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714Y1 - 전자렌지의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714Y1
KR910000714Y1 KR2019870019353U KR870019353U KR910000714Y1 KR 910000714 Y1 KR910000714 Y1 KR 910000714Y1 KR 2019870019353 U KR2019870019353 U KR 2019870019353U KR 870019353 U KR870019353 U KR 870019353U KR 910000714 Y1 KR910000714 Y1 KR 910000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output
timer
micro switch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185U (ko
Inventor
김종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윤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윤종용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9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714Y1/ko
Publication of KR8900121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1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7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렌지의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 장치
제1a, 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렌지의 파워레벨을 조절하는 작동상태 정면도로서, (a)는 출력레버를 해동상태에 세팅시킨 상태도, (b)는 출력레버를 풀상태에 세팅시킨 상태도.
제2a, b도는 제1도의 측면도로서 (a)는 출력레버를 행동상태로 세팅시켜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 오프되는 상태도, (b)는 출력레버를 풀상태로 세팅시켜 강제로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되는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주요지인 기구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출력레버와 판스프링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트롤 브래키드 2 : 타이머
3 : 타이머 기어 4 : 캠돌기
5 : 나선경계면 6 : 비접촉면
7 : 압력레버 8 : 샤프트
9 : 스프링 10 : 마이크로 스위치
11 : 지지편 12 : 시이소 레버
13 : 상하 스위치레버 14 : 가이드턱
15 : 돌출부 16 : 출력레버
17 : 작동원판 18 : 원호형 가이드
19 : 원형리브 20 : 분할편
21 : 작동캠 21a : 나선면
22 : 판스프링 23 : 앰보싱
24 : ㄷ자형 브래키드 25 : 스톱퍼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있어서, 기간예약용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장치를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조리물에 따라 파워레버를 해동 또는 풀(Full)상태로 조절하여 출력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냉동상태에 육류는 먼저 해동시킨 다음 파워레버를 풀상태에 맞추어 가열한다. 이때에는 최대 출력을 낼수 있도록 마그네트론을 제어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계속해서 온상태로 유지해야 하며 우유등은 미온상태로 가열하기 때문에 파워레버를 해동측으로 돌려 최저출력이 나오도록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간헐적으로 온, 오프시키게 된다. 즉, 마그네트론의 출력을 전기적 방법에 의해 최저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고 또 다른 방법은 기구적인 메카니즘에 의해 마그네트론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켜 온상태는 짧고 오프상태는 길게 가져가 마그네트론에서 최저출력이 나오게 된다. 그러나 종래 레버를 이용한 콘트롤 타이머 기능을 출력레버를 90°회전시켜 풀 또는 해동위치로 제한되어 있어 최대, 최저출력을 낼수는 있으나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는 마그네트론의 출력조절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콘트롤 타이머 및 파워레벨 기능을 겸용할 수 있도록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 장치를 무단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기구적 메카니즘을 변경하여 해동시 타이머의 출력제어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정확하게 온, 오프시켜 출력의 강약을 조절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a도는 본 고안에 의해 파워레벨이 “해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1b도는 파워레벨이 “풀”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콘트롤 브래키드(1)에는 시간 예약용 타이머(2)와 파워레벨 기능의 출력레버(16)가 일련 결합되어 있으며 타이머(2)의 내부에는 기어군에 의해 캠돌기(4)가 부설된 타이밍 기어(3)를 회전시키고 상기 캠돌기(4)에 의해 간헐적으로 압력레버(7)를 작동시켜 마이크로 스위치(10)의 버튼(10a)을 온, 오프시키게 된다. 상기 캠돌기(4)의 구성은 180°지점에 돌출되어 있고 이를 하측으로 연장시킨 나선경계면(5)에 따라 상술한 압력레버(7)의 산형단부가 캠돌기(4)의 비접촉면(6)의 상중하측에 접촉됨에 따라 압력레버(7)를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압력레버(7)는 타이머(2)내부에 축지된 샤프트(8)에 삽입되고 그 위로 스프링(9)을 탄성하여 콘트롤 브래키드(1)의 커팅 절곡된 지지편(11)에 결함된다. 시이소 운동을 하는 시이소 레버(12)의 작동에 의해 압력레버(7)가 샤프트(8)의 전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술한 압력레버(7)의 산형단부가 회전하는 타이밍 기어(3)의 나선경계면(5)을 경계로 하여 캠돌기(4)에 닿게되는 접촉면적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온동작을 길게 또는 짧게 가져간다. 또한 상기 캠돌기(4)를 지나면 압력레버(7)의 선단은 마이크로 스위치 버튼(10a)의 스프링 히머에 의해 압력레버(7)를 밀기 때문에 압력레버(7)는 샤프트(8)를 중심으로 약간 회전하여 그 산형단부가 타이밍 기어(3)의 비접촉면(6)에 위치하게 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10)는 오프상태가 된다. 이어서 캠돌기(4)에 접촉하여 압력레버(7)가 마이크로 스위치(10)를 오프시키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10)의 연속적인 온, 오프 동작은 타이머(2)에 예약된 시간까지 이루어지며, 또 압력레버(7)에 접촉된 시이소 레버(12)의 좌측으로 상하 스위치 레버(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 스위치 레버(13)는 콘트롤 브래키드(1)에 축설되어 있고 그 하측에 돌출된 가이드턱(14)이 파워레벨 기능의 출력레버(16)과 일체화된 작동원판(17)의 원호형 가이드편(18)에 삽입되어 파워레벨이 “해동”상태에서는 출력레버(16)의 조절에 따라 회전하는 작동원판(17)의 가이드편(18)을 벗어나지 않으며 작용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b도에서와 같이 출력레버(16)를 “풀”상태로 조절하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원판(17)의 가이드편(18)으로부터 상하 스위치 레버(13)의 가이드턱(14)이 벗어나 작동원판(17)의 돌출턱(17a)이 상하 스위치 레버(13)의 돌출부(15)를 밀어 상술한 압력레버(7)를 작동함과 아울러 마이크로 스위치(10)를 강제로 온시켜 최대출력을 내게 한다. 한편, 제2도는 (a), (b)본 고안의 측면도로서 타이머(2)아래측에는 시이소 레버(12)일단이 출력레버(16)의 작동원판(17)에 형성된 작동캠(20)에 접촉되어 나선면(20a)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시이소 레버(12)의 타단이 압력레버(7)의 반원형돌편(7a)을 밀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상술한 출력레버(16)는 ㄷ자형 브래키드(24)에 고정되어 있다.
제2a, b도는 파워레벨이 “해동”상태와“풀”상태로 나타낸 것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ㄷ자형 브래키드(24)는 콘트롤 브래키드(1)의 고정편(1a)에 의해 부착되며 ㄷ자형 브래키드(24)의 출력레버 고정홀(24a)일측의 스톱퍼(25)가 작동원판(17)의 원형리브(19)내측의 분할편(20)윗쪽으로 삽입되어 출력레버(16)를 180°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4도는 출력레버(16)의 작동캠(20)상면에 반구형 조정홈(21)을 형성하여 출력레버(16)에 삽입되는 판스프링(22)의 엠보싱(23)에 의해 조절된 출력레버(16)가 전자렌지의 가동중이나 기타 외부충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렌지의 전원 스위치를 넣고 음식물의 조리시간에 맞추어 타이머(2)를 예약한다. 다음에 출력레버(16)를 “해동”측으로 맞추어 최저출력을 내게한다. 이때에는 제2a도에서와 같이 출력레버(16)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캠(20)의 나선면(20a)에 접촉된 시이소 레버(12)의 하측이 상승되면서 압력레버(7)를 상승시키게 되며 압력레버(7)의 샤프트(8)에 삽입된 스프링(9)이 압축되게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압력레버(7)의 산형단부가 타이머(2) 내부의 타이밍 기어(3)에 부설된 캠돌기(4)의 상측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타이머(2)의 시간예약에 따라 계속 회전하는 타이밍 기어(3)의 캠돌기(4)의 정점에 압력레버(7)의 산형단부가 접촉될 경우에는 압력레버(7)가 마이크로 스위치 버튼(10a)의 스프링 힘으로 압력레버(7)의 누름부(7b)가 떨어지게 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10)가 오프된다. 즉, 제1a도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 버튼(10a)이 압력레버(8)의 누름부(7b)를 밀게되면 압력레버(7)의 산형단부는 타이밍 기어(3)의 직경이 작은 비접촉면(6)에 의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얻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동작과정중 출력레버(16)의 작동캠(17)이 회전하더라도 작동캠(17)의 원호형 가이드편(18)에 가이드턱(14)이 끼워진 상하 스위치 레버(13)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 상하 스위치 레버(13)의 용도는 출력레버(16)를 풀(Full)상태로 세팅할때 회전하는 작동원판(17)의 가이드편(18)에서 상하 스위치 레버(13)의 가이드턱(18)이 벗어나게 되면 동시에 작동원판(17)의 돌출턱(17a)이 상하 스위치 레버(13)를 밀게됨에 따라 압력레버(7)를 밀어 마이크로 스위치(10)를 계속해서 온상태로 유지하여 최대출력을 발생하게 된다. (제1b도 상술한 출력레버(16)의 풀상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b도에서와 같이 출력레버(16)를 회전시키면 이와 동시에 작동원판(17)및 작용캠(20)이 180°회전한다.
이때 ㄷ자형 브래키드(24)의 스톱퍼(25)가 작동원판(17)의 원형리브(19)내의 분할편(20)에 접촉되므로 더이상 회전할수 없게되며 작동캠(20)의 나선면(21)에 접촉된 시이소 레버(12)의 일측이 하강한다. 이러한 작용은 압력레버(7)스프링(9)의 스프링힘으로 시이소 레버(12)가 상기 작동캠(20)의 나선면(21)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상술한 작동원판(17)의 돌출턱(17a)이 상하 스위치 레버(13)를 밀어 압력레버(7)가 마이크로 스위치(10)를 계속해서 눌러주어 온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시이소 레버(12)가 압력레버(7)와 떨어져 스프링(9)에 의해 시이소 레버(12)가 압력레버(7)와 떨어져 스프링(9)에 의해 압력레버(7)가 하강하여 압력레버의 산형단부가 타이밍 기어(3)의 캠돌기(4)가 없는 아래측 환상면에 닿기때문에 압력레버(7)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와같이 타이머(2)내부의 타이밍 기어(3)에 부설된 캠돌기(4)가 기어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은 일직선으로 나선을 이루면서 폭이 넓어지고 아래측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레버(16)를 해동과 풀의 중간상태에 놓게 되면 작동원판(17)아래의 작동캠(20)의 나선면(21)중간 위치에 시이스 레버(12)가 위치하여 압력레버(7)를 샤프트(8)중위까지 상승시키게 되며 결국 압력레버(7)의 산형단부는 캠돌기(4)의 중간부분에 접촉되어 간헐적으로 오프상태는 약간 짧아지게 되어 음식물의 조리범위가 그만큼 확대되기 때문에 전자렌지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타이머 및 출력을 가변하는 타이머등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출력 레버의 조작에 따라 시이소 작동하는 시이소 레버가 출력 레버의 작동캠 나선면의 상부 하부 중간부에 위치하여 타이머의 압력레버를 조절하여 타이밍 기어의 캠돌기 접촉부위에 의해 전자렌지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출력레버의 세팅이 정확하고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특성에 맞는 온도의 가열하기 때문에 전자렌지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출력레버(16)의 조절에 따라 시이소 레버(12)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출력레버(16)에 작동캠(20)을 구비하여 그의 나선면(21)경사위치에 따라서 시이소 레버(12)가 압력레버(7)를 상하로 움직여 타이머(2)의 시간예약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밍 기어(3)의 캠돌기(4)에 접촉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00)를 온, 오프시키며 상기 캠돌기(4)를 기어 아래측으로 나선경계면(5)을 따라 확대되어 압력레버(7)가 마이크로 스위치(10)를 눌러주는 작용이 변하되며 최대 출력시 마이크로 스위치를 강제로 눌러주도록 출력레버(16)의 작동원판(17)에 원형 가이드편(18)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편(18)에 걸려있는 상하 스위치 레버(13)의 가이드턱(14)이 해제되면서 작동원판(17)에 돌출된 (17a)에 의해 상하 스위치(13)및 압력레버(7)를 연동시킴으로써 마이크로 스위치(10)가 온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장치.
KR2019870019353U 1987-11-09 1987-11-09 전자렌지의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 장치 KR910000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353U KR910000714Y1 (ko) 1987-11-09 1987-11-09 전자렌지의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353U KR910000714Y1 (ko) 1987-11-09 1987-11-09 전자렌지의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185U KR890012185U (ko) 1989-07-15
KR910000714Y1 true KR910000714Y1 (ko) 1991-02-08

Family

ID=1926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353U KR910000714Y1 (ko) 1987-11-09 1987-11-09 전자렌지의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7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793B1 (ko) * 2001-12-24 200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용 타이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185U (ko) 198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6635A (en) Latching push button switch
EP0342307B1 (en) Cooker
JP2514010Y2 (ja) タイマを利用した解凍装置
US3751632A (en) Oven and control circuit therefor
JPS5922133B2 (ja) 蒸気発生器付高周波加熱装置
KR910000714Y1 (ko) 전자렌지의 타이머를 이용한 출력조절 장치
JPS54115448A (en) Cooking device
EP0917404B1 (en)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he door of a microwave oven with radiant lamps
CA1220839A (en) Appliance control and programmer timer therefor
US2388641A (en) Toaster
GB2079057A (en) An electric liquid heating appliance
US4187412A (en) Automatic control for electric heating device
US4853501A (en) Power control device for microwave oven
US6002115A (e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heating apparatus
US4910370A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e-programmed timing device
KR200488089Y1 (ko)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US4798970A (en) Defrosting circuit switch unit for electronic range
US4286246A (en) Heat-up/cool-down bimetal timer for electric toaster
KR101963656B1 (ko)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US2158850A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AU732139B2 (en) Improvements in temperature controllers
EP1324639B1 (en) Control unit for a microwave oven
KR0114931Y1 (ko) 조작장치
JPS6021864Y2 (ja) 高圧切換スイツチ
KR880003969Y1 (ko) 전자레인지의 몸체 걸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