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630B1 -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630B1
KR910002630B1 KR1019880008738A KR880008738A KR910002630B1 KR 910002630 B1 KR910002630 B1 KR 910002630B1 KR 1019880008738 A KR1019880008738 A KR 1019880008738A KR 880008738 A KR880008738 A KR 880008738A KR 910002630 B1 KR910002630 B1 KR 910002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ignal
units
networ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615A (ko
Inventor
최양희
이영희
백영식
천대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 통신공사
이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 통신공사, 이해욱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88000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630B1/ko
Priority to JP1073671A priority patent/JPH077993B2/ja
Publication of KR90000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o.7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제1도는 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에서 권고하는 No.7 공통선 신호방식 프로토콜의 계층적 구성도.
제2도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개발한 신호 중계기의 구성도.
제3도는 미국과 일본에서 개발한 신호중계기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중계기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레벨 3-3 연결망 410a∼410m : 레벨 3 유니트
420a∼420m : 레벨 2-2 연결망 430a∼430k : 분산메모리
440a∼440k : 레벨 2유니트 450 : 신호망관리 유니트
460 : 제어 연결망.
본 발명은 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CCITT)에서 권고하는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메시지 전달부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중계기 시스템의 성능 및 수용 가능한 용량을 최대화시키는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교환기의 국간 신호방식에는 각각의 중계선 통화로를 통하여 신호가 교환되는 개별선신호방식(Channel Associated Signaling)인 R2MFC(R2 Mult-Frequency Compelled)와 신호 정보를 개개의 중계선 통화로가 아닌 공통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No.7 공통선 신호방식이 있다. 상기 No.7공통선 신호방식은 기존의 R2 신호방식보다 PDD(Post Dialing Delay)의 감소와 풍부한 신호용량의 제공 및 통신망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호방식으로 장래의 종합정보 통신망 수용을 위해서는 필수 불가결하다.
또한 상기 No.7공통선 신호방식은 컴퓨터 통신 프로토콜 형태의 신호메시지를 사용하여 단일 채널에 의해 수천개의 통신회선에 관한 메시지를 별도의 공통신호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기술로 64Kbps(bit per second)의 디지틀 통신망에 최적으로 설계되었고 그 이하의 저속운용 및 아날로그 통신망에서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No.7 공통선 신호방식 프로토콜의 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에서 권고하는 계층적 구성도는 제 1도에 도시되었다. 상기 제 1도는 No.7 공통선 신호방식의 계층적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는 두 전자 교환국간의 사용자부 기능사이에 신호메시지를 신뢰성있게 전송하는 일종의 전송 프로토콜로 레벨 1,2,3의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상기 레벨 1 기능을 신호 데이터 링크기능이라하고 .레벨 2 기능을 신호링크기능이라 하며 레벨 3 기능을 신호망기능이라 하여 신호메시지 처리기능과 신호망 관리기능으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신호중계기는 메시지 전달부 기능을 수행하며 신호중계기로 입출력되는 신호메시지는 고속의 신호링크를 통한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중계기를 실제 공통선 망에 도입하게 될 경우 수백의 신호링크를 수용해야하며 따라서 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에서는 평상부하(0.2얼랑)시에 신호메시지 전달 지연시간이 20ms이하를 권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용량과 고성능을 제공하는 신호중계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와 레벨 3기능을 수행하는 유니트의 성능이 이를 만족해야 하지만 하나의 프로세서가 이러한 성능을 만족시키기 어렵고 수백의 신호링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적으로 다중프로세서에 의해 성능을 분산시켜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먼저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기능과 레벨 3기능을 서로 다른 유니트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두 유니트 사이에는 신호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만 있으면 되고 한 단계 더 나아가 레벨 2 유니트는 독립적인 신호링크를 하나 또는 여러 개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레벨 3 유니트가 수백의 레벨 2 유니트를 제어하기는 어려우므로 레벨 3 기능을 수평적으로 여러 유니트에 분산시켜야 한다.
상기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 기능은 크게 신호 메시지 처리기능과 신호망 관리기능으로 분류되고 평상시에는 신호메시지 처리부분만 주로 동작하며 신호망 관리부분은 신호링크나 베레 2 유니트에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동작한다.
상기 신호망 관리부분은 전체 신호링크나 레벨 2 유니트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모듈이 집중관리 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메시지 전달부의 신호메시지 처리부분과 신호망 관리부분은 분리되어 구현되는 것이 용이하며 이때 신호메시지 처리부분은 수백의 레벨 2 유니트를 분산처리하기 위해 여러 모듈에 분산되어야 하지만 여기서 분산은 신호메시지 처리기능의 분산이 아니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레벨 3유니트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 기능중 신호 메시지 처리기능이 레벨 3 유니트에 분산되기 위해서 각각의 레벨 3 유니트는 똑같은 레벨 3 경로선택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상기 경로 선택 테이블은 출력신호 링크를 검사할 때 사용된다.
즉 신호링크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는 레벨 2 유니트에 의해 처리된 후 레벨 3 유니트에 의해 어느 경로로 출력될 것인가를 검사받게 되며 이때 레벨 3 유니트는 경로선택 테이블을 보고 출력신호 링크를 선택한다.
그리고 각각의 레벨 3유니트는 같은 경로선택 테이블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입력된 신호메시지가 어느 레벨 3 유니트가 되든지 같은 출력 신호링크가 선택되게 되며 상기 각 신호링크에 흐르는 신호메시지는 순서가 지켜져야 하기 때문에 같은 레벨 3 유니트로 보내진다.
즉 여러 장의 레벨 3 유니트는 평상시 각각 할당된 신호링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메시지를 분담하여 처리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 전달부 기능은 여러 유니트에 분산 가능함을 알 수 있으나 아직 공간적으로 분산된 각 유니트를 어떻게 연결해야 할 것인지를 해결해야 되면 상기 각 유니트를 연결하는 구조는 신호중계기의 용량이나 성능에 영향을 준다.
제2도는 이탈리아(GTE)와 프랑스(ALCATEL)에서 사용되는 경우로써 하나의 공통된 연결망에 레벨 2 유니트와 레벨 3 유니트가 모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여기서 신호링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메시지는 레벨 2-3 연결망을 통하여 레벨 3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레벨 3 유니트에 의해 선택된 출력 신호 링크로 송신되기 위해 다시 상기 레벨 2-3 연결망을 통과한다. 따라서 하나의 신호링크로 입력된 신호메시지는 두번에 걸쳐 상기 레벨 2-3 연결망을 통과하는 단점이 있다.
제 3도는 미국(AT&T)와 일본(CNTT)에서 사용되는 신호중계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레벨 2 유니트는 레벨 3 유니트로 독립적인 연결망을 통하여 전송되면 신호링크로 입력된 신호메시지는 레벨 3-3 연결망을 통하여 송신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레벨 3 유니트가 원래의 기능인 신호메시지 처리기능과 내부메시지 송수신기능을 처리해야 되는데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속의 레벨 3 프로세서를 사용함에 의해서만 해결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이 구조에서는 상기 제 2도의 구조와는 달리 신호링크로 입력된 신호메시지가 한번만 레벨 3-3 연결망을 통과하기 때문에 같은 성능을 갖는 연결망을 사용한 경우 수용가능한 신호 링크수가 증가하고 같은 수의 신호링크를 수용한 경우 신호중계기의 성능향상이 어렵고 일본의 경우는 여러 개의 신호링크를 하나의 레벨 2 유니트가 접속하여 제어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이 구조도 또한 신호중계기의 성능향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과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인바, 레벨 3-3 연결망을 이용하여 레벨 3 유니트와 레벨 2 유니트를 독립적인 연결망으로 사용함으로써 전체 신호중계기가 수용 가능한 용량을 증가시키고 신호메시지전달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신호중계기 시스템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신호중계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레벨 3-3 연결망(400)을 사용하여 레벨 3 유니트(410a∼410m)와 레벨 2 유니트(440a∼440k)를 독립적인 연결망을 사용하였으며 레벨 2-3연결망(420a∼420m)을 유니트 외부의 병렬버스를 사용하여 상기 레벨 3 유니트(410a∼410m)가 레벨 2 유니트(440a∼440k)들의 분산메모리(430a∼430m)에 저장된 입력 신호메시지들을 접속한다.
또한 상기 레벨 3 유니트(410a∼410m)들은 제어 연결망(460)을 통하여 신호망관리 유니트(450)에 접속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입력된 신호메시지는 일실시예로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상기 레벨 2 유니트(440a)로 입력된 신호메시지는 분산메모리(430a)저장되고 상기 분산메모리(430a)에 저장된 신호메시지는 외부의 병렬버스를 통하여 메모리 이동없이 바로 상기 레벨 3 유니트(410a)에 의해 경로가 선택된다.
이때 상기 출력경로는 크게 두 가지로 분리되는데 그중 하나는 같은 레벨 3유니트(410a)에 연결된 레벨 2 유니트(440a)로 레벨 2-2 연결망(420a)을 통하여 보내지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레벨 3 유니트(410g)로 경로가 선택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레벨 3유니트(410g)로 경로가 선택되는 경우는 상기 제 3도에 도시한 경로가 되지만, 상기 레벨 3 유니트(410a)로 경로가 선택되는 경우는 상기 레벨 3 유니트(410a)에 의해 바로 분산메모리(430a)에서 다음 분산메모리(430b)로 메모리 복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신호메시지 전달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같은 레벨 3 유니트(430a)내에서 신호메시지 트래픽이 분산되기 때문에 상기 레벨 3-3 연결망(400)의 트래픽이 감소되며 이는 제어 연결망 (460) 통한 신호망관리 유니트(450)에 부착가능한 신호링크수의 증가는 물론 상기 레벨 3-3 연결망(400)을 통과하는 신호메시지의 전달 지연시간도 감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벨 3-3 연결망을 사용하여 레벨 3유니트와 레벨 2 유니트를 독립적으로 연결망으로 구성하고 분산 메모리를 이용함으로써 전체 신호중계기가 수용가능한 용량을 증가시키고 신호메시지 전달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No.7 공통선 신호망 처리를 하는 신호중계기에 있어서, 레벨 3 유니트(410a∼410m)들이 레벨 3-3 연결망(400)과 동시에 독립된 제어연결망(460)을 통한 신호망관리 유니트(450)에 접속되고, 이는 외부의 레벨 2-3 연결망(420a∼420m)을 통하여 레벨 2 유니트(440a∼440k)들을 분산메모리(430a∼430k)들을 거쳐 분산제어하는 복수계층의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레벨 3유니트(410a∼410m)들이 외부의 병렬버스를 통하여 레벨 2 유니트(440a~440k)들을 접속하고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 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레벨 3 유니트(410a∼410m)들이 레벨 2 유니트(410a∼410k)들에 분산메모리(430a∼430k)들을 통하여 접속하고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7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외부 병렬버스는 병렬버스 중재기의 유무에 관계없이 레벨 3 유니트(410a∼410k)들이 레벨 2 유니트(440a~440k)들을 접속하고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분산메모리(430a∼430k)에 저장된 신호메시지는 외부의 병렬버스에 의해 메모리 이동 없이 바로 레벨 3 유니트(410a∼410m)에 의해 경로가 선택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KR1019880008738A 1988-07-14 1988-07-14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KR910002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738A KR910002630B1 (ko) 1988-07-14 1988-07-14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JP1073671A JPH077993B2 (ja) 1988-07-14 1989-03-24 信号中継局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738A KR910002630B1 (ko) 1988-07-14 1988-07-14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615A KR900002615A (ko) 1990-02-28
KR910002630B1 true KR910002630B1 (ko) 1991-04-27

Family

ID=1927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738A KR910002630B1 (ko) 1988-07-14 1988-07-14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7993B2 (ko)
KR (1) KR9100026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615A (ko) 1990-02-28
JPH02112366A (ja) 1990-04-25
JPH077993B2 (ja) 199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9049A (en)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US4340776A (en)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EP0366935B1 (en) High-speed switching system with flexible protocol capability
EP0245996B1 (en) Method of and switch for switching information
KR920010220B1 (ko) 시분할 스위칭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의 입출력 포트간의 연결 제어 방법
US4280217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US4975695A (en) High speed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JPH0476280B2 (ko)
US4296492A (en) Continuity verification arrangement
EP0114822B1 (en) Communication arrangements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s
US4598404A (en) Data format arrangem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ipheral processors of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network
EP0116558B1 (en)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US43407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5455827A (en) Multi-processing and direct routing of signalling protocols in voice communication channels
US4633460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US3846587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a multiple branch network
US4494229A (en) Interconnecting apparatus for a distributed switching telephone system
US5226042A (en) Method for establishing wideband communications through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KR870000072B1 (ko) 디지틀 단국(端局)을 디지틀 교환국에 접속하는 장치
JP3712454B2 (ja) 分割されたプロセッサを持つ単一段電話通信スイッチ
US4331834A (en)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KR910002630B1 (ko)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US4472798A (en) Telecommunication path substitution arrangement
KR10026625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합 공통선 신호 장치
US4331835A (en) Interface unit for a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