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57B1 -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 - Google Patents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57B1
KR910000457B1 KR1019880018190A KR880018190A KR910000457B1 KR 910000457 B1 KR910000457 B1 KR 910000457B1 KR 1019880018190 A KR1019880018190 A KR 1019880018190A KR 880018190 A KR880018190 A KR 880018190A KR 910000457 B1 KR910000457 B1 KR 910000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hormone
human growth
hgh
expression vector
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974A (ko
Inventor
조중명
이용범
이태규
박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키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키,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키
Priority to KR101988001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457B1/ko
Publication of KR90000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
제1도는 인간성장호르몬의 cDNA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서열을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 pBR-HGH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장균 발현 운반체로의 크로닝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도시한 것이며,
제5도는 본 발명의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함유하는 대장균의 추출물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전공학적인 방법에 따라 대장균을 발현체로 하여 안전한 인간성장호르몬을 대량 생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에 관한 것이다.
인간성장호르몬(Human Growth Hormone)은 191개의 아미노산기로 구성되는 분자량 약 21,500의 펩타이드 호르몬으로서, 주로 왜소증(倭小症)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Robin, M.S., Clim. Endocr., 18, 901(1985)).
종래에는 주로 교통사고나 질병으로 사망한 인간의 뇌하수체로부터 인간성장호르몬을 추출 정제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그 양이 크게 제한되어 있어서 모든 왜소증 환자에게 공급되지 못하였으며 가격 또한 높아 사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사망한 인간의 뇌하수체로부터 추출 정제한 인간성장호르몬을 투여받은 4명의 어린이가 밝혀지지 않은 괴질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사망하고 사고가 발생하는 등 그 사용에 문제점이 있었는 바, 미국식품의 약국(FDA)에서는 상기의 방법과 같이 사망한 인간의 뇌하수체로부터 추출정제한 인간성장호르몬의 사용을 금지시켰다(Science, 234, 22(1986)).
한편, 인간성장호르몬의 다른 제조방법으로서, 화학적 합성이나 조직 배양법 또는 기타 유전자 조합에 의해 미생물 배양법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들 방법 역시 수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의 불합리로 가격이 상승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유전공학적인 방법에 따라 효모를 발현체로 하여 안전한 인간성장호르몬을 대량 생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를 발명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모에서 인간성장호르몬을 발현시키는데 유용한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trp 발현 운반체를 제한효소 Hpa I과 Sal I으로 절단시켜 얻은 2.2키로 염기쌍의 핵산 절편과,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가 포함된 벡터를 제한효소 Nde I과 Sal I으로 절단시켜 얻은 581 염기쌍의 절편, 및 인공 합성링커로 구성된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간성장호르몬 cDNA 라이브러리를 작성하기 위해, 우선 인간성장호르몬을 분비하는 조직세포인 뇌하수체로부터 Chirgwin et al. (Biochemistry, 18, 5294(1979))의 방법으로 poly(A)+RNA를 분리한 후, Okayama, H, & Berg, P. (Mol. Cell Biol. 2 : 161(1982))의 방법으로 이중나선의 cDNA(complementary DNA)를 만든다. 그 다음, 제한효소 EcoR I 부위를 메틸화시키고 EcoR I 링커를 접합시킨 후, 제한효소 EcoR I으로 절단시킨다. 이를 λgt 11에 삽입시켜서, 시험관내에서 페케이징(packaging)시킨 다음, 대장균 Y1088(ATCC 37195)에 형질감염(transfection)시키고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cDNA 라이브러리에서 인간성장호르몬 cDNA 클론을 검색하기 위해, 공지되어 있는 인간성장호르몬 아미노말단의 8개 아미노산(Liu W.K. et al., Biochem. Biophys. Acta, 93, 428(1964), Li C.H. et al., J. Amer. Chem. Soc. 88, 2050(1966))을 이용하여 Suggs et al. (PNAS 78 : 6613(1981))의 방법으로 혼합된 합성탐침을 제조한 후 Benton, W. D. & Davis, R. W. (Science 196, 180(1977))의 플라그 혼성화(Plague hybridization) 방법으로 인간성장호르몬 cDNA 클론을 선별(screening)한다. 선별된 cDNA 클론을 서던블로팅(Southern Blotting : Southern E. M., J. Mol. Biol., 98, 503(1975))으로 확인하며, 생거의 디데옥시방법(Sanger Dideoxy Method : PNAS 74, 5463(1977))으로 염기서열을 확인한다. 확인된 염기서열을 제1도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인간성장호르몬 cDNA의 앞부분에는 시그날 펩타이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발현을 위해서는 이를 제거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국부돌연변이(Site-directed mutagenesis) 방법을 이용하여 인간성장호르몬의 16,17,18번째 아미노산인 -Arg-Ala-His- 위치에 제한효소 Sst I 인지서열인 5′-GAGCTC-3′를, 또한 종료코돈 뒷부분에는 제한효소 Sal I 인지서열인 5′-GTCGAC-3′을 삽입시켰다. 즉 상기의 인간성장호르몬 cDNA을 함유하는 람다파아지로부터 EcoR I-Sma I 절편(710bp)을 분리하여 이를 제한효소 EcoR I/Xba I으로 절단시킨 M13mp18(Bio-Rad's Muta-Gene in vitro Mutagenesis Kit) (Xba I 부위는 클레노우 절편(Klenow fragment)를 이용하여 블런트앤드(blunt end)로 만들었음)에 삽입시켜서 배양한 후, 얻어진 단일가닥 DNA를 주형(template)으로 하고 상기 제한효소 Sst I 인지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primer)와 Sal I 인지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버를 이용하여 DNA를 합성하여서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내에 제한효소 Sst I 및 Sal I 부위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는 발현체로서 효모를 이용하는 바, 상기 제한효소 Sst I 및 Sal I을 갖는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의 제한효소 Sst I 부위 앞부분을 효모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코돈 위주로 설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작 코돈인 ATG 부위와 제한효소 Nco I 부위와 상보적이고 그 반대쪽은 제한효소 Sst I 부위와 상보적이 되도록 고안한 Sco I-Sst I 링커(인공합성링커)로서 윗가닥 36mer(5′-AAC TAG TAC GCA AGT TCA CGT AAA AAG GGT AAT ACA-3′)와 아래가닥 38mer(3′-TTG ATC ATG CGT TCA AGT GCT TTT CCA TTA TGT AT-5′)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즉, 상기 제한요소 Sst I, Sal I 부위를 갖는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M13mp18로부터 Sst I-Sal I 절편(530bp)을 분리하여 이를 상기 Nco I-Sal I 링커와 함께 대장균 운반체 pBR322(ATCC31344)의 Nco I/Sst I 절단부위에 삽입시킴으로써 효모 프로모우터-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종료코돈 카세트를 함유하는 벡터 pBR-HGH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 pBR-HGH의 제조과정을 요약하여 제2도에 도시하였으며, 제조된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 pBR-HGH를 제3도에 도시하였다.
그 다음, Hpa I/Sal I으로 절단시킨 ptrp322H(pDR720의 Sma I-Hind III 절편을 pBR322의 Hind III, Pvu II의 인식부위에 클로닝시켜서 만든 유전자 조작에 편리한 벡터임. pDR720 : Pharmacia #27-4930-01, pBR322 : ATCC 31344)에 Hpa I-Nde I 인공합성 링커와 함께 T4 DNA 리가아제로 접합 반응시킨 후, 대장균 HB101(ATCC33694)에 형질전환시켜서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제4도에 도시하였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함유하는 미생물 Escherichia coli W3110을 한국종균협회에 1988년 12월 27일자 기탁번호 KFCC-10667로 기탁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cDNA 라이브러리 작성 및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의 검색]
인간 뇌하수체 2g을 20ml의 조직 구아니딘 용액(4M 구아니딘 이소시아네이트, 50mM Tris-HCl, pH 7.5, 10mM EDTA, 5% 2-메르캅토에탄올)에 혼합시켜 조직균등기로 균등화(homogenize)시켰다. 이 용액을 12℃에서 10,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시켜(Beckman JA-13 rotor 이용), 상층액을 모은 후, 1/10배 부피의 20% 사코실을 첨가하고 65℃에서 2분간 가열하였다. 여기에 CsCl을 0.1g/ml의 농도로 첨가시킨 후, 이를 9ml CsCl 쿠션(5.7M CsCl, 0.1mM EDTA) 위에 놓고 25,000rpm으로 16시간 원심분리시켰다(Beckman SW-28 rotor 이용), 침전된 RNA를 4℃에서 5mM EDTA, 0.5% 사코실, 5% 2-메르캅토에탄올 용액 3ml에 용해시킨 후 페놀/클로로포름/이소아밀알코올(25 : 24 : 1, V/V/V)로 추출하고 클로로포름/이소아밀알코올(24 : 1, V/V)로 재추출한 다음, 3M 소듐아세테이트를 1/10배 부피로 첨가하고 2.5배 부피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원심분리한 뒤, 침전된 RNA를 증류수에 녹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전체 RNA를 70℃에서 10분간 가열하고, LiCl의 최종농도가 0.5M이 되도록 한 후, 올리고-디-셀룰로오스 크로마토그라피(Type 3, Collaborative Research, USA)로 폴리(A)+RNA를 분리하였다(Aviv. H & Leder P., J. Mol. Biol. 134; 743(1972)).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A)+RNA 10㎍을 65℃에서 5분간 처리시켜 준 다음, 즉시 얼음조에 놓고 20㎕의 5mM dNTPs와 40㎕의 5×PT 완충용액(5×역전사효소 완충용액 : 0.25M Tris-HCl, pH 8.3, 0.5M KCl, 50mM MgCl2), 10㎕의 200mM DTT, 20㎕의 0.5mg/ml 올리고(dT12~18) (Pharmacia Inc., USA), 80㎕의 H2O, 10㎕(10units)의 RNAsin(Promega Biotech, USA)와 20㎕(20units)의 AMV 역전사효소(Life Science Inc. USA)를 첨가한 후 잘 교반시켜 주어, 42℃에서 90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5㎕의 0.5M EDTA(pH 8.0)와 200㎕의 완충페놀을 첨가하여 잘 교반시켜 준 후, 상온에서 10분동안 미량 원심 분리하여 상측액을 얻고, 반응생성물은 1ml의 디에틸에테르로 2회 추출한 다음, 20㎕의 3M 소듐아세테이트와 1ml의 95% 에탄올용액에 첨가하여 cDNA를 침전시켰다.
그 다음, 얻어진 단선의 cDNA를 이중나선의 cDNA로 합성하기 위해, 상기 단선의 cDNA 침전물에 284㎕의 증류수를 넣어 녹인 후, 40㎕의 5mM dNTPs와 80㎕의 5×SS 완충용액, 12㎕의 5mM β-NAD+, 2㎕의 3000Ci-mmol[α-32P]dCTP, 4㎕(4units)의 RNase H, 4㎕(20units)의 E. coli DNA 리가아제 및 10㎕(100units)의 E. coli DNA 폴리머라제 I를 넣고 14℃에서 16시간 반응시켰다. 결과된 반응생성물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페놀 추출 및 에탄올로 침전시켰다. 얻어진 이중나선 cDNA를 블런트앤드로 만들기 위해, 상기 이중나선의 cDNA 침전물에 42㎕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5㎕의 5mM dNTPs와 16㎕의 5×TA 완충용액, 1㎕의 5mM β-NAD+, 4㎕의 RNase A(2㎍/ml, Boiled), 4㎕(4units)의 RNAse H, 4㎕(20units)의 E. coli DNA 리가아제 및 4㎕(8units)의 T4 DNA 폴리머라제를 첨가하고 37℃에서 45분간 반응시켰다. 결과된 반응생성물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페놀 추출 및 에탄올로 침전시켰다.
얻어진 cDNA의 EcoR I 부위를 메틸화시키기 위해, 상기 블런트 앤드를 갖는 이중나선의 cDNA 침전을 25㎕의 증류수에 녹이고 27㎕의 2×메틸라제 완충용액(100mM NaCl, 100mM Tris-HCl, pH 8.0, 1mM EDTA)과 1㎕ 50×SAM(1mg S-아데노실메치오닌을 50×SAM 희석 완충용액(0.14mM 소듐아세테이트, pH 5.2)에 녹인 용액) 및 10㎕(10units)의 EcoR I 메틸라제(Biolabs, USA)를 첨가하여 37℃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결과된 반응생성물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페놀 추출 및 에탄올로 침전시켰다.
그런 다음, 얻어진 메틸화된 cDNA를 2㎕의 1㎍/ml EcoR I 링커(Biolabs, USA)와 800units의 T4 DNA 리가아제(Biolabs, USA)로 4℃에서 하룻동안 반응시켜 cDNA에 링커를 접합시켰다.
EcoR I 링커가 접합된 cDNA를 60units의 EcoR I으로 절단시키고 Sepharose CL-4B 컬럼을 이용하여 잔여 링커를 제거한 다음, EcoR I 링커가 붙은 cDNA의 EcoR I 절편을 λgt 11의 EcoR I 부위에 클로닝하였다. 이를 시험관내에서 패케징하여 (λ in vitro packaging Kit, Amersham Corp., USA), 대장균 Y1088(ATCC37195)에 형질감염 및 증폭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cDNA 라이브러리에서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지닌 람다파아지를 선별하기 위해 프라크 혼성화(plaque hybridization, Benton, W.D. & Davis,. W., Science 196, 180(1977))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탐침으로는 유전자 합성기(Applied Biosystems Model 380B, USA)로 인간성장호르몬 아미노말단의 8개 펩타이드(N-Phe-Pro-Thr-Ile-Pro-Leu-Ser-Arg)를 기초로 하여 혼합된-시퀸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탐침 24mer를 합성하였다. 1차로 선별하여 나온 파아지 플라그를 다시 2차, 3차로 선별하여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지닌 파아지를 순수하게 선별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파아지를 배양하여 DNA를 추출한 후, EcoR I으로 절단시켜서, 1%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하고, 서던 블로팅(Southern, E., J. Mol. Biol. 98, 503(1975))으로 확인하였으며, 또한 EcoR I 절편을 M13mp18에 클로닝시켜 생거의 디데옥시 방법(PNAS 74, 5463(1977))으로 인간성장호르몬 전체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내에 Sst I와 Sal I 인지부위 삽입]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인간성장호르몬 cDNA를 함유하는 람다파아지로부터 EcoR I-Sma I 절편(710bp)을 분리하여, 이를 EcoR I/Xba I으로 절단시킨 M13mp18 대장균 CJ 236(Bio-Rad's Muta-Gene in vitro Mutagenesis Kit)에 삽입시킨 후, 이를 배양하였다. 한편 Sst I 인지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3′-CGA TCA GAG GCT CGA GTA GCA GAC-5′ 및 Sal I 인지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3′-GAC GGG CCC AGC TGA GGG ACA CTG G-5′를 DNA 합성기(Applied Biosystems Inc. Model 380B, USA)를 이용하여 합성한 후 0.1 A260을 취하여 건조시키고, 카이네이즈 반응조건(50mM Tris, pH 8.0, 10mM MgCl2, 10mM DTT, 1mM ATP,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카이네이즈 9units) 하에 37℃에서 40분간 반응시켜서 인산화시켰다. 상기 배양하여 얻어진 단일가닥 DNA를 주형으로 하여 어닐링조건(20mM Tris, pH 7.5m, 2mM MgCl2, 50mM NaCl) 하에서 인산시킨 프라이머를 총 반응액에 10㎕가 되게 혼합시킨 후 70℃의 수조에 넣고 1시간 가량 서서히 식혔다. 여기에 T4 폴리머라제 1unit를 첨가하여 반응조건(500μM 각각 dNTPs, 1mM ATP, 8mM MgCl2, 30mM Tris-HCl(pH 7.4), 2mM DTT, 50mM NaCl) 하에 37℃에서 90분간 반응시켰다. 이를 JM101(ATCC33876)에 형질절환시킨 후 생거의 디데옥시방법으로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효모 발현 운반체로의 클로닝]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의 Sst I의 앞부분을 효모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코돈으로 설계한 후, 시작코돈은 ATG 부위가 Nco I 부위와 상보적으로 반대쪽은 Sst I 부위와 상보적이 되도록 고안된 윗가닥 36mer(5′-AAC TAG TAC GCA AGT TCA CGT AAA AAG GGT AAT ACA-3′)와 아래가닥 38mer(3′-TTG ATC ATG CGT TCA AGT GCT TTT TTC CCA TTA AT-5′)의 Nco I-Sst I 인공합성링커를 합성하였다.
한편,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함유하는 M13mp18으로부터 Sst I-Sal I 절편을 분리하였다. 그 다음, 대장균 운반체 pBR322(ATCC31344)를 Nco I/Sal I으로 절단시키고, 여기에 상기 Nco I-Sst I 링커와 상기 Sst I-Sal I 절편(530bp)을 삽입시켜서(상기 접합반응 참조), 제한효소 Sst I, Nde I 및 Sal I 부위를 갖는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 pBR-HGH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대장균 발현 운반체로의 크로닝 과정]
인간성장호르몬을 대장균에서 trp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대량 발현시키기 위하여, trp 발현운반체 ptrp322H(pDR720의 Sma I-HindIII 절편을 pBR322의 HindIII, PvuII 인지부분에 크로닝시켜서 만든 유전자 조작에 편리한 벡터임. pDR720 : Pharmacia #27-4930-01, pBR322 : ATCC31344)를 제한효소 Hpa I과 Sal I으로 절단시킨 후,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하고 전기용출 및 에탄올 침전시켜 Hpa I-Sal I 절편(2.3kbp)을 얻었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 pBR-HGH로부터 분리된 Nde I/Sal I 절편(2586bp)에, trp 프로모터의 SD배열(5′-AAGG-3′)과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 시작코돈인 ATG 사이의 길이가 9개 염기가 되고, 이 부분에 해당되는 m-RNA 부위에서 2차구조 형성이 안되도록 고안되었으며 양쪽 끝이 제한효소 Hpa I과 Nde I 부위와 상보적이 되도록 고안된 윗가닥 36mer(5′-AAC TAG TAC GCA AGT TCA CGT AAA AAG GGT AAT ACA-3′)와 아래가닥 38mer(3′-TTG ATC ATG CGT TCA AGT GCT TTT TTC CCA TTA TGT AT-5′)를 상기 Hpa I-Sal I 절편과 함께 접합반응조건(60mM Tris-HCl pH 7.5, 10mM MgCl, 10mM DTT, 14℃, 14~16시간)하에 반응시킨 후 대장균 HB101(ATCC33694)에 형질 전환시켜서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얻었다.
[실시예 5]
[대장균 숙주 W3110에서 인간 성장호르몬의 대량 발현 및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에 의한 확인]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대장균 W3110(ATCC27325)에 형질전환시켜서 이를 앰피시린이 40㎍/ml로 포함된 LB배지에서 16시간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이를 M9배지(40mM K2HPO3, 22mM KH2PO3, 8.5mM NaCl, 18.7mM NH4Cl, 1% 글루코오스, 0.1mM MgSO4, 0.1mM CaCl2, 0.4% 카사미노산 10㎍/ml VitB1, 40㎍/ml 앰피시린)로 650nm에서의 흡광도가 0.2가 되도록 희석시킨 후, 37℃에서 진탕배양시키고 650nm에서의 흡광도가 0.4가 되는 지점에서 IAA(Indole Acrylic Acid, Sigma Chemical, USA)를 60㎍/ml되게 첨가한 후 37℃에서 20시간동안 배양하였다. 흡광도 650nm에서 1.0에 해당하는 균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후 10㎕의 라엠리시료 완충용액(Larmmli, D.K.(1970) Nature 227,608)에 녹이고 100℃에서 5분간 가열시켜 얻은 효모추출물 10㎕를 12.5~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전기영동시켰다. 그 결과 제5에 나타내었다.
제5도에서, 1레인은 단백질 표준분자량(Bio-Rad사)으로서 위로부터 43000, 29000, 18400, 14300, 6200 및 2300 dalton이며, 2레인 및 1레인은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함유하지 않는 대장균의 추출물이고, 3레인 내지 10레인은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함유하는 대장균 추출물로서, 3,5,7 및 9레인은 발효 중 IAA를 첨가한 후 7시간 경과한 시점에서의 시료들을 취한 것이고, 4,6,8 및 10레인은 24시간 경과한 시점에서의 시료를 취한 것이다.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3레인 내지 10레인의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함유하는 대장균의 추출물을 전기영동한 결과, 2레인 및 11레인의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함유하지 않는 통상의 대장균의 경우와는 달리 분자량 22,000 dalton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진한 벤드를 보이고 있는바, 인간성장호르몬이 발현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은 유전공학적인 방법에 따라 인간성장호르몬을 대량 생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의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간성장호르몬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없고, 인간에게 사용하기에 안전한 상태로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를 이용함으로써 인간성장호르몬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어짐에 따라 모든 왜소증 환자뿐 아니라 앞으로는 비만증치료, 노화방지, 근육발달, 화상 및 상처의 치료에서 임상실험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trp 발현 운반체를 제한효소 Hpa I과 Sal I으로 절단시켜 얻은 2.2키로 염기쌍의 헥산 절편과,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가 포함된 벡터를 제한효소 Hde I과 Sal I으로 절단시켜 얻은 581 염기쌍의 절편, 및 인공합성링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
  2. 제1항에 있어서, 인공합성링커는36mer(5′-AAC TAG TAC GCA AGT TCA CGT AAA AAG GGT AAT ACA-3′)와 38mer의 아래가닥(3′-TTG ATC ATG CGT TCA AGT GCT TTT CCA TTA TGT AT-5′)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
KR1019880018190A 1988-12-31 1988-12-31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 KR910000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8190A KR910000457B1 (ko) 1988-12-31 1988-12-31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8190A KR910000457B1 (ko) 1988-12-31 1988-12-31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974A KR900009974A (ko) 1990-07-06
KR910000457B1 true KR910000457B1 (ko) 1991-01-25

Family

ID=1928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8190A KR910000457B1 (ko) 1988-12-31 1988-12-31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4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974A (ko) 199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347B1 (ko) 대장균엔테로톡신ⅱ신호펩티드의변형체와인체성장호르몬의융합단백질을발현하는재조합미생물및그를이용한인체성장호르몬의제조방법
KR960016560B1 (ko) 인체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폴리펩타이드 유도체, 이를 코드화하는 dna, dna를 함유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미생물 및 폴리펩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Kushnirov et 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SUP2 (SUP35) gen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Noda et al.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calf cDNA and human genomic DNA encoding α-subunit precursor of muscle acetylcholine receptor
CA1340872C (en) Microbial expression of interleukin ii
Shapiro et al. Expression of Met-(− 1) angiogenin in Escherichia coli: conversion to the authentic< Glu-1 protein
EP0020147B1 (en) A dna transfer vector for human pre-growth hormone, a microorganism transformed thereby, and a method of cloning therefor
CS219257B2 (en) Method of making the eukaryotic protein
EP0130166A1 (en) A recombinant plasmid, a transformant microorganism, a polydeoxy-ribonucleotide segment, a process for producing a biologically active protein, and the protein thus produced
Movva et al. Regulatory region of the gene for the ompA protein, a major outer membrane protein of Escherichia coli
KR960009725B1 (ko) 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클로닝 및 발현
DK171940B1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polypeptider meden C-terminal carboxamidgruppe, polypeptider til anvendelse ved fremgangsmåden, fusionsproteiner deraf og dertil egnede DNA-sekvenser, plasmider og værtsorganismer
US5026639A (en) Method to improve mRNA translation and use thereof for production of platelet factor-4
AU617999B2 (en) A genetic engineerin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giogenins
KR910000457B1 (ko)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trp322H-HGH
EP0303859B1 (en) Cloning of dna encoding antibacterial polypeptide precursor and expression of the precursor
HU197939B (en) Process for producing deoxyribonucleic acid, or its precursor, determining human growth hormone releasing factor
KR910000458B1 (ko)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YLBC-GAP-HGH
EP0622460B1 (en) Plasmid and escherichia coli transformed with it
US4711847A (en) Preparation of secretin
KR910000459B1 (ko) 인간성장호르몬 발현 벡터 pYLBC-A/G-HGH
KR950010817B1 (ko)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에에서 재조합 인간 psti의 제법
KR910000456B1 (ko)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 pBR-HGH
JPS61149089A (ja) Dna塩基配列、ポリペプチド分泌発現ベクター及び形質転換微生物
EP0622459A1 (en) Fused proteins for preparing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analogs,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recombinant plasmids and transformant microorg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