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88Y1 - 상.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 Google Patents

상.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88Y1
KR910000488Y1 KR2019880015594D KR8815594D KR910000488Y1 KR 910000488 Y1 KR910000488 Y1 KR 910000488Y1 KR 2019880015594 D KR2019880015594 D KR 2019880015594D KR 8815594 D KR8815594 D KR 8815594D KR 910000488 Y1 KR910000488 Y1 KR 910000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icycle
angle
support body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594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길
Original Assignee
안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길 filed Critical 안상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제1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수직단면도.
제3a도는 제2도의 A부분 확대도, (b)는 동도(同圖)의 B부분 확대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전거용 핸들 4 : 고정편
14 : 수직공 16 : 나사공
18 : 괘지홈 20 : 괘지핀
22 : 나선부 24 : 작동축
본 고안은 상.하로 각도조절을 가능토록한 자전거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즉, 지지몸체에 상.하로 회동가능케 설치된 핸들바아의 기어 사이에는 그 기어의 치합작용을 억지하는 스톱퍼용의 고정수단을 회동 가능케 착설하여, 핸들의 각도조절을 쉽게 행하면서 핸들의 각도 보전을 보다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대한 선행기술로써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47-16092호에 개시된 ″자유롭게 각도를 변결할 수 있는 자전거 핸들″이 있으나, 이는 핸들의 각도조절을 행함에 있어, 핸들에 설치된 기어와 치합되게끔 그 기어의 하부에 승강간에 지지된 상태로 있는 기어판을 눌러서 이탈시킴으로써 핸들의 각도조절을 행하는바, 핸들의 각도조절을 행함에 매우 힘들고, 핸들자체의 각도 보전력이 약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원 고안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키 위한 것으로, 핸들의 각도조절을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는 변환 시킴과 아울러 각도 조절된 핸들의 지탱력을 견고하게 한 잇점을 제공함에 있고, 또한 본고안의 구성 부품을 생략하여 보다 콤팩트화한 잇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즉, 본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키 위하여 상.하부를 서로 상위한 길이로서 절결한 ″ㄱ″자상 지지몸체 내부공간 에는, 선단에 스퍼어 기어가 설치된 2개의 좌.우측 핸들 바아를 그 기어가 상호 치합되어 회동가능하게끔 축착하여, 기어의 치합작용으로 핸들바아의 각도를 상,하부로 조절가능토록 구성한 자전거용 핸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에 형성한 나사공에는, 나선부가 요설된 작동축을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동 가능케 나합하며, 작동축의 하단에는 상기한 기어와 기어의 교합치 사이로 밀착되게 위치되는 삼각형상 고정편을 수직공을 개재하여 삽입후, 그 작동축에 요설된 괘지홈으로는 괘지핀을 괘지하여 고정편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를 상위한 길이(ℓ)(ℓ')로서 절결한 ″ㄱ″자상 지지몸체(10)의 내부 공간으로는 좌.우측 핸들바아(12)(12')의 일측단면(彖面)부에 형성한 스퍼어 기어(8)(8')가 상호 치합되게 삽입하여, 좌.우측 핸들바아(12)(12')의 일단 부위를 핀(6)(6')추지에 의해 상.하소정 각도(θ)위치로 회동가능케하고, 상기 지지몸체(0) 상부에 형성한 나사공(16)으로는 양 기어(8)(8')의 교합치(齒)사이로 견고하게 삽입당접되어서 상기 기어(8)(8')의 맞물림 회전을 억지하는 삼각형상 고정편(4)과, 이 고정편(4) 중앙에 형성한 수직공(14)내에 삽입하여 하단에 형성한 반구상 괘지홈(18)으로 결착되는 괘지핀(20)에 의해 괘지되는 나선부(22)가 요설된 작동축(24)과로 부터 구성된 고정구(2)를 상.하로 작동가능하게 나합하여 좌.우측 핸들바아(12)(12')를 임의의 각도(θ)위치에서 고정토록하며, 상기 작동축(24)이 나사공(16)에서 심한 충격으로도 유리(遊離)도지 않도록 하고져 작동축(24)에 지지 스프링(26)을 탄삽하여 고정한 것으로 부터 구성된 자전거용 핸들(1)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28)(28')는 손잡이, (30)은 상기 고정구(2)의 작동축(24)상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는 자전거용 에어크락숀, (32)는 지지몸체(10)가 나착되는 자전거의 포오크(Fork Bladers)의 상단 일부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통시에는 제1도 및 제2도의 위치로 있는 자전거용 핸들(1)을 경기용 사이클 기분을 내기 위하여 제1도의 가상선 위치인 하부 임의의 각도(θ)로 이루게끔 조절하고져 함에는 지지몸체(10)상부에 위치된 에어크락숀(30)을 손으로 차지하여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서서히 돌리는 것에 의해, 그 에어크락숀(30)에 상단부위가 일체로 고착된 고정구(2)의 작동축(24)로 나사공(16)을 개재하여 상부로 진행되게 하고, 동시에 작동축(24) 하단에 괘지핀(20)에 의해 괘지된 삼각형상 고정편(4)역시, 양 기어(8)(8')의 사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서 화살표 방향(제3a도참조)으로의 맞물림 회전력을 지지하고 있던 상태로 있다가 제3a도의 가상선 위치로 상승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1)의 좌.우측 바아(12)(12')중 어느쪽이던 일측바아(12)또는 (12')의 손잡이(28)또는 (28')를 잡고서 하방으로 가볍게 누르면, 그 핸들바아(12)(12')에 형성된 스퍼어 기어(8)(8')들의 맞물림 회전으로 좌.우측 핸들바아(12)(12')는 동시에 하부위치(제1도의 가상선 위치)인 소정각도(θ)로 변위된다.
이와 같은 조작으로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즉시, 지지몸체(10)에 나합된 고정구(2)를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토록 조작함에 의해, 그 고정구(2)의 고정편(4)이 다시 하방으로 진행되게 하여 원래 위치인 기어(8)와 (8')와의 교합치 사이로 위치토록 하므로써, 좌.우측 핸들바아(12)(12')를 원하는 하방위치에서 고정하면 된다.
이는, 고정편(4)이 양 기어(8)(8') 사이에 삽입되어 치면(齒面)과 밀착되는 쐐기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좌,우측 핸들바아(12)(12')에 어떠한 힘이 가하여 지더라도, 상기 기어(8)(8')의 화살표 방향(제3a도참조)으로의 맞물림 회전력은 저지되는 것이며, 따라서 핸들바아(12)(12')는 소정 각도(θ)위치에서 항시 견고하게 정위치로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법과는 반대로 핸들(1)을 상방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 방법으로 반복조작 하면 된다.
핸들(1)의 최대 상승각도(θ)는 대략 60°이고, 하방으로의 최대 절접각도는 대략 90°이다.
이는 지지몸체(10)에 형성된 상.하부 절결 폭길이(ℓ)(ℓ')가 상위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정구(2) 작동축(24)에 지지스프링(26)을 탄삽하여 고정한 것은 자전거(미도시)를 사용함에 도면 불량으로 진동동 충격이 핸들(1)에 전달되는 경우, 상기 작동축(24)이 지지몸체(10)나사공 (16)으로 부터 플러져서 이완되는 일이 없도록 고정지지해주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고안은 자전거용 핸들의 상.하 각도조절을 작동축을 회동시킴으로 단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도조절이 편리하며, 또 기어의 치합 사이로 삼각형상의 고정편을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핸들바아 각도위치를 흔들림 없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토록 할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하부를 서로 상위한 길이(ℓ)(ℓ')로서 절결한 ″ㄱ″자상 지지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상단에 스퍼어기어(8)(8')가 설치된 2개의 좌.우측 핸들바아(12)(12')를 그 기어(8)(8')가 상호 치합되어 회동 가능하게끔 축착함에 의해, 기어의 치합작용으로 핸들바아의 각도를 상.하로 조잘가능토록 구성한 자전거 핸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0)의 천정벽에 형성한 나사공(16)에는 나선부(22)가 요설된 작동축(24)을 스프링(26)에 지지시킨 상태로 상.하로 축선 이동가능케 나합하며, 상기 작동축(24)의 하단에는 상기한 기어(8)과(8')의 사이로 밀착되게 위치되는 삼각형상 고정편(4)을 수직공(14)을 개재하여 삽착후, 그 작동축(24)하단의 괘지홈(18)으로는 괘지핀(20)을 괘지하여 그 고정편(4)을 이탈되지 않게 고정함에 의해, 핸들바아를 견고히 지지함과 아울러 각도조절이 편리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KR2019880015594D 1988-09-23 1988-09-23 상.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KR9100004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074U KR910000487Y1 (ko) 1988-09-23 1988-09-23 상.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88Y1 true KR910000488Y1 (ko) 1991-01-25

Family

ID=192795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074U KR910000487Y1 (ko) 1988-09-23 1988-09-23 상.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KR2019880015594D KR910000488Y1 (ko) 1988-09-23 1988-09-23 상.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074U KR910000487Y1 (ko) 1988-09-23 1988-09-23 상.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100004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268A2 (ko) * 2008-01-10 2009-07-16 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989B1 (ko) * 2008-06-03 2011-04-13 최인섭 자전거용 핸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268A2 (ko) * 2008-01-10 2009-07-16 자전거
WO2009088268A3 (ko) * 2008-01-10 2009-11-05 Choi In Sup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599U (ko) 1990-04-02
KR910000487Y1 (ko) 199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5704A (ja) プレートリフト器具用の汎用型ねじ回し機支持体、この支持体を取り付けられた器具、および実装方法
JPS5924621Y2 (ja) 操作レバ−装置
EP1666333A4 (en) DIRECTION CONTROL DEVICE WITH ELECTRICAL ENERGY
KR910000488Y1 (ko) 상.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핸들
KR940005356A (ko) 공구 홀더에 공구를 로크 및 해제시키는 장치
KR890700094A (ko) 자전거용 브레이크 레버장치
CN2633728Y (zh) 摩托车用可调手把机构
JPH0232558Y2 (ko)
KR100192286B1 (ko) 톱날 지지대 상,하 조절장치
JPH0313115Y2 (ko)
CA2248452A1 (en) Assisted steering linkage for a riding power trowel
KR920004552Y1 (ko) 선풍기의 좌, 우선회 조정장치
JPH0511112Y2 (ko)
KR940003517Y1 (ko) 어자스트 테이블 렌치
KR200244069Y1 (ko) 페달이 설치된 킥보드
JPH0650301Y2 (ja) 自転車サドル移動支持装置
JP2000289674A (ja) 折り畳み自転車
CA1291938C (en) Four-wheeled t-handlebar invalid carriage
JPS6243908Y2 (ko)
JPH0448888Y2 (ko)
KR960009307Y1 (ko) 진공청소기의 방향전환 브러쉬장치
JPS645111Y2 (ko)
JPH0335335Y2 (ko)
JPH0262024U (ko)
JPS63101432U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