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371B1 - 다밴드 발진회로 - Google Patents

다밴드 발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371B1
KR910001371B1 KR1019870008077A KR870008077A KR910001371B1 KR 910001371 B1 KR910001371 B1 KR 910001371B1 KR 1019870008077 A KR1019870008077 A KR 1019870008077A KR 870008077 A KR870008077 A KR 870008077A KR 910001371 B1 KR910001371 B1 KR 91000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scillation
band
diode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317A (ko
Inventor
사다히로 오오야마
가즈오 고바야시
시게루 다까사끼
나오도시 시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모리베 하지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모리베 하지메 filed Critical 미쓰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2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resistance and either capacitance or inductance, e.g. phase-shift oscillator
    • H03B5/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resistance and either capacitance or inductance, e.g. phase-shift oscill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밴드 발진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발진회로가 적용되는 다밴드 튜우너의 회로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발진회로를 포함한 제1도의 블록도의 구체적인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발진회로의 변형예에 관한 회로도.
제4도는 종래예에 관한 다밴드 튜우너의 회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발진회로 Q2: 발진용 트랜지스터
DV4: 발진주파수 가변용량 다이오드 DV5: AFC용 가변용량 다이오드
D15내지 D17: 스위칭 다이오드 L23, L24: 코일
L25내지 L27: 인덕터 C29내지 C30: 콘덴서
본 발명은 튜우너의 발진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밴드를 하나의 발진회로로 발진가능하게한 다밴드 발진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밴드 튜우너의 발진회로에 있어서, 발진용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에미터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 및 베이스, 콜렉터 사이에 접속된 인덕턴스를 대역간에서 절환하고, 가변 용량 다이오드를 복수의 대역으로 공통으로 하는 것으로서, 발진회로의 부품점수를 삭감하고, 부품의 조립 스페이서를 작게 하므로써 튜우너를 소형화하도록 한 것이다.
제4도는 종래의 VHF 대 및 UHF대를 수신하는 슈우퍼 헤테로다인 방식의 튜우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1 및 2는 UHF 및 VHF대의 입력단자를 도시한다. 3은 입력단 동조회로, 4는 RF중폭회로(고주파 증폭회로), 5는 복동조회로, 6은 발진기 및 7은 믹서회로로, 각각 UHF대를 수신하는 회로이다. 8은 입력필터회로, 9는 입력 단동조회로, 10은 RF증폭회로, 11은 복동조회로, 12는 발진기 및 13은 믹서회로로 각각 VHF대를 수신하는 회로이다.
14는 믹서회로(13)에서의 IF신호출력단자이다.
15는 VHF 대 및 UHF대(이하 단지 U.V라고 함) 절환회로이다.
VHF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는 복동조회로(11)에서의 신호와 발진기(12)와의 발진주파수를 믹서회로(13)에서 혼합하고, 그의 출력은 58.75MHz의 IF신호로서 단자(14)에서 출력된다.
한편 UHF대를 수신하는 경우는, 복동조회로(5)에서의 선택신호와, 발진기(6)에서의 발진주파수 신호를 믹서회로(7)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출력인 IF신호(56.75MHz)는 U.V절환회로(15)를 통해서 믹서회로(13)로 증폭된후, 단자(14)로 출력된다. U.V절환회로(15)는 UHF수신시만 UHF믹서에서의 IF신호를 VHF믹서 (13)에 공급되도록 온으로 된다.
상기 종래예의 발진회로에서는 U.V에 각각 전용의 발진회로(6,12)를 구성한후, 발진용 트랜지스터, 가변용량 다이오드등 각각의 발진회로에 필요로하여 중복하기 위해 많은 부품점수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튜우너케이스내로의 발진회로의 조립은 U.V의 양 발진회로를 조립하는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기때문에 튜우너가 대형으도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부품점수가 많기 때문에, 원가상승이 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여러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밴드 발진회로는 발진용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에미터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 및 베이스, 콜렉터 사이에 접속된 인덕턴스를 대역간에서 절환하고, 가변용량 다이오드 및 발진트랜지스터등을 복수의 대역에 공통으로 하는 구성을 가진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되는 발진회로를 포함한 다밴드 튜우너의 회로블록도를 도시한다. 제4도와 동일구성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기하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16은 입력필터, 17은 VHF단동조회로, 18은 UHF단동조회로, 19는 VHF, UHF공용(이하 단지 U.V공용이라고함) RF증폭회로(고주파증폭회로), 20은 VHF복동조회로, 21은 UHF복동조회로, 22는 U.V공용발진기, 23은 U.V공용 믹서회로를 각각 도시한다. C1은 U.V공용의 동조회로(17 및 18)의 동조용 가변콘덴서이다. C2, C3는 U.V공용의 복동조회로(20,21)의 가변 콘덴서이다.
VHF대의 수신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자(2)에 입력된 신호는 입력필터로 VHF대의 신호만이 통과하고 VHF단동조회로(17)로 소망의 국의 주파수로 선택 동조되고, RF증폭회로(19)로 소정수준으로 증폭된후, 복동조회로(20)에서 소정의 선택도 특성이 부여되어, 믹서회로(23)에 공급되고, 23에서 발진기(22)에서의 주파수에 의해 주파수 변환되고, 주파수 변환된 IF출력 신호는 단자(14)로 출력된다.
다음에, UHF신호의 수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자(1)에 입력된 신호는 단동조회로(18)에 공급되고, 소망의 국의 주파수로 선택동조된후. RF증폭회로(19)를 통해서 UHF복동조회로(21)에 공급되어 소정의 선택도 특성이 부여되고, 후속의 회로에 공급된다. 믹서회로(23)에서 상기와 같이 주파수 변환되고, IF신호로서 단자(14)에 출력된다.
이와같이 입력동조회로(18, 17), 복동조회로(20, 21) 및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발진기(22)에 있어서 가변용량소자를 U.V로 공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고, 또 튜우너 자체를 소형화할수가 있다.
다음에, 제1도의 구체적인 회로도를 제2도에 도시한다. 또 제2도중, 발진회로(22)이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없기 때문에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발진회로(22)는 콜피츠형의 발진회로이고, Q2는 발진용의 트랜지스터, C29,C30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미터 사이에 접속되는 콘덴서, C31및 C34는 베이스·에미터 사이에 접속되는 콘덴서, L23, L24및 L25는 베이스·콜렉터 사이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코일 및 인덕터, C37은 콜렉터를 교류적 접지하기 위한 콘덴서, L26은 조정용 인덕터, L27은 발진안정용 인덕터, DV4및 DV5는 발진주파수 가변용 및 AFC용 가변용량 다이오드를 각각 도시한다. D15, D16은 VH단자에서 전압이 공급되는 U.V절환용의 다이오드로서,VHF대 수신시에 온으로 된다. D17은 VHF대 수신시에 있어서, 로우 및 하이밴드의 전환용 다이오드이다.
VHF대의 발진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우밴드 발진시에는 VL단자에서 다이오드(D4)를 통하여 다이오드(D15, D16)에 전압이 인가되어 이것들은 온으로 된다. 그러면 콜렉터·에미터 사이에 콘덴서 (C29)의 용량에 대해서 C3O의 용량이 부가된다. 또, 베이스·에미터 사이의 용량은 콘덴서(C31과 C34)의 직렬용량으로 된다. 그리고 베이스·콜렉터 사이에는 교류적으로 코일(L23, L24)이 접속된다. 이와같은 회로구성으로 로우밴드의 발진이 행하여지고, 발진주파수의 가변은 VT단자에서의 가변전압이 가변용량 다이오드(DV4)에 인가되므로써 이루어진다.
VHF대의 하이밴드에 있어서의 발진동작에 있어서 로우밴드 발진시와 다른점은 다이오드(D15, D16)에 공급되는 절환전압은, 단자(VH)에서 다이오드(D5)를 통해서 행하여지는 점, 그리고 다이오드(D17)를 온으로 하는 전압이 단자(VH)에서 공급되는 점이다. 코일(L24)은 다이오드(D17)에 의해 단락되기 때문에, 발진용의 코일은(L23)만으로 된다. 또 L23의 인덕턴스 성분은 VHF대에 대해서는 대단히 작고 무시할 수 있다.
다음에 UHF대의 발진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이오드(D15내지 D17)에 대한 절환전압의 공급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것들은 오프로 된다. 그러면, 콜렉터·에미터 사이의 용량은 C29만으로 되고, 베이스·에미터 사이의 용량은 C31, C34에 오프상태의 다이오드(D16)의 단자가 용량(1PF정도)이 직렬 접속으로되고 또한 다이오드(D16)에 C70이 병렬접속되고, 이들의 합성용량은 IPF이하의 소용량으로 된다. 또, 베이스·콜렉터사이에 접속되는 인덕턴스 성분은 인덕터 (L25)로 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발진주파수의 가변은 가변용랑 다이오드(D4)의 용량가변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 UHF대의 발진시에 있어서, 코일(L23, L24)은 다이오드(D16)가 오프이고, UFH대에 대해서는 임피던스가 대단히 크기 때문에 영향은 없다. U.V의 발진출력은 결합콘덴서(C36)를 통해서, 다음 단의 믹서회로(23)로 공급된다. 또, 콘덴서(C38)는 직류 커트용이다. 트랜지스터 (Q2)로의 전원전압은 단자(B)에서 항상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발진회로(22)는 다이오드(D15, D16)의 온 오프에 의해 발진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미터 및 베이스·에미터용의 콘덴서를 절환, 또 콜렉터·베이스사이의 인덕턴스를 절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U.V의 발진을 절환하고, 또 발진소자를 겸용할수 있고, 부품점수 및 상품의 조립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이 대역을 수신하는 경우에 다이오드(D15)를 온시켜서, 콘덴서 (C29)에 콘덴서(C30)의 용량을 부가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VHF대 수신시에 수신주파수의 대역폭이 좁게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제3도는 상기 발진회로(22)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제2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기하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는 발진회로는 부호 22'로 도시한다. 제2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기하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의 발진회로와 다른점은 발진출력의 취출의 장소이고, VHF발진출력은 코일(L23)에 유도 결합한 코일(28)에 취출된다(출력단자(29)). 또 UHF발진 출력은 인덕터(L25)에 유도결합된 인덕터(L29)에 의해 취출된다(출력단자(30)).
이와 같이 U.V별도로 유도결합에 의해 발진출력을 취출하는 방법은, 이 발진회로의 다음단에 접속되는 믹서회로(23)에 있어서의 특히 온도특성등의 변화에 의한 임피던스등의 변화와 영향을 발진회로(22)가 받기 어렵고, 이것에 의해 발진주파수가 안정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다밴드 발진회로는, 발진 트랜지스터(Q2), 발진주파수 가변용 가변용량 다이오드(DV4), AFC용 가변용량 다이오드(DV5), 콜피츠발진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콘덴서(C29,C31,C34,C37) 및 바이어스용 저항(R5,,R6)등의 각 소자는 VHF대 및 UHF대의 발진시에 모두 공용되어있고, 이점에 있어서 부품점수의 대폭적인 삭감이 달성되어 있다. 또 이것에 의해, 대폭적인 튜우너의 원가절감을 도모하고 있다.
또, 부품점수의 대폭적인 삭감과 더불어, U.V의 발진회로를 종래와 같이 별개로 조립할 필요가 없고, 1개소에 통합해서 조립할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조립 스페이스를 대폭적으로 저감할수가 있고, 소형의 튜우너를 실현할수가 있다.

Claims (1)

  1. 제1 및 제2대역을 수신하는 다밴드 튜우너의 콜피츠형의 발진회로에 있어서, 발진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에미터사이에 교류적으로 접속된 콘덴서 (C29,C30) 및 제1스위칭 다이오드(D15)와, 이 발진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와 콜렉터사이에 교류적으로 접속된 코일(C23,C24) 및 제2스위칭 다이오드(D16)와, 이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교류적으로 접속된 공진선로 및 가변용량 다이오드(DV4)로 이루어지고, 이 제1대역 수신시에는 이 제1 및 제2스위칭 다이오드(D15, D16)가 온되고, 이 제2대역 수신시에는 이들 제1 및 제2다이오드(D15,D16)가 오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밴드 발진회로.
KR1019870008077A 1986-07-31 1987-07-24 다밴드 발진회로 KR910001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0729 1986-07-31
JP61180729A JPH07120966B2 (ja) 1986-07-31 1986-07-31 多バンド発振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317A KR880002317A (ko) 1988-04-30
KR910001371B1 true KR910001371B1 (ko) 1991-03-04

Family

ID=1608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077A KR910001371B1 (ko) 1986-07-31 1987-07-24 다밴드 발진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20966B2 (ko)
KR (1) KR910001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855B1 (ko) * 2002-07-24 2004-06-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이에히치에프 전압 제어 발진회로 및 이를 이용하여 2밴드 수신이 가능한 튜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317A (ko) 1988-04-30
JPS6337719A (ja) 1988-02-18
JPH07120966B2 (ja) 199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7953A (en) Tunable high-frequency input circuit
JP2732856B2 (ja) テレビジョン高周波入力回路
US3727140A (en) A uhf and vhf tuner for television
US4710974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tuner for changing over several frequency ranges
KR960009970B1 (ko) 트랙킹 특성이 개선된 동조 장치
US7106149B2 (en) Switchable tuneable bandpass filter with optimized frequency response
JP2580116B2 (ja) Ic化高周波可変周波数発振回路
KR910001371B1 (ko) 다밴드 발진회로
EP0269427A2 (en) Dual gate tunable oscillator
US6724274B2 (en) Frequency-switching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MXPA97002782A (en) Entry circuit for a televis tuner
KR960003169B1 (ko) 발진기 장치
US3702968A (en) Am-fm radio receiver having novel rf input circuit
US6734761B2 (en) Radio-frequency input stage
US6545554B1 (en) Differential oscillator
KR100406353B1 (ko) 텔레비전 튜너의 입력동조 스위칭회로
KR100350092B1 (ko) 튜너의 복동조회로
KR890008440Y1 (ko) Ntsc/pal 방식겸용 튜너회로
JP3810281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H07123231B2 (ja) 多バンドチユ−ナの段間同調回路
JP2796115B2 (ja) 高周波スイッチ回路
JPH046274Y2 (ko)
JPH0666709B2 (ja) 受信機の局部発振回路
JPH0136360Y2 (ko)
KR950012950B1 (ko) Ic 튜너의 입력신호 안정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