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212Y1 - 접기 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 - Google Patents

접기 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212Y1
KR910002212Y1 KR2019870003501U KR870003501U KR910002212Y1 KR 910002212 Y1 KR910002212 Y1 KR 910002212Y1 KR 2019870003501 U KR2019870003501 U KR 2019870003501U KR 870003501 U KR870003501 U KR 870003501U KR 910002212 Y1 KR910002212 Y1 KR 910002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inclined surface
bolt
column
expansion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7342U (ko
Inventor
최무웅
Original Assignee
최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무웅 filed Critical 최무웅
Priority to KR2019870003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212Y1/ko
Publication of KR880017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7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2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6Folding bedsteads foldable side to side and head to foot, e.g. umbrella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4Folding bedsteads of the lazy-tong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기 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으로 되는 접기 침대의 사시도.
제2도는 신축 기둥의 상부 조립 단면도.
제3도는 신축 기둥의 하부 조립 단면도.
제4도는 신축 기둥의 분리 사시도.
제5도는 신축 기둥의 조립도.
제6도는 일실시예의 신축 기둥 상부 조립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측고정구 2, 12 : 삽입구
3, 13 : 탄성편 4, 14 : 경사면
5, 15 : 나홈 6 : 신축기둥
7, 17 : 탄편 8 : 고정편
9 : 캡 9 : 요홈
10, 18 : 보울트 11 : 하측고정구
16 : 가이드 19 : 공간
20 : 접기골격 21 : 포제시트
본 고안은 접기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축기둥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고정이 확실하도록 한 접기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6-4080호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접기 침대의 신축기둥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동일한 접속판재를 설하되 신축기둥의 상단 내부에 나홈을 형성하여 접속판재의 상측으로 부터 삽입되는 보울트에 의하여 나합시키는 구조로 되며 하단부 역시 상기와 같이 나합되는 구조로 되어있어 신축기둥이 유동되고 나사가 쉽게 풀어질 염려가 있으며 보울트의 상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걸리적거리는 불편이 있고 외관이 좋지 못한 결함이 있었다.
이에 착안한 본원 고안은 탄성편을 형성하여 이 탄성편으로 하여금 신축기둥을 압지하도록 하므로서 부드럽고 확실한 고정이 됨과 동시에 상단에는 별도의 캡을 씌워서 보울트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포제시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편을 취부하여서 되는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기골격(20)을 가지고 신축기둥(6)과 가이드(16)을 가지는 신축기둥고정구에 있어서, 신축기둥(6)이 삽지되는 상측 고정구(1)의 하측으로 관 삽입구(2)를 길게 형성하고, 이 고정구(1)의 내부에는 내측에 경사면(4)을 가지고 네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탄성편(3)을 돌출 형성하며, 이 경사면(4)의 상측으로 나홈(5)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이러한 상측고정구(1)의 상면으로 외주연이 하향 절곡된 포제시트 고정편(8)이 위치하고 그 상측으로 중앙부에 요홈(9')을 형성한 캡(9)이 위치하여서 보울트(10)지지 된다.
또한, 가이드(16)가 삽지되는 하측고정구(11)의 상측으로 관 삽입구(12)를 형성하고 이 하측고정구(11)의 내부에는 내측으로 경사면(14)을 가지고 네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탄성편(13)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4)의 하측으로 나홈(15)을 형성하여 보울트(18)와 결합되게 하며 이 하측고정구(11)의 하단 내측으로 공간(19)을 형성하여 보울트(18)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의 상, 하고정구(1), (11)에서 제6도에서와 같이 탄편(7)이 없이도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측고정구(1)의 하측으로 신축기둥(6)을 삽입하고 상기 고정구(1)의 상면에 포제시트(21)를 재치한 다음 고정구(1)의 상측으로부터 탄편(7)을 삽입하고 고정편(8)과 캡(9)을 순차적으로 삽입한 보울트(10)로써 고정구에 나합하게 되면 이 보울트에 의하여 상기 탄편(7)이 하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구(1) 내부의 탄성편(3)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상기 신축기둥(6)을 압지하게 된다.
또한, 하측고정구(11)의 상측으로 가이드(16)를 삽입하고 하측으로부터 탄편(17)을 보울트(18)로써 밀어서 고정하면 역시 상기 가이드가 탄성편(13)에 의해서 압지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조립되는 본원 고안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할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며 종래와 같이 신축기둥의 나사가 풀려서 기둥이 빠지는 문제점이 없는 둥의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접기골격(20)을 가지고 신축기둥(6)과 가이드(16)을 가지는 접지 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에 있어서, 상측고정구(1)의 하측으로 관 삽입구(2)를 길게 형성하고 이 고정구(1)의 내부에는 내측에 경사면(4)을 가지고 네부분으로 나뉘어지는 탄성편(3)을 돌출 형성하며 이 경사면(4)와 상측으로 나홈(5)을 형성하여 구상하고 이러한 상측고정구(1)의 상측으로부터 탄편(7)을 삽입하고 상면에는 외주연이 하향 절곡된 포제시트 고정편(8)과 캡(9)이 위치하여서 보울트(10) 지지됨과 동시에, 하측고정구(11)의 내부에는 내측으로 경사면(14)을 가지고 네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탄성편(13)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14)의 하측으로 나홈(15)을 형성하여서 고정구(11)의 하측으로부터 탄편(17)이 삽입되어 보울트(18)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 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
KR2019870003501U 1987-03-19 1987-03-19 접기 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 KR910002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501U KR910002212Y1 (ko) 1987-03-19 1987-03-19 접기 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501U KR910002212Y1 (ko) 1987-03-19 1987-03-19 접기 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342U KR880017342U (ko) 1988-10-26
KR910002212Y1 true KR910002212Y1 (ko) 1991-04-04

Family

ID=1926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501U KR910002212Y1 (ko) 1987-03-19 1987-03-19 접기 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2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342U (ko) 198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212Y1 (ko) 접기 침대용 신축기둥 고정구
KR200402960Y1 (ko) 가구용 판넬 연결구조체
KR200343486Y1 (ko) 테이블의 조립구조
KR950008812Y1 (ko) 책상의 측판과 천판의 결합장치
KR940003947Y1 (ko) 보조상판 연결기능을 갖는 책상 조립용써포트
KR970000183Y1 (ko) 천정 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KR910002215Y1 (ko) 모기장이 부설된 휴대용 베드
KR900003211Y1 (ko) 조립식 어항 스텐드
KR900009420Y1 (ko) 일회용 라이터
KR200424516Y1 (ko) 장식장에 사용되는 고정구의 구조
KR860000006Y1 (ko) 진열장용 유리판 받침구
JPS5840930Y2 (ja) 折畳み椅子
JP2562748B2 (ja) 車両用ストライカ
KR200332506Y1 (ko) 지지대의 체결구조
KR200302430Y1 (ko) 침대다리
JPS636332Y2 (ko)
KR910007034Y1 (ko) 시계추의 연결봉 고정구
KR950003746Y1 (ko) 전자레인지의 다리설치구조
JPH0536064Y2 (ko)
KR19980014249U (ko) 방화문의 문양판 결착장치
JPS5851588Y2 (ja) 冷蔵庫用上面テ−ブル
KR940000923Y1 (ko) Tv의 받침구
KR0130323Y1 (ko) 침대의 측판 연결부재
KR880003211Y1 (ko) 탁자골조 지지장치
KR920009026Y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