수온도 감지신호로 냉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냉수온도 판별부(20)와, 상기 냉수온도 판별부(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콤프레서(CP11)를 구동시키게 제어함과 아울러 상시히터 발열 제어부(60)가 동작하게 제어하는 콤프레서 구동 제어부(30)와, 상기 콤프레서(30)에서 출력되는 콤프레서 구동신호를 상기 히터 발열 제어부(60)가 히터(H)의 인가 교류전원(AC)을 차단시키기 시작하는 초기시간 이상으로 지연시키는 콤프레서 구동 지연부(40)와, 상기 콤프레서 구동 지연부(40)의 출력신호에 따라 콤프레서(CP11)를 구동시키는 콤프레서 구동부(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
KR2019870006287U 1987-12-22 1987-12-22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 KR910002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6287U KR910002978Y1 (ko) 1987-12-22 1987-12-22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6287U KR910002978Y1 (ko) 1987-12-22 1987-12-22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343U KR880020343U (ko) 1988-11-30
KR910002978Y1 true KR910002978Y1 (ko) 1991-05-03

Family

ID=1926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6287U KR910002978Y1 (ko) 1987-12-22 1987-12-22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9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343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5202A (en) Inverter apparatus provided with electric discharge control circuit of dc smoothing capaci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989649B2 (en) Switch assembly, electric machine having the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A2281977C (en) Inductively activated control and protection circuit for refrigeration systems
US5408073A (en) Overheat prevention circuit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CA1092678A (en) Device for detecting abnormal temperature in fixer
JPS5856006A (ja) 温度調節器の故障検出方法
KR910002978Y1 (ko) 냉온 겸용 음료 자동 판매기의 과전류 입력 방지회로
JP339925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28496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950011925A (ko) 전자레인지
KR19980028572A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과열 방지방법
JPH04249088A (ja) 加熱装置
JPH07163464A (ja) インバータ調理器の過熱防止方法及び装置
KR940005695Y1 (ko) 히트 램프의 이상가열 방지회로
KR900009695Y1 (ko) 제상히터 발열량 조절장치
US5009588A (en) Time-delay circuit for automatic shutdown of furnace systems
KR940000088Y1 (ko) 온수보일러의 순환펌프 제어장치
GB2242582A (en) Drive protection system
JPH0158343B2 (ko)
KR0172876B1 (ko) 세탁기의 가열히터를 이용한 방전장치
KR900005496Y1 (ko) 난방기구의 초기돌입전류 제한회로
KR880001981Y1 (ko) 유도 가열조리기의 가열온도 과도상승 방지회로
JP2660778B2 (ja) エンジン用電子式コントローラの誤動作検出装置
KR940002510Y1 (ko) 그릴 오븐 레인지의 팬모타 구동 제어 회로
KR100578363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