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090Y1 - Odour seals - Google Patents

Odour se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090Y1
KR910002090Y1 KR2019870009041U KR870009041U KR910002090Y1 KR 910002090 Y1 KR910002090 Y1 KR 910002090Y1 KR 2019870009041 U KR2019870009041 U KR 2019870009041U KR 870009041 U KR870009041 U KR 870009041U KR 910002090 Y1 KR910002090 Y1 KR 910002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main body
wall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90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80018039U (en
Inventor
스스무 호리에
Original Assignee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토미오카 히로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토미오카 히로노부 filed Critical 마루이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8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03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90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배수장치Drainage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 1도는 종단측면도.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ure 1 is a longitudinal side view.

제 2도는 제 1도의 A-A선의 일부 생략한 단면도 이다.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배수장치본체 2 : 배수도입관1: drainage system body 2: drainage introduction pipe

3 : 배수도출관 4 : 안내부재3: drainage pipe 4: guide member

4a : 안내벽 4b : 안내판4a: guide wall 4b: guide plate

5 : 방취구 51 : 방취벽5: deodorizing port 51: deodorizing wall

52: 틈 53: 유로(流路)5 2 : gap 5 3 : flow path

7 : 배수접시7: drain plate

본 고안은 배수 장치의 구조의 개랑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데 욕실의 바닥에 설치하여 욕실에서 사용한 탕수를 배수 접시로 부터 배수 장치 내에 흘러 버리게 하는 동시에 욕조의 물마개 부분에서 배출된 탕수는 배수장치에 마련한 배수 도입관으로 부터 배수 장치를 경유해서 배출관측에 흘러 버리도록 구성된 배수 장치의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의 배수 장치를 제조, 판매하는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pening of the drainage system. For example, i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so that the hot water used in the bathroom flows from the drainage plate into the drainage device, while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topper of the bathtub is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in the structure of a drainage device configured to flow from a pipe to a discharge pipe via a drainage device, and is wide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of manufacturing and selling various drainage devices.

욕실의 바닥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종래의 배수 장치로서는 예컨데, 배수 도입관과 배수 도출관을 둘레의 측벽에 각각 갖춘 배수 장치본체와 이 본체 내에 장치된 물의 밀봉(密卦) 형성용의 방취구와 본체의 싱방개구부에 장치한 배수 접시와 배수의 도입 안내부재들로 구성된 배수 장치에 있어서 그 배수 도입관에 엘보우(elbow)를 사용해서 이 엘보우에 의하여 욕조로부터의 배수를 배수 장치 내에 하향으로 도입해서 배수 도출관측으로배수 안내를 원활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과 혹은 그 배수 도입관을 배수 장치 본체의 하방부(저면근방)에 접속해서 배수 도출관 측으로 배수를 원활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이 잘 알려져 있다.As a conventional drainage apparatus installed and used on the floor of a bathroom, for example, a drainage main body having a drainage introduction pipe and a drainage drainage pipe on a circumferential side wall, and a deodorant opening and a main body for forming a seal of wat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drainage device consisting of a drainage plate and a drainage introduction guide member provided in a single opening of a drainage system, wherein an elbow is used in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and the drainage from the tub is introduced downward into the drainage device by the elbow. It is well known to be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drainage guide to the drainage observation, or to be configured to smoothly drain to the drainage drainage pipe by connecting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to the lower portion (near the bottom) of the drainage main body.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예에 있어서 전자의 경우는 엘보우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수 유량이 상당히 제한 되어서 배수에 시간을 요하는 동시에 엘보우는 곡관이므로 별도로 이것을 제작 준비해서 부착할 필요가 있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경우는 배수 도입관의 접속 위치 관계로 배수 도입과 내에 항상 배수가 남아 있고, 장기간경과 하는 동안에 전술한 관의 내벽에 물때가 부착해서 차차로 배수의 유통이 나쁘게 되는 동시에 물때의 악취가 욕조 내로 역류하는 경우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xample, since the former uses elbows, the drainage flow rate is considerably limited, requiring time for drainage, and at the same time, elbows are curved pipes. In the case of, drainage always remains in the drainage introduction section due to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and when the long time elapses, the scale adheres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and the distribution of drainage becomes worse gradually. There was also a problem of backflow.

또한,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보중 실개소 57-31377호로 상방에 열린곳을 형성하고 주벽면에는 배수 입구와 배수 출구를 설치한 통모양의 트랩 본체와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 접시 모양의 스트레이너(Strainer)릍 전기한 통모양의 트랩본체내에 설치 하여서된 집합 배수 트랩에 있어서, 스트레이너의 주벽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막힘부를 형성시켜서 이 막힘부를 트랩 본체의 배수 입구쪽에 위치하도록한 스트레이너를 트랩 본체의 열린곳에 부착 하도록 구성된 집합 배수 트랩이 공개되어 있다.In addition, Japanese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7-31377 discloses a plate-shaped strainer having a large trap body an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main wall with a drain inlet and a drain outlet. 릍 In the collective drain trap installed in the aforementioned tubular trap body, a strainer is formed in which the block is formed in the main wall surface of the strainer so that the block is located at the drain inlet of the trap main body. Aggregate drain traps configured to attach to the opening of the vessel are disclosed.

그러나, 이 일본 공개 고안의 경우에는 배수 안내판이 스트레이너에 형성된 막힘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음에 불과하므로 배수 유입관으로 부터의 배수는 본체내에서 난류 상태가되어 배수 출구 쪽으로 행하여 지므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없고 배수 효율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Japanese Unexamined Design, since the drain guide plate is constituted only by a blockage formed in the strainer, the drainage from the drainage inlet pipe becomes turbulent in the main body and flows toward the drainage outlet so that the drainage can be smoothly drained. There is a drawback of poor drainage efficiency.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중 공개번호 84-1614호로 상하부몸체를 결합하여 물넘이 곡관이 형성되도록한 직사각형태의 배수 트랩에 있어서 원형의 통상적인 배수관 연결부를 물넘이 곡관 측면으로 구성하고 배수관 연결부 직상방의 상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격벽에는 소제구를 천공하여 소제구 마개로 밀폐시켜 악취방지 기능과 청소를 할수 있는 기능을 함께 갖춘 소제구가 형성된 배수 트랩이 공개되어 있다.And, in the rectangular discharge trap of the upper and lower body coupled to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 the publi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84-1614 to form a trough curved pipe, the circular conventional drain pipe connection part consisting of the tumbler curved side and the upper part directly above the drain pipe connection The bulkhead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discloses a drain trap formed with a cleaning tool having a function of puncturing the cleaning tool and sealing it with a cleaning tool stopper to prevent odor and to clean.

그러나, 이 후자의 경우에는 배수의 도입 안내부재는 본체의 주벽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본체의 상부에 있어서 본체 내에 들어 가도록 매달려 설치한 안내벽과 이 안내벽과 본체의 주벽과의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적어도 2매의 안내판으로 구성된 구조는 없으므로 다른 부분과 구획된 유로에 의하여 구성된 구조에 의하여 배수도입관으로부터의 배수를 정련하게 그리고 좋은 효율로 배수 도출관쪽으로 안내할 수 있는 효과는 기대할 수가 없다.However, in this latter case, the guide member for introducing drainage is disposed between the guide wall and the main wall of the main body, which is suspended from the main wall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enter the main body. Since there is no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two guide plat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tructure formed by the flow path partitioned with other parts guides the drainage from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to the drainage drainage pipe with good efficiency. You can't expect the effect.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개발된 것으로 배수를 배수 도입관측으로부터 배수 도출관측에 단시간 내에 효율좋고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고, 따라서, 배수 접시로 부터의 배수, 제제의 거품이 넘쳐 흘러 나오게 되는 염려가 없고 악취의 역류도 없는 장점이 있는 배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drainage from the drainage introduction side to the drainage drainage side efficiently and reliably in a short time, so that the drainage from the drainage plate and the foam of the agent overflow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age system having the advantage of no odor and no backflow of odo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배수 장치는 배수 도입관과 배수 도출관을 물레측벽에 각각 갖춘 배수장치 본체와 이 본체 내에 설치된 물의 밀봉 형성용의 방취구와 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설치한 배수 접시와 배수의 도입 안내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 배수의 도입안내부재는 본체의 주벽으로 부터 소요 간격을 유지하여 본체의 상방부에서 본체내에 들어 가도록 매달아 설치한 안내벽과 이 안내벽과 본체의 주벽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배설한 적어도 두개의 안내판이 구성되어 있고, 이 두개의 안내판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배수 도입관을 본체에 접속시키는 동시에 방취구의 방취벽 하측연부와 본체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틈 및 이 틈으로 부터 연설된 유로만을 거쳐서 배수 도입관측과 배수 도출관측을 연결 시켜서 구성되어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ainage main body having drainage introduction pipes and drainage drainage pipes on the side of the wheel, respectively, and a drainage plate for forming a seal for forming water in the main body and an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a guide wall for drainage, which is a guide wall which is suspend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enters the main body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by maintaining a necessary distance from the main wall of the main body. At least two guide plate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arranged between the two guide plates, and are connected between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s to the main body and at the bottom edge of the deodorization wall of the deodorization port. Connect the drain inlet and drain drain through only the gap formed between the gap It is configured.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욕조로 부터의 배수는 배수 도입관으로 부터 본체 내에 도입되고 도입부에 마련한 안내부재에 의해서 장치 본체의 둘레 측면을 따라서 방취벽 하측연부와 본체의 저면사이에 형성된 유로만을 통해서 배수 도출관 측에 배출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drainage from the bath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from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and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deodorizing wall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long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guide member provided at the inlet. It is discharged to the drain discharge pipe side only through the flow path.

이 배수의 도입시에 안내부재중의 두개의 안내판으로 배수가 본체내에서 양쪽으로 불규칙 하게 분류(分流)하지 않고 확실하게 하방으로 안내된다.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is drainage, the drainage is reliably guided downwardly by the two guide plates in the guide member without irregularly splitting to both sides in the main body.

또 배수 도입관은 배수 장치 본체의 상방부에서 본체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배수가 도입관에 잔류하지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drain introdu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t an upper portion of the drainage main body, drainage does not remain in the introduction pipe.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EXAMPLE

부호 (1)은 플라스틱제의 배수 장치 본체인데 그 상방부의 둘레측에 짧은 배수도입관(2)을 수평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이 배수 도입관(2)의 반대측의 본체(1)의 둘레측에 배수 도출관(3)이 본체(1)와 입체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 도출관(3)의 하방부(3a)는 내림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plastic drainage main body, which connects the short drain introduction pipe 2 horizontally to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drains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in body 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ain introduction tube 2. The discharge pipe 3 protrudes in three dimensions with the main body 1, and the lower portion 3a of the drain discharge pipe 3 is formed in a descending slope type.

부호(4)는 배수도입관(2)의 도입구(2a)에 대향시켜서 본체(1)내에 마련한 배수도입관내 부재인데 이 안내부재(4)는 본체(1)의 주벽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서 상방부에 본체(1)내에 들어 가도록 매달아 설치한 단면 凸형의 안내벽(4a)과 이 안내벽(4a)과 본체(1)의 주벽 사이에 걸쳐서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 시켜 수직 방향으로 매설한 격벽으로된 두개의 안내판(4b)(4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판(4b)은 안내벽(4a)으로 부터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4 is a member in the drainage pipe provided in the main body 1 to face the inlet 2a of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2, and the guide member 4 maintain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wall of the main body 1. Verticall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guide wall 4a having a cross-sectional X-shape and a circumferential wall of the main body 1, which are suspended to enter the main body 1 in the upper portion. It consists of two guide plates 4b and 4b which consist of the partition wall embedded in the direction, and this guide plate 4b is integrally protruded from the guide wall 4a.

따라서. 배수 도입관(2)의 도입구(2a)는 전술한 두개의 안내판(4b)(4b)사이에 개방되어 있다.therefore. The introduction port 2a of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2 is opened between the two guide plates 4b and 4b described above.

부호 (5)는 물의 밀봉 형성용의 방취구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1)로부터 배수도입관(2)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내려가는 중앙방취벽(5a)이 중앙방취벽(5a)의 주위에 둘러싼 방취벽(5b)이 방취벽(5b)의 양단측연부와 본체(1)의 내주벽에 걸쳐서 새로 마련한 양측 방취벽(5c)으로된 방취벽(51)과 이 방취벽(51)의 하측연부와 본체(1)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틈(52)과 이 틈(52)으로 부터 배수 도출관(3)을 향하여 연장된 오름경사형의 유로(53)로 구성되어 있고, 이 방취구(5)에 의해서 물의 밀봉(W)이 형성되는 것이며, 도면에서 부호(6) 및(7)은 본체(1)의 상방 열린곳에 결합과 분리를 자유로히 행할 수 있게 각각 끼운 동수공을 가진 찌꺼기 바구니 및 배수접시이며, 부호(8)은 중앙 방취벽(5a)에 형성한 청소구 삽입공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설치한 뚜껑이며, 부호(9)는 팩킹을 표시한다.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deodorization port for forming a seal of water, and in this embodiment, a central deodorization wall 5a that is obliquely descending from the main body 1 toward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2 side is enclosed around the central deodorization wall 5a. The deodorizing wall 5b is a deodorizing wall 5 1 made up of both side deodorizing walls 5c newly provided over both end edges of the deodorizing wall 5b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main body 1 , and the deodorizing wall 5 1 It consists of a gap 5 2 formed between the lower edge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 and an upwardly inclined flow path 5 3 extending from the gap 5 2 toward the drain discharge pipe 3. Water seal W is formed by the deodorizing port 5, and reference numerals 6 and 7 in the drawing refer to hydraulically inserted holes that can be freely engaged and separated in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1, respectively. It is a garbage basket and a drain plate having a sign, and the reference numeral 8 is a lid install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ing hol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ntral deodorization wall 5a. 9 denotes a packing.

또한 본 고안 배수 장치의 측면 형상은 이 실시에에서는 제 1도 표시와 같이 배수 도입관(2)으로 부터 본체(1) 내에 유입한 배수가 본체(1)의 벽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배수 도출관(3)측에 흐르도록 배수도입관(2)의 하방부위본체(1)의 벽면(1a)을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lateral shape of the drain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shows that the drainage introduced from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2 into the main body 1 smoothly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 ( The wall surface 1a of the lower part main body 1 of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2 is formed in the curved shape so that it may flow to 3) side.

또 배수 도입관(2)과 약 90도로 각이 변화된 위치에도 또 한개의 배수도입관(2)을 마련해서 배수 장치로서의 배수 기능을 증대 시켜도 좋다.In addition, another drain introduction pipe 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angle is changed at about 90 degrees with the drain introduction pipe 2 to increase the drainage function as the drainage device.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데 이 배수 장치를 욕조의 배수 장치에 사용하기 위하여 욕실의 바닥에 설치하여 그 배수접시(7)를 바닥에 구멍이 열리도록 함과 동시에 욕조의 물마개(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배수도입관(2)을 배수판(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거쳐서 수평으로 접속시키면 욕실바닥에 버려진 탕수는 배수접시(7)로 부터 배수 장치내에 유입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the drainage devic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throom for use in the drainage device of the bath so that the drainage plate 7 is opened at the bottom of the bath and the water stopper of the bath (not shown). When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2) is connected horizontally through a drain plate (not shown), the hot water discarded on the bathroom floor is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device from the drainage plate (7).

또 욕조 내의 탕수를 빼내기 위하여 물마개를 빼면 탕수는 배수도입관(2)으로 부터 배수 장치내에 유입 되고 유입부에 마련한 안내부재(4)에 의해서 배수장치본체(1)의 하방으로 잘 규제된 상태로 도입되고 그 하면에 형성한 곡면 형상의 벽면(1a)을 따라서 원활하게 흐르며, 틈(52) 및 유로(53)를 경유해서 배수도출관(3)측으로배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plug is removed in order to drain the water in the bathtub,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system from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2 and in a state well regulated below the drainage main body 1 by the guide member 4 provided at the inlet. It is introduced and flows smoothly along the curved wall surface 1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is discharged to the drainage discharge pipe 3 side via the gap 5 2 and the flow path 5 3 .

따라서, 배수 장치내에서 배수가 난류(亂流)되지 않으므로 배수접시(7)로 부터 배수가 넘쳐서 흘러나오는 일이 없고 또 배수 도입관(2)내에 배수가 남게 되지 않는다.Therefore, since the drainage is not turbulent in the drainage device, the drainage does not overflow from the drainage dish 7 and flows out, and the drainage does not remain in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2.

또 본 배수 장치는 욕조만이 아니고 세탁기, 세면기의 배수 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인네 그 방취구(5)에 의하여 형성되는 물의 밀봉(W)에 의해서 하수관으로 부터의 악취의 역류도 확실하게 방지 되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세탁기용의 배수 장치로서 세탁기의 설치 장소에 사용할 경우에는 배수 장치 내의 우수한 배수 유출 작용으로 세탁시에 생긴 세제의 거품이 배수접시(7)로 부터 넘쳐서 흘러 나오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is drainage system is used not only as a bathtub but also as a drainage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and a basin. The backflow of odor from the sewer pipe is reliably prevented by the sealing (W) of the water formed by the deodorization port 5. Of course, especially when used in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washing machine as a drainage device for the washing machine, the foam of the detergent generated during washing due to the excellent drainage outflow of the drainage device does not overflow from the drain plate (7).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 도입부에 안내용의 엘보우를 사용한 종래품에 비하여 그 배수의 유입량을 증대할수 있으므로 배수 도입부에 마련한 독자적인 구조의 안내부재에 의한 작용으로 극히 효율이 좋게 욕조내에서의 배수를 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배수 도입을 배수 장치 본체의 상방위치에 배설 하였으므로 배수가 도입관내에 남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도입관 내벽에 물때가 부착해서 유로를 좁게 하거나 악취가 욕조 내에 역류하는 일도 없고 배수를 정련하게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배수 장치로서 널리 실용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of the drainage can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roducts using the elbow for guiding the drainage inlet, so that the drainage in the bathtub can be extremely efficiently carried out by the action of the guide member of the unique structure provided in the drainage inlet. At the same time, the drainage drainage is placed upstream of the drainage body, so that drainage does not remain in the inlet pipe.Therefore, the scal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let pipe so that the flow path is not narrowed or odor flows back into the tub and the drainage is refined. It can be widely put into practical use as a drainage device which can exhibit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erform efficiently.

Claims (1)

배수도입관(2)과 배수도출관(3)을 둘레측벽에 각각 갖춘 배수장치본체(1)와 이 본체(1)내에 마련된 물의 밀봉 형성용의 방취구(5)와 본체(1)의 상방 열린곳에 마련한 배수접시(7)로 구성된 배수 장치에 있어서 ; 본체(1)의 주벽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본체(1)의 상방부에 매달려지게 설치한 안내벽(4a)과 본체(1)의 주벽과의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적어도 2에의 안내판(4b), (4b)를 본체(1)의 배수도입구(2a)와 대향되게 설치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배수 장치.The drainage main body 1 having the drainage introduction pipe 2 and the drainage discharge pipe 3 on the circumferential side wall, respectively, and the deodorization opening 5 for forming a seal of water provided in the main body 1 and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 In the drainage device consisting of a drain plate (7) provided in the open plac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guide wall 4a installed to be suspended from the main wall of the main body 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wall 1 and the main wall of the main body 1. And at least one of the guide plates (4b) and (4b) provided so as to face the drainage introduction port (2a) of the main body (1).
KR2019870009041U 1987-03-20 1987-06-05 Odour seals KR910002090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41147U JPS63151572U (en) 1987-03-20 1987-03-20
JP???????87-41147 1987-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039U KR880018039U (en) 1988-10-27
KR910002090Y1 true KR910002090Y1 (en) 1991-04-04

Family

ID=3085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9041U KR910002090Y1 (en) 1987-03-20 1987-06-05 Odour seal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51572U (en)
KR (1) KR910002090Y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172B2 (en) * 1976-10-18 1983-11-09 旭化成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tubula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51572U (en) 1988-10-05
KR880018039U (en) 198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07358A (en) Drain pipe for draining device, and drain trap
JP4709981B2 (en) Drain trap
KR910002090Y1 (en) Odour seals
JP3721469B2 (en) Drain pipe
JP2013100716A (en) Drain pipe for draining device, and drain trap
JP4039082B2 (en) Drain structure of bathroom unit
JP4441616B2 (en) Drain trap
JP2015101871A (en) Collecting structure of exhaust port
JPH03450Y2 (en)
KR100654309B1 (en) Drainage Trap of sewer line
JP4388441B2 (en) Bathroom drain piping
JP6454841B2 (en) Drainage structure with collecting member
JPS6026895B2 (en) Water seal function maintenance device in drainage trap
EP1956154A1 (en) Narrow siphon
JPS6014865Y2 (en) collective drain trap
JP2017043929A (en) Bathroom drainage structure
JP3894069B2 (en) Bathroom drainage unit
JP2005314997A (en) Drain trap
JP4099574B2 (en) Drainage equipment
JP2000034759A (en) Drain port washer
JPS6014866Y2 (en) drain trap
JP3057191U (en) Drainage equipment
JP2019065612A (en) Drain trap
JP6019286B2 (en) Bathroom drain piping
JPS6026894B2 (en) drainage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