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88Y1 - 즙짜기 장치 - Google Patents

즙짜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88Y1
KR910001088Y1 KR2019880015616U KR880015616U KR910001088Y1 KR 910001088 Y1 KR910001088 Y1 KR 910001088Y1 KR 2019880015616 U KR2019880015616 U KR 2019880015616U KR 880015616 U KR880015616 U KR 880015616U KR 910001088 Y1 KR910001088 Y1 KR 910001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juicer
center
juic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259U (ko
Inventor
허형만
Original Assignee
허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형만 filed Critical 허형만
Priority to KR2019880015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088Y1/ko
Publication of KR9000062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2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3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cone or ream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즙짜기 장치
제1a,b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및 다른 실시예 정면도.
제2a,b도는 압력 조절레버 정면도 및 분쇄구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용기 및 받침판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 11 : 지지다리
12 : 홈부 13 : 지지봉
14a,14b : 상,하틀 2 : 압력조정부
21a,21b : 레버 22a,22b : 케이블
23a,23b : 스위치 3 : 감속장치
4 : 분쇄구 41 : 스퍼어기어
42,43 : 투입구 및 배출구 44 : 틀체
45 : 지지대 5 : 용기
5′ : 중앙함몰부 51 : 구멍
52 : 함몰부 53 : 체
6 : 받침대 61 : 배출구
7 : 기어 71 : 부싱
8 : 나사봉 8a : 피스톤봉
81 : 피스톤 82 : 키홈
82a : 키 9 : 레버
91 : 다리 92 : 핀
10 : 압축기부 10a : 콘트롤부
본 고안은 과일 및 채소류와 구근류등의 즙을 짜도록 하는 즙짜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과일 및 채소류와 구근류등의 즙을 내기 위해 짜는 기계는 통상 칼날의 연약성 때문에 연한 채소와 과일류외의 비교적 단단한 약초 열매 및 채소등에서는 그 즙을 추출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며 (통상 60-80%)실상 미네랄과 같은 중요 영양소는 약 10% 이하 정도밖에 추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교적 단단한 과일 채소 및 구근류의 즙을 추출하는데 있어서도 무리가 없이 효과적으로 추출하도록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분쇄구를 일측에 부설하고 모터에 연동되거나 고압에 의해 가압피스톤을 승하강 작동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이하에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에 지지다리(11)를 상면 소정위치에 홈부(12)를 구비한 다이(1)의 일측에는 모터(M)와 압력 조정부(2) 및 감속장치(3)가 각층 설치되고 모터로부터 동력 전달을 받는 한쌍의 스퍼어기어(41)를 가지는 상,하부에 투입구(42) 및 배출구(43)를 가지는 틀체(44)로 구성된 분쇄구(4)가 지지대(45)에 고정설치되었으며, 저부에는 중앙함몰부(5′)를 중심으로 방사상 등각도 간격의 면에 다수의 구멍(51)이 천공된 즙이동 함몰부(52)를 가지는 용기(5)가 중앙 하부로 즙 배출구(61)를 가지는 압력받침판(6)에 적층되어 상기 다이(1)의 홈(12)에서 스프링체(S)로서 탄설된 상태로 안착되고, 상기 용기 사방에는 지지봉(13)이 세워설치되어 그 상부에는 소정간격을 가지게 압력 지지 상,하틀(14a)(14b)이 구성됨과 동시 그 사이에는 부싱(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미끄럼 결합된 기어(7)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일측선상 상부에는 하부에 피스톤(81) 및 상하 소정길이의 키홈(82)을 구비한 나사봉(8)이 상기 기어 중심에서 회전승하강되게 나사결합되었으며: 하틀(14b)과 홈(12)의 일정위치 각각에는 피스톤(81) 및 압력받침판(6)에 의해 연동되는 레버(21a)(21b)가 케이블(22a)(22b)에 의해 압력조정부(2) 내부의 스위치(23a)(23b) 각각에 연결설치됨과 동시 도면 제2a도에서와 같이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23b)에 연결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다리(91)와 상부 일측에는 위치고정용 핀(92)이 부설된 압력조정용 레버(9)가 설치되었으며: 용기(5)내에서 피스톤 압력을 받아 즙이 추출되는 소재의 경도 및 크기에 따라 알맞는 체(53)가 내장되고 도면 제2b도에서와 같이 모터에 연동되는 스퍼어기어와 접동하는 스퍼어기어(41)는 가이드 장공(47)을 구비하여 스퍼어기어 상호간의 탄력 조정을 위한 스프링체(48)가 탄설되었다.
그리고 도면 제1b도에서와 같이 감속장치 및 동력전달용 각종 기어의 필요가 없이 콘트롤부(10a)를 가지는 압축기부(10)로 구성되어 공기압으로 승하강 작동되는 피스톤봉(8a)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1은 감속장치 조작용 레버, 24a, 24b는 모터가동용 전원 스위치, 72, 73은 기어, 82a는 키, C1,C2는 클러치 레버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면 제1a도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스위치(24a)를“온”시키므로서 모터(M)가 작동되고 감속장치(3)에서 감속되어 기어(72)(73)를 회동시켜 최종적으로 기어(7)를 연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나사봉(8)이 하강되는데 이는 키홈(82)에 결합된 키(82a)에 의해 나사봉이 수직 하강 이동되는 것이다.
계속되는 하강으로 용기(5)내의 소쟁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 소재로부터 즙이 추출되어진다.
이 추출된 즙은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용기 바닥면의 구멍(51)을 통해 나와서 받침대(6)와 즙이동함몰부(52) 사이로 형성된 통로를 통해 중앙함몰부(5′)를 거쳐 받침대(6)의 배출구(61)로 배출되어진다.
이때 스프링체(S)에 의해 적당한 압력을 유지하며 즙이 추출되어 지는 것으로, 다 추출되어짐과 동시 받침대(6)가 레버(21b)를 밀어 케이블(22b)을 당기므로서 도면 제1b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스위치(23b)를“오프”시켜 모터(M)를 정지시킨다.
이후 모터의 역회전 가동을 위해 스위치(24b)를 누르면 모터(M)가 가동되어 기어(72,73) 및 기어(7)를 연동시켜 피스톤(81)이 상승되다가 레버(21a)를 밀치면서 케이블(22a)이 당겨져 스위치(23a)가 오프되어 모터가 동작중지되어 소재를 재투입할 수 있는 즙짜기 준비완료 상태가 되는 것으로 용기(5)의 내측바닥면에는 여러종류의 체(53)를 준비하여 소재의 경도에 따라 알맞는 체(53)를 삽입 내재시켜서 즙짜기에 보다 낳은 효과를 얻도록 한다.
또한 소재의 경도에 따라 피스톤에 의한 가압력을 배일가시키거나 축소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2a도와 같이 스위치(23b)에 고정설치되는 압력 조정용 레버(9)를 핀(92)을 이용하여 회전시켜 스위치(23b)가 적당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여 스위치의 위치변화를 주므로서 피스톤 가압력에 의한 스프링체(S)를 압축시키는 용기의 보다 크고 작은 하강을 유지하도록 된 것으로 이는 스프링체(S)와 더불어 케이블(22b)의 장력이 상관적으로 작용되어 가압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분쇄구(4)는 경도가 비교적 크거나 부피가 큰 소재를 찧이겨 용기내에 삽입가압시 즙추출이 용이토록 1차 분쇄를 하는 것으로 필요시 클러치 레버(C1)를 작동 오프시켜 모터의 동력이 분쇄구(4)로만 전달되게 하고 즙짜기 작동시에는 클러치 레버(C2)를 작동 오프시켜 불필요한 분쇄구의 작동이 없도록 동력을 차단시켰다.
물론, 분쇄 및 즙짜기 작업을 같이 행할때는 각각의 클러치(C1)(C2)를“온”시킨 상태면 되는 것이다.
한편, 분쇄구의 작동시에는 도면 제2b도에서와 같이 소재부피의 크기 및 경도에 따라 스퍼어기어가 적당한 압력을 가지며 작동되게 장공(47)에 탄설된 스프링체(48)에 의해 적절히 조절된다.
그리고, 공지의 수단인 감속장치의 레버(31)에 의해 피스톤의 승하강 속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 제1b도에서와 같이 피스톤(81)의 승하강을 모터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압축기부(10)에 의한 공기압으로 피스톤봉(8a)을 승하강시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때는 각종 기어부 및 감속기어부가 필요없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소형 모터 및 감속장치로서 큰 동력을 얻을 고압력으로 용기내의 소재를 눌러 즙을 추출함과 동시 소재에 따라 분쇄구를 이용 섬유질등을 예비분쇄시켜 주므로서 소재가 함유한 미네랄과 같은 영양소의 파괴 및 미추출이 발생되지 않고 고스란히 얻을 수 있어 자연식 및 식이요법을 하는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Claims (4)

  1. 지지다리(11)를 가지는 상면일측에 홈부(12)를 구비한 다이(1)의 홈부에는 중앙하부로 다이의 저부로 관통설치되는 즙배출구(61)를 가지는 받침판(6)이 스프링체(S)로 탄설되고 그 상면에는 저면의 중앙함몰부(5′)를 중심으로 방사상 등각도 간격의 면에 다수의 구멍(51)이 천공된 즙이동 함몰부(52)를 가지는 용기(5)가 착탈되며, 용기 상부에는 상,하틀(14a,14b)이 지지봉(13)으로 설치되어 용기 중앙부 대응위치에 피스톤(81)이 부설된 압력봉이 관통설치되어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승하강되며, 하틀 맞홈의 일측에는 제어용 레버(21a,21b)가 설치되어 압력조정부(2)에 내설되는 스위치(23a,23b) 각각에 케이블(22a,22b)로서 연결되고, 다이상부의 홈부 일측에는 모터(M)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한쌍의 스퍼어기어(41)가 설치된 분쇄구(4)가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즙짜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은 모터(M) 상부의 감속장치(3)에 의해 감속된 기어(72)가 연동기어(7)에 의해 용기 상부중앙에 위치한 기어(7)에 치합됨과 동시에 상기 기어(7)에는 소정길이의 키홈(82)을 가지는 나사봉(8)이 나사결합되어 승하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즙짜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은 콘트롤부(10a)를 구비한 압축기부(10)와 연결되는 실린더에서 승하강 작동되는 피스톤봉(8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즙짜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압력조절수단은 스위치(23b)에 삽입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다리(91)와 상부일측에는 위치고정용핀(92)이 부설된 압력조정레버(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즙짜기 장치.
KR2019880015616U 1988-09-23 1988-09-23 즙짜기 장치 KR910001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616U KR910001088Y1 (ko) 1988-09-23 1988-09-23 즙짜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616U KR910001088Y1 (ko) 1988-09-23 1988-09-23 즙짜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259U KR900006259U (ko) 1990-04-02
KR910001088Y1 true KR910001088Y1 (ko) 1991-02-25

Family

ID=1927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5616U KR910001088Y1 (ko) 1988-09-23 1988-09-23 즙짜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0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259U (ko) 199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7682A1 (en) Multi-function juicer
US5690022A (en) Peeling device
US4582265A (en) Garlic crusher and/or mincer
US20100058941A1 (en) Automated Juice Extractor
EP1731062B1 (en) Foodstuffs processing device
US8166873B2 (en) Automated juice extractor
US20160278561A1 (en) Juice extraction devices with mesh filter of variable distances from helical screw
CN203106742U (zh) 一种橙汁机
CN200947796Y (zh) 一种榨汁机
KR910001088Y1 (ko) 즙짜기 장치
RU2756309C1 (ru) Сокоотжимная машина
CN206899330U (zh) 一种刀片伸出程度可调的圆盘取样器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636320B1 (ko) 과일의 씨와 과육 분리장치
US3504720A (en) Machine for dishing pineapples and the like
CN209520944U (zh) 一种中医药房用药材切片装置
CN111055247B (zh) 一种电路板预浸锡压紧结构
US2962959A (en) Jackscrew actuated crushing machine
KR102446799B1 (ko) 밤호박 가공장치
US5263408A (en) Food press
US1966978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fruit juice
CN210969019U (zh) 一种往复式果蔬切割装置
US3011430A (en) Orange juice extractor
US200400767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of fruits cut i slides
DE1185343B (de) Kuechenmaschine zum Entsaften von Fruech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