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094B1 - 치의술용 레이저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치의술용 레이저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094B1
KR910002094B1 KR1019890004827A KR890004827A KR910002094B1 KR 910002094 B1 KR910002094 B1 KR 910002094B1 KR 1019890004827 A KR1019890004827 A KR 1019890004827A KR 890004827 A KR890004827 A KR 890004827A KR 910002094 B1 KR910002094 B1 KR 91000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gate
laser
input
nand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693A (ko
Inventor
박경량
Original Assignee
박경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량 filed Critical 박경량
Priority to KR101989000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094B1/ko
Publication of KR90001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의술용 레이저 발생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메인부 일부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메인부 일부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핸드피스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파수위치 세그먼트 20 :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30 : 카운터 31 : 주파수위치 업
32 : 주파수위치 다운 40 : 타이밍 발생기
50 : 트리거 60 : 트리트타임 세그먼트
70 : 디스플레이회로 80 : 카운터
90 : 트리트타임 업 91 : 트리트타임 다운
100 : 스타트/스톱 지시기 110 : 부져드라이버
120 : 레이저 테스터 130 : 고속 SCR
140 : 레이저 다이오드 150 : 챠징회로
160 : 전원회로부 170 : 클럭발생기
180 : 레이저 온/오프 190 : 레이저 온램프 드라이버
200 : 발광다이오드 1000 : 디스플레이부
2000 : 메인부 3000 : 핸드피스
본 발명은 치의술용 레이저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주파수 설정부와 사용시간(treat time)설정부로 된 디스플레이부와 설정된 시간과 주파수에 따라 주파수를 발생하는 메인부와 발생된 주파수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를 작동하는 핸드피스로 구성된 것이다.
종래의 레이저 발생회로는 단순한 주파수 발생에 따라 이를 환부에 조사하는 단순 기능으로써 사용효과가 미미하고 사용이 불편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레이저는 그 역사에 있어서, 1917년 아인슈타인이 발명한 레이저가 현재 의학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사용되는 것은 냉성 레이저(cool laser)로써 반도체에서 발산된다.
반도체는 주로 AsGa를 이용하고 있으며 리빙 티슈(living tissue)가 대단히 낮은 광선을 흡수할 수 있는 인정된 치료효과를 종합하는 광선 즉, 적외선(Infra red)을 발광하며 근본적 선택기준은 파장이다.
AsGa레이저는 치료의 대상이 되는 세포를 파괴하지 않기 때문에 수술용 레이저인 CO2레이저 보다는 바람직하며, 치료중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커다란 잇점을 갖고 있다.
인체에 의한 주파수의 지각작용을 보면, 인간은 피부의 지각작용과 청각에 의한 심리과정과의 사이에 유사성을 묘사할 수 있다. 쨍쨍 울리는 현상으로서의 음향이 진동에 의하여 고막을 자극할때 청각기관에 의하여 움직이는 생화학적인 신호의 기관은 이소리를 두뇌에 전달한다. 생화학적인 분자(Molecules)에 의한 진동을 들을 수(청각을 말함)있다.
사실은 이러한 진동이 고막에 도달하면 관능적인 고동을 생화학적인 울림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전문세포까지 특수하고 예민한 세포로 진동을 전달한다. 이때, 두뇌는 이소식을 해석하여야 한다. 시각도 동일한 형상을 구사한다. 광신호가 육안에 도달하면 육안은 생화학적인 분자의 형태로 이 광신호를 판독한다.
인체는 이러한 과정을 널리 활용하고 반복되는 주파수 신호가 피부에 도달할때 인체는 주파수의 반복되는 과정을 이용할 것이다.
피부의 수신기(Skin receiver)는 주파수 암호로 받아 들여서 특수한 생화학적인 신호로 이러한 주파수신호를 변형시켜서 분석하고 해독하기 위하여 두뇌로 보낸다.
이와 똑같이 고동치는(Pulse)레이저가 발생시킨 고동주파수를 피부의 감수기가 받아드려서 생화학적인 암호로서 두뇌에 송신하면 두뇌는 이 암호를 해독하여 말초적인 고동에서 반응을 일으킨다. 토끼피부에 고동하는 조광에 대한 부신(Adrenalin)의 비결효과 연구에서 이상의 사실이 가장 명확하게 규명되었다.
피.노기엘(P.Nogier)(관절의 약품의 시조) 박사의 연구결과 응용하는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달라지는 7가지의 기본적인 주파수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를 A~G로 분류할때 A : 190Hz, B : 380Hz, C : 760Hz, D : 1520Hz, E : 3040Hz, F : 47.5Hz, G : 9.5Hz이며, 이 모든 주파수는 다음사항에 해당한다.
* 정밀한 태생학적인 진전
* 인체 및 귀속에서의 정밀한 조화작용
* 정밀한 질병상태
귀의 신경조직망은 주어지는 주파수에 대하여 특수한 반응을 일으킨다.
귀부분의 신경망은 들려오는 소식을 알아차리고 보다 고급성있는 신경중추에 운반한다. 결과적으로 한정된 지신경(支神經) 7가지가 한정되어 7가지의 기본적인 주파수와 일치하게 된다. 있어서는 안되는 몸의 어떤 부위에 어떤 주파수를 발견하였을 경우에는 이것을 기생 주파수라고 한다.
이 기생 주파수는 정확하지 못한 정보를 두뇌에 보내기 때문에 현혹된 두뇌는 몸의 각기관에 왜곡된 명령을 하달한다.
치유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왁찐의 효과이다. 기생 주파수를 그 자체 주파수로 중화시켜야 하는데, 예를 들어 수족의 주파수인 C를 복부나 등과 같은 부위에서 발견한다면 C를 복부나 또는 등의 부위로 조광시켜야 한다.
또한, 잇몸에서 발견해야할 유일한 근본적인 주파수는 A이나, 만일 C가 발견된다면 C를 환부에 조광시켜서 C를 치료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자의 공명작용에 의하여 생화학적인 에너지로 변형시켜 전자력을 레이저 광선이 공급하는고로 손상된 티슈의 분양을 방해하여 이러한 티슈에 대하여 신진대사 작용을 다시 일으켜 줄수 있다.
파장 904에서 일관성있게 불과 수분동안 비열광을 조사하면 화학적 매개물을 신경성 위광(僞光) 소멸작용을 시켜 손상된 세포의 분비작용을 정지시키며, 병변(病變)반응을 자극시켜 세포들의 신진작용이 다시 발생된다.
그러므로서 즉석에서 환자의 고통을 완화시켜준다. 이외에도 레이저 빔은 발열하지 않는 사진 화학효과에 관한 광범위하고도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즉,
* 방사의 축선에 따라 충돌입자와 바이폴라 분자의 적응력
* 양극분자의 연쇄형성과 용제의 안구항성의 감소
* 인체의 큰분자에 대한 수분공급의 교정
* 매개물 이온화 또는 전리작용의 증가
* 세포의 잠재적인 감축물 파괴
* 전기장의 발생으로 원자가 상호작용토록하여 전장의 셀업이 매체를 통과하는 물리적인 불변수를 수정
이와 같은 레이저를 발생하면서 사용할 시간과 원하는 상기 설명된(A∼G) 주파수 뿐만 아니라, 필요한 주파수를 선택조정 사용할 수 있으며, 동작중에도 작동시간 및 주파수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작동중 핸드피스에서 온, 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럭도로써, 주파수위치 세그먼트(10)는 업(31), 다운(32) 카운터(30)에 의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에 따라 작동하며, 트리트타임 세그먼트(60)는 업(90), 다운(91) 카운터(80)에 의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70)에 따라 작동하고, 스타트/스톱 지시기(100)에 의하여 테스트에 의해 레이저 온하는 레이저테스터(120)와 부져(Bz)를 울리는 부져드라이버(110)가 작동하는 디스플레이부(1000)와, 클럭발생기(170)의 클럭에 동기되어 디바운싱키를 갖는 레이저 온/오프(180)에 의하여 카운터(80)가 작동되면, 발광다이오드(200)를 제어하는 레이저 온 램프드라이버(190)와 트리거(50)를 구동하고, 업(31), 다운(32) 카운터(30) 일출력이 타이밍발생기(40) 및 트리거(50)에 순차 제공되도록 하며 또한, 전원회로부(160)로 구성된 메인부(2000)와, 전원회로부(160)의 고전압을 챠징회로(150)를 통하여 고속 SCR(130)에 제공하여 트리거(50) 신호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140)가 도통 되도록 한 핸드피스(3000)로 구성된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000)의 회로도로써, 업(90), 다운(91)에 의한 카운터(80), 디스플레이구동회로(70), 트리트타임 세그먼트(60)를 설정할때, 직결된 저항(9R3)과 발광다이오드(9LD1)의 양단에 저항(9R4)을 연결하고 발광다이오드(9LD1)의 캐소드에, 일측이 접지된 스위치(9SW1)와 콘덴서(9C3)를 접속하고 또한 인버터(9U1)를접속하여 인버터(9U1)(9U1)를 통하여 오어게이트(9U4)의 입력과 낸드게이트(9U6)의 일입력을 제공하며, 낸드게이트(9U6) 출력을 오어게이트(9U4)의 타입력과 오어게이트(9U4)의 일입력에 제공하여 오어게이트(9U4) 출력이 카운터(8U13)의 카운터펄스업 단(CPU)에 제공토록하는 트리트타임업(90)과, 직결된 저항(9R5)과 발광다이오드(9LD2)의 양단에 저항(9R6)을 연결하고 발광다이오드(9LD2)의 캐소드에, 일측이 접지된스위치(9SW2)와 콘덴서(9C4)를 접속하고 또한, 인버터(9'U1)를 접속하여 인버터(9'U1)(9'U1')를 통하여 오어게이트(9U4')의 타입력과 낸드게이트(9U6')의 타입력에 제공하고, 낸드게이트(9U6')출력과 낸드게이트(3U6) 출력을 입력받는 오어게이트(9U7) 출력이 IC(9U3)(9U3'), 오어게이트(9'U4)(9'U4') 및 낸드게이트(9U6)를 통하여 제공되도록 하며, 오어게이트(9U4') 출력과 스톱(STOP)단을 입력받는 낸드게이트(9U5') 출력을 낸드게이트(9U5)의 타입력으로, 스타드(STRT)와 카운터(8U14) 단자
Figure kpo00001
를 입력으로 하는 낸드게이트(9'U5) 출력을 낸드게이트(9U5)의 일입력으로하여 낸드게이트(9U5) 출력이 카운터(8U13)의 카운터 펄스타운 단(CPD)에 제공토록 하는 트리트타임다운(91)과, 트리트 타임업(90)의 스위치(9SW1), 콘덴서(9C3), 저항(9R4)(9R3), 발광다이오드(9LD1)및인버터(9U1)(9U1')로 트리트타임 설정부를 구성한다.
스위치(3SW3), 콘덴서(3C5), 저항(3R7)(3R8), 발광다이오드(3LD3) 및 인버터(3U2)(3U2')로 구성하고, 인버터(3U2') 출력을 낸드게이트(3U6) 일입력과 오어게이트(3U7) 일입력으로하고, 인버터(3'U2)출력을 낸드게이트(3U6) 타입력과 오어게이트(3U7') 타입력으로하며, 낸드게이트(9U6) 출력을 오어게이트(3U7)의 타입력과 오어게이트(3U7)의 일입력에 제공하여 오어게이트(3U7) 출력이 카운터(30)의 CPU단자에 인가되는 주파수 위치업(31)과, 상기 펄스발생부를 스위치(3SW4), 콘덴서(3C6), 저항(3R10)(3R9), 발광다이오드(3LD4) 및 낸드게이트(3'U2)(3'U2')로 구성하고, 인버터(3'U2') 출력과 낸드게이트(9U6) 출력을 오어게이트(3U7')에서 입력받고 카운터(30)의 CPD단자에 인가되는 주파수 위치다운(32)과, 카운터(30) 출력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통하여 주파수가 표시되는 주파수위치 세그먼트(10)와, 전원(VDSP)이 포토다이오드(12LD6) 및 포토트랜지스터(12LD7)에 인가되어 포토트랜지스터(12LD7) 도통시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고, 차단시 발광다이오드(12LD6)가 온되도록 하는 레이저테스터(120)와, 추후설명할 부져드라이버(110)로 구성된다.
카운터(80)는 클럭(CLK)에 동기되며 일출력은 노어게이트(8U17)를 통하여
Figure kpo00002
를 제공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메인부(2000)의 회로도로써, 카운터(30)의 출력(A0∼A3)을 멀티플렉서(4U4)(4U5)와 디코더(4U6)에 인가하고, 멀티플렉서(4U4)(4U5) 출력은 듀얼타이밍회로(4U8)에서 인가받아 오어게이트(4U14) 일입력과 디플립플롭(4U9)의 CP에 제공하고, 디코더(4U6)는 낸드게이트(U7)를 통하여 오어게이트(4U14)의 타입력에, 인버터(4U12)를 통하여 오어게이트(4U14)의 일입력에 각각 제공하고, 디플립플롭(4U9)출력은 듀얼타이밍IC(4U8')를 통하여 오어게이트(4U14')의 타입력에 제공하여 오어게이트(4U14)(4U14')양출력은 낸드게이트(4U15)에서 트리거IC(5U10)일입력에 제공토록하여서 된 타이밍 발생기(40)와, 저항(5R26)과 콘덴서(5C15)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받으며, 스타트(STAR)신호를 스타트/스톱지시기(100)를 통하여 제공받는 트리거IC(5U10)출력을 트랜지스터(Q4)의 온, 오프에 따라 인버터(5U11)를 통하여 레이저온(LSRON)에 제공하는 트리거(50)와, 전원부(160) 전원이 다이오드(17D4)를 통하여 저항(17R4)(17R5)(17R6)과 다이오드(17D5)(17D6)(17D7)에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를 제공하고, 트랜지스터(Q3)의 온, 오프에 따른 카운터(17U2)(17U3)의 선택주파수에 따라 클럭(CLK)을 발생하는 클럭발생기(170)와, 역시 메인부(2000)를 구성하는 제4도에서 램프콤멘드(LCMD)는 저항(10R30), 콘덴서(10C18)의 바이아싱에 의하여 트랜지스터(10Q5)를 온, 오프하고, 트랜지스터(10Q5) 출력에 따라 트리거펄스를 낸드게이트(10U15)의 일입력에 제공하는 트리거IC(10U10)와
Figure kpo00003
신호를 낸드게이트(10U15')의 일입력과 인버터(10U12)에 각각 제공하고, 인버터(10U12) 출력을 낸드게이트(10U15)의 타입력에 제공하여 디플립플롭(10U9)의 CP단자에 제공하고,
Figure kpo00004
신호를 낸드게이트(10U15') 타입력에 제공하여 디플럽플롭(10U9)의 C단자에 제공하되, 디플립플롭(10U9)의 Q출력은 스타트(STAR) 및 트랜지스터(19Q6)에 각각 제공하며,
Figure kpo00005
출력은 스톱(STOP) 및 트리거IC(10U13)의 B단자에 각각 제공하고,
Figure kpo00006
출력은 MAST로, Q출력은
Figure kpo00007
에 제공하여서되는 스타트/스톱지시기(100)와, 상기 트랜지스터(19Q6)와 랩프온(LMPON)과 연결하여서되는 레이저온 램프 드라이버(190)와,
Figure kpo00008
와 연결되고
Figure kpo00009
출력이 오어게이트(11U14) 타입력에 제공되는 트리거IC(11U13)의 신호와 CNT신호의 더해진 신호가 인버터(11U12) 및 다이오드(11D12)를 통하여 부져로, 또는 1MIN이 부져로, 또는
Figure kpo00010
가 인버터(11U11) 및 다이오드(11D10)를 통하여 부져로 선택 사용되는 부져드라이버(110)와, LCMD에 디바운싱 작동하는 스위치(18SW1)로된 디바운싱키부(180)로 구성된다. R은 저항, C는 콘덴서이다.
핸드피스(3000)는 제1도 및 제5도에서 전원(VHIGH)을 통하여 콘덴서(15C1) 및 저항(15R4)으로 연결하는 챠징회로(150)와, 레이저온(LSRON)을 게이트 신호로하고, 애노드에 전원(VHFB)을 인가받는 고속 SCR(130)과, 고속 SCR(130)의 캐소드와 디스플레이전압(VDSP)의 발광다이오드(141) 출력과의 양단의 레이저다이오드(140)로 구성된다.
5D1∼5D3, 5D5, 5D6, LD2∼LD5및 200은 발광다이오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요한 치료부위 및 증상에 따라 주파수를 설정하게 되는데, 업기능의 노말오프스위치(3SW3)나 다운 기능의 노말오프스위치(3SW4)를 누를때마다 콘덴서(3C5)나 콘덴서(3C6)의 충방전에 의하여 인버터(3U2)(3U2')나 인버터(3'U2)(3'U2')의 로직에 따라 카운터(30)의 업이나 다운단자(CPU)(CPD)에 입력되어 그 출력이 업이면 증가, 다운이면 감소되어 이에 대한 설정된 주파수값을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거쳐서 주파수위치 세그먼트(10)에 표시된다.
그리고, 카운터(30)의 출력(A0∼A3)은 메인부(2000)의 멀티플렉서(4U4)(4U5)에 입력되어 이에 상응하는 전압이 듀얼타이밍 IC(4U8)에 입력된다.
이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발생되는 주파수에 따라 트리거(50)에 입력되고, 트리거(50)출력에 따라 고속 SCR(130)을 도통시켜 레이저다이오드(140)를 온한다.
즉, 레이저다이오드(140)가 동작하지 않을때는 전원에 의하여 일정한 전압까지 충전을 하고 트리거(50)출력인 트리거 펄스가 오면 고속 SCR(130)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레이저다이오드(140)에 방전시켜서 온시킨다.
이때, 발광다이오드(141)도 도통되어 레이저다이오드(140)의 발광부위를 지시하여 주게된다.
필요한 시간을 설정할때에는, 스위치(9SW1)나 스위치(9SW2)를 누를때마다 콘덴서(9C3)나 콘덴서(9C4)의 충방전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9LD1)나 발광다이오드(9LD2)가 온되고, 인버터(9U1)(9U1')나 인버터(9'U1)(9'U1')를 통한 로직이 카운터(80)에서 업이나 다운되어 구동회로(70)를 통하여 트리트타임 세그먼트(60)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핸드피스(3000)내의 디바운싱키부(180)의 스위치(18SW1)를 온하면, 트리트타임 세그먼트(60)에 설정된 시간만큼 주파수위치 세그먼트(10)에 설정된 주파수를 카운터(80)가 0000이 될때까지 계속 주파수를 발생하는데 그 발생과정을 보면, 핸드피스(3000)의 스위치(SW)를 온하면, 램프콤멘트(LCMD)를 통하여 제4도에서 콘덴서(10C18)는 방전되고 트랜지스터(10Q5)는 오프되어 트리거 IC(10U10)의 입력단자 B에는 하이로 입력되므로 트리거 IC(10U10)에는 모노로우 트리거 펄스(Mono low trigger pulse)가 발생되어 낸드게이트(10U15)에서 반전되며, 디플럽플롭(10U9)에 입력된다.
디플립플롭(10U9)의 출력은 하이에서 로우로되어 스타트(STRT)출력이 로우가 되며 스톱(STOP)출력은 하이로 된다.
이 스타트(STRT)펄스에 따라 카운터(80)가 제3도의 클럭발생기(170)의 클럭에 동기되어 감소되고 감소되는 시간을 디스플레이 구동회로(70)를 거쳐 트리트타임 세그먼트(60)에 0000이 될때까지 나타낸다.
이때, 0000이 되면 노어게이트(8U17)를 통하여
Figure kpo00011
가 로우에서 하이로 되고, 제4도에서 메인부(2000)의 낸드게이트(4U15)가 하이에서 로우로 되어 디플립플롭(10U9)이 크리어된다.
따라서, 플립플롭(10U9)의 출력 Q는 하이, 출력
Figure kpo00012
는 로우가 된다.
즉, 스타트(STRT)는 하이, 스톱(STOP)은 로우가 된다. 이 스타트(H)가 하이가 되는 순간 레이저온 램프드라이버(190)의 트랜지스터(19Q6)는 온되어 램프온(LMPON)이 로우가 되고 제5도의 발광다이오드(200)가 켜진다.
또한, 스톱(STOP)은 로우에서 하이로 되는 순간 트리거 IC(10U13)는 콘덴서(C)와 저항(R)에 따라 출력(Q)에는 모노하이 트리거 펄스(Mono high trigger pulse)가 MAST로, 출력(
Figure kpo00013
)에는 모노로우 트리거 펄스(Mono low trigger pulse)가
Figure kpo00014
로 발생되고, 모노로우 트리거 펄스를 크리어단자(CLR)로 제공받는 트리거 IC(11U13)에
Figure kpo00015
신호를 제공하여 그 출력은 인버터(11U12), 다이오드(11D12)를 통하여 부져(BUZ)가 울리게 되어 레이저다이오드(140)가 오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리트타임을 트리트타임업(90), 트리트타임다운(91)의 스위치(9SW1)(9SW2)를 온함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여 조정함으로 레이저 주사시간을 변경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레이저다이오드(140)가 도통시 발광다이오드(141)가 레이저다이오드(140)의 조사부위를 지시하여 주는 편리함이 있다.
본 발명의 주파수는 다양하게 선택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중 필요한 주파수를 변화시켜 사용할수 있어 매우 편리한 것이다.

Claims (4)

  1. 주파수위치 세그먼트(10)는 업(31), 다운(32) 카운터(30)에 의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에 따라 작동하며, 트리트타임 세그먼트(60)는 업(90), 다운(91) 카운터(80)에 의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70)에 따라 작동하고, 스타트/스톱 지시기(100)에 의하여 테스트에 의해 레이저온하는 레이저 테스터(120)와 부져(Bz)를 울리는 부져드라이버(110)가 작동하는 디스플레이부(1000)와, 클럭발생기(170)의 클럭에 동기되어 디바운싱키를 갖는 레이저 온/오프(180)에 의하여 카운터(80)가 작동되면 발광다이오드(200)를 제어하는 레이저온 램프드라이버(190)와 트리거(50)를 구동하고, 업(31), 다운(32) 카운터(30) 일출력이 타이밍 발생기(40) 및 트리거(50)에 순차제공되도록 하며 또한, 전원 회로부(160)로 구성된 메인부(2000)와, 전원회로부(160)의 고전압을 챠징회로(150)를 통하여 고속 SCR(130)에 제공하여 트리거(50) 신호에 따라 레이저다이오드(140)가 도통되도록 한 핸드피스(3000)로 구성된 치의술용 레이저발생회로.
  2. 제1항의 디스플레이부(1000)에 있어서, 직결된 저항(9R3)과 발광다이오드(9LD1)의 양단에 저항(9R4)을 연결하고 발광다이오드(9LD1)의 캐소드에, 일측이 접지된 스위치(9SW1)와 콘덴서(9C3)를 접속하고 또한, 인버터(9U1)를 접속하여 인버터(9U1)(9U1')를 통하여 오어게이트(9U4)의 일입력과 낸드게이트(9U6')의 일입력을 제공하며, 낸드게이트(9U6)출력을 오어게이트(9U4)의 타입력과 오어게이트(9U4')의 일입력에 제공하여 오어게이트(9U4)출력이 카운터(8U13)의 카운터펄스업 단(CPU)에 제공토록하는 트리트타임업(90)과, 직결된 저항(9R5)과 발광다이오드(9LD2)의 양단에 저항(9R6)을 연결하고 발광다이오드(9LD2)의 캐소드에, 일측이 접지된 스위치(9SW2)와 콘덴서(9C4)를 접속하고 또한, 인버터(9'U1)를 접속하여 인버터(9'U1)(9'U1')를 통하여 오어게이트(9U4')의 타입력과 낸드게이트(9U6')의 타입력에 제공하고, 낸드게이트(9U6')출력과 낸드게이트(3U6)출력을 입력받는 오어게이트(9U7)출력이 IC(9U3)(9U3'), 오어게이트(9'U4)(9'U4') 및 낸드게이트(9U6)를 통하여 제공되도록 하며, 오어게이트(9U4')출력과 스톱(STOP)단을 입력받는 낸드게이트(9U5')출력을 낸드게이트(9U5')의 타입력으로, 스타트(STRT)와 카운터(8U14)단자(
    Figure kpo00016
    5 5 5 13 1 3 4 3 1 1 1'
  3. 제1항의 디스플레이부(1000)에 있어서, 스위치(3SW3), 콘덴서(3C5), 저항(3R7)(3R8), 발광다이오드(3LD3) 및 인버터(3U2)(3U2')로 구성하고, 인버터(3U2')출력을 낸드게이트(3U6) 일입력과 오어게이트(3U7) 일입력으로 하고, 인버터(3'U2)출력을 낸드게이트(3U6) 타입력과 오어게이트(3U7') 타입력으로 하며, 낸드게이트(9U6)출력을 오어게이트(3U7)의 타입력과 오어게이트(3U7')의 일입력에 제공하여 오어게이트(3U7) 출력이 카운터(30)의 CPU단자에 인가되는 주파수위치업(31)과, 상기 펄스발생부를 스위치(3SW4), 콘덴서(3C6), 저항(3R10)(3R9), 발광다이오드(3LD4) 및 인버터(3'U2)(3'U2')로 구성하고, 인버터(3'U2')출력과 낸드게이트(9U6)출력을 오어게이트(3U7')에서 입력받고 카운터(30)의 CPD단자에 인가되는 주파수 위치다운(32)과, 카운터(30)출력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통하여 주파수가 표시되는 주파수 위치 세그먼트(10)로 구성하여 사용주파수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의술용 레이저발생회로.
  4. 제1항의 핸드피스(3000)에 있어서, 레이저다이오드(140)와 병렬로 발광다이오드(141)를 수개 작동시켜 레이저다이오드(140)의 작동부위를 지시하여 줌을 특징으로 하는 치의술용 레이저발생회로.
KR1019890004827A 1989-04-12 1989-04-12 치의술용 레이저 발생회로 KR91000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827A KR910002094B1 (ko) 1989-04-12 1989-04-12 치의술용 레이저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827A KR910002094B1 (ko) 1989-04-12 1989-04-12 치의술용 레이저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693A KR900015693A (ko) 1990-11-10
KR910002094B1 true KR910002094B1 (ko) 1991-04-03

Family

ID=1928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827A KR910002094B1 (ko) 1989-04-12 1989-04-12 치의술용 레이저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362Y1 (ko) * 2000-07-07 2001-06-01 박종윤 거리감지 센서를 설치한,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high power semiconductor laser diode)를 이용한, 일체형 휴대용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693A (ko) 199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9660A (en) Method of treating acne
US5500009A (en) Method of treating herpes
JP3635108B2 (ja) 鼻炎治療装置
US20070106347A1 (en) Portable medical and cosmetic photon emission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EP0740568B1 (en) Device for medical external treatment by means of light
HU180083B (en) Apparatus for local treating,first of all for accupunctura and auriculotherapia
US6123658A (en) Magnetic stimulation device
US20050004631A1 (en) Light processing of selected body components
ATE294613T1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tumor-erkrankungen ( krebsleiden )
JPS5886178A (ja) レ−ザ医療装置
MXPA01000177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estimular el sistema inmunitario y para generar la curacion a nivel molecular.
ATE116140T1 (de) Vorrichtung zur elektrostimulation.
KR910002094B1 (ko) 치의술용 레이저 발생회로
US6094595A (en) Cosmetic device
US6450940B1 (en) Magnetic stimulation device
CN111420275B (zh) 一种新型便携式微电流镇痛修复治疗仪
KR100336660B1 (ko) 저출력 레이저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GB2366734A (en) Stimulatory device
JPH07100219A (ja) アクネ治療方法
RU2179465C1 (ru) Физ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RU2240158C2 (ru) Аппарат для магнитооптической терапии
RU200804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хроническим простатипом, осложненным нарушением половой функции
KR200296226Y1 (ko) 레이저 및 저주파 복합치료기와 이를 이용한 복합치료도자
WO2001032262A1 (en) Miniature cluster laser therapy device
RU700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оражений внутреннего ух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