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639Y1 - 입형 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입형 전기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639Y1
KR910000639Y1 KR2019870000331U KR870000331U KR910000639Y1 KR 910000639 Y1 KR910000639 Y1 KR 910000639Y1 KR 2019870000331 U KR2019870000331 U KR 2019870000331U KR 870000331 U KR870000331 U KR 870000331U KR 910000639 Y1 KR910000639 Y1 KR 910000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inlet
heating
boiler
communica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0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275U (ko
Inventor
신재은
Original Assignee
신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은 filed Critical 신재은
Priority to KR2019870000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639Y1/ko
Publication of KR880015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2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형 전기보일러
제1도는 본 고안의 보일러 외형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전기배선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전기배선로 중에서 심야전원을 이용하는 경우의 배선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서 가열조가 축열조와 상하로 분리된 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가열조가 좌우로 분리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일러 온수축열조 1a : 가열조
2 : 보온층 3 : 저수위감지봉 접속구
4 : 한계스위치 접속구 5 : 팽창관 접속구
6 : 전원표시등 7 : 온수송수구
8 : 누전차단기 9 : 누전표시등
10 : 저수위표시등 11 : 경보벨(누전, 저수위)
12 : 온도계 13 : 배수구
14 : 환수구 15 : 히터
16 : 연통관 17 : 난방부하시스템
18 : 실내온도 감지기 19 : 통수관
본 고안은 전기 보일러에 관한 고안으로 구체적인 특징은, 보온장치가 되어 있는 보일러의 온수축열조를 입형으로 만들어 그상부에 위치한 가열실에 전기히터를 내장케하므로서 온수가열을 효과적으로 하고, 가열된 온수는 온도감지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자동순환 시스템을 이용하여 적정온도에서 난방부하요소에 순환시켜주므로서 에너지 허실이 없는 관리로서 전력손실을 극소화 할수있게 하여 기름보일러와 대비하여도 연료비 격차가 심하지 않은 실용적인 보일러를 얻게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보일러는 일반보일러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보일러를 만들었기 때문에 전기소모가 많아 소비자의 부담이 커서 실용화가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온수가열효과를 높힐 수 있게 히터를 장치하고 온도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축열된 온수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순환계통과 연결시키므로서 필요없이 온수가 순환되는 것을 막아 적정온도의 온수만이 난방부하 요소에 순환될 수 있게하여 소망의 목적이 달성되게한 것인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면이 보온재로 피복된 온수축열조(1)를 입형으로 구성하여 상부에 가열조(1a)를 형성시킨 다음 그속에 전기히터(15)를 냉장시켜 가열케하고, 온수 송수구(7)와 환수구(14) 사이에 난방부하시스템(17)을 접속시켜 환수구(14)에 장치된 순환펌프(P) 입구와 온수송수구(7) 사이에 연통관(16)을 설치하고 연통관(16) 입구와 난방부하시스템 입구로 통하는 온수송수구에 밸브 SV1, SV2를 장치하고, 한계온도감지용 리미트스위치 L1,L2,L3를 부설하여 순환계통을 형성케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온수축열조(1)가 보온이 되어있고, 전기히터가 상측가열조(1a)에 장치되어 있으므로 전기히터에 통전시키면 먼저 가열조내의 물이 가열되어 소정 온도가 되면 대류가 생기게 되고, 이어서 감지스위치 L1에 의하여 순환펌프(P)를 작동시키므로 축열조의 물이 연통관(16)으로 순환되어 전체물이 가열되게 되며, 축열조의 전체물이 상당온도로 상승되면 고온감지 한계스위치(L2)에 의하여 연통관(16)의 밸브 SV1는 닫히고 난방부하시스템 축밸브 SV2가 열리게 되어 난방이 시작될 수 있는 것인데, 계속하여 온도가 상승되면 리미트 스위치 L3가 가열조의 수온을 감지하여 전기히터의 전기를 차단하므로서 필요없는 전기소모를 막아주게 되며, 보일러 계기판에 장치된 공지된 누전차단기와 경보기등의 안전감지장치(제3도)를 활용하면 자동순환 가동이 가능케되고 또한 공지의 심야전기회로(제4도)와 연결하면 값싼 전기에너지로 보일러를 작동시켜 온수를 축열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되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실용성과 경제성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보일러를 얻도록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외면이 보온재로 피복된 입형 온수축열조(1) 상부에 가열조(1a)를 형성시켜 전기히터(15)를 내장시켜 가열케하고, 온수송수구(7)와 환수구(14)에 사이에 난방부하시스템(17)을 접속하되 환수구(14)에 장치된 순환펌프입구와 온수송수구(7)사이에 연통관(16)을 가설하여 연통관(16) 입구와 난방부하시스템 입구로 통하는 온수송수구에 밸브 SV1, SV2와 한계온도감지용 리미트 스위치 L1,L2, L3를 부설하여서된 입형 전기보일러.
KR2019870000331U 1987-01-12 1987-01-12 입형 전기보일러 KR910000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331U KR910000639Y1 (ko) 1987-01-12 1987-01-12 입형 전기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331U KR910000639Y1 (ko) 1987-01-12 1987-01-12 입형 전기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275U KR880015275U (ko) 1988-09-15
KR910000639Y1 true KR910000639Y1 (ko) 1991-01-31

Family

ID=1925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0331U KR910000639Y1 (ko) 1987-01-12 1987-01-12 입형 전기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6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275U (ko) 198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0949A (zh) 蒸汽发生器、有该蒸汽发生器的加热炊具及其控制方法
US4136823A (en)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or limitation of water damage
KR0180211B1 (ko) 전열온수관의 난방방법 및 그장치
US2411675A (en) Water heater
KR910000639Y1 (ko) 입형 전기보일러
CN1719150A (zh) 微波热水装置
US4728780A (en) Heating pipe for panel heaters
JPH0239159Y2 (ko)
KR920000964Y1 (ko) 전열기용 온수 난방기
KR900010338Y1 (ko) 온장고가 부설된 전기온수기
USRE30493E (en)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or limitation of water damage
RU2116580C1 (ru) Электро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KR960005737Y1 (ko) 이동식 온수 보일러
KR870002588Y1 (ko) 보온 물통의 가열장치
JPH0615260Y2 (ja) 給湯器の凍結防止装置
JPS6261852B2 (ko)
KR890002958Y1 (ko) 액상 열매체를 이용한 급속난방장치
KR910000368Y1 (ko) 전기 보일러
GB2250805A (en) Water heating apparatus
JPS5822047Y2 (ja) 液体の昇温用ヒ−タ−装置
RU3809U1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880007974A (ko) 심야전원을 이용한 냉난방겸용 전기보일러 장치
JPS6226425A (ja) 電熱式床暖房装置
BG109366A (bg) Бойлер
CN204026820U (zh) 改进型电磁水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