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56B1 -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56B1
KR101963656B1 KR1020180028477A KR20180028477A KR101963656B1 KR 101963656 B1 KR101963656 B1 KR 101963656B1 KR 1020180028477 A KR1020180028477 A KR 1020180028477A KR 20180028477 A KR20180028477 A KR 20180028477A KR 101963656 B1 KR101963656 B1 KR 101963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witch
contact
temperature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박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박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박전자
Priority to KR1020180028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부의 작동에 따른 캠디스크 설정위치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조절이나 가열시간의 설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는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스위치하우징;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지지부재; 상기 스위치지지부재에 접속되는 탄성스냅단자부재; 상기 탄성스냅단자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촉 및 이탈되게 배치되는 접점부재; 상기 탄성스냅단자부재에 결속되고 위치조절부가 돌출된 단자지지레버; 및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설치되고 조작부가 설치되는 스핀들축이 접속되는 축수부와, 상기 축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지지레버를 작동시키도록 캠부가 구비된 캠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설정부; 및 상기 캠부의 회전시에 상기 위치설정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설정위치에 대한 감도를 생성하는 감도생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부의 작동에 따른 캠디스크 설정위치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조절이나 가열시간의 설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조리기기는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밀폐된 조리실 내에 조사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히터를 이용하여 밀폐된 조리실을 가열하여 수납된 음식물을 가열하는 오브(oven), 가열체의 상면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쿡탑(cooktop)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오븐과 쿡탑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전자레인지와는 달리 전기에너지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한다는 점에서 통상 전기레인지로 호칭되고 있다.
그리고, 전기레인지는 미국특허 US4,829,27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의 내부에 히터에 필요한 전원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제어장치는 통상 하이-엔 무한 스위치(Infinite switch)로 호칭되는 장치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제어장치는 탄성스냅단자부재(6)의 접점과 접점부재(38)의 접점(36)이 서로 접촉되어 있게 되면 전원이 도통되어 히터와 같은 버너부의 온(On) 동작에 따라 가열작용이 수행되면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이메탈히팅부재(21)는 일측이 연결단자부(18)에 의해 전원공급부(미도시)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스파이럴 스프링(22)의 접촉되어 전원공급부의 타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전원이 도통 되므로 바이메탈액츄에이터(15)의 가열동작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바이메탈액츄에이터(15)가 가열되면 팽창되면서 탄성스냅단자부재(6)를 하방 가압하게 되고, 그 단부에 형성된 접점(34)이 접점부재(38)의 접점(36)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버너부로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종래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메탈액츄에이터(15)의 수축 및 팽창 동작에 따라 작동되면서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버너부의 온/오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시 버너부의 가열시간 등을 조절할 경우 조작다이얼(미도시)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 조작다이얼이 접속된 세팅스핀들(8)이 회전되면서 캠디스크(40)를 회전시키게 되고, 위치조절부(46)가 캠디스크(40)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되거나 설정홈에 유입되면서 조절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온도제어장치는 고온, 저온 등 온도조절이나 가열시간의 조절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다이얼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설정위치를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어서 온도조절이나 가열시간의 조절이 어려워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불편한 한계점이 있다.
미국특허 US4,829,279호 "전력제어를 위한 전기 스위칭장치" 미국특허 US6,064,045호 "POWER CONTROL UNIT WITH AN APPLIANCE SWITCH CARRYING A SWITCHING CONTACT"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작부의 작동에 따른 캠디스크 설정위치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조절이나 가열시간의 설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는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스위치하우징;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지지부재; 상기 스위치지지부재에 접속되는 탄성스냅단자부재; 상기 탄성스냅단자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촉 및 이탈되게 배치되는 접점부재; 상기 탄성스냅단자부재에 결속되고 위치조절부가 돌출된 단자지지레버; 및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설치되고 조작부가 설치되는 스핀들축이 접속되는 축수부와, 상기 축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지지레버를 작동시키도록 캠부가 구비된 캠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설정부; 및 상기 캠부의 회전시에 상기 위치설정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설정위치에 대한 감도를 생성하는 감도생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캠부의 저면 둘레를 따라 요입되는 위치설정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도생성부재는 상기 위치설정홈에 삽입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가 결속되도록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위치설정홈에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를 구비한 "∩" 형상의 굴곡선형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돌출되는 지지몸체, 상기 굴곡선형부재의 일측 수직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몸체에 요입되는 고정홀, 상기 굴곡선형부재의 타측 수직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몸체에 요입되는 유동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홈의 깊이는 상기 타측 수직부의 미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타측 수직부의 길이보다 큰 치수의 깊이로 요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에 의하면, 조작부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희망하는 설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접촉부재가 위치설정홈 내부에 인입되는 동시에 캠디스크가 위치설정홈의 깊이만큼 미세 이동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미세한 변위를 손가락으로 인지함과 동시에 접촉부재의 인입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접촉음을 통해 청각적으로도 설정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전기레인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온도조절이나 가열시간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4a는 사시도, 도4b는 정면도이다.
도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리사시도,
도5b는 도5a의 요부 확대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로서, 도6a는 위치설정부에 감도생성부재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b는 위치설정부에 감도생성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a 내지 도6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a 내지 도6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2a는 전면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2b는 후면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4a는 사시도, 도4b는 정면도이고, 도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리사시도, 도5b는 도5a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2a 내지 도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는 히터와 같은 버너부(미도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컨트롤 패널(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위치하우징(1), 커버부재(2), 스위치하우징(1)에 내장되는 캠디스크(3), 캠디스크(3)에 접속되는 스핀들축(4), 스핀들축(4)에 접속되어 조작력을 인가하는 조작다이얼과 같은 조작부(5), 및 캠디스크(3)의 작동에 연계하여 작동되는 스위치부(6) 등이 구성되되, 캠디스크(3)의 설정위치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치설정부(7)와 감도생성부재(8)가 더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스위치하우징(1)은 상기한 주요 구성요소들이 내장되는 케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사각틀 형상의 몸체에 캠디스크(3)가 삽입되는 캠삽입홀(12)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2)는 스위치하우징(1)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내측커버플레이트(21)와, 이 내측커버플레이트(21)의 외부에 결합되고 스위치하우징(1)에 결속되는 걸림편(221이 형성된 외측커버플레이트(22)로 구성되어 있다.
캠디스크(3)는 스위치하우징(1)의 캠삽입홀(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스위치하우징(1)의 캠삽입홀(12)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회전력을 인가하는 조작부(5)가 결속되는 축 형상의 축수부(31), 이 축수부(31)의 둘레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단자지지레버(64)를 작동시키는 캠부(32), 후술되는 제1 스위치레버(95)에 접촉 및 이탈되는 보조캠(33)이 구비되어 있다.
캠부(32)는 전기레인지의 종류, 조작방법이나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첨부된 도면에서는 버너부(미도시)가 2개 구성된 듀얼(Dual) 전기레인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캠부(32)에는 위치조절부(642)가 수용되는 고온설정홈이 요입되어 있다. 이 고온설정홈에 위치조절부(642)가 삽일 될 경우 후술되는 조작편(191)이 작동부(192)를 가압하여 메탈히터전원단자(68)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위치결정용 홈의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설정부(7)는 감도생성부재(8)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전기레인지의 종류, 조작방법이나 조건 등에 따라 캠부(32)에 복수 개로 구성되는 구성요소로서, 감도생성부재(8)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위치설정부(7)의 도달여부를 손의 감각이나 미세한 소리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위치설정부(7)는 캠디스크(3)의 미세한 움직임을 통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캠부(32)의 저면 둘레를 따라 요입되는 위치설정홈(71)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설정홈(71)은 캠부(32) 저면에 외주연으로부터 내부 중심을 향해 요입되는 일자형 홈으로 형성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감도생성부재(8)는 캠부(32)의 회전시에 위치설정부(7)에 삽입되면서 인식감도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위치설정홈(71)에 삽입되는 접촉부재(81)와, 이 접촉부재(81)가 결속되도록 스위치하우징(1)에 형성되는 지지부재(8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재(81)는 금속 강선과 같은 선형부재를 "∩" 형상으로 굴곡 형성시킨 굴곡선형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위치설정홈(71)에 삽입, 안착되도록 대응하는 형성된 안착부(811)와, 이 안착부(811)의 일측 및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812,8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82)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하우징(1)의 캠부(32)의 선회 부위에 돌출되는 지지몸체(821), 굴곡선형부재의 일측 수직부(812)가 삽입되도록 지지몸체(821)에 요입되는 고정홀(822), 굴곡선형부재의 타측 수직부(813)가 삽입되도록 지지몸체(821)에 요입되는 유동홈(823), 및 지지몸체(821)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돌부(8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유동홈(823)은 지지몸체(821)의 단부에 노출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깊이는 효과적인 감도의 생성을 위해 타측 수직부(812)의 미동이 가능하도록 타측 수직부(812)의 길이보다 큰 치수로 요입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부(6)는 캠디스크(3)의 작동에 연계하여 작동되는 구성요소들로서,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지지부재(61), 탄성스냅단자부재(62), 접점부재(63), 단자지지레버(64), 바이메탈히팅부재(65), 및 바이메탈액츄에이터(66), 히터전원차단스위치(67), 메탈히터전원단자(68), 연결단자부(69), 탄성부재(91), 스크류고정부재(92), 세트스크류(93) 등이 구비되어 있다.
스위치지지부재(61)는 스위치하우징(1)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스냅단자부재(62), 단자지지레버(64), 바이메탈히팅부재(65), 및 바이메탈액츄에이터(66)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도전성 금속판재로 형성된 "ㄱ"자 형상의 몸체(611)에 플러그핀(612)이 후방으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지지부재(61)는 스크류고정부재(92)의 삽입을 위한 체결홀과, 탄성스냅단자부재(62) 등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돌부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스냅단자부재(62)는 동(Cu)과 같은 도전성 금속박판으로 형성되어 스위치지지부재(61)에 일단이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어 타단으로 외력이 작용되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외력의 해제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스냅단자부재(62)는 스위치지지부재(61)에 일단이 결속되는 스냅단자고정부(621), 일단에 바이메탈액츄에이터(66)가 접촉 및 이탈되고 타단에 제1 접점편(623)이 설치되는 스냅단자작동부(622), 스냅단자고정부(621)와 스냅단자작동부(622)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는 스냅단자탄성부(624)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부재(63)는 도전성 금속박판으로 형성되어 탄성스냅단자부재(62)가 접촉 및 이탈되도록 스위치하우징(1)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플러그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탄성스냅단자부재(62)의 제1 접점편(623)이 접촉되는 제2 접점편(631)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지지레버(64)는 탄성스냅단자부재(62)에 일단이 결속되는 부재로서, 캠부(32)의 캠 작용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면서 탄성스냅단자부재(62)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바이메탈액츄에이터(66)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자지지레버(62)는 막대 형상을 갖는 몸체의 중앙 부분에 캠부(32)의 캠면에 접촉되는 위치조절부(642)가 하방 돌출된 것으로, 위치조절부(642)가 캠부(32)의 직경이 큰 캠면에 올려지게 되면 단자지지레버(62)가 들어 올려지고 바이메탈액츄에이터(66)와 탄성스냅단자부재(62)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져 바이메탈액츄에이터가 조금만 열팽창 되더라도 스냅단자작동부(622)를 눌러 서로 결속되어 있던 제1 접점편(623) 및 제2 접점편(631)을 이탈시켜 버너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반대로 상기한 위치조절부(642)가 상대적으로 캠부(32)의 직경이 작은 캠면에 올려지게 되면 단자지지레버(62)가 내려지게 되고 바이메탈액츄에이터(66)와 탄성스냅단자부재(62)와의 이격거리가 벌어져 바이메탈액츄에이터가 장시간 열팽창 되어야 제1 접점편(623) 및 제2 접점편(631)의 접속상태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바이메탈히팅부재(65)는 스위치지지부재(61)에 연결단자부(69)를 매개로 접속되는 구성요소로서, 전원의 공급시에 발열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바이메탈액츄에이터(66)는 탄성스냅단자부재(62)에 접촉 및 이탈되도록 판상 막대형부재가 굴곡, 형성된 것으로, 바이메탈히팅부재(65)로부터 열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접속되고 자유단에 탄성스냅단자부재(62)에 접촉되는 만곡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이메탈액츄에이터(66)는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진 2개 금속으로 구성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구부러지거나 원위치 되도록 구성된 공지의 바이-메탈(Bi-Metal) 원리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탄성부재(91)은 바이메탈히팅부재(65)에 전기적으로 접속 및 이탈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권선부(911)의 일측 및 타측에 제1 연장선재(912)와 제2 연장선재(913)가 돌출되고 제1 연장선재(912)가 바이메탈히팅부재(65)에 접촉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히터전원차단스위치(67)는 캠디스크(3)의 연속가열 조작시 바이메탈히팅부재(65)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연속가열 모드의 경우 버너부(미도시)의 연속가열을 위해서 탄성스냅단자부재(62)와 접점부재(63)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접점편(623,631)의 접촉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바이메탈액츄에이터(66)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는 바, 이때 바이메탈히팅부재(65)의 가열을 위해 공급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히터전원차단스위치(67)는 단자지지레버(64)에 형성되는 조작편(671)와, 이 조작편(671)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탄성부재(91)가 바이메탈히팅부재(65)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2 연장선재(913)에 조작편(671)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로 형성된 작동부(672)로 구성되어 있다.
메탈히터전원단자(68)는 캠디스크(3)의 회전시 그 외면에 마련된 보조캠(33)과 접촉 및 이탈되면서 작동되고 제2 연장선재(913)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제2 연장선재(913)가 접속된 상태에서 메탈히터전원단자(68)에 구비된 플러그핀(미도시)을 통해 인가받은 전원을 탄성부재(91)을 매개로 바이메탈히팅부재(65)로 전달하는 단자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위치부(6)는 캠디스크(3)의 회전시 보조캠(33)과 접촉 및 이탈되면서 버너부(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레버(95), 제1 스위치레버(95) 및 메탈히터전원단자(68)가 접촉 및 이탈되는 스위치레버단자(96) 및 제2 스위치레버(97) 등이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스위치부재들이므로 세부 구성이나 작용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로서, 도6a는 위치설정부에 감도생성부재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b는 위치설정부에 감도생성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조작부(5)를 조작하게 되면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축(4)를 매개로 캠디스크(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캠부(32)의 캠면에 위치조절부(642)가 올려짐에 따라 단자지지레버(64)가 정해진 각도로 들어 올려지고 바이메탈액츄에이터(66)의 접촉부와 탄성스냅단자부재(162)의 스냅단자작동부(622)는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제1 접점편(623)과 접점부재(63)의 제2 접점편(631)이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접점편(623)과 제2 접점편(631)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면 탄성스냅단자부재(162)을 매개로 스위치지지부재(61)의 플러그핀과 연결된 전극과, 접점부재(63)의 플러그핀과 연결된 전극과의 전기적인 도통 관계가 이루어지므로 버너부(미도시)로 전원이 공급되어 가열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이메탈히팅부재(65)는 일측 단자 부분이 스위치지지부재(61)와 연결단자부(69)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 부분이 메탈히터전원단자(68)와 연결된 탄성부재(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전원이 통전됨에 따라 가열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바이메탈히팅부재(65)의 가열동작이 진행되면서 바이메탈액츄에이터(67)가 열팽창에 따라 신장하게 되면 탄성스냅단자부재(62)의 스냅단자작동부(622)를 누르게 되고 제1 접점편(623)과 제2 접점편(631)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서 전원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버너부(미도시)가 오프되면서 가열동작이 중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5)를 조작하여 버너부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고온, 저온 등 온도조절이나 가열시간의 조절를 위해 위치 설정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5)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축(4)를 매개로 캠디스크(3)가 회전하게 되므로 캠부(32)의 저면에 형성된 위치설정홈(71)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작부(5)를 회전하는 과정에서 희망 설치위치에 형성된 위치설정홈(71)이 감도생성부재(8)에 도달되면,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81)의 안착부(811)가 위치설정홈(71) 내부에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캠부(32)는 위치설정홈(71)의 깊이만큼 미세하게 캠삽입홀(12)를 향해 이동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미세한 변위를 손가락으로 인지함과 동시에 이동과정에서 생성되는 미세한 접촉음을 통해 청각적으로도 설정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작부(5)로 적용된 조작다이얼을 회전시키면서 희망하는 설정위치에 캠디스크(3)를 위치시키면서 온도조절이나 가열시간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스위치하우징 2:커버부재
3:캠디스크 32:캠부
4:스핀들축 5:조작부
6:스위치부 61:스위치지지부재
62:탄성스냅단자부재 63:접점부재
64:단자지지레버 65:바이메탈히팅부재
66:바이메탈액츄에이터 67:히터전원차단스위치
68:메탈히터전원단자 69:연결단자부
7:위치설정부 71:위치설정홈
8:감도생성부재 81:접촉부재
82:지지부재 91:탄성부재
92:스크류고정부재 93:세트스크류
95:제1 스위치레버 96:스위치레버단자
97:제2 스위치레버

Claims (4)

  1.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스위치하우징;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지지부재; 상기 스위치지지부재에 접속되는 탄성스냅단자부재; 상기 탄성스냅단자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촉 및 이탈되게 배치되는 접점부재; 상기 탄성스냅단자부재에 결속되고 위치조절부가 돌출된 단자지지레버; 및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설치되고 조작부가 설치되는 스핀들축이 접속되는 축수부와, 상기 축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지지레버를 작동시키도록 캠부가 구비된 캠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설정부; 및 상기 캠부의 회전시에 상기 위치설정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설정위치에 대한 감도를 생성하는 감도생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캠부의 저면 둘레를 따라 요입되는 위치설정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도생성부재는 상기 위치설정홈에 삽입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가 결속되도록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위치설정홈에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를 구비한 "∩" 형상의 굴곡선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돌출되는 지지몸체, 상기 굴곡선형부재의 일측 수직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몸체에 요입되는 고정홀, 상기 굴곡선형부재의 타측 수직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몸체에 요입되는 유동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홈의 깊이는 상기 타측 수직부의 미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타측 수직부의 길이보다 큰 치수의 깊이로 요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KR1020180028477A 2018-03-12 2018-03-12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KR101963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77A KR101963656B1 (ko) 2018-03-12 2018-03-12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77A KR101963656B1 (ko) 2018-03-12 2018-03-12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656B1 true KR101963656B1 (ko) 2019-03-29

Family

ID=6589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477A KR101963656B1 (ko) 2018-03-12 2018-03-12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9279A (en) 1986-11-15 1989-05-09 E.G.O. Elektro-Gerate Blanc U. Fischer Electric switching device, operable for power control
KR20020025685A (ko) * 2000-09-28 2002-04-04 가타오카 마사타카 스위치장치
JP2005063923A (ja) * 2003-07-28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タイムスイッチ
KR20060035498A (ko) * 2004-10-22 2006-04-26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JP2006265910A (ja) * 2005-03-23 2006-10-05 G S K Hanbai Kk スイッチ付き錠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9279A (en) 1986-11-15 1989-05-09 E.G.O. Elektro-Gerate Blanc U. Fischer Electric switching device, operable for power control
JP2631376B2 (ja) * 1986-11-15 1997-07-16 エーゲーオー・エレクトロ・ゲレテ・アーゲー 電気スイッチ装置
KR20020025685A (ko) * 2000-09-28 2002-04-04 가타오카 마사타카 스위치장치
JP2005063923A (ja) * 2003-07-28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タイムスイッチ
KR20060035498A (ko) * 2004-10-22 2006-04-26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JP2006265910A (ja) * 2005-03-23 2006-10-05 G S K Hanbai Kk スイッチ付き錠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 US6,064,045호 "POWER CONTROL UNIT WITH AN APPLIANCE SWITCH CARRYING A SWITCHING CONTA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6029B1 (en) Control device for gas taps
JP2631376B2 (ja) 電気スイッチ装置
JPS6367318B2 (ko)
KR101963656B1 (ko)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GB2125098A (en) Door lock apparatus of microwave cooker
PL187381B1 (pl) Zespół sterowania mocy
US5889259A (en) Toaster oven control assembly
KR200488089Y1 (ko)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US3636490A (en) Thermal cycling heat range switch with wiping action
GB2336255A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energy regulator
JP2500943Y2 (ja) ト―スタの機械的及び電気的制御部材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
US6313445B1 (en) Control for an electrical kitchen appliance with power interruption off feature
CN212673527U (zh) 用于液体加热器具的控制装置、液体加热器装置和液体加热器具
US4111358A (en) Oven control
JPH03233226A (ja) 機器の操作器
EP1565039B1 (en) Microwave oven
JPH10238784A (ja) ガス調理器
RU2210830C1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KR100765337B1 (ko) 전기밥솥용 모드 전환장치
EP0624890B1 (en) Energy regulators
US11810741B2 (en) Increased push travel alternative for energy regulator
JPH0725139Y2 (ja) 温度制御装置を備えた調理器用プラグ
EP0954872B1 (en) Contact terminal arrangement for electrical built-in switching unit
JP4190446B2 (ja) ガス機器のガス量調節装置
KR910005036B1 (ko) 바이메탈 타이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