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476Y1 - 물품 취부구 - Google Patents

물품 취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76Y1
KR910001476Y1 KR2019880008390U KR880008390U KR910001476Y1 KR 910001476 Y1 KR910001476 Y1 KR 910001476Y1 KR 2019880008390 U KR2019880008390 U KR 2019880008390U KR 880008390 U KR880008390 U KR 880008390U KR 910001476 Y1 KR910001476 Y1 KR 910001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insertion plate
plate
groo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8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4099U (ko
Inventor
심봉섭
김주활
Original Assignee
맥슨전자 주식회사
윤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슨전자 주식회사, 윤원영 filed Critical 맥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8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476Y1/ko
Publication of KR890024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40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품 취부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취구부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 측단면도.
제3도 (a)(b)는 종래 취부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및 결합상태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삽입판 2a : 오목홈
3 : 연결봉 4 : 취부편
4b : 안치홈 4c : 개구부
5 : 탄성판 5b : 돌기
본 고안은 각종 물품을 지정된 위치에 걸어 보관할수 있도록 하는 물품 취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기간반복 사용시에도 취부구의 변형에 의한 물품의 이탈 현상이 없이 보다 안정적인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취부구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둔것이다.
여기에서 무전기용 핸드 마이크(1')를 일체로 종래의 물품 취구부를 살펴보면,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핸드마이크(1')의 후면 소정위치에는 원판형태의 삽입판(2')이 연결봉(3')으로서 결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에는 임의위치에 스크류로서 체결 부착 가능한 접속부(105)와, 그 상부에는 3개의 탄성편(101,102,103)이 상기 접속부의 기준면보다 일정 간격(D1)만큼 절곡 이격되어 상향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는 취부편(100)을 형성하되, 양측에 위치하는 탄성편(101)(102)사이에는 상호 상기 연결봉(3')의 직경보다는 크고 삽입판(2')의 직경보다는 작은 폭(L)의 공간부를 확보하게 되고, 중간측 탄성편(103)은 삽입판 반침용절곡부(104)를 구비하고 약간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핸드 마이크를 잡고 후면의 삽입판(2')을 취부편(100) 상부 양측의 탄성편(101)(102) 사이 공간부를 통해 상측으로부터 하강식으로 삽입해 넣으면, 삽입판(2')은 중앙측탄성편(103)의 전면과 양측 탄성편(101)(102)의 후면 사이에서, 중앙측 탄성편(103)의 절곡부(104)상에 얹힌상태로 위치하게 되므로서 핸드 마이크의 취부가 완료된다.(제3도 (b)참조).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취부구는 이를 장기간 사용시 가장 핵심적 역할을 행하는 중앙측 탄성편(103)의 구조적 특징상 외력에 의해 쉽게 소성변형을 일으켜 삽입판에 대한 제어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취부편이 위치하는 물체(통상 차량)의 진행이나 사용중 외부로부터 가해자는 충격에 의하여 삽입판과 취부핀 사이에 듣기에 매우 거북한 심한 충격음이 발생하고, 보다 큰 충격에 의하여는 삽입칸이 취부편의 개구된 상단부를 통해 이탈하여 헨드마이크가 바닥으로 밀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 삽입판 즉 핸드 마이크의 취부 상태가 견고하고 완벽한 구조의 춰부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취부편의 전방측 결합부에는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안치홈을 형성하고, 그 후방측에는 중앙부위에 돌기를 형성한 탄성판을 밀착 설치하였고, 삽입판의 후면에는 상기 돌기와 결합될 오목홈을 형성하므로서, 안치홈 상측의 개구부로 삼입판을 밀어 넣고 하강시키면, 삽입 완료된 시점에서 탄성판이 돌기를 삽입판의 오목홈과 결합시킨 상태에서 후면을 지지하게 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흔들림이나 이탈 현상이 발생치 않게 되는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로서, 물품(핸드 마이크)(1)의 후면에 연결봉(3)으로 결합 설치된 원판형 삽입판(2) 후면 중앙부위에는 오목홈(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취부편(4)은 하단에 스크류 체결용 채결부(4c)와, 그 상측에서 전방으로 절곡 돌출된 결합부(4a)에는 상단에 상기 삽입판(2)이 삽입가능한 형태의 개구부(4c)를 가지는 연결봉 삽입용 안치홈(4b)이 형성되었으며, 상기 안치용(4b)의 후방에는 상단부(5b)를 결합부상의 접속부(4d)에 고정 부착시킨 탄성판(5)이 자세탄성을 이용하여 밀착됨과 동시 상기 탄성판(5)의 중앙부에는 삽입간의 오목홈(2a)과 형합된 돌기(5b)가 형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됨에 따라, 핸드 마이크를 취부시키고져 할때에는 후면의 삽입판(2)을 취부편의 개구부(4c)와 일치시키고 연결봉(3)이 안치홈(4b)의 바닥과 접하도록 누르게 되면, 안치홈(4b)의 후방에 밀착상태로 위치하던 탄성판(5)이 삽입판(2)의 두께만큼 후방으로 밀리면서 자체 탄력에 의해 삽입판을 전방으로 밀게됨과 동시, 돌기(5b)가 오목홈(2a)과 결합된다.
그후, 핸드마이크를 본리시키고저 할때에는, 마이크를 잡고 탄성판의 탄력보다 큰 힘을 가해 위로 들어을리면, 돌기와 오목홈이 분리되면서 삽입판(2)이 개구부(4c)를 통해 밖으르 빠져나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취부편(4)의 구조를 개선하여 결하부상의 개구부(4c)를 통해 들어온 삽입판(2)을 돌기(5b)를 구비한 탄성판(5)으르서 후방 결합 지지토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핸드 마이크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 흔들림에 의한 소음 발생이나 이탈할 염려가 전혀 없이, 안전하고 확실한 취부 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후면 일측에 연결봉(3)으로서 삽입판(2)이 부설된 물품을 취부시키기 위한 취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삽입판(2)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된 오목홈(2a)과: 전방 돌출된 결합부(4a)에는 상단에 상기 삽입판 삽입용개구부(4c)를 구비한 연결봉 삽입용 안치홈(4b)을 형성하였고, 상단부(5a)를 접속부(4d) 후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삽입판(2)의 오목홈(2a)과 형합될 돌기(5b)를 구비한 탄성판(5)을 상기 안치홈 후방에 밀차상태로 위치시켜서 된 취부핀(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취부구.
KR2019880008390U 1988-05-31 1988-05-31 물품 취부구 KR910001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390U KR910001476Y1 (ko) 1988-05-31 1988-05-31 물품 취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390U KR910001476Y1 (ko) 1988-05-31 1988-05-31 물품 취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4099U KR890024099U (ko) 1989-12-04
KR910001476Y1 true KR910001476Y1 (ko) 1991-03-04

Family

ID=1927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8390U KR910001476Y1 (ko) 1988-05-31 1988-05-31 물품 취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4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4099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4126A (en) Combined pull and carry handle
KR910001476Y1 (ko) 물품 취부구
JP2568798Y2 (ja) 棚の仕切装置
JPH0718106Y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JPS5829974Y2 (ja) 棚受け具
JP3048488B2 (ja) 小型収納箱
JPH0341633Y2 (ko)
JPS6339671Y2 (ko)
JPS6034215Y2 (ja) 防災用ヘルメツト保持装置
USD442408S1 (en) Towel hanger
JP2581355Y2 (ja) ブラケット等の壁面に対する取付構造
JPS58170875U (ja) コ−ド収納部を有する小型電気器具の背面部構造
JPH0443133U (ko)
USD317602S (en) Television receiver
JPH0225913U (ko)
JPS5938337U (ja) 押入棚
JPS6322899Y2 (ko)
JP2580909Y2 (ja) カセットケース収納箱
JPH02107343U (ko)
JPS6383895U (ko)
JPS6393029U (ko)
JPS63123153U (ko)
JPS5919766U (ja) 磁気を利用する錠
JPH0264339U (ko)
JPH0184494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