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633Y1 - 교환 연탄 분리구 - Google Patents

교환 연탄 분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633Y1
KR910002633Y1 KR2019880013022U KR880013022U KR910002633Y1 KR 910002633 Y1 KR910002633 Y1 KR 910002633Y1 KR 2019880013022 U KR2019880013022 U KR 2019880013022U KR 880013022 U KR880013022 U KR 880013022U KR 910002633 Y1 KR910002633 Y1 KR 910002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quettes
separator
briquette
exchange
briqu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223U (ko
Inventor
이희동
Original Assignee
이희동
이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동, 이준영 filed Critical 이희동
Priority to KR2019880013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633Y1/ko
Publication of KR900005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환 연탄 분리구
제1도는 보 고안의 분리구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구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리구 2, 2A : 구멍
3, 3A : 원추형 관체
본 고안은 화덕에서 연소된 연탄재를 새로운 연탄으로 바꿔줄 때 연소 연탄과 연탄재가 쉽게 분리되도록 내설된 교환 연탄분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연소중에 상하 연탄이 용융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금속으로 성형된 분리용기구를 상하 연탄사이로 끼워 넣어 연탄 교환시 상하연탄을 쉽게 불리할수 있게 되었으나 이러한 금속의 연탄 분리용기구는 연탄 연소시 발열되어 있으므로 연탄의 교환할때 마다 위치를 바꿔 설치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연탄과 연탄 사이에 화학약품을 고르게 살포하게 되는 것은 연소중 연탄위에 살포시킬때 약품의 냄새를 호흡기로 마시게 되어 인체에 해로움을 주는 요인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펄프 또는 기렴하면서 인체에 해롭지 않은 물질로 성형된 분리구를 교환될 연탄에 미리 끼원 연탄 화덕내로 공급시킬수 있도록 개량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해 그구조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형에 의해 폐펄프를 연탄의 둘레면 크기로 분리구(1)를 성형하며 구멍(2)은 연탄구멍수와 동일하게 형성하되 분리구(1)의 상부중앙은 원추형관체(3)를 수직으로 세워주고 원추형관체(3)의 둘레면 구멍중 1개의 구멍(2A)에 소원추형관체(3A)가 연탄하부 구멍으로 끼워지면서 분리구(1)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게된 것이다.
이와같은 연탄분리구(1)를 교환하려는 연탄 저면구멍 중심에 분리구(1)의 원추형관체(3)가 위치하도록 포개어 놓으면 소원추형관체(3A)는 연탄의 일치된 구멍으로 분리구(1)의 구멍(2A)을 맞추어 주기 때문에 연탄을 교환할 때 연소중인 연탄구멍을 불편없이 맞추어 주게되고 또 펄프로된 분리구(1)는 교환된 연탄보다 먼저 연소되며 연탄사이에 재로 변하게 되므로 연탄을 교환할때는 종래의 상하 연탄이 연소되며 고열로 인해 용융되어 연탄을 교환하려고 연탄재를 화덕에서 꺼낼 때 함께 연소탄과 재가결합되어 나오므로 힘들게 연소탄과 재를분리하던 번거로움을 본 고안의 펄프재가 차단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탄을 사용하는 서민생활에 연탄 교환 시간을 단축하고 또 연탄을 교환하면서 인체에 해로운 연탄 가스가 실내로 오염되는 것을 최소량으로 감소시킬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폐펄프로된 분리구는 1회 사용할수 있는 것으로 수요자에 부담을 느끼지 않아도될 저렴한 가격으로 다량 생산이 가능한것도 있고 특수 분말가루를 가공하여 고형화된 분리구를 다수 준비하여 번갈아 사용도 할수 있게 창안된 것이다.

Claims (1)

  1. 폐펄프를 이용한 분리구(1)를 연탄 크기와 구멍에 일치되게 성형하되 분리구(1)의 중심에는 원추형관체(3)와 일측구멍(2A)에 소원추형관체(3A)가 연탄 저부 구멍을 끼워서 일체로 결합 사용하게됨을 특징으로한 교환 연탄 분리구.
KR2019880013022U 1988-08-08 1988-08-08 교환 연탄 분리구 KR910002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022U KR910002633Y1 (ko) 1988-08-08 1988-08-08 교환 연탄 분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022U KR910002633Y1 (ko) 1988-08-08 1988-08-08 교환 연탄 분리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223U KR900005223U (ko) 1990-03-08
KR910002633Y1 true KR910002633Y1 (ko) 1991-04-22

Family

ID=1927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022U KR910002633Y1 (ko) 1988-08-08 1988-08-08 교환 연탄 분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6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223U (ko) 199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633Y1 (ko) 교환 연탄 분리구
US2770854A (en) Incense briquette
JPS5575105A (en) Liquid fuel combustion device
JPS56117009A (en) Combustion wick
KR800001226Y1 (ko) 구멍탄 연소통
JPS6217459Y2 (ko)
JPS6332118Y2 (ko)
CN209655255U (zh) 一种陶瓷烛台
CN210512146U (zh) 一种具有充分燃烧燃料功能的燃烧锅炉
SU1390240A1 (ru) Свеча Игнатьева
AT41319B (de) Spiritusgaskocher.
CN109757785A (zh) 一种模块式的电子水烟结构
KR850001376Y1 (ko) 구멍탄 융착방지용 꼭지
JPS57142415A (en) Combustion air supply method for spent liquor combustion boiler
CA1212006A (en) Combustion means for solid fuel of low ash content
KR200185847Y1 (ko) 재떨이
KR950010552Y1 (ko) 기름 분리기
RU97116642A (ru) Испаритель для металлов и сплавов
JPS5390028A (en) Oil gasifying rotary burner
JPS59164803A (ja) 燃焼装置
JPS54117170A (en) Refuse burning melting device
KR890004189Y1 (ko) 경사식 연탄 연소기의 연탄교체장치
US612631A (en) Fire-kindler
JPH0213470Y2 (ko)
KR830006620A (ko) 껍질(husk) 연소 화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