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889B1 - 환경보전용 블록(block) - Google Patents

환경보전용 블록(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889B1
KR910002889B1 KR1019870000622A KR870000622A KR910002889B1 KR 910002889 B1 KR910002889 B1 KR 910002889B1 KR 1019870000622 A KR1019870000622 A KR 1019870000622A KR 870000622 A KR870000622 A KR 870000622A KR 910002889 B1 KR910002889 B1 KR 910002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ll
front wall
support plat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173A (ko
Inventor
리오이지 도사와
Original Assignee
기겐고오고요 가부시기가이샤
기무라 마사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겐고오고요 가부시기가이샤, 기무라 마사아끼 filed Critical 기겐고오고요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70000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889B1/ko
Publication of KR88000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경보전용 블록(BLOCK)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환경보전용 블록의 사시도.
제2도는 동 블록의 정면도.
제3도는 동 블록의 평면도.
제4도는 동 블록의 저면도.
제5도는 동 블록의 우측면도.
제6도는 동 블록의 배면도.
제7도는 동 블록을 3분의 구배로 수평쌓기를 한 경우의 옹벽의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
제9도는 동 블록을 5분의 구배로 수평쌓기를 한 경우의 옹벽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평면도.
제11도는 동 블록을 7분의 구배로 수평쌓기를 한 경우의 옹벽의 종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평면도.
제13도는 동 블록을 4분의 구배로 수평쌓기를 한 경우의 옹벽의 종단면도.
제14도는 동 블록을 6분의 구배로 수평쌓기를 한 경우의 옹벽의 종단면도.
제l5도는 동 블록을 경사지게 쌓을 경우의 옹벽의 종단면도.
제16도 내지 제20도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블록의 사시도.
제21도는 제20도의 블록을 3분의 구배로 수평쌓기를 한 경우의 옹벽의 종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평면도.
제23도는 제20도의 블록을 5분의 구배로 수평쌓기를 한 경우의 옹벽의 평면도.
제24도는 제20도의 블록을 7분의 구배로 수평쌓기를 한 경우의 옹벽의 평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벽 1L, 1R : 좌, 우측벽
2 : 앞면벽 2a : 앞면벽의 견부
3 : 식생공간 4 : 받침판
4a : 받침판 상단연 4l, 4r : 받침판 측단
5L, 5R : 주돌기 5La, 5Ra : 주돌기 앞면부
6 : 보조돌기 6a : 보조돌기 앞면부
7L, 7R, 8L, 8R :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
9L, 9R, 10L, 10R : 주돌기 결합용 홈부
11L, 11R : 주돌기 결합용 제2의 홈부
12 : 수평기초 21L, 21R : 양측벽
22 : 다른 실시예 블록 B의 앞면벽
24 : 다른 실시예 받침판
27L, 27R-31L, 31R : 다른 실시예 블록 B의 결합용 홈부
41 : 다른 실시예 블록 C의 연결벽
42 : 다른 실시예 블록 C의 앞면벽
44 : 다른 실시예 블록 C의 받침판
47L, 47R, 48L, 48R : 다른 실시예 블록 C의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
49-5l : 다른 실시예 블록 C의 결합용 홈부
A :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블록 A1 : 첫째 번단의 블록
A2 : 둘째 번단의 블록 A3 : 셋째 번단의 블록
A4 : 넷째 번단의 블록 B-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블록
F.G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블록
F1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블록 F2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블록
F3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블록 F4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블록
61 : 다른 실시예 블록 D의 연결벽 62 : 다른 실시예 블록 D의 앞면벽
71L, 71R : 다른 실시예 블록 E의 양측벽
72 : 다른 실시예 블록 E의 앞면벽
81L, 81R : 다른 실시예 블록 F의 양측벽
82:다른 실시예 블록 F의 앞면벽
82l, 82r : 다른 실시예 블록 F의 앞면벽 82의 양측단부
83 : 다른 실시예 불록 F의 식생공간
84 : 다른 실시예 블록 F의 받침판
84l, 84r : 다른 실시예 블록 F의 양측단
85L, 85R : 다른 실시예 블록 F의 주돌기
86L, 86R : 다른 실시예 블록 F의 보조돌기
87 : 다른 실시예 블록 F의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
88 : 다른 실시예 블록 F의 보조돌기 내면
89L, 89R, 90L, 90R, 91L, 91R : 다른 실시예 블록 F의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
101 : 다른 실시예 블록 G의 연결벽
101a : 다른 실시예 블록 G의 주돌기의 뻗침부
102 : 다른 실시예 블록G의 앞면벽 103 : 다른 실시예 블록 G의 개구부
104 : 다른 실시예 블록 G의 뒷면 받침판
105 : 다른 실시예 블록 G의 주돌기
106 : 다른 실시예 블록 G의 앞면벽 하면의 보조돌기
107, 108 : 다른 실시예 블록G의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
109, 110, 111 : 다른 실시예 블록 G의 앞면벽의 주돌기 결합용 홈부
112 : 다른 실시예 블록 G의 앞면벽의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
111a : 다른 실시예 블록 G의 받침판 하방 뻗침부.
본 발명은 도로, 제방 뚝, 공원, 택지 등에 있어서 흙을 넣어 두는 블록으로서 녹화, 소 동물을 번식시키는 공간부를 갖춘 환경보전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단일의 블록으로서 수평쌓기와 구배, 쌓기의 양쪽으로 쌓을 수 있는 환경보전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도로, 제방 뚝, 공원, 택지 등에 있어서 흙을 넣어 두는 블록으로 녹화, 소 동물의 번식용의 공간부를 갖춘 환경보전용 블록이 많이 사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보전용 블록에는 종래 기히 여러가지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있었으나 이것들은 대별하면 수평쌓기용 블록과 구배쌓기용 블록으로 대별할 수 있다. 수평쌓기용 블록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소화 58-3873호 공보에 게재된 것과 같이 전체가 중공이 얽힌 형상을 하고 있어 상단의 안쪽방향으로 밀어서 쌓아올렸을 때에 하단블록의 앞부분에 식생(植生)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구배쌓기용의 블록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화 54-16001호에 게재된 것과 같이 앞면에 경사판 또는 받침판을 갖고 있어 이 구배에 맞추어 쌓아올리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 객토가 깊기 때문에 직근성의 수목, 저중목, 활엽수, 관상용의 식물 등 폭넓은 식생이 가능하고 또 객토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표토의 침식이나 유출이 적어 수목의 성장에 있어서도 좋은 것은 물론 소 동물의 번식에도 적합한 이점이 있는 반면, 소목의 종류에 따라서는 납엽시에 블록정면벽의 거의 전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경관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후자에 있어서는 상기 낙엽시에도 위쪽으로 경사된 받침판의 앞끝면이 노출되는 관계로 경관을 해치는 일이 적은 반면에 받침판상의 객토가 침식되어 유출될 가능성이 있고, 또 객토 용적이 한정되어 있어 식생할 수 있는 식물은 진달래 등 일부의 식물에 한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수평용 블록으로 구배지게 쌓을 경우에는 수평용 블록의 장점은 반감되는 동시에 그 단점이 가일층 조장되며 또 구배지게 쌓는 블록을 수평으로 쌓는 경우에도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이런 관계도 종래의 이와 같은 블록에 있어서는 단일블록으로 수평쌓기 및 구배쌓기를 그 특색을 살리며 무리없이 쌓을 수가 없어 상기 양블록의 장단점을 감안한 후에 현장의 상황에 따라 어느 블록을 사용할 것인가를 미리 결정하여 거기에 따른 수평쌓기용 블록 또는 구배쌓기용 블록을 채택하여 쌓아올리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단일의 블록으로서 수평쌓기 및 구배쌓기를 무리없이 시공할 수 있는 환경보전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면벽과, 후방에 경사진 뒷면받침판과, 앞면벽 및 뒷면 받침판과를 연결하는 연결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앞면벽이 단독 또는 옆방향에 인접하는 블록의 앞면벽과 협동하여 앞방향에 막혀진 식생용 등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벽의 밑면 또는 윗면에는 돌기가 설치되어, 또는 이들에 대응하는 연결벽의 윗면 또는 밑면에는 하단의 블록에 대하여 상단의 블록을 안쪽방향으로 밀어서 쌓아올릴적에 상기돌기와 계합하는 제1의 오목부와, 상단 및 하단의 블록을 그 앞면벽을 동일면 상태로 쌓아올릴적에는 상기 돌기와 계합하는 제2의 오목부가 형성되므로 앞면벽을 앞부분으로하여 상기 돌기를 제1의 오목부에 계합시키면 상, 하의 블록의 단차에 식생 등의 공간이 확보되어 완전한 수평쌓기를 할 수 있고, 또 뒷받침판을 앞부분으로하여 돌기를 제2의 요부에 계합시키면 상하의 블록의 받침판 사이에 식생 등의 공간이 확보되어서 완전한 경사 쌓기를 할 수 있어 하나의 블록으로서 수평쌓기 및 구배쌓기의 양쪽으로 사용되는 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하여 각 쌓아올리는 상태에 있어서, 상, 하의 블록이 상기한 돌기와 오목부에 의하여 완전하게 계합되므로 강고하고 안정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블록 A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중 부호 1L, 1R는 연결벽을 구성한다. 평행으로 대치한 좌우측벽으로 그 전단부에는 일단 좌우방향 외측으로 넓힌 후 전방을 향해 삼각형상으로 돌출한 앞면벽(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앞면벽(2)는 측벽(1)과 동일 높이를 갖는 것과 같이, 하면이 상면보다도 폭넓게 형성되어 이 앞면벽(2)에 의하여 둘려싸여 형성된 내부공간(3)은 식생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4는 양측벽(1L), (1R)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판으로, 이 받침판(4)는 양측벽(1L), (1R) 후단의 높이방향 중앙부보다 약간 밑으로 앞면벽(2) 쪽의 위치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돌설되어 그 상단연(4a)는 양측벽 1L, 1R의 상단면과 일치하고, 또 그 양단 4l, 4r는 측벽 1L, 1R의 바깥쪽으로 뻗어져 앞면벽(2)의 양측보다도 약간 외측에 뻗어져 있다.
그리하여 받침판 4의 제1도중 우측에 위치한 측단부 4r에는 그 상면에, 또 동도면중 좌측에 위치한 측단부 4l에는 그 하면에 각각 단차가 형성되어 옹벽의 넓이방향에 인접하는 블록상호의 받침판 단부가 여유를 가지고 겹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측벽 1L, 1R의 하면에는 각각 한개의 주돌기 5L, 5R가 형성되어, 또 앞면벽(2)의 선단부 하면에는 1개의 보조돌기(6)이 돌설되어 있다. 주돌기 5L, 5R의 앞면부 5La, 5Ra에서 보조돌기 6의 앞면부 6a까지의 간격 1은 측벽 1L, 1R의 상면부의 길이 L(제5도 참조)와 같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앞면벽 2의 상면 선단부에서 측벽 1L, 1R의 상면후단까지의 길이는, 블록 A을 7분의 구배로 쌓아올렸을 때에 상단의 블록 A의 주돌기 5L, 5R가 하단의 블록 A의 측벽 1L, 1R후단에 결쳐지는 정도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7L, 7R 및 8L, 8R는 앞면벽 2의 양측단 상면에 블록 A의 안쪽방향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보조돌기 결합용(홈부)로, 양홈부 7L, 7R와 8L, 8R중 전방의 홈부 7L, 7R는 상단에 위치하는 블록을 그 안쪽방향에 일정길이로 스치고, 기준구배가 3분이 되도록 서로 얽힌 상태로 쌓아올렸을 때에 상단의 블록 A의 보조돌기 6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 후방의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 8L, 8R는 구배가 5분이 되도록 블록을 같은 모양으로 쌓아올렸을때에 상단의 블록의 보조돌기 6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9L, 9R 및 10L, 10R는 양측벽 1L, 1R의 상면에 형성된 주돌기 결합용의 제1의 홈부로, 상기 보조돌기 결합용의 홈부 7L, 7R와 8L, 8R와 같은 형으로 블록 A의 안쪽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2개 형성되어 있고, 전방의 홈부 9L, 9R는 블록 A를 구배가 3분이 되도록 쌓아올렸을때에 상단의 블록의 주돌기 5L, 5R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 후방의 홈부 10L, 10R는 블록 A를 구배가 5분이 되도록 쌓아올렸을 때에 상단의 블록의 주돌기 5L, 5R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11L, 11R은 양측벽 1L, 1R의 상면에 형성된 주돌기 결합용의 제2의 홈부로서 상기 제1의 홈부 9L, 9R와 10L, 10R보다도 전방에 위치하여 앞면벽 2를 동일면으로 되게 블록 A를 쌓아올렸을때에 상단의 블록의 주돌기 5L, 5R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한 홈부 7L, 7R 내지 11L, 11R는 어느 것이나 돌기 5L, 5R 또는 보조돌기(6)와의 결합 상태를 블록 A의 넓이 방향으로 스칠 수 있는 길이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블록 A는 다음과 같이하여 시공된다. 먼저 수평쌓기로 3분의 구배로 쌓아올릴 경우를 제7도 및 제8도에 따라 설명한다.
수평된 기초 12상에 첫째 번단의 블록 A1을 그 앞면벽(2)가 앞으로 위치하도록하여 배열시공 한다. 이때 블록 A1의 앞면벽 2의 양측단은 인접한 블록의 앞면벽 양측단과 맞물리어(제8도 참조), 또 받침판 4는 양측단 4r, 4l가 인접하는 블록의 뒷면받침판 4의 일측단 4l, 4r와 일부 겹쳐져 있다.
다음에 첫째 번단에 인접하는 두개의 블록 A1, A1에 걸쳐지도록 둘째 번단의 블록 A2를 쌓아올린다. 이와 같이 쌓아올릴적에 앞면벽 2를 앞으로 위치시킬 적에는 물론이러니와, 둘째 번단의 블록 A2의 보조돌기 6을 첫째 번단의 블록 A1의 보조돌기 결합용 전방홈부 7L 또는 7R에 연결시키는 한편, 이 블록 A1의 주돌기 5L, 5R를 제1의 홈부 9L, 9R 및 10L, 10R중 전방의 홈부 9L, 9R에 결합하여 쌓아올린다. 이에 의하여 둘째 번단의 블록 A2는 자동적으로 3분의 구배에 의하여 쌓아올려져 양단의 단차부분에 첫째 번단의 블록 A1의 식생공간 3이 개방된다. 동일한 모양으로 셋째 번단과 넷째 번단의 블록 A3, A4를 그 주돌기 5L, 5R 및 보조돌기 6이 각각의 결합용 전방홈부 9L, 9R 및 7L, 7R에 결합하도록 하여 쌓아올려 각단의 단차에 드러난 식생공간에 적당한 시기에 토사를 충진함과 동시에 소망의 식물을 식설(植設)하는 것으로 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하여 구축된 옹벽은 주돌기 5L, 5R와 보조돌기(6)이 하단의 대응하는 홈부 9L, 9R 및 7L, 7R에 결합하여, 또 받침판 4의 양측단 4l, 4r가 일부 겹쳐져 있기 때문에 전체가 일체화되어, 배후로부터의 흙에 압력에 대하여 높은 강도와 안전성을 갖고, 또 각 블록의 A1-A4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토사의 보지성도 우수하다.
또한 이 블록 A1-A4의 배면부에는 후방으로 경사진 뒷면받침판 4만이 설치되어 뒷면받침판 4의 하단부터 측벽 1L, 1R의 하단에 이르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식생공간 3내부의 토사가 원산의 흙과 연속되어 원산으로부터 수분을 잘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블록 A를 사용하여 수평쌓기로 구배하는 변정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제9도 내지 제14도에 따라 설명한다.
둘째 번단 이상의 블록 A2, A3, A4의 보조돌기 6을 하단블록의 보조돌기 결합용 후방홈부 8L 또는 8R에 결합시켜, 또 주돌기 5L, 5R를 하단블록의 주돌기 결합용의 제1의 홈부 9L, 9R 및 10L, 10R중의 후방의 혼부 10R, 10L에 결합시켜서 블록 A를 쌓아올리면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자동적으로 5분의 구배를 갖는 옹벽이 구축된다.
또 주돌기 5L, 5R의 전면부 5La, 5Ra로부터 보조돌기 6의 전면부 6a까지의 간격 1는 옆벽 1L, 1R의 상면부의 길이 L와 같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둘째번단 이상의 블록 A2, A3, A4의 보조돌기 6을 하단블록 앞면벽2의 결부(2a)에 게지하고, 주돌기 5L, 5R을 하단블록의 옆벽 1R, 1L의 상단면 1a에 연결시켜서 블록 A를 쌓아올리면 자동적으로 7분의 구배를 갖는 옹벽이 구축된다.(제11도 및 제12도 참조) 새로이 4분 또는 6분의 구배로 수평쌓기를 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각도로 후방으로 경사지게 시공한 기초위에 상기한 3분쌓기 및 5분 쌓기의 방식으로 블록을 쌓아올리는 것도 좋으나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낸 방법으로 수평된 기초위에 쌓아 갈수도 있다.
즉, 4분 구배쌓기의 경우에는 제13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수평으로 시공한 기초 12의 위에 블록 A1과 블록 A2를 5분의 경사로 쌓아올려, 둘째 번단 블록 A2와 셋째 번단 A3와를 3분 경사로 쌓아올려, 넷째 번단 A4이상은 이와 같은 비례로 일련의 쌓아올리는 방법을 되풀이하여 반복하는 것으로서 구축된 벽면의 구배면을 전체적으로 4분의 경사로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하여 6분의 구배에 대하여서는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첫째 번단 블록 A1과 둘째 번단 블록 A2를 7분의 구배로하고 둘째 번단 블록 A2와 셋째 번단 블록 A3를 5분의 구배로 하므로써 경사면으로는 6분 구배로 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블록 A에 의하면 주돌기 5L, 5R와 결합하는 제1의 홈부 9R, 9L 또는 10R, 10L가 옆벽 1L, 1R상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앞면벽 2를 앞쪽으로 하고 수평쌓기를 한경우에 결합할 홈부 9R, 9L 및 10R, 10L글 적당히 변경하는 것으로서 단일의 블록 A이면서도 복수종류의 구배의 옹벽을 안전하게 잘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하나의 옹벽에 있어서, 도중의 단에서 돌기 5L, 5R 및 6의 결합하는 홈부 7R, 7L-10R, 10L를 변화시켜 소위 성막의 석축형으로 쌓아올릴수도 있다.
제15도는 상기 실시예에 관한 블록 A를 사용하여 구배쌓기를 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블록 A의 앞면과 배면을 역으로 하고 뒷면 받침판 4를 앞쪽으로 하여 첫째 번단의 블록 A1를 기초 1, 2위에 배열하여 2위에 둘째 번단의 블록 A2를 엮는 상태로 쌓아올린다. 이때 상단블록 A2는 하단블록 A1의 바로 위에 쌓아올리는 것으로 되는 것이나, 상단블록 A2의 보조돌기 6이 하단에 인접하는 두개의 블록 A1, A1의 전방에 돌출한 앞면벽 2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 상단블록 A2의 주돌기 5L, 5R가 하단블록 A1의 측벽 1상면에 형성된 제2의 주돌기 결합홈부 11L, 11R에 결합하는 바, 상하의 블록 A1, A2가 서로 맞물려 있어 안정되게 쌓아올리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셋째 번단, 넷째 번단의 블록을 쌓아올려 앞면벽 2의 내부공간에 토사를 충진함과 동시에 뒷면 받침판 4위에도 토양을 충진하여 그 뒷면 받침판 4위에 쌓인 흙에 적당한 식물을 식생하는 것으로 시공은 종료된다.
이와 같이 구배쌓기된 블록 A는 주돌기 5L, 5R와 홈부 11L, 11R가 결합하여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우수한 옹벽을 구축하는 것으로서 원산으로부터의 수분도, 배면측에 위치한 앞면벽 내부의 토사가 원산의 흙과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판상에 식생된 식물에 잘 흡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블록 A는 상기한 것과 같이 수평쌓기 및 구배쌓기의 어느 방법으로도 쌓아올릴 수가 있으므로 이외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수평쌓기를 수단쌓은 후에 그 최상단에 본 실시예에 관한 블록A를 그 뒷면 받침판이 앞쪽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쌓아올릴 수도 있고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블록 A에는 주돌기 5L, 5R와 보조돌기 6을 결합시키는 오목부가 양돌기 5L, 5R 및 6을 블록의 넓이 방향에 위치가 가능한 홈부 7L, 7R-11L, 11R로하여 형성되어, 더욱더 뒷면 받침판 4의 양측단 4l, 4r가 간격을 갖고 겹쳐저 있기 때문에 수평쌓기 또는 구배쌓기의 어느 것의 경우에 있어서도 곡선 시공시에 생기는 상단블록의 시공늘리기 또는 줄임에 대하여 이것들에 충분히 대응하여 상기 결합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제16도 내지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블록 B-E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블록 B는 앞면벽 22가 타원형 모양을 하고 뒷면 받침판 24와 그 앞면벽 22와를 연결하는 양측벽 21L, 21R의 상면 및 앞면벽 22의 상면의 소정개소에 상기한 실시예에 있는 홀홈부 7L, 7R-11L, 11R와 각각 같은 기능을 갖는 홈부 27L, 27R-31L, 31R가 형성되어, 또 앞면벽 하면 및 측벽 21L, 21R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보조돌기 또는 주돌기가 돌설되어 있어 그 쌓아올리는 방법과 사용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와 완전히 같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앞면벽 22가 둥글게 되어 있으므로 수평쌓기의 경우 보다 부드러운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제17도에 나타낸 블록 C는 약 삼각형상을 이루는 앞면벽 42와 받침판 44와의 사이의 중앙부를 T자형을 이루는 단일의 벽체로 형성하는 연결벽 41에 의하여 연결되고, 홈부 47L, 47R, 48L, 48R, 49, 50, 51은 상기 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보조돌기 결합용의 것 47L, 47R, 48L, 48R과, 주돌기 결합용의 제1 및 제2의 홈부 49-51이 각각 형성된다. 이 블록 C에 있어서도 그 쌓는 방법은 전술의 2실시예와 같으며 수평쌓기 및 구배쌓기가 가능하며 수평쌓기의 경우에는 돌기와 홈부 47L, 47R, 48L, 48R 또는 49-51의 결합위치를 블록 C의 안쪽방향에 적당히 스쳐쌓아올리므로써 각종의 구배쌓기가 가능하다.
제18도에 예시하는 블록 D는, T자형을 이루는 단일의 연결벽 61에 블록 B와 같은 둥그스런 앞면벽 62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 블록 D의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벽 61전면의 중앙부에 개구를 설치하여 후배지와 연통하는 수단이 확보되어 있다.
이들 블록 C, D에 의하면 결합부가 하나의 연결벽 41, 61에 모아지므로 제조하기가 비교적 쉬워지고 형틀의 제조 및 형틀의 부착 및 제거가 용이하다.
제19도에 예시하는 블록 E는 앞면벽 72의 양측끝부분을 그대로 연결벽인 양측벽 71L, 71R에 일체화한 것으로서 구조가 새로이 단순화되어 상기 블록 C, D이상으로 제조 등이 용이하여 진다.
제20도 및 제25도에 예시하는 블록 F, G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양블록 F, G는 상술한 블록 A-E와는 식생용 등의 공간을 형성하는 앞면벽의 형상이 틀리게 되어 있다.
먼저 블록 F에 있어서 앞면벽 82는 연결벽인 좌우측벽 81L, 81R의 전단을 연결함과 동시에 측벽 81L, 81R의 전단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비스틈하게 전방으로 넓어지도록하여 직선형상으로 뻗쳐있다. 이 앞면벽82는 측벽 81L, 81R와 동일높이를 가지고 있어 그 양측단부간의 길이는 후술하는 뒷면받침판 84의 양측단간의 길이와 거의 같게 설정되어 블록의 유효폭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앞면벽 82는 옆방향에 인접되는 다른 블록의 앞면벽 82와 서로 그 양측단면 82l,82r를 맞물린 상태로 배열되였을 때에 이 맛물린 2개의 앞면벽 후방에 식생공간 83이 형성된다.(제21도 참조)
84는 양측벽 81L, 81R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판으로, 이 받침판 84의 양측단 84l,84r는 측벽 81l, 81R의 좌우방향 외축으로 뻗쳐서, 옹벽의 넓이방향에 인접하는 블록상호간에 양측단 단면을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85L, 85R는 양측벽 81L, 81R의 아래면에 돌설된 주돌기이고, 86L, 86R는 앞면벽 82의 양측단부 82L, 82R의 아래면에 돌설된 보조돌기, 87은 앞면벽 82의 중앙부 상면에 형성한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로 이홈부 87은 보조돌기 86L, 86R보다 적어도 두배의 길이를 갖고 기준구배가 3분이 되도록 블록을 얼켜서 쌓아올릴적에 상단블록의 보조돌기 86L, 86R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앞면벽 82의 중앙부는 기준구배가 5분이 되도록 블록을 쌓아올렸을 때에 상단블록의 보조돌기 86L, 86R의 전면을 그 내면 88에 의해서 걸릴 수 있는 두터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89L, 89R 및 90L, 90R는 양측벽 81L, 81R의 상면에 형성된 주돌기 결합용의 두개의 제1의 홈부로, 전방의 홈부 89L, 89R는 3분 구배용의 것이고 또 후방의 90L, 90R는 5분 구배용의 것이다.
91L, 91R는 양측벽 81L, 81R의 상면에 형성된 주돌기 결합용의 제2의 홈부로서, 앞면벽 82를 동일면으로 하여 블록을 쌓아올렸을 적에 상단의 블록의 주돌기 85L, 85R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홈부 87, 89L, 89R, 90L, 90R, 91L, 91R은 어느것이나 돌기 85L, 85R, 86L, 86R와 결합상태를 블록의 넓이 방향으로 스쳐지도록 된 길이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블록 F는 전술한 블록 A-E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다. 예를 들면 3분 구배의 수평쌓기의 경우, 첫째 번단의 블록 F1을 그 앞면벽 82가 측 앞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열시공되어, 앞면벽 82의 양측단면 82l, 82r는 인접하는 블록의 앞면벽 양측단면 82l, 82r와 맞물림되고, 또 뒷면 받침판 84도 그 양측단 84l, 84r가 인접하는 블록의 뒷면 받침판 84의 양측단 84r, 84l와 맞물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첫째 번단에 인접하는 2개의 블록 F1, F1에 걸쳐지도록 두째 번단의 블록 F2를 쌓아올린다. 이것들을 쌓아올림에 있어서는 둘째 번단의 블록 F2의 보조돌기 86L 또는 86R를 첫째 번단의 블록 F1의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 87에 결합시키는 한편, 이 블록 F2의 주돌기 85L, 85R를 제1의 홈부의 경우 전방의 홈부 89R, 89L에 결합시켜 쌓아올린다. 이것에 의하여 둘째 번단의 블록 F2는 자동적으로 3분의 기준구배에 의하여 쌓아올려지고, 양단의 단차부분에 옆방향에 인접하는 블록의 앞면벽에 의하여 형성된 식생공간 83이 개방된다.(제22도 참조) 이와 같은 요령으로 섯째 번단 및 넷째 번단의 블록 F3, F4를 쌓아올려 시공하면 좋다.
수평쌓기로 기준구배를 변경시키는 경우, 예를 들면 둘째 번단이 상의 블록 F2, F3, F4의 보조돌기 86L, 86R의 전면을 하단블록의 앞면벽 82의 중앙부 내면 88에 걸쳐 지게하고, 더욱 주돌기 85L, 85R를 하단블록의 주돌기 결합용의 제1의 홈부중의 후방의 홈부 90R, 90L에 결합시켜서 블록을 쌓아올리면, 제23도와 같이 자동적으로 5분의 기준구배를 갖는 옹벽이 구축된다. 또 둘째 번단 이상의 블록 F2, F3, F4의 주돌기 85L, 85R를 하단블록의 측벽 81L, 81R의 뒷단 끝에 걸리게하여 블록 F를 쌓아올리면 자동적으로 7분의 기준경사를 갖는 옹벽이 구축된다.
(제24도) 도시하지 않으나 구배쌓기를 하는 경우에는 블록 F의 전면과 배면을 반대로하여 뒷면 받침판 84를 앞축으로하고 첫째 번단의 블록 F1을 기초 12위에 배열하여 그 위에 둘째 번단의 블록 F2를 얼켜지게 연결식으로 쌓아올린다.
이때 상단블록 F2의 주돌기 85L, 85R가 하단블록 F1의 측벽 81L, 81R 상면에 형성된 제2의 주돌기 결합홈부 91R, 91L에 결합하는 바, 상하의 블록 F1, F2가 맞물려서 안정되게 쌓아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셋째 번단, 넷째 번단의 블록 F3, F4를 쌓아올려 앞면벽 82가 형성하는 식생공간 83에 토사를 충진함과 동시에, 받침판 84위에도 토양을 충진하여, 이 받침판 84위에 채워 쌓아올린 흙에 적당한 식물을 식생하므로써 시공은 완료한다.
제2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블록 G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는, 앞면벽 102가 단일의 벽체로된 연결벽 101의 앞단에 좌우방향으로 갈려진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벽 101의 뒷단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받침판 104는 그 하부가 상기 연결부 101의 뒷단하부로부터 좌우방향에 수평으로 늘어진 소정 높이의 뻗침부 101a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지탱되고 있다. 뻗침부 101a는 그 하단부에 개구부103이 형성되고, 또 하면에 좌우 한쌍의 주돌기 105가 돌설되어 있다.
또 연결벽 101의 상면에는 다섯개의 홈부 107, 108, 109, 110, 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의 앞면벽 102에 가까운 두개의 홈부 107, 108은 맨앞의 것인 107이 3분 구배용의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이고, 다음 것인 108이 5분 구배용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이다. 나머지 3개의 홈부 109-111중 받침판 104에 가까운 2개의 홈부 110, 111은 주돌기 결합용의 제1홈부로, 앞의 110이 3분 구배용이고 뒤에 있는 111이 5분 구배용이다. 한가운데 위치한 홈부 109는 주돌기 결합용의 제2의 홈부이다.
도면중 부호 112는 앞면벽 102의 상면에 형성된 보조돌기 결합용 홈부로 구배지게 쌓을 적에 쓰인다. 또 106은 앞면벽 102의 하면에 돌설된 보조돌기를 나타낸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 블록 G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예의 블록 F와 같은 수준으로 각 홈부 107-112에 돌기 105, 106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구배를 달리한 수평쌓기 및 구배쌓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받침판 104의 하방 뻗침부 111a에 개구부 103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옹벽을 구축할 적에 식생공간 내부의 토사가 원산의 흙과 연속하는 것으로서 되어 원산으로의 수분을 잘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블록 G는 앞면벽 102가 곡면을 이룬관계로 수평쌓기의 경우에는 보기에 부드러운 감이 있는 옹벽을 구축할 수 있고, 또 결합부가 하나의 연결벽에 모여지므로 그 제조가 비교적 쉽고 형틀의 제조 및 형틀의 조립과 해체도 사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모든 실시예에는 상하블록의 결합상태를 강화하기 때문에 주돌기이외에 보조돌기를 설치하고 이것을 보조돌기 결합용의 홈부에 결합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주돌기와 그 결합용 제1의 오목부 및 제2의 오목부만이 족한 것이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블록의 표면에 소정의 화장판을 붙여서 본 블록에 의한 옹벽이 주위의 경관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7)

  1. 앞면벽과, 후방으로 경사진 뒷면 받침판과, 앞면벽 및 뒷면 받침판과를 연결하는 연결벽으로 되어 있어 상기 앞면벽은 단독으로 또는 옆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벽의 하면 또는 상면에는 돌기가 설치되어, 또 이에 대응하는 연결벽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하단의 블록에 대하여 상단의 불록을 안쪽방향으로 걸쳐 쌓아올릴 적에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제1의 오목부와, 상단 및 하단의 블록을 그 앞면벽을 동일면으로 하여 쌓아올릴적에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제2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전용 블록.
  2. 전기 앞면벽은 전방에 돌출한 블록형 또는 원호상을 이룬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기재의 환경보전용 블록.
  3. 전기 앞면벽은 그 양측단이 연결벽의 전단으로부터 좌우방향의 직선상으로 뻗쳐져 형성되고, 한편 뒷면 받침판은 상기 전면벽의 양측단 간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의 폭을 갖는 것과 동시에 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환경보전용 블록.
  4. 전기 연결벽은 서로 대치하는 좌우의 옆벽으로 되어, 그 앞단에 전면벽이, 후단에 뒷면 받침판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환경보전용 블록.
  5. 전기 연결벽은 뒷면 받침판 내면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돌설된 단일의 벽체로 되어, 그 앞단에 앞면벽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환경보전용 블록.
  6. 전기 제1의 오목부는 블록의 안쪽방향에 관하여 쌓아올림 구배율에 따라서 다른 위치에 복수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환경보전용 블록.
  7. 전기 제1 및 제2의 오목부는 결합하는 돌기가 블록의 넓이 방향에 위치되게 스침 가능한 홈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환경보전용 블록.
KR1019870000622A 1987-01-27 1987-01-27 환경보전용 블록(block) KR910002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0622A KR910002889B1 (ko) 1987-01-27 1987-01-27 환경보전용 블록(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0622A KR910002889B1 (ko) 1987-01-27 1987-01-27 환경보전용 블록(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173A KR880009173A (ko) 1988-09-14
KR910002889B1 true KR910002889B1 (ko) 1991-05-09

Family

ID=1925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622A KR910002889B1 (ko) 1987-01-27 1987-01-27 환경보전용 블록(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8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173A (ko) 198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131232A (ja) 壁部材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910002889B1 (ko) 환경보전용 블록(block)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JP2010112156A (ja) 緑化用擁壁ブロック
JPH026123Y2 (ko)
KR100586469B1 (ko) 엇쌓기용 축조블록
EP0262283A1 (en) Block for environmental maintenance
JPH0554541B2 (ko)
JPS62148724A (ja) 環境保全用ブロツク
CN218570962U (zh) 一种组合式高原植被绿化构件
KR101331826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JPH09310326A (ja) 多自然型積みブロック
KR200352991Y1 (ko) 사면 보호용 식생 호안 블럭 구조물
KR200344106Y1 (ko) 옹벽용 블럭어셈블리
JPS6223878Y2 (ko)
KR200324831Y1 (ko) 식생옹벽
EP1022394B1 (en) Concrete blocks for building support walls and turfing slopes, embankments dykes and similar
KR102048567B1 (ko) 식생블록과 이를 이용한 식생블록 구조물 및 옹벽 시공방법
KR100612457B1 (ko) 식생옹벽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20070047137A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275387Y1 (ko) 식생옹벽 구조체
JPH0410285Y2 (ko)
JPS5828032Y2 (ja) カラズミケンチブロツ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