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235B1 - 홀-효과 전류 크램프 - Google Patents

홀-효과 전류 크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235B1
KR910002235B1 KR1019860005096A KR860005096A KR910002235B1 KR 910002235 B1 KR910002235 B1 KR 910002235B1 KR 1019860005096 A KR1019860005096 A KR 1019860005096A KR 860005096 A KR860005096 A KR 860005096A KR 910002235 B1 KR910002235 B1 KR 91000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hall
potentiometer
terminal
operational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594A (ko
Inventor
아르누 다니엘
앙뚱 크리스티앙
장떼 끌로드
낫셍방 에리
Original Assignee
쇼뱅-아르누 소씨에떼 엉 코망디뜨 빠르 악시용
아르누 다니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뱅-아르누 소씨에떼 엉 코망디뜨 빠르 악시용, 아르누 다니엘 filed Critical 쇼뱅-아르누 소씨에떼 엉 코망디뜨 빠르 악시용
Publication of KR87000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2Tong testers acting as secondary windings of current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Hall/Mr Element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홀-효과 전류 크램프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류 크램프의 측면도.
제2도와 제3도는 각각 제1도의 크램프의 상부 단면도와 하부면도.
제4도는 크램프회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5도는 크램프회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류 크램프 2a, 3a : 크램프죠
2b, 3b : 손잡이 4 : 축
8 : 홀-효과셀 13 : 정전류 발생기
14 : 측정용 연산증폭기 15 : 연산증폭기
C1, C2, C3 : 콘덴서 R1-R10 : 저항
P1-P4 : 포덴셔 미터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페루우프를 형성하고, 또한 서로 벌어질 수 있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자계회로, 정-전류 발생기, 자계회로의 공극내에 설치되고 정전류 발생기에 접속된 2개의 입력단자와 2개의 출력단자를 가지는 홀-효과셀 및 반전 및 비반전의 두개의 입력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저항값이 동일한 제1 및 제2 저항을 경유하여 상기 홀-효과셀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측정용 연산증폭기를 구비하고 있는 홀-효과 전류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홀-효과 전류 크램프는 공지되어 있다. 홀-효과전류 크램프는 멀티미터(미리볼트미터), 오실로스코프 또는 폴로터(plotter)에 접속되어 직류나 교류의 크기를 측정하거나 전류의 크기를 영상화시킨다. 이러한 전류 크램프는, 예를 들어 벨(Bell)회사 제품의 "커렌트건(current gun)"모델 CG 100A, 또는 베크만(Beck Man)회사제품의 "AC/DC 전류 크램프" CT 233의 명칭하에 상품화되어 있다. 이들 공지의 크램프들은 전류 소비가 상당히 크고, 그 결과로 그들에게 전류 공급으로 사용되는 배터리(bettery)의 수명이 매우짧다. 예를 들면, 벨회사 제품의 CG100A 전류 크램프는 6V(1.5V형 AA 배터리 4개)로 공급되어서 약 40mA의 전류를 소비하거나 또는 소비전력이 240mW가 된다. 배터리의 수명시간은 알카리 전지의 경우에는 약 30시간이고, 수은전자의 경우에는 약 60시간이다(제조자의 제공 데이타). 또한 베크만 회사제품의 CT233 전류 크램프는 9V(9V형 6LF22 배터리 1개)로 공급되어서 약 15mA의 전류를 소비하거나 또는 소비전력이 약 135mW이다(제조자 공급 데이타). 따라서 9V형 6LF 22 베티러의 용량이 약 500mAH 인한 베크만 회사제품의 크램드의 배터리 수명시간은 약 30시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공지의 크램프보다 전류소비가 현저히 적어서 전원용으로 사용되는 배터리에 대하여 보다 융통성이 크도록 하는 전류 크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류 크램프는, 정-전류 발생기가, 반전 입력단자와 제1전위인 단자에 접속된 비반전 입력단자를 가지며 제1전원 단자보다 높고 제2공전 전위에 있도록 하는 내부직류 전압기준을 구비한 연산증폭기와, 베이스가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되고, 에미터는 한편으로는 제3항을 통하여 제1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에 직접 접속되며 코넥터는 홀-효과 셀의 두 입력중 하나의 입력에 접속하되 이 홀-효과 셀의 나머지 입력은 제2전위보다 높은 제3전위에 있는 제2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npn 트랜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측정용 연산증폭기가 전류전원으로, 제3전위보다 높은 제4전위에 있는 제3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이 측정용 연산증폭기의 비반전 입력과 출력은 각각 제4저항과 제1포텐션 미터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1포텐션 미터의 가동자는 제4저항과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제5저항을 경유하여 상기 측정용 연산증폭기의 반전입력에 접속되어 있고, 측정용 연산증폭기의 출력과 제2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는 전류 크램프의 출력을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잔류 크램프는, 주형으로 만든 프라스틱과 같이 절연재료의 두부분(2)(3)으로 만들어진 용기(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두분(2)(3)은 두개의 죠(Jaws)(2a)(3a)와 두개의 손잡이(2b)(3b)를 가지는 크램프를 형성하는 모양으로 축(4)에 의하여 상호 관절되도록 되어 있다.
크램프(1)는 크램프의 죠(2a)(3a)에서 각각 수용되고 크램프가 닫혀질때 실질적으로 페루프를 형성하는 두부분(5a)(5b)으로 구성되는 자계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크램프의 죠(2a)(3a)의 자계회로의 두부분(5a)(5b)은, 측정되는 전류가 흐르는 원형단면의 도체(6)나 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도체(7)가 상기 죠(2a)(3a)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홀-효과 셀(8)은 자계회로의 두부분(5a)(5b)사이의 공극에 설치된다. 크램프(1)의 손잡이(2b)는 뚜껑(11)를 연후에 들어갈 수 있는 두개의 전원 배터리(9)용의 용기로 사용된다. 손잡이(3b)는 크램프의 전기 및 전자부품이 장착되어지는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용의 용기로 사용된다. 이 인쇄회로기판은 코드(12)의 수단으로 측정장치나 디스플레이장치(멀티미터, 오실로스코프, 프로우터등)에 접촉될 수 있다.
직류만을 측정하도록 고안된, 본 발명의 전류 크램프용 전기회로의 제1실시예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크램프회로는 홀-효과 셀(8)에 정전류를 공급하는데 적합한 정전류발생기(13)와 차종증폭기로서 작동하는 측정용 연산증폭기(14)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정전류 발생기(13)는 그의 비반적 입력(+)이 온-오프스위치(제1도 및 제2도의 참조)의 제1가동접점을 통하여 전원단자(16)에 접속되어 있는 연산증폭기(15)가 구비되어 있다. 연산증폭기(15)는, 예를 들어, 전원단자(16)의 전원(V1)에 대하여 200mV의 고정된 정전위(V2)에 비반전 입력이 있도록 하는 내부직류전압기준(배터리(17)의 형태로 도서된)를 구비하는 LM10형 집적회로의 일부분으로 구싱된다. 증폭기(15)의 출력은 한편으로는 콘덴서(C1)를 통하여 반전입력(-)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npn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직접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한편으로는 증폭기(15)의 반전단자에 직접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저항(R1)과 전술한 가동접점(I1)을 통하여 전원단자(16)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의 고넥터는 홀-효과 셀(8)의 입력(B)에 접속되어 있고 홀-효과 셀(8)의 다른 입력(A)은 전술한 전위(V2)보다 높은 전위(V3)에 있는 전원단자(18)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위차(V1-V2)는 한개의 1.5V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다.
홀-효과셀(8)의 출력(D.C)은 동일 저항값을 갖는 저항(R2, R3)을 통하여 측정 증폭기(14)의 반전 및 비반전 입력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14)는 전술한 LM10형의 집적회로의 다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집적회로의 일부분은 중폭기(15)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은 포텐셔미터(P1) 및 저하(R4)을 통하여 단자(18)에 접속되어 있다. 포텐셔미터(P1)의 가동자는 저항(R4)과 동일크기의 저항값을 갖는 저항(R6)을 통하여 증폭기(14)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4, R6)에 각각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C2, C3)는 증폭기(14)의 출력에서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증폭기(1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증폭기(14)는 전위 V3보다 높은 전위 V4에 있는 다른 전원단자(17)에 온-오프스위치(I)의 제2가동접점(I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위차(V4-V3)는 1.5V 제2배터리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다. 증폭기(14)의 출력과 단자(18)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단자(21)는 공급코드(12)(제1도)에 의하여, 예를 들어, 멀티미터로 접속되는 전류 크램프의 출력을 형성하고 있다.
포텐셔미터(P2)는 저항(R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포텐셔미터(P2)의 가동자는 증폭기(14)의 입력(22)에 접속되어 있다. 포톈셔미터(B)는 증폭기(14)의 시프트(shift)전압을 조정하기 의하여 사용된다.(이 조정은 공장에서 행하여 진다)
전술한 회로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가동접점(I1, I2)이 닫혀지면, 증폭기(15)의 비반전 입력은 전원단자(16)에 대하여 200mV의 고정된 정전위에 있게 된다. 증폭기(15)는 에미터 플로워로 접속된 트랜지스터(Q1)를 조정한다.
따라서, 저항(R1)의 양단에서 전압은 200mV로 유지된다. 저항(R1)이 200
Figure kpo00001
인 경우에, 홀-효과셀(8)을 흐르는 전류는, 약 2μA인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전류(IB)와 포텐셔미터(P2)의 전 저항이 10K
Figure kpo00002
이라할때, 약 20μA 인포텐셔미터(P2)의 도입전류를 무시하면, 1mA정도의 일정크기로 유지된다.
저항(R6)이 포텐셔미터(P1)의 가동자에 접속되는 대신에 증폭기(14)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다면, 전류 크램프 출력에서, 전압 V(전압측정의 기준이 되는 전위(V3)에 대하여 측정됨)는 (1)식으로 된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VC와 VD는 홀-효과셀(8)의 출력단자(C, D)에서 전원(V3)에 대하여 측정된 전압이며, R2와 R2은 저항 R2와 R6의 저항값이다.
저항 R2, R3, R4 및 R6의 저항값은 한편으로는 증폭기(14)가 충분한 이득(R6/R2)을 가지며 따른 한편으로는 홀-효과셀(8)의 출력이 셀의 비선형 응답을 초래할지도 모르는 큰 전류가 전달되지 않도록 가능한한 크게 선정된다.
그러나, 측정된 직류 1암페어 전류마다 1mV의 전압을 얻기 위하여 조정할 수 있는 보충 증폭마진(margin)을 제공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보충증폭은 포텐셔미터(P1)와 저항(R5)에 의하여 형성되는 분할 브릿지의 수단에 의하여 얻어진다. 실제로는, 저항(R6)을 포텐셔미터(P1)의 가동자에 접속함으로써, (2)식으로 표시되는 전압 Vs가 증폭기(14)의 출력에서 얻어진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Vs는 전술한 식(1)에 의하여 주어지고, P1과 P5는 각각 포텐셔미터(P1)와 저항(R5)의 저항값이며, X는 0과 1사이의 계수이고, 적 XP1은 가동자와 저항(R5)에 접속된 단자사이에 포함된 모텐셔 미터(P1)의 저항값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식(1)과 (2)로부터, 다음(3)식이 유도된다.
Figure kpo00005
전압차(VC-VD)는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며, 포텐셔미터 P1은 전류 크램프의 출력에서 측정되는 직류전류 1암페아마다 직류 1mV의 전압(Vs)이 되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조정도 공장에서 행하여진다.
저항(R7)은 증폭기(14)의 출력과 전원단자(16) 사이에 설치된다. 저항(R7)은 가동접정(I1, I2)이 개발될 때, 전류 크램프의 출력이 배터리(9)가 방전되면, 기설정된 값을 가지는 전압(예를 들어 V3-V1=1V일때 100mV)을 나타내도록 선정되는 값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가동접점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 전류 크램프를 멀티미터에 접속시킴으로서 (예를 들어, 배터리를 교환할 필요여부를 지시하기 위하여)전원전압을 시험할 수 있게 한다.
DC 10A/500A 전류 크램프에 대한 제4도의 전기 및 전자부품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R1 : 저항 200
Figure kpo00006
R2 : 저항 59K
Figure kpo00007
R3 : 저항 59K
Figure kpo00008
R4 : 저항 1K
Figure kpo00009
R5 : 저항 4K
Figure kpo00010
R6 : 저항 1K
Figure kpo00011
R7 : 저항 136K
Figure kpo00012
P1 : 포텐셔미터 10터(Turn), 100K
Figure kpo00013
P2 : 포텐셔미터 10턴, 10K
Figure kpo00014
C1 : 콘덴셔 1nF C : 콘덴서 22pF
C3 : 콘덴서 22pH Q1 : npn Bc238C 트랜지스터
14와 15 : LM10선형증폭기,
8 : VHG 320(랭크(RANK)1)셀, 일본 빅터회사제.
상술한 부품들과 두개의 배터리중 하나는 단자(16, 18)사이에 접속되고 다른 다른 하나는 단자(18, 19)사이에 접속되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1.5V 배터리를 사용하면, 전류 크램프의 전류 소비는 1.5mA정도이거나 또는 전력소비가 4.5mW가 된다.
용량이 약 800mAh인 두개의 AAA형 알카리 전지를 사용하면 배터리의 수명시간은 약 530시간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류크램프는 앞에서 인용된 종래의 전류 크램프에 비하여 배터리의 수명시간이 상당히 증가되어 있으며, 동시에 보다 적은 칫수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류 크램프의 크기나 무게가 감소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용량이 1, 800mAh인 두개의 1.5V AA형 배터리가 두개의 AAA형 배터리 대신에 사용된다면, 배터리의 수명시간은 약 1, 200시간임을 나타내고 있다.
제5도는 직류전류뿐만 아니라 교류전류도 측정할 수 있는 전류 크램프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에서, 회로부품의 상당 부분이 제4도의 회로부품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 다시 상세히 기술하지 않겠다. 제5도의 회로는 홀-효과셀(8)의 출력단자(D)가, 한편으로는 저항(R8)을 통하여 포텐셔미터(P3)의 양단중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계회로(5a, 5b)(제1도)의 철심을 둘러싸는 코일(23)의 양단중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는 점이, 제4도의 회로와 다르다. 코일의 타단은 가동자가 저항(R2)을 통하여 증폭기(14)의 반전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포텐셔미터(P3)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23)과 포텐셔미터(P3)는 보상회로를 형성한다. 실제적으로, 코일(23)은 코일의 양단에서 측정되는 전류와 이 전류의 주파수의 함수인 크기를 가지는 전압을 유도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다(직류에서는 그의 영향이 세로임). 저항(R8)과 포텐셔미터(P3)에 의하여, 이 전압의 적절한 비율이 약 500Hz로 정확한 주파수 응답을 얻도록 VC-VD에 더해진다. 이 포텐셔미터(P3)의 조정은 공장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홀-효과셀(8)의 출력(C)은 저항(R9, R10)을 통하여 각각 전원단자(18) 및 트랜지스터(Q1)의 콜렉트 양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텐셔미터(P4)의 가동자에 접속되어 있다. 포텐셔미터(P4)와 저항(R9, R10)은 영점회로를 형성한다. 실제적으로 큰 직류를 측정한 후에는 자계회로내의 프레이트 잔류 자계때문에 새로운 측정을 하기전에 반드시 소거시켜야 하는 전압이 발생된다.
이것은, 전류 크램프 용기(1)(제1도 및 제2도)의 부분(3)의 상부면내에 설치된 슬롯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톱니형상의 로울러를 사용함으로서 조절될 수 있는 가동자를 가진 포텐셔이터(P4)의 수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C/DC 1A/500A 전류크램프에 대하여서는, 제4도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 있는 제5도에 드시된 회로부품들은 이미 설명된 것과 같은 값을 가지며, 그의 저항(R8, R9, R10)과 포텐서미터(P3, P4)는 다음과 같은 값을 가지고 있다.
R8 : 저항 68
Figure kpo00015
R9 : 저항 12K
Figure kpo00016
R10 : 저항 12K
Figure kpo00017
P3 : 포텐셔미터 1턴 470
Figure kpo00018
P4 : 포텐셔미터 1턴 1K
Figure kpo00019
제4도의 회로에 대해서와 같이, 제5도의 회로에 대한 전원전압은, 예를 들어, 두개의 1.5V 배터리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제5도는, 제5도의 회로(또는 제4도의 회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제5도에 도시된 전원회로는 25V의 직류전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직류전원은 예를 들어 한개나 또는 여러개의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고, 이 직류전원의 부(-)단자는 단자(l6)에 접속되어 있으며, 정(+)단자는 단자(19)에 접속되어 있다. 바이폴라 온-오프 스위치(I)는 "오프", "전원 전압의 제어" 및 "온"의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세개의 위치 A, B, C를 가지고 있다. 저항(R)은 단자(18)가 위치 B에 있게 될때 가동접점(11)의 수단으로 전원(25)의 정단자와 단자(18)사이에 접속된다.
제너다이오드(Z)는 단자(18)와 단자(16)사이에 접속된다.
저항(Rz)의 저항값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Iz = IP+1mA
RZIZ= VO-VZ
윗 식에서, IZ는 저항(Rz)에 흐르는 전류, IP는 제너다이오드의 분극전류, VO는 전원(25)에 의하여 공급되는 직류전압, VZ는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을 각각 가르킨다. 증폭기(14, 15)를 형성하고 있는 직접회로(LM10)가 적절히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압(VO) 즉 전위치(V4-V1)는 2V와 40V사이에 있어야 하고, 전위차(V3-V1) 즉 제너전압 V는 1V와 20V사이에 있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압원(25)이 한개나 또는 여러개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5도에 도시된 전원회로는 다만 2개의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 제4도의 전원회로보다 이로운 점이 적다.
실제로, 제5도의 전원회로는 두개의 부가적인 부품(저항 RZ와 제너다이오드)이 소요되고 또한 이 전원회로는 부가적인 전류소모(제너다이오드의 분극 전류 IP)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순히 예시적 목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결코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숙련된 자라면 여러가지의 수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어 제1도 및 제3도는 전류 크램프(1)내에 내장된 배터리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크램프의 작동에 필요한 전압은 이 크램프와 결합된 멀티미터내에 내장된 배터리와 같이, 외부전원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코드(12)는 전류 크램프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두개의 도선이외에도, 전위(V1, V3및 V4)를 공급하는 2개 또는 3개의 보조도선이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5)

  1. 실제적 페루우프를 형성하고 또한 서로 벌어질 수 있는 두부분(5a, 5b)으로 구성원 자계회로와, 정-전류 발생기(13)와 상기 자계회로의 공극내에 설치되며 상기 정-전류 발생기(13)에 접속되는 두개의 입력단자(A, B)와 두개의 출력단자(C, D)를 가지는 홀-효과셀(8) 및 같은 저항값을 가지는 제1 및 제2저항(R3, R2)를 경유하여 홀-효과셀(8)의 출력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반전 및 비반전의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측적용 연산증폭기(14)를 구비한 홀-효과전류 크램프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발생기(13)는 반전입력단자와 제1전위(V1)의 제1전원단자(16)에 접속된 비반전 입력단자를 가지며 이 비반전입력이 제1전위(V1)보다 높은 제2고정전위(V2)에 있도록 하는 내부 직류전압기준(17)를 구비한 연산증폭기(15)와, 베이스가 상기 연산증폭기(15)의 출력이 접속되고 에미터는 한편으로는 저항(R1)을 통하여 제1전원단자(16)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에 직접 접속되며 콜렉터는 홀-효과셀(8)의 두 입력중 하나의 입력(B)에 접속하되 상기 홀-효과셀(8)의 두 입력중 하나에 입력(B)에 접속하되 상기 홀-효과셀(8)의 나머지 다른 입력(A)은 제2위의(V2)보다 높은 제3전위(V3)에 있는 제2전원단차(18)에 접속된 npn트랜지스터(Q1)보다 구비되고, 상기 측정용 연산증폭기(14)는 직류 전원으로 제3전위(V3)보다 높은 제4전위(V4)에 있는 제3전원단자(14)에 접속되고 상기 측정용 연산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과 출력은 각각 제4저항(R4) 및 제1포텐셔미터(P1)를 경유하여 제2전원단자(18)에 접속되며, 제1포텐셔미터(P1)의 가동자는 제4저항(R4)과 동일 크기의 저항값을 갖는 제5저항(R5)을 정유하여 측정용 연산증폭기(14)의 반전입력에 접속되고, 측정용 연산증폭기(14)의 출력과 제2전원단자(18)에 접속된 단자(21)는 전류 크램프의 출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효과 전류 크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제2포텐셔미터(P2)는 제3저항(R3)과 병렬로 연결되고, 제2포텐셔미터(P2)의 가동자는 측정용 연산증폭기(14)의 시프트 전압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입력(22)에 접속됨을 특징으로하는 홀-효과 전류 크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크램프는 각각 제1전원단자(16)와 제3전원단자(19)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직렬로 접속된 2개의 가동접점(I1, I2)를 가지는 온오프스위치(1)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용 연산증폭기(14)의 출력은 온오프스위치(I)의 가동접점(I1)의 선단에서 제6저항(R7)을 통하여 제1전원단자(16)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6저항(R7)의 저항값을 온오프스위치(I)가 개방되고 상기 3개의 전원단자(l6, 18, 19)에 접속된 배터리(9)가 소모될때 전류크램프의 출력전압이 기설정된 값을 가지게 선택되도록 구성됨을 특정으로 하는 홀-효과 전류 크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측정용 연산증폭기(14)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된 홀-효과셀(8)의 출력단자(D)가 한편으로는 제7저항(R8)을 통하여 제3포텐셔미터(P3)의 양단중의 일단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회로(5a, 5b)를 둘러싸는 코일(23)의 양단중의 일단에 접속되며, 상기 코일의 나머지 일단은 제3포텐셔미터(P3)의 나머지 일단에 접속하고, 제3포텐셔미터(P3)의 가동자는 제1저항(R2)을 통해서 측정용 증폭기(14)의 반전입력에 집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효과 전류 크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측정용 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에 접속되어 있는 홀-효과셀(8)의 출력(C)이 또한 제4포텐셔미터(P4)의 가동자에 접속되고 상기 포텐셔미터(P4)의 양단은 각각 제8 및 제9저항(R9, R10)에 통하여 제2전원단자(18) 및 npn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접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효과 전류 크램프.
KR1019860005096A 1985-06-28 1986-06-25 홀-효과 전류 크램프 KR910002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509866A FR2584195B1 (fr) 1985-06-28 1985-06-28 Pince amperemetrique a effet hall
FR85-09866 1985-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594A KR870000594A (ko) 1987-02-19
KR910002235B1 true KR910002235B1 (ko) 1991-04-08

Family

ID=932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096A KR910002235B1 (ko) 1985-06-28 1986-06-25 홀-효과 전류 크램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04575A (ko)
EP (1) EP0208590B1 (ko)
JP (1) JPS6242066A (ko)
KR (1) KR910002235B1 (ko)
AT (1) ATE48703T1 (ko)
DE (1) DE3667545D1 (ko)
FR (1) FR2584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23664B (it) * 1988-07-05 1990-09-29 Spallinificio Torinese Srl Apparecchiatura per la cucitura automatica di spalline di imbottitura per abiti
WO1990000741A1 (en) * 1988-07-05 1990-01-25 Omega Electric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current measuring devices
US4893073A (en) * 1989-01-30 1990-01-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circuit board current sensor
US5103163A (en) * 1990-10-17 1992-04-0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urrent transducer
JP2003158187A (ja) * 2001-11-21 2003-05-30 Seiko Instruments Inc バッテリー電圧検出回路
US7163336B2 (en) * 2003-08-04 2007-01-16 Extech Instruments Corporation Instrument for non-contact infrared temperature measurement having current clamp meter functions
DE10342719A1 (de) * 2003-09-16 2005-04-21 Bosch Gmbh Robert Elektronischer Schaltkreis zum Bereitstellen einer Versorgungsspannung für einen elektronischen Verbraucher
US20070005195A1 (en) * 2005-01-10 2007-01-04 Nicholas Pasquale Distributed energy storage for reducing power demand
CA2608167C (en) * 2005-05-12 2012-05-01 Corporation Nuvolt Inc. Current sensor
US7847536B2 (en) 2006-08-31 2010-12-07 Itron, Inc. Hall sensor with temperature drift control
CN1959419B (zh) 2006-12-01 2010-05-19 臧玉伦 电流测量仪器
US7746055B2 (en) * 2008-10-10 2010-06-29 Consolidated Edison Company Of New York, Inc. Current measuring device
US8203328B2 (en) * 2009-03-12 2012-06-19 Consolidated Edison Company Of New York, Inc. Current measuring device
US8193803B2 (en) * 2009-03-23 2012-06-05 Consolidated Edison Company Of New York, Inc. Current measuring device
US9671427B2 (en) 2013-04-24 2017-06-06 Keysight Technologies, Inc. Dual output high voltage active probe with output clamping and associated methods
US9423422B2 (en) * 2013-04-24 2016-08-23 Keysight Technologies, Inc. Oscilloscope probe having output clamping circuit
EP3570437B1 (de) 2018-05-15 2023-12-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einer versorgungsspannung mit steuerbarem massepotentialniveau
WO2021173635A1 (en) * 2020-02-24 2021-09-02 Analog Devices, Inc. Output voltage glitch reduction in test systems
US11614470B2 (en) 2020-11-05 2023-03-28 U-Haul International, Inc. Non-invasive current sen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5041A (en) * 1966-08-08 1970-08-18 Tektronix Inc Magnetic field measuring method and device effective over a wide frequency range
US4138641A (en) * 1977-04-18 1979-02-06 Sun Electric Corporation Instrument amplifier and load driver having offset elimination and common mode rejection
DE2843026A1 (de) * 1978-10-03 1980-04-24 Bosch Gmbh Robert Strommessgeraet mit einer stromz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8703T1 (de) 1989-12-15
EP0208590A1 (fr) 1987-01-14
DE3667545D1 (de) 1990-01-18
KR870000594A (ko) 1987-02-19
JPS6242066A (ja) 1987-02-24
FR2584195B1 (fr) 1987-12-18
US4704575A (en) 1987-11-03
EP0208590B1 (fr) 1989-12-13
FR2584195A1 (fr) 198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235B1 (ko) 홀-효과 전류 크램프
US40597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urrent flowing in a workpiece
ES8204856A1 (es) Dispositivo de shunt de medidda con comprension de tension de error inducida, aplicable en particular a los contadores de energia electrica.
US7242157B1 (en) Switched-voltage control of the magnetization of current transforms and other magnetic bodies
US4042881A (en) Voltage measuring device having an amplifier in the probe
KR200328222Y1 (ko) 학습용 전기회로 실험기
US20060119342A1 (en) Device for measuring electric current intensity
US4771233A (en) Printed curcuit board lead ammeter
US2834941A (en) Clamp-on electrical measuring instrument
CN212083544U (zh) 一种电学实验用电阻测量装置
CN210803697U (zh) 交流模拟电阻发生器
GB2008860A (en) A control device for battery charging AC generator
US858335A (en)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ical resistances.
US1709973A (en) Ammeter
CN212083543U (zh) 一种基于电位差计的比较法测电阻实验装置
US764814A (e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
US401617A (en) Electrical measurement apparatus
SU1224741A1 (ru) Двухзажимный магазин сопротивлени
Creason et al. A low cost versatile electrochemical instrument
US913939A (en) Electrical measuring instrument.
Andrew Inexpensive Solid-State Unification Of The Heathkit Polarograph
JPH0723751Y2 (ja) 電流センサ
SU28606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роводимости
SU769452A1 (ru) Многопредельный имитатор электросопротивлени
Brooks Deflection potentiometers for current and voltage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