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524Y1 -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 - Google Patents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524Y1
KR910001524Y1 KR2019870014149U KR870014149U KR910001524Y1 KR 910001524 Y1 KR910001524 Y1 KR 910001524Y1 KR 2019870014149 U KR2019870014149 U KR 2019870014149U KR 870014149 U KR870014149 U KR 870014149U KR 910001524 Y1 KR910001524 Y1 KR 910001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ower member
pivot
fix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038U (ko
Inventor
문홍식
Original Assignee
문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홍식 filed Critical 문홍식
Priority to KR2019870014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524Y1/ko
Publication of KR8900050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0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를 분리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힌지축 10 : 하부재 본체
l0a : 체결공 10b,10b' : 압착부
12 : 축지관 12a : 고정부
12c : 단턱부 13 : 파우더 메탈 부싱
본 고안은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조립체의 힌지측이 끼워진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에 관한것으로. 특히 메탈부싱이 구비된 축지구 동체와 그 축지구 동체가 고정 결합되는 하부재 본체간의 체결이 안정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는 문틀의 상측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피버트 상부재와 문짝의 상측프레임에 설치되는 피버트 하부재로 구성되며, 그 피버트 하부재의 일측에는 피버트 상부재의 힌지축 하단이 삽입 지지되는 축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피버트 하부재의 축지구는 통상, 하부재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축공의 하측에 원관형축지관을 용착 고정하고 그 축공 및 축지관의 내부에 철판제 베어링을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베어링의 사용에 따른 제고원가의 상승요인을 갖게 되고 그 철판 베어링과 힌지축간의 불규칙한 접촉마찰에 따라 그 접촉부가 쉽게 마모, 손상될뿐만 아니라. 고정된 베어링이 미의로 이탈되는 등의 단점이 발생되어 요구되는 축기구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가 가지는 제반난점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 본체의 삽입공에 파우더 메탈부싱이 안쪽에 끼워진 황동재축지구의 고정부를 압입하고 그 축지구가 끼워진 삽입공의 외주연부를 코킹(caulking) 가공하여 그 코킹에 의해 형성된 압착부로서 삽입공내에 끼워진 축지구 및 부싱이 함께 고정되게 함으로써. 하부재 본체와 축지구 및 부싱간의 체결이 견고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함과 아울러, 힌지축과 부싱의 접촉에 따른 접촉부의 손상요인을 최소화 할수 있게 한 것인 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11)는 하부재 본체(10)일측의 체결공(10a)에 압입 고정되는 고정부(12a)가 상측에 돌출형성된 축지관(12)과 그 축지관(12)의 삽입공(12b)내에 삽입 고정되는 파우더 메탈 부싱(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싱(13)에는 상부 피버트용 상부재(1)의 힌지축(2)이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게 끼워지는 축공(1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부싱(13)의 하단부는 축지관(12)의 삽입공(12b) 하측에 형성된 단턱부(12c)에 걸려 지지될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축지구(11)를 하부재 본체(10)에 결합 고정함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 축지관(12)의 삽입공(12b)에 부싱(13)을 끼워넣고 그 축지관(12)의 고정구(12a)를 하부재 본체(10)의 체결공(10a)에 압입 고정한 상태에서. 그 하부재 본체(10)의 체결공(10a) 주연 상. 하측부를 프레스로 코킹 가공하여 제5도에 도시된바와같이 체결공(10a)의 상, 하 주연부가 체결공(10a)의 내측으로 각기 밀려들어가게 함으로써, 내측으로 밀려들어간 상하 환상압착부(10b)(10b')에 의하여 체결공(10a)에 끼위진 축지관(12)의 고정부(12a)의 삽입공(12b)에 삽입된 부싱(13)을 함께 협지 고정할 수 있게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c는 하부재 본체(10)를 출입문의 상측 프레임(3)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이고. 4는그 출입문이 설치되는 문틀부재이며.5는 피버트 상부개(1)의 힌지축(2)이 끼워진 축지구를 각기 보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체결 조립되는 본 고안의 축지구(11)는 하부재 본체(10)의 체결공(10a)에 끼워진 축지관(12) 및 그 내부의 부싱(13)이 프레스에 의한 일차 코킹작업으로 간단히 체결 고정될 수 있으므로. 철판베어링등을 사용하는 종래의 축지구에 비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원가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되며, 이와같이 체결 고정되는 축지관(12)은 그 체결공(10a) 상, 하측 주연의 압착부(10b)(10b')에 의하여 견고하게 협지 고정되고 그 축지관(12) 내부의 부싱(13)은 축지관(12) 하단의 단턱부(12c)에 의해 고정되므로, 하부재가 설치되는 출입문의 반복 개폐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그 하부재본체(10)에 대한 축지구(11)의 고정위치를 확실하고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피어트 상부재(1)의 힌지축(2)과 부싱(13)간의 불규칙한 접촉에 따른 접촉부의 마모 및 손상요인을 극소화하여 상부피버트조립체 전체의 사용수명을 윌등히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출입문의 상측프레임에 설치되어 상부 피버트의 상부재의 힌지축(2)이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게 끼위지는 플로어힌지 상부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11)에 있어서. 하부재 본체(10)의 체결공(10a)에 상측 고정부(12a)가 압입 고정되는 축지관(12)과 그 축지관(12)의 삽압공(12b)에 끼워져 그 하측의 단턱부(12c)에 걸려 지지되는 파우더 메탈부싱(13)이 코킹 가공으로 형성되는 체결공(10a) 상. 하측 주연의 환상압착부(10b)(10b')에 의하여 하부재 본체(10)와 체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
KR2019870014149U 1987-08-24 1987-08-24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 KR910001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149U KR910001524Y1 (ko) 1987-08-24 1987-08-24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149U KR910001524Y1 (ko) 1987-08-24 1987-08-24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038U KR890005038U (ko) 1989-04-18
KR910001524Y1 true KR910001524Y1 (ko) 1991-03-07

Family

ID=1926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149U KR910001524Y1 (ko) 1987-08-24 1987-08-24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5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264A (ko) * 2019-11-14 2021-05-24 정호윤 안전발판 낙하물 방지용 경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264A (ko) * 2019-11-14 2021-05-24 정호윤 안전발판 낙하물 방지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038U (ko) 198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4107A (en) Ball joi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970001604B1 (ko) 볼 조인트
KR940003140B1 (ko) 로울러 베어링 조립체
US4511191A (en) Anticreep device for annular member
KR870004215A (ko) 창문스테이(stay)용 마찰피벗 조인트
ES2143198T3 (es) Bisagra de resorte.
JPS62171522A (ja) シ−ル付軸受装置
KR910001524Y1 (ko) 플로어힌지 상부 피버트용 하부재의 축지구
JPS60211117A (ja) 自動車の継手ロツドのためのスラスト玉継手
KR0184964B1 (ko) 팩시밀리의 콘택트 이미지센서 장착구조
US4197596A (en) Cover for toilet bowls
JPH0567168U (ja) モータのケーシング構造
JPS633176Y2 (ko)
KR950019282A (ko) 나사산 체결 삽입체
GB2237059A (en) A pivot bearing
FR2633348A1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bague exterieure de palier, en particulier pour un palier de pedalier de bicyclette
KR200146691Y1 (ko) 도어용 힌지장치
JPH0126597Y2 (ko)
JPS6224569Y2 (ko)
KR950000555Y1 (ko) 콘베어로울러용 빗물 및 분진침투 차단장치
KR930005617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압착용 스프링 취부장치
JPH0716100Y2 (ja) 軸受の固定金具
US4815646A (en) Pinch roller assembly with dust prevention means
JPH0611719Y2 (ja) 溝付ベアリングの組付装置
JPH02138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