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228Y1 - 봉상필심용기 - Google Patents

봉상필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228Y1
KR910002228Y1 KR2019880005848U KR880005848U KR910002228Y1 KR 910002228 Y1 KR910002228 Y1 KR 910002228Y1 KR 2019880005848 U KR2019880005848 U KR 2019880005848U KR 880005848 U KR880005848 U KR 880005848U KR 910002228 Y1 KR910002228 Y1 KR 910002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huck
shaped
contain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1638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타다요시 에비누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880021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16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6Holders for crayons or chal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봉상필심용기
제1도는 본 고안 봉상필심용기의 제1실시예에 요부단면도.
제2도는 제2실시예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제3실시예의 요부단면도.
제4도(a), (b)는 각각 제4실시예의 요부단면도 및 부분 단면도.
제5도는 제5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선단측용기부 1b : 기단측용기부
2 : 관통구멍 4 : 척링
5 : 척 6 : 척조임스프링
7 : 필심압출봉 8 : 송출기구
9 : 필심삽입관통구멍 10 : 앞끝출입구
11 : 봉상필심 28 :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
29 : 돌기 30 : L자형홈
32 : 머리부 33 : 걸림부
34 : 척링슬리이브 35 : 받침부
36 : 쿠션스프링 38 : 내통
39 : 걸림구멍
본 고안은 눈썹화장필심이라던가 색연필, 크레용 또는 파스텔 등과 같이 봉형상(俸形狀)을 한 필심을 끼워쓰도록 된 봉상필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할때 이러한 봉상필심을 녹크식으로 앞쪽의 필심출입구로 밀어내어 사용하다가 사용후에는 용기선단 내부에 수납시켜 놓을수 있도록 된 구조의 봉상필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봉상필심용기로서는 종래에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86-366호로 제안한 것이 있는바, 그 내용을 도면에 참조로 설명하면, 선단측용기부(la)와 기단측용기부(1b)가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면서 이 기단측용기부(1b)의 축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2)에 이 기단측용기부(1b)로부터 돌출시켜진 녹크부(도시안됨)의 녹크조작에 따라 척링(4)이 척(5)에 대해 상대적으로 척조임스프링(6)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그 탄발력에 의해 움직여 척(5)을 개폐시켜, 이 척(5)에 의해 필심압출봉(7)이 일정 거리피치만큼씩 송출시켜지도록 된 송출기구(8)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선단측용기분(la)의 축중심에 형성시켜진 필심삽입관통구멍(9)에는 이 관통구멍(9)의 앞끝 출입구(10)로 부터 밀려 나왔다가 척(5)이 벌어졌을 때 당겨 들어가게 되어, 봉상필심(11)이 자유로이 출입할수 있도록 끼워 보유지지되도록 된 것이 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봉상필심용기에 있어서는 척(5)에 의해 일정거리만큼씩 송출되어지는 필심압출봉(7)이 직접 봉상필심(11)의 뒷끝을 밀어 앞끝출입구(10)로부터 봉상필심(11)이 밀려 나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눈썹화장필심이나 파스텔등과 같이 열에 약해 연화되기 쉬운 봉상필심(11)의 뒷끝이 필심압출봉(7)에 눌려져 변형되기 쉽다. 특히 여름철에 연화되어 변형이 일어나게 되면 봉상필심(11)을 밀어내는데 지장이 초래될 염려가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 봉상필심용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단측용기부(la)와 기단측용기부(1b)가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면서, 이 기단측용기부(1b)의 축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2)에 이 기단측용기부(1b)로 부터 돌출된 녹크부의 녹크조작으로 척링(4)이 척(5)에 대해 상대적으로 척조임스프링(6)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또는 척조임스프링(6)의 탄발력에 따라 움직여 척(5)이 개폐되어져 이 척(5)에 의해 일정피치만큼씩 송출되어지는 필심압출봉(7)의 선단부에 봉상필심보유지지부재(28)가 쉽게 착탈될수 있도록 연결시켜진 필심송출기구(8)가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선단측용기부(la)의 축중심에 형성된 필심삽입관통구멍(9)의 앞끝출입구(10)로 부터 밀려 나왔다가 척(5)이 벌어겼을 때 끌어들여지는 봉상필심(11)이 봉상필심보유지지부재(28)에 끼워 보유지지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 봉상필심용기는, 봉상필심(11)이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에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필심송출기구(8)의 필심압출봉(7)이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앞끝출입구(10)로 부터 밀려 나가가게 됨으로써, 봉상필심(11)에 열에 강해 연화되기 어려운 것은 물론 열에 약해 연화되기 쉬운 것이라 하더라도 아무지장없이 앞끝출입구(10)로부터 밀어낼 수가 있게 된다.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고안 봉상필심용기의 제1실시예의 요부 단면도로서, 참조부호 la는 선단측용 기부이고, 1b는 기단측용기부인바, 이들은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기단측용기부(1b)의 내면에 나사 결합된 내통(38)의 앞끝부위에 선단측용기부(la)의 뒷끝부위가 나사부(37)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바, 여기서 상기 내통(38)은 기단측용기부(1b)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기단측용기부(1b)의 축중심에는 관통구멍(2)이 형성되면서 이 관통구멍(2)에 송출기구(8)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는바, 이 송출기구(8)는, 기단측용기부(1b)의 뒷끝으로부터 돌출되어져 있는 녹크부(도시안됨)가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부착된 필심탱크(12)(제4도, 제5도참조)와, 이 필심탱크(12)에 연결된 척(5), 이 척(5)의 바깥에 끼워지면서 상기 기단측용기부(1b)의 내통(38) 뒷끝개구부에 형성된 링끼움구멍(14)에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 장착된 척링(4), 이 척링(4)의 뒷끝을 받혀 주는 척링슬리이브(34), 이 척링슬리이브(34)의 받침부(34a) (제4도, 제5도참조)와 필심탱크(12)사이에 끼워설치된 척조임용 스프링(6), 녹크부의 녹크조작에 따라 척링(4)이 척(5)에 대해 상대적으로 척조임용 스프링(6)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그 탄발력에 의해 움직임에 따라 척(5)이 개폐시켜지면 일정피치만큼 송출되도록 된 필심압출봉(7)및, 필심압출봉(7)의 앞끝부위에 쉽게 착탈될수 있도록 연결된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선단측용기부(la)의 축중심에는 필심이 삽입되는 관통구멍(9)이 형성되어, 이 관통구멍(9)에 봉상필심(11)을 보유지지해주는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붕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가 상기 필심압출봉(7)에 의해 밀려지면 봉상필심(11)이 상기 관통구멍(9)의 앞끝출입구(10)로부터 밀려 나갔다가, 척(5)이 벌려지면 선단측내부로 끌어들여 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봉상필심(11)으로는 눈썹화장용 필심이라던가 색연필필심, 크레용심 또는 파스텔심 같은 것들을 들수가 있다.
또 상기 필심압출봉(7)의 앞끝부위와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는 그 어느 것 중 한쪽 것에 형성된 돌기(29)와 다른쪽것에 형성된 L자형홈(30)이 상호 걸어맞춰짐으로써 쉽게 착탈될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바, 이 제1실시예의 경우에 필심압출봉(7)의 앞끝부위에 돌기(29)가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의 뒷끝부위에 L자형홈(30)이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어서, 이들(29, 30)이 걸어맞춰지도록 하려면 상기 돌기(29)에다 상기 L자형홈(30)을 축방향홈부에 밀어넣고 나서 회전시켜 원주방향홈부에 돌기(29)를 걸어맞춰 연결하고, 결합을 해제할 때에는 상기 결합 과정과 반대과정을 거쳐 뽑아내면 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40은 상기 내통(38)에 설치된 필심압출봉(7)을 가볍게 보유지지해 주는 보유지지부이다.
이상과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필심압출봉(7)을 녹크부(도시안됨)을 뽑아내고 척(5)이 벌려진 상태가 되도록해서 기단측용기부(1b)의 앞끝으로 부터 끼워넣은 다음, 봉상필심(11)을 보유지지하고 있는 봉상필심지지부(28)와 상기 필심압출봉(7)을 연결하고 기단측용기부(1b)에다 선단측용기부(1a)를 연결하고 나서 녹크부를 부착시킨다.
이어 상기 송출기구(8)의 녹크부를 스프링(6)탄발력에 대항해서 녹크하게 되면, 척링(4)이 척(5)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프링(6)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척조임스프링(6)의 탄발력에 의해 움직여 척(5)을 개폐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척(5)의 개폐동작에 따라 필심압출봉(7)이 일정 길이만큼씩 송출시켜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해서 송출시켜진 필심압출봉(7)의 돌기(29)에 기인 봉상필심(11)이 보유지지되어 있는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의 L자형홈(30)의 푹방향홈을 밀어넣고 나서 회전시켜 원주방향홈에 돌기(29)를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시킨다.
이어 선단측용기부(la)를 내통(38)의 앞끝부위에 형성된 나사부(37)에다 결합시키게 되는바, 여기서 봉상필심(11)의 보유지지는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와 필심압출봉(7)을 연결시킨 다음에 해주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봉상필심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송출기구(8)의 녹크부를 척조임스프링(6)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녹크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척(5)이 개폐되어져, 이렇게 개폐되어지는 척(5)에 의해 필심압출봉(7)및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가 일정 길이만큼씩 송출되게 되고, 그에 따라 송출된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에 보유지지되어져 있는 봉상필심(11)이 앞끝출입구(10)로 부터 밀려나가게 된다.
또 봉상필심(11)을 사용한 다음 이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녹크부를 척(5)이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서 봉상필심(11)의 앞끝을 누르게 되면, 봉상필심(11)이 보유지지된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 (28)를 매개로 필심압출봉(7)이 벌려진 상태로 되어 있는 척(5)을 거쳐 밀려져 되돌려질수 있게 됨으로써 봉상필심(11)이 끌려들어 가게 된다.
한편 봉상필심(11)을 다썼을 때에는, 선단측용기부(la)를 빼내고 나서 상기 결합순서와는 반대로 봉상필심보유지지부재(28)를 필심압출봉(7)으로 부터 뽑아내어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안에 남아 있는 봉상필심(11)부분을 빼내고 나서 새로운 봉상필심(11)을 보유지지시켜, 이렇게 새로운 봉상필심을 보유지지하게 된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를 압출붕(7)의 앞끝부위에다 걸어맞춰 연곁한 다음 선단측용기부(la)를 부착시키면 된다. 이때 이 선단측용기부(la)를 부착하기에 앞서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와 필심압출봉(7)을 적당히 잡아당겨 놓는다.
제2도는 본 고안 제2실시예의 요부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이 제2실시예에서는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와 필심압출봉(7)의 연결이 나사(31)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가 나사끼워짐으로 부착되거나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제3도에 제3실시예의 요부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인바, 이 제3실시예에서는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의 뒷끝부위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필심압출봉(7)의 앞끝부위에 걸림부(33)가 형성되어, 이 걸림부(33)에 상기 머리부(32)가 끼워넣어져 연결되도록 된 경우로서,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의 부착과 분리가 걸림부(33)에 머리부(32)가 밀어 넣어지거나 빠짐으로써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41은 쉽게 밀어넣거나 뽑아낼수 있도록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의 외주면에 형성시켜 놓은 손가락닿음부이다.
제4도(a), (b)는 각각 제4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및 일부단면도로서, 이 제4실시예에서는 봉상필심보유지지부재(28)의 뒷끝부위에 걸림부(33)가 형성되고 필심압출봉(7)이 앞끝부위에는 머리부(32)가 형성되어, 이 머리부(32)에 상기 걸림부(33)가 끼워넣어져 연결시켜지게 됨과 더불어, 척링(4)의 뒷끝을 받치는 척링슬리이브(34)의 뒷끝과 기단측용기부(1b)의 내면에 형성된 받침부(35)사이에 쿠션스프링(36)이 설치된 경우이다.
따라서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를 부착하거나 분리하려면, 머리부(32)에 대해 걸림부를 밀어넣거나 뽑아냄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쿠션스프링(3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봉상필심(11)의 앞끝에 걸리는 압력을 쿠션스프링(36)이 흡수하게 되어 봉상필심(11)이 부러지는 것을 피할수 있게 된다.
제5도는 제5실시예의 요부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이 제5실시예에서는 척링(4)의 뒷끝을 받쳐주는 척링슬리이브(34)와 기단측용기부(1b)내면에 나사결합되어 설치된 내통(38)의 걸림구멍(39)에 끼워진 받침부(35)사이에 쿠션스프링(36)이 설치되는 점 이외에는 제4도로 도시된 제4실시예와 전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작용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는 모두 봉상필심(11)이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에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송출기구(8)가 필심압출봉(7)을 미는 동작에 따라 앞끝출입구(10)로 부터 밀려 나가도록 되어 있어, 봉상필심(11)이 열에 강해 연화되지 않는 것은 물론 열에 약해서 연화되기 쉬운 것이라 하더라도 봉상필심(11)을 아무지장 없이 앞끝출입구(10)로 부터 밀어낼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봉상필심(11)을 직접 송출기구(8)의 필심압출봉(7)으로 밀어내지 않고, 필심압출봉(7)의 앞끝부위에 연결된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에 봉상필심(11)이 보유지지시켜진 상태에서 앞끝출입구(10)로 부터 밀려나가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열에 강해 쉽게 연화되지 않는 것은 물론 열에 약해 쉽게 연화되어지는 봉상필심(11)이라 하더라도 아무지장 없이 앞끝출입구(10)로 부터 밀어낼수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선단측용기부(1a)와 기단측용기부(1b)가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면서, 이 기단측용기부(1b)의 축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2)내에, 이 기단측용기부(1b)로부터 돌출되는 녹크부를 녹크조작함으로써 척링(4)이 척(5)에 대해 상대적으로 척조임스프링(6)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그 탄발력에 의해 움직여 척(5)을 개폐시켜 이 척(5)의 개폐에 따라 일정길이피치만큼씩 송출되어지는 필심압출봉(7)의 앞끝부위에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가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된 송출기구(8)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는 선단측용기부(la)의 축중심에 형성된 필심삽입관통구멍(9)의 앞끝출입구(10)로 부터 밀려 나갔다가 척(5)이 벌려지면 끌어들여지는 봉상필심(11)이 끼워져 보유지지되도록 봉상필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압출봉(7)의 앞끝부위와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가, 어느 한쪽 것에 형성된 돌기(29)와 다른쪽 것에 형성된 L자형홈(30)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필심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압출봉(7)의 앞끝부위와 봉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가, 나사결합으로 쉽게 착탈 될수 있도록 연결시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필심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압출봉(7)의 앞끌부위와 통상필심 보유지지부재(28)가, 머리부(32)와 걸림부(33)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쉽게 착탈될 수 있도륵 연결시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필심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링(4)의 뒷끝을 받쳐주는 척링슬리이브(34)와 기단측용기부(1b)의 내면에 형성된 받침부(35)사이에 쿠션스프링(3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필심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링(4)과 뒷끝을 받쳐주는 척링슬리이브(34)와 기단측용기부(1b)의 내면에 설치된 내통(38)의 걸림구멍(39)에 끼워진 받침부(35)사이에 쿠션스프링(3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필심용기.
KR2019880005848U 1987-05-21 1988-04-23 봉상필심용기 KR91000222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76879 1987-05-21
JP1987076879U JPS63184792U (ko) 1987-05-21 1987-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1638U KR880021638U (ko) 1988-12-24
KR910002228Y1 true KR910002228Y1 (ko) 1991-04-04

Family

ID=3092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848U KR910002228Y1 (ko) 1987-05-21 1988-04-23 봉상필심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84792U (ko)
KR (1) KR910002228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21B2 (ja) * 1975-04-04 1985-05-04 孝生 岩崎 固形化粧具に於ける自動引込み装置
JPS5832967B2 (ja) * 1981-12-12 1983-07-16 藤工業株式会社 固型化粧料繰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84792U (ko) 1988-11-28
KR880021638U (ko) 198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1152A (en) Writing instrument with cap
KR910002228Y1 (ko) 봉상필심용기
KR850002099Y1 (ko) 샤아프펜슬용 이중필심파이프식 카트리지
US6676319B2 (en) Glue stick
JPH051425Y2 (ko)
KR880004127Y1 (ko) 막대모양심을 끼워 사용하는 용기
US3833307A (en) Disposable ball point pen with eraser
KR910001046Y1 (ko) 샤아프펜슬
JP2541897Y2 (ja) ノツク式化粧料容器
US3627434A (en) Mechanical pencil for fine leads
CN114347696A (zh) 一种揿动笔
KR920004688Y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S6234791Y2 (ko)
CN217609918U (zh) 化妆笔及防窝口内杆
CN211106560U (zh) 一种自动粉笔套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CN216255934U (zh) 一种易旋转防断裂的眉笔
CN211684331U (zh) 一种可替换笔芯的丝滑笔
JPS627208Y2 (ko)
CN2186160Y (zh) 固体修正笔
JPH081696Y2 (ja) ケース入りレフィル交換式ペンシル化粧品
US2556473A (en) Lipstick container
JPS6237529Y2 (ko)
JPS6234790Y2 (ko)
JPH01311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