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607B1 -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607B1
KR910002607B1 KR1019880003893A KR880003893A KR910002607B1 KR 910002607 B1 KR910002607 B1 KR 910002607B1 KR 1019880003893 A KR1019880003893 A KR 1019880003893A KR 880003893 A KR880003893 A KR 880003893A KR 910002607 B1 KR910002607 B1 KR 910002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text
braille
signal
cr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855A (ko
Inventor
박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607B1/ko
Publication of KR89001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구성도.
제2도 (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점자헤드의 구성예.
제3도는 시각장애자용 점자코드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점자코드("├")를 표시한 점자헤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조부 2 : 검파부
3 : 음성신호처리부 4 : 영상신호처리부
5 : 텔레텍스트 데이터처리부 6 : 텔레텍스트 신호처리부
7 : 브라운관 제어부 8 : TV/텔레텍스트 스위칭부
SP : 스피이커 CRT : 브라운관
RAM : 비디오메모리 CONV : 점자코드변환기
HD : 점자헤드구동기 H : 점자헤드
본 발명은 문자다중방송(Teletext : 이하 텔레텍스트라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정보를 시각장애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점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텔레텍스트 수신장치는 일반적으로 문자정보나 영상정보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이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와 같은 스크린에 표시하여 시각을 통하여 문자 또는 영상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었던바, 시각장애자들은 이러한 수신장치의 사용이 불가능 하였으므로 문명의 혜택을 누릴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텍스트 데이터를 시각장애자의 특수글자인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시킴으로써 시각장애자들도 텔레텍스트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도록한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텔레텍스트 수신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테나(ANT)에서 수신된 텔레텍스트 방송신호를 동조부(1)에서 동조시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로 검파하기 위한 검파부(2)와, 검파부(2)에서 검파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음성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성신호처리부(3)와 스피이커(ST)를 포함하고, 검파부(2)에서 검파된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신호처리부(4)를 포함하며, 포한 텔레텍스트 데이터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텔레텍스트 데이터 처리부(5), 텔레텍스트 신호처리부(6)와 비디오메모리(RAM)에 디지탈 텔레텍스트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브라운관 제어부(7)와, 영상신호와 텔레텍스트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TV/텔레텍스트 스위칭부(8) 및 이러한 신호들을 표시하기 위한 브라운관(CRT)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회로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시각장애자에게는 무용지물에 불과하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텔레텍스트 수신회로에 간단한 회로를 부가함으로써 시각장애자들이 브라운관에 표시되는 텔레텍스트 데이터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라운관(CRT)에 표시되는 텔레텍스트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점자로 표시하기 위해 브라운관 제어부(7)에 연결된 제1수단과, 브라운관 제어부(7)의 제어에 따라 문자코드를 점자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제2수단 및 제2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의 제1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3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수단은 시각장애자용 점자헤드(H)로 구성되고, 제2수단은 점자코드 변환기(CONV)로 구성되며, 제3수단은 점자헤드 구동기(HD)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된 텔레텍스트 방소신호는 동조부(1)에서 선국된다. 이렇게 선국된 텔레텍스트 방송신호는 검파부(2)에서 검파되는바, 검파부(2)에서 검파된 음성신호는 음성신호처리부(3)에서 처리되어 스피이커(SP)를 통해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검파부(2)에서 영상 검파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처리부(4)를 경유하여 TV/텔레텍스트 스위칭부(8)에 입력된다.
한편, 검파부(2)에서 영상검파된 복합 영상신호중 텔레텍스트 데이터신호는 텔레텍스트 데이터처리부(5)에서 텔레텍스트 데이터만이 추출되어 텔레텍스트 신호처리부(6)로 입력된다.
이때 텔레텍스트 신호처리부(6)는 텔레텍스트 데이터를 브라운관(CRT)에 재현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여 브라운관 제어부(7)로 입력시킨다.
브라운관 제어부(7)는 현재 수신되어 처리된 텔레텍스트 테이터를 비디오메모리(RAM)로 보내 저장하였다가 비디오메모리(RAM)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다시받아 아날로그신호(예컨대 R, G, B)로 변환시킨후 이를 TV/텔레텍스트 스위칭부(8)로 보내게 된다.
TV/텔레텍스트 스위칭부(8)는 영상신호처리부(4)로부터 입력된 일반 TV 방송의 신호와, 브라운관 제어부(7)로부터 입력된 텔레텍스트 데이터신호를 스위칭하여 TV 방송이나 텔레텍스트 방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브라운관(CRT)을 구동시키게 되는바, 이때 브라운관(CRT)에는 TV 방송이나 텔레텍스트 방송에 따른 신호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동작하는 경우에 시각장애자들은 방송중인 문자정보의 내용을 알수가 없게 되는 결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는 시각장애자들도 브라운관에 나타나는 문자와 동일한 내용을 알수있게 되는바, 이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텔레텍스트 테이터처리부(5)는 TV 신호중에 포함된 텔레텍스트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텔레텍스트 신호처리부(6)를 통해 브라운관 제어부(7)에 입력시키게 된다.
브라운관제어부(7)에 입력된 텔레텍스트 신호는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비디오메모리(RAM)에 기억되는바, 이때 브라운관 제어부(7)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TV/텔레텍스트 스위칭부(8)를 통해 브라운관(CRT)에 표시토록함과 동시에, 점자코드 변환기(CONV)에 입력시킨다.
문자코드가 점자코드변환기(CONV)에 입력됨에 따라 점자코드변환기(CONV)는 이러한 문자코드를 점자코드로 변환시켜 점자헤드구동기(HD)에 입력시킨다.
이때 점자헤드구동기(HD)는 점자코드변환 신호에 의해 그에 해당하는 점자헤드(H)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시각장애자는 점자헤드(H)를 손가락으로 만지면서 브라운관(CRT)에 표시되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인식할 수 있게된다.
제2도(a) 내지 (c)는 각각 한글자, 한줄 또는 한페이지(Page)분의 점자헤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도면에서 좌측에 있는것은 점자헤드를 표시한 것이고, 우측에 있는것은 기능키이를 표시한 것이다.
제3도는 6점식 시각장애자용 점자코드를 도시한 것이며, 제4도는 제3도에 표시한 점자코드중 "├"자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자의 점자코드로 변환된 문자정보가 점자헤드구동기(HD)의 구동에 의해 점자헤드가 요철(凹 凸)로서 작동되므로서 시각장애자들이 촉각으로서 문자를 인식할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문자코드를 점자코드로 변환하여 점자헤드를 구동시킴으로써 시각장애자들이 브라운관에 표시되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비디오메모리(RAM)에 있는 텔레텍스트 데이터를 브라운관(CRT)에 표시토록한 텔레텍스트 수신회로에 있어서, 브라운관(CRT)에 표시되는 텔레텍스트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점자로 표시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의 문자코드를 점자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제2수단 및 상기의 제2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1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3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 1수단은 시각장애자용 점자헤드(H)로 구성되고, 상기의 제 2 수단은 점자코드변환기(CONV)로 구성되며, 상기의 제3수단은 점자헤드구동기(H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
KR1019880003893A 1988-04-07 1988-04-07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 KR91000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3893A KR910002607B1 (ko) 1988-04-07 1988-04-07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3893A KR910002607B1 (ko) 1988-04-07 1988-04-07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855A KR890016855A (ko) 1989-11-30
KR910002607B1 true KR910002607B1 (ko) 1991-04-27

Family

ID=1927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893A KR910002607B1 (ko) 1988-04-07 1988-04-07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6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855A (ko) 1989-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24680A (en) Method of controlling image and voice of televison receiver
KR910002607B1 (ko) 시각장애자용 텔레텍스트 수신시스템
US4992865A (en) Teletext receiving device for the blind
JPH0376391A (ja) 視覚障害者用テレテキスト受信装置
KR100474491B1 (ko) 텔레텍스트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970004708A (ko) 앨범기능을 갖는 티브이
JPH07154716A (ja) 映像信号表示装置
KR20040029583A (ko) 디지털 방송용 텔레비젼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331838B1 (ko) 모니터 기능 겸용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티브이의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구현장치
JPH10145690A (ja) テレビ放送選局装置
EP0760583A3 (de) Fernsehgerät mit einer Empfangs- und Akquirierschaltung für Teletextsendungen
JPS58209277A (ja) 文字放送受信機
KR960015832B1 (ko) 메세지 전달 텔레비젼
JP2506683B2 (ja) 文字放送受信機
KR950013211A (ko) 주부화면 선택 방법 및 그 장치
CN1171693A (zh) 显示字幕广播信号接收灵敏度的装置和方法
KR970078599A (ko)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회로
KR950035343A (ko) 학습방식의 비디오영상출력제어방법
JPH066769A (ja) 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装置
KR970057230A (ko) 한글교육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19990030990U (ko) 문자 교육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20010001729A (ko) 완성형 문자 코드를 조합형 폰트 메모리를 이용하여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JPH01268379A (ja) 音声合成文字多重受信機
JPS6081990A (ja) 文字放送受信機の操作方法
KR970078589A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캡션자막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