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906B1 - 스타터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906B1
KR910002906B1 KR1019880000713A KR880000713A KR910002906B1 KR 910002906 B1 KR910002906 B1 KR 910002906B1 KR 1019880000713 A KR1019880000713 A KR 1019880000713A KR 880000713 A KR880000713 A KR 880000713A KR 910002906 B1 KR910002906 B1 KR 91000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bearing
shaft
planetary gear
overrunning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980A (ko
Inventor
다카시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4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gearing including a speed reducer
    • F02N15/04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gearing including a speed reducer of the planetary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2Separate power mes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4Clutch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7Reduction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타터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스타터장치를 나타내는 단편적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스타터장치를 나타내는 단편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전자석 스위치장치 13 : 시프트레버
20 : 스타터장치 21 : 직류전동기
21a : 전기자 회전축 24 : 유성기어감속장치
24a : 태양기어 24b : 내치기어
24c : 유성기어 24d : 캐리어
27 : 1차 출력축 28 : 오버러닝클러치장치
28a : 아우터레이스 8b : 인너레이스
30 : 2차 출력축 31: 베어링장치
33 : 피니언
본원 발명은 스타터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기관시동용으로서 사용되는 유성기어 감속장치 부착의 스타터장치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기관시동용으로서 사용되는 스타터장치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나타내는 종래의 스타터장치(1)는 기관을 시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직류전동기(2)를 갖추고, 이 직류전도기(2)에 인접해서 그 전방축 즉 제2도에서 본 우측에는 유성기어 감속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유성기어 감속장치(3)는 직류전농기(2)의 전기자 회전축(2a)의 끝부 외주면에 형성된 스트레이트스플라인(straight spline)(2b)에 맞물려서 끼워 맞추어 장착된 태양기어(3a)와, 이 태양기어(3a)를 중심으로하여 그 외부 주위에 배치된 내치(內齒)기어(3b)와, 태양기어(3a) 및 내치기어(3b)에 맞물려서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유성기어(3c)로 구성되어 있다. 각 유성기어(3c)는 각각 핀(3d)에 의해서 캐리어(3e)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직류전동기(2)의 전방에는 전기자 회전축(2a)의 중심축선과 동일한 축선상에 이 회전축(2a)과는 변체의 구동축(4)이 배치되고, 유성기어 감속장치(3)를 구성하는 캐리어(3e)의 보스형 통부(筒部)는 이 구동축(4)의 뒤끝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끼워 맞추어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유성기어 감속장치(3)를 구성하는 내치기어(3b)는 센터브라켓(5)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센터브라켓(5)에 끼워 맞추어져 장착된 베어링(6)에 의해 캐리어(3b)의 보스형 통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센터브라켓(5)에 인접해서 전방축에는 오버러닝클러치장치(7)가 축방향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구동축(4)에 지지되어 있다. 즉, 오버러닝클러치장치(7)의 클러치아우터(clutch outer)(7a)는 구동축(4)에 형성된 헬리컬스플라인 (4a)에 맞물리고, 또한 롤러(7b)를 통해서 회전이 전달되는 클러치인너(clutch inner)(7c)는베어링(8)을 통해서 구동축(4)에 끼워 장착지지된 일체적인 통형의 출력축부(7b)를 갖추고 있다. 이 출력축부(7d)를 갖추고 있다. 이 출력축부(7d)는 스타터장치(1)의 기계틀인 프론트브라켓(9)에 끼워 맞추어 고정한 베어링(10)에 의해서 지지되고, 또한 그 선단부에는 기판의 링기어(도시생략)에 맞물리는 피니언(1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있어서, 부호(12)는 지류전동기(2)의 전원을 투입하는 동시에 오버러닝클러치장치(7)를 시프트(shift)시키는 전자석 스위치장치이며, 이 장치(12)의 플런저로드(plunger rod)에는 시프트레버(13)의 한끝이 결합되어, 그 다른 끝은 오버러닝클러치장치(7)의 클러치아우러(7a) 외주면에 형성된 물레방향 홈에 결합되어 있다.
종래의 스타터장치는 상기와 같은 직류전도기(2)의 전기자회전축(2a)과 구동축(4)이 분리되어, 이 구동축(4)의 한끝이 유성기어 감속장치(3)의 내치기어(3b)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센터브라켓(5)에 끼워 장착된 베어링(6)에 의해서 캐리어(3e)의 보스형 통부와 함께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때문에, 해당 스타터장치의 전체길이가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장치 전체의 길이를 짧게해서 소형화 된 스타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스타터장치는 기판을 시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전동기와, 이 전동기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해 상기 전동기의 케이스 끝부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창성된 내치기어, 이 내치기어에 맞물리는 유성기어 및 이 유성기어의 공전운동을 지지하는 캐리어를 갖춘 유성기어 감속장치와, 상기 캐리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베어링을 통해서 상기 전동기의 전기자 회전축 연장축부에 끼워 장착된 통형의 1차 출력축과, 상기 연장축부상에 축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1차 출력축과, 상기 연장축부상에 축방향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1차 출력축에 스플라인 결합한 아우테레이스를 가진 오버러닝클러치장치와, 이 오버러닝클러치장치의 인저레이스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추구에 베어링을 통해서 축방향 슬라이드이동 가능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통형의 2차 출력축과, 상기 오버러닝클러치장치를 슬라이드이동시키 위해 축방향력을 부여하는 시프트수단과, 기계틀에 고징되어 상기 2차 출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장치와, 상기 2차 출력축의 끝부에 배치된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스타터장치에 의하면, 직류전동기에 전원이 투입되면 동시에 시프트수단에 의해서 오버러닝클러치장치가 전기자 회전축상을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인너레이스와 일체적인 2차 출력축 끝부에 설치된 피니언이 기관의 링기어에 맞물린다. 다른 한편, 직류전동기의 회전은 전기자 회전축에서 유성기어를 통해서 캐리어에 전달되고, 캐리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통형의 1차 출력축상의 스플라인에 맞물리는 아우터레이스를 회전시킨다. 이 아우터레이스의 회전은 인너레이스에 전달되고, 이로써 피니언이 회전되어 기관이 시동된다. 또한 기판시동후의 전기자 회전축에의 회전력 역전달은 오버러닝클러치장치에 의해서 차단된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일실시에 판한 스타터장치를 첨부도면에 나타낸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스타터장치(20)가 나타나 있다. 이 스타터장치(20)는 직류전동기(21)를 포함하고, 그 전기자 회전축(21a)은 케이스(21b)에서 전방(제1도에서 보아 오른편)으로 신장된 연장축부를 갖추고 있다. 케이스(21b)의 끝벽(21c)에는 베어링지지부(21c)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21b)에 설치된 베어링(22)에 의해서 전기자 회전축(21a)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베어링지지부(21b)의 근방에 있어서의 케이스 내축의 전기자 회전축(21a) 주면에는 스토퍼용 플레이트(23)가 부착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23)의 베어링지지부 끝면에의 맞닿음에 의해서 전기자 회저눅(21a)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직류전동기(21)의 축부에는 끝벽(21a)의 근접해서 유성기어 감속장치(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유성기어감속장치(24)는 전기자 회전축(21a)의 연장축브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스플라인(25)에 맞물려 끼워 맞추어진 태양기어(24a)와, 직류전동기(21)의 케이스(21b) 주위부를 축방향으로 달아내어 그 내주면이 이빨을 창설하고 상기 태양기어(24a)를 중심으로 한 외부 주위에 위치 고정된 케이스(21b)와 일체인 내치기어(24b)와, 태양기어(24a)와 내치기어(24b)로 맞물리고 태양기어(24a)의 주위를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24c)로 구성되어 있다. 각 유성기어(24c)는 원반형상의 캐리어(24d)에 고정된 핀(24e)에 베어링(24f)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캐리어(24d)는 베어링(26)을 통해서 직류전동기의 전기자 회전축 연장축부에 끼워 장착된 통형부(27)를 갖추고, 이 통형부(27)와 캐리어(24d)와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금, 이 통형부(27)를 1차 출력축이라 한다.
캐리어(24d)에 인접해서 오버러닝클러치장치(28)가 1차 출력축(27)상에 배치되고, 이 클러치장치(28)의 아우터레이스(28a)는 1차 출력축(27)의 외주면에 형성된 헬리컬스플라인(27a)에 맞물려지고, 이 1차 출력축(27)의 회전이 전달된다. 그리고, 이 오버러닝클러치장치(28)는 그 인너레이스(28b)에서 축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신장하고, 전기자 회전축(21a)의 연장축부에 베어링(29)을 통해서 끼워 장착된 2차 출력축(30)에 의해서 지지되고, 또한 이 2차 출력축(30)은 스타터장치(20)의 기계틀이 프론트브라켓(20a)에 압입 끼워맞추어진 베어링장치(31)에 의해서 축방향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자 회전축(21a)의 연장축부는 이 베어링장치(31)가 위치한 곳에서 종료단이 되어있다. 베어링장치(31)는 ㄷ자형 베어링하우징(31a)과 이것에 의해서 지지된 베어링(31b)로 구성되고, 하우징(31a)의 측벽부는 오버러닝클러치장치측에 위치하고 있다.
2차 출력축(30)의 오버닝클러치장치(28) 근방에 있어서의 외주부에는 스토퍼용 링(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링(32)은 오버러닝클러치장치(28)가 인너레이스(28b)와 일체인 2차 출력축(30)과 함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할 때, 그 이동길이를 규제하기 위해 베어링장치(31)의 하우징(31a) 측벽부에 맞닿는 것으로, 2차출력축(30)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회전되면 하우징(3la)과의 접촉에 의해서 마찰이 커지기 때문에 2차 출력축(30)에 회전자제로 끼워져 있다. 2차 출력축(30)의 선단부는 프론트브라켓(20a)을 지나서 외부로 돌출하고, 그 돌출부에는 기관이 링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3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부호(34)는 태양기어(24a)의 빠짐방지용으로 연장축부에 철치된 와셔, (35)는 1차 출력축(27)의 축방향 슬라이드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축부에 설치된 와셔, (36)은 이 와셔(35)의 축방향 이동을 규재하고 고정링, (37)은 피니언(33)의 위치결정스토퍼, (38)은 이 스토퍼(37)를 위치결정하기위한 스톱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스타터장치(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자석(電磁石) 스위치장치(12)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시프트레버(13)가 구동되고, 오버러닝클러치장치(28)가 아우터레이스(28a)와 1차 출력축(27)과 헬리컬스플라인(27a)에 의한 맞물림을 유지한채 전방으로 이송되고, 인너레이스(28b)에 일체인 2차 출력축(30)에 설치된 피니언(33)이 내연기관의 링기어(도시생략)에 맞물린다. 이 맞물림의 직전이나 또는 거의 그와 동시에 전자석 스위치장치(12)의 주접점이 폐성(閉成)되고, 이로써 직류전동기(21)의 전원투입이 이루어져서 전기자 회전축(21a)이 회전한다. 이 회전은 전기자회천축(21a)의 연장축부에 스플라인 결합상태로 부착된 태양기어(24a)를 통해서 유성기어(24c)를 공전 구동하고, 전기자 회전축(21a)의 회전속도가 내부 감속되어서 캐리어(24d)에 일체인 1차 출력축(27)에 전달되고, 또한 이 1차 출력축(27)에서 헬리컬스플라인(27a)을 통해서 오버러닝클러치장치(28)의 아우터레이스(28a)에 전달된다. 그 결과, 인너레이스(28b)와 일체인 2차 출력축(30)에 설치된 피니언(33)에 의해서 기판이 시동된다. 또한 기판시동후의 전기자 회진축(21a)으로의 회전력 역전달은 오버러닝클러치장치(28)에 의해서 차단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전동기의 회전축을 전방으로 연장시키고 또한 센터브라켓과 이에 끼워 맞춘 베어링을 폐지하여 캐리어와 일체인 1차 출력축을 상기 연장축부로 지지하고, 이 1차 출력축과 오버러닝클러치장치의 아우터레이스를 스플라인에 의해서 결합하므로써, 스타터장치의 전체길이를 종래의 것에 비해서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구동축 등을 폐지할 수 있기때문에 부품개수도 작아지고, 또한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캐리어, 오비러닝클러치장치 등의 센터링도 용이해지고, 신뢰성 높은 스타터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2)

  1. 기관을 시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와, 이 전동기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해 상기 전동기의 케이스 끝부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창성된 내치기어, 이 내치기어에 맞물리는 유성기어 및 이 유성기어의 공전운동을 지지하는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기어 감속장치와, 상기 캐리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베어링을 통해서 상기 전동기의 전기자 회전축 연장축부에 끼워 장착된 통형의 1차 출력축과, 상기 연장축부상에 축방향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디 이 1차 출력축에 스플라인 결합한 아우터레이스를 가진 오버러닝클러치장치와, 이 오버러닝클러치장치의 인너레이스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축부에 베어링을 통해서 축방향 슬라이드이동 가능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통형의 2차 출력축과, 상기 오버러닝클러치장치를 슬라이드이동 시키기 위해 축 방향력을 부여하는 시프트수단과, 기계틀에 고정되어 상기 2차 출력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장치와, 상기 2차 출력축의 끝부에 배치된 피니언을 포함하는 스타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장치가 베어링을 지지하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2차 출력축의 외주부에 회전자재로 설치된 스토퍼링을 상기 하우징의 축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2차 출력축의 소정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장치.
KR1019880000713A 1987-03-10 1988-01-28 스타터장치 KR910002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55929A JPS63219871A (ja) 1987-03-10 1987-03-10 スタ−タ装置
JP62-55929 1987-03-10
JP87-55929 1987-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980A KR880011980A (ko) 1988-10-31
KR910002906B1 true KR910002906B1 (ko) 1991-05-09

Family

ID=1301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713A KR910002906B1 (ko) 1987-03-10 1988-01-28 스타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60604A (ko)
JP (1) JPS63219871A (ko)
KR (1) KR910002906B1 (ko)
FR (1) FR2613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1663A (en) * 1988-02-26 1990-06-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tarter motor
JPH076470B2 (ja) * 1989-03-15 1995-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同軸形スタータ装置
JPH0741893Y2 (ja) * 1990-06-08 1995-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中間歯車付始動電動機
JP2538599Y2 (ja) * 1991-01-11 1997-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装置
JPH06249112A (ja) * 1993-02-26 1994-09-06 Mitsubishi Electric Corp 始動電動機
JP3334302B2 (ja) * 1993-12-22 2002-10-15 株式会社デンソー 遊星ギヤ減速機構を有するスタータの製造方法
JP2009068389A (ja) * 2007-09-12 2009-04-02 Denso Corp スタータ
DE102008042525A1 (de) * 2008-10-01 2010-04-08 Robert Bosch Gmbh Startvorrichtung
FR2957638B1 (fr) * 2010-03-19 2012-03-09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moteur thermique a pignon sortant
DE112012005001A5 (de) * 2011-11-30 2014-09-1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DE102012217517A1 (de) * 2012-09-27 2014-03-27 Robert Bosch Gmbh Andreh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oder Herstellung einer Andrehvorrichtung
DE102013207875B4 (de) * 2013-04-30 2021-03-18 Seg Automotive Germany Gmbh Start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19205757A1 (de) * 2019-04-23 2020-10-29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Getriebe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31580A (en) * 1942-09-17 1949-11-04 Cav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engine-starting motors
GB2037373B (en) * 1978-11-10 1983-02-09 Hitachi Ltd Engine starter
US4464576A (en) * 1980-10-22 1984-08-07 Facet Enterprises, Inc. Engine starter drive
US4412457A (en) * 1981-04-29 1983-1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line engine cranking motor drive having reduction gear set
JPS5867976U (ja) * 1981-10-30 1983-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タ
EP0091689B1 (en) * 1982-04-13 1985-12-18 Hitachi, Ltd. A starter apparatus
US4510406A (en) * 1983-02-03 1985-04-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ulti-use starting device
JPS6021560U (ja) * 1983-07-20 1985-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内部減速型スタ−タ
JPS60175763A (ja) * 1984-02-23 1985-09-09 Nippon Denso Co Ltd スタ−タ
FR2566464B1 (fr) * 1984-06-20 1986-10-31 Paris & Du Rhone Demarreur a reducteur epicycloidal a restitution d'energie
US4573364A (en) * 1984-08-15 1986-03-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Gear reduction starter drive
JPH0231582Y2 (ko) * 1984-09-25 1990-08-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60604A (en) 1989-08-29
FR2613777A1 (fr) 1988-10-14
KR880011980A (ko) 1988-10-31
FR2613777B1 (fr) 1990-02-02
JPS63219871A (ja) 198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906B1 (ko) 스타터장치
JPH0633743B2 (ja) 同軸形スタ−タ装置
JPH05263738A (ja) 始動電動機
KR930004519B1 (ko) 엔진용 스타터
US4974463A (en) Starting motor with a translatable idler/pinion gear
KR930002641Y1 (ko) 스타팅 모터의 피니온 스톱퍼 장치
KR920001210B1 (ko) 동축형 시동기 장치
US5052235A (en) Spaced bearing arrangement for coaxial engine starter
KR950009045B1 (ko) 중간 기어형 스타터
JPH0419667U (ko)
KR920000339B1 (ko) 유성기어 감속장치가 부착된 시동기 장치
KR920001209B1 (ko) 동축형 스타터장치
KR940010654B1 (ko) 동축형 스타터장치
EP0582429A1 (en) Compound planetary gear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starter motor
US4829195A (en) Starter
KR920000881Y1 (ko) 시동장치
KR900000588A (ko) 시동기
JPS6053791B2 (ja) スタ−タ用ピニオン伝動装置
JPH0526030B2 (ko)
JPH0528380Y2 (ko)
JPS6390666A (ja) エンジン用スタ−タ
KR200208196Y1 (ko) 자동차의 시동장치
JPH051656Y2 (ko)
KR930005299Y1 (ko) 동축형 스타터장치
JPS62441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