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341Y1 - 드로틀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드로틀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41Y1
KR910000341Y1 KR2019880003953U KR880003953U KR910000341Y1 KR 910000341 Y1 KR910000341 Y1 KR 910000341Y1 KR 2019880003953 U KR2019880003953 U KR 2019880003953U KR 880003953 U KR880003953 U KR 880003953U KR 910000341 Y1 KR910000341 Y1 KR 910000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mover
acceleration
wire
constan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096U (ko
Inventor
쯔또무 도미나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9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2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kidding of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로틀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로틀 제어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속 페달 2 : 가속링크
3 : 가속 와이어 4 : 가속 복귀 스프링
7 : 가속 가동자 10 : 가속센서
11 : 드로틀 링크 12 : 드로틀 와이어
15 : 드로틀 복귀 스프링 16 : 드로틀 가동자
17 : 정속 주행용 와이어 18 : 정속 주행용 클러치
19 : 작동기 20 : 정속주행용 복귀 스프링
21 : 정속 주행용 자동차 24 : 견인용 와이어
25 : 견인용 클러치 26 : 인장 스프링
28 : 중간 디스크 29 : 중간 스프링
31 : 드로틀 센서 33 : 견인용 가동자
본 고안은 가속조작계, 드로틀 조작계, 정속주행 제어계 및 견인 제어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드로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발진 제어에 있어서의 견인 제어는 예를들어 (가) 운전자가 슬립 발생시에 가속 페달을 복귀측으로 조작한다. (나) 안티 스키드 브레이크 제어에 의한 타이어의 슬립억제 제어를 행한다. (다) 정속주행장치등에 의해 드로틀을 교축측으로 제어한다.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드로틀의 교축 제어와 브레이크에 의한 슬립억제 제어는 별개로 행해지고 있었다.
그런데, 자동차의 발진 제어가 부드럽게 행해지기 위해서는 드로틀의 교축 제어와 브레이크에 의한 슬립억제 제어가 별개로 행해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드로틀의 교축 제어와 브레이크에 의한 슬립억제 제어를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총합견인제어에 이용하면 적합한 드로틀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드로틀 제어장치는 가속계와 드로틀계, 정속주행계 및 견인제어계를 와이어에 의해 각각의 가동자에 연결하고, 각계의 가동자를 연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보 고안에 있어서는 통상의 주행제어에서는 가속페달의 답입에 따라 가속 와이어를 거쳐 가속 가동자를 변위시키는 동시에 드로틀 가동자를 드로틀 와이어를 거쳐 변위시키고 드로틀 밸브를 개방시킨다. 또, 정속주행제어에서는 작동기에 의해 정속주행 와이어를 거쳐 정속주행을 가동자와 함께 드로틀 가동자를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 드로틀 와이어를 거쳐 드로틀 밸브 개방도를 제어한다. 또, 견인 제어에 있어서는 가속 페달의 급격한 답입에 의해 슬립이 발생하면 슬립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고, 이 신호에 의해 견인클러치를 온하고, 견인와이어를 거쳐 견인가동자를 변위시키고, 드로틀 가동자를 거쳐 드로틀 밸브 개방도를 상기 가속기 답입시의 개방도를 감속하는 방향으로 제어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은 본 고안에 의한 드로틀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1은 가속페달, 2는 가속페달(1)에 연결된 가속링크, 3은 일단이 가속링크(2)에 연결된 가속와이어, 4는 가속링크(2)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속 페달(1)은 복귀측으로 가압하는 가속복귀 스프링, 5는 가속링크(2)를 초기위치측으로 규제하는 가속 스톱퍼, 6은 상기 가속 와이어(3)를 미끄럼 가능하게 내부 삽입하는 가속 와이어 가이드, 7은 가속 와이어(3)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가속 가동자, 8은 가속 가동자(7)을 초기위치측으로 가압하는 가속 가동자 복귀스프링; 9는 가속 가동자(7)를 초기 위치측으로 규제하기 위한 가속가동자 스톱퍼, 10은 가속 가동자(7)에 구비한 가속 센서이다. 11은 드로틀 밸브(도시않음)에 연결되는 드로틀링크, 12는 일단이 드로틀 링크(11)의 가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드로틀 가동자(16)의 일단에 연결된 드로틀 와이어, 13은 드로틀 와이어(12)를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한 드로틀 와이어 가이드, 30은 상기 드로틀 가동자(16)의 최대 스트로크 위치를 규제하는 드로틀 가동자 스톱퍼, 15는 드로틀 링크(11)의 가동부에 연결되어 드로틀 밸브를 폐쇄방향으로 가압하는 드로틀 복귀 스프링, 14는 드로틀 링크(11)를 초기 위치로 규제하는 드로틀 링크 스톱퍼, 28은 드로틀 가동자(16)의 선단 플랜지(16a)와 접하고 또, 축부(16c)와 동축으로 설치된 중간 디스크로서, 이 중간 디스크(28)와 드로틀 가동자(16)의 후단 플랜지(16b) 사이에 중간 스프링(29)이 장착되어 있다. 31은 드로틀 가동자(16)의 후단 플랜지(16b)에 구비된 드로틀 센서, 17은 일단이 작동기(19)에 연결된 정속 주행용 클러치(18)에 연결되고, 타단이 정속 주행용 가동자(21)에 연결된 정속 주행용 와이어, 20은 상기 정속 주행용 가동자(21)에 연결되고, 이 가동자(21)를 리세트 측에서 가압하는 정속 주행용 복귀 스프링 22는 상기 정속 주행용 가동자(21)를 초기 위치측으로 규제하는 정속 주행용 가동자 스톱퍼, 23은 정속 주행용 와이어(17)를 미끄럼 가능하게 내부 삽입하는 정속 주행용 와이어 가이드, 24는 일단이 작동기(19)에 연결된 견인용 클러치(25)에 연결되고 타단이 견인용 가동자(33)에 연결된 견인용 와이어, 26은 견인용 와이어(24)의 클러치측 와이어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24)를 견인측으로 가압하는 견인 스프링, 27은 상기 견인용 와이어(24)를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하는 견인 와이어 가이드이다.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른 드로틀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I) 통상 주행제어
통상 주행시, 가속 페달(1)이 답입되면 이에 연결된 가속 링크(2)를 거쳐 가속 와이어(3)에 토오크가 전달되고, 가속 와이어(3)를 실선 화살표방향(우측방향)으로 인장한다. 이에 의해 가속 답입력이 복귀 스프링(8)의 가압력을 이기면 가속 가동자(7)는 가속 와이어(3)와 함께 우측 방향으로 변위하고, 중간 디스크(28)를 거쳐 중간 스프링(29)에 수축력을 가하지만 이 스프링(29)은 수축시키지 않고 드로틀 가동자(16)를 우측 방향으로 인장시키기 때문에 드로틀 와이어(12)도 우측 방향으로 인장되어 드로틀 링크(11)를 거쳐 드로틀 밸브(도시않음)를 개방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 결과, 자동차는 드로틀 개도에 대응하여 차속제어된다.
(II) 정속 주행용 제어
정속 주행 상태에 있어서는 정속 주행용 클러치(18)가 온되는 동시에 차속편차에 대응하도록 작동기(19)에 의해 정속 주행용 와이어(17)가 실선 화살표 방향(우측방향)으로 인장 구동되기 때문에 정속 주행용 가동자(21)도 우측방향으로 변위하고 동시에 드로틀 가동자(16)도 우측방향으로 변위시키기 때문에 드로틀 와이어(12)도 우측방향으로 인장되고, 드로틀 링크(11)를 거쳐 드로틀 밸브개도(開度)를 개방 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차속 편차가 없어지면 그때의 드로틀 개도를 유지하여 정속주행 상태가 세트된다.
이 경우의 가속센서(10)의 출력을, S1, 드로틀센서(31)의 추력을 S2라 하면,
정속주행 개시시 S2-S0……………………(1)
정속주행 제어중 S2′=S0±△S ……………………(2)
정속주행 종료시 S2″=S0≒S0……………………(3)
단, S0:목표개도, S′0:제어개도, △S:제어폭이다.
(III) 견인제어
예를들면 수동 주행시의 발진 상태에 있어서, 가속페달(1)의 급격한 답입에 의해 슬립이 발생하면 차량의 구동바퀴와 피구동 바퀴에 회전수의 차이가 생기고 그 회전차이를 슬립 검출 장치로 검출함으로써 슬립 신호가 검출된다. 브레이크 장치의 슬립 검출기에 의해 슬립이 검출되고, 이 슬립 신호에 의해 견인용 클러치(25)가 온되면 작동기(10)의 출력축과 견인용 와이어(24)가 직렬되고 가속페달(1)의 답입량에 관계없이 검출신호가 없어지는 시점까지 작동기(19)는 견인용 와이어(24)를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인장한다. 이때 견인용 자동차(33)는 좌측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기 드로틀 가동자(16)를 거쳐 드로틀 밸브 개도를 가속기 답입시의 개도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어하고, 초기 드로틀 개도에 일치한 시점에서 견인제어를 종료한다.
이 경우의 가속센서(10)의 출력을 S, 드로틀 센서(31)의 출력을 S2라 하면,
견인제어 개시시 S1=S2-S0…………………(4)
견인제어중 S2′=S0-△S …………………(5)
견인제어 종료시 S2″=S0′=S0…………………(6)
단, S0: 초기개도, S′0: 제어개도, △S : 제어폭이다.
또, 견인제어에 있어서, 가속페달(1)을 계속 밟고 있으면 중간 스프링(29)이 수축하고, 이 힘이 가속페달(1)에 전달되고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무겁게 느끼고 가속기를 복귀측으로 작용시키는 경우가 없고 안전하다.
(IV) 초기상태
상기(I) 내지(III)의 모든 제어가 되고있지 않은 무제어상태 또는 전원 오프시에 있어서는 드로틀 밸브는 폐쇄상태 또는 최소 개도 위치도 유지되고 재발진시에 자동차가 난폭 주행하는 위험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통상주행 정속주행 및 견인제어가 실행 가능한 드로틀 제어장치로 되며, 무제어 상태 및 전원 오프시에 있어서는 드로틀 밸브는 밸브개방 또는 최소각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발진시의 난폭주행도 생기지 않고 극히 안전하게 된다. 또, 모든 구동은 와이어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조밀한 배치가 이루어지고, 또 배치의 자유도가 크다. 또, 가속개도(또는 가속 와이어 변위량) 및 드로틀 개도(또는 드로틀 와이어 변위량)는 각각 가속센서 및 드로틀 센서로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드로틀 개도 제어가 행해지기 때문에 제어 정밀도가 대폭 향상된다.

Claims (5)

  1. 가속페달(1)과, 이 가속 페달에 가속 링크(2)를 거쳐서 연결한 가속 와이어(3)와, 상기 가속 페달을 복귀측으로 가압하는 가속 복귀 스프링(4)과, 상기 가속 와이어와, 연결되는 가속 가동자(7)와, 이 가속 가동자를 초기 위치 측으로 가압하는 가속 자동차 복귀 스프링(8)과, 가속 가동자에 구비된 가속 센서(10)와, 드로틀 밸브에 드로틀 링크(11)를 거쳐 드로틀 가동자(16)에 연결되는 드로틀 와이어(12)와, 드로틀 밸브에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드로틀 복귀 스프링(15)과, 작동기(19)에 연결된 정속 주행용 클러치(18)와, 이 클러치와 정속주행용 가동자(21)를 연결한 정속 주행용 와이어(17)와, 정속 주행용 가동자를 초기 위치 측으로 가압하는 정속 주행용 복귀 스프링(20)과, 작동기에 연결된 견인용 클러치(25)와 견인용 가동자(33)를 연결한 견인용 와이어(24)와, 이 견인용 와이어를 견인용 클러치 측으로 가압하는 견인 스프링(26)과, 상기 드로틀 가동자에 구비된 드로틀 센서(31)와, 드로틀 가동자의 양단 플랜지 사이에 장착된 중간 디스크(28)와 드로틀 가동자의 후단 플랜지(16b) 사이에 장착된 중간 스프링(2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틀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속 가동자(17)는 가속 페달(1) 답입시에는 가속 와이어(3)로 인장되고, 중간스프링(29)를 거쳐 드로틀 가동자(16)의 후단 플랜지(16b)에 토오크를 전달시키고, 드로틀 와이어(12), 드로틀 링크(11)를 거쳐 드로틀 밸브를 폐쇄 방향으로 작동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틀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정속 주행용 가동자는 정속 주행시, 작동기(19) 및 클러치(18)를 거쳐 정속 주행용 와이어(17)에 의해 인장되고, 드로틀 가동자(16)의 선단 플랜지(16a)에 걸려서 토오크를 전달하고, 드로틀와이어(12), 드로틀 링크(11)를 거쳐 드로틀 밸브를 소정 개도로 제어할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틀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견인용 가동자(33)는 견인제어시 작동기(19) 및 클러치(25)를 거쳐 견인용 와이어(24)를 인장하고, 드로틀 가동자(16)의 후단 플랜지(16b)에 결합하여 토오크 전달하고, 드로틀 와이어(12), 드로틀링크(11)를 거쳐 드로틀 밸브 개방도를 소정 개도로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틀 제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속복귀 스프링(4), 가속 가동자 복귀 스프링(8), 드로틀 복귀 스프링(15), 정속 주행용 복귀 스프링(20) 및 스프링(26)은 모든 상태에 있어서 드로틀 밸브를 전폐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틀 제어장치.
KR2019880003953U 1987-03-27 1988-03-25 드로틀 제어장치 KR91000034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46356U JPS63154739U (ko) 1987-03-27 1987-03-27
JP46356 1987-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096U KR890019096U (ko) 1989-10-05
KR910000341Y1 true KR910000341Y1 (ko) 1991-01-18

Family

ID=1274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953U KR910000341Y1 (ko) 1987-03-27 1988-03-25 드로틀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58715A (ko)
JP (1) JPS63154739U (ko)
KR (1) KR9100003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0865A (en) * 1989-01-31 1995-03-28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Engine output control apparatus
DE3934738A1 (de) * 1989-10-18 1991-04-2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ii mit einem stellmotor zum eingriff in eine uebertragungseinrichtung
US4950965A (en) * 1989-11-06 1990-08-21 Eaton Corporation Throttle control servoactuator
JP5730636B2 (ja) * 2011-03-25 2015-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92474B (de) * 1968-03-25 1971-08-25 Daimler Benz Ag Einrichtung zum Verhindern des Durchdrehens angetriebener Fahrzeugräd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S58143142A (ja) * 1982-02-19 1983-08-25 Isuzu Motors Ltd 定速巡航装置
JPS5928045A (ja) * 1982-08-05 1984-02-14 Saburo Yanagisawa 自動車用定速走行装置
JPS604427A (ja) * 1983-06-23 1985-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定速走行装置
GB2146384A (en) * 1983-07-30 1985-04-17 Kienzle Lucas Instr Ltd Speed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096U (ko) 1989-10-05
US4858715A (en) 1989-08-22
JPS63154739U (ko) 198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77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eering a vehicle toward an object during a parking operation
US60768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rake system of electric drive vehicles
US4367805A (en) Governing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s
EP0231393A4 (en) OPERATING CONTROL UNIT ALLOWING THE QUICK CONTROL OF THE CHANGE OF DIRECTION IN FRONT OR REAR OF A VEHICLE PROVIDED WITH AN AUTOMATIC TRANSMISSION.
JPH0134822B2 (ko)
JPH086611B2 (ja) 車載エンジン制御装置
JP3526594B2 (ja) 車両の伝動装置中の走行クラッチのつなぎ・切り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H03136929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EP0507466B1 (en) Motor vehicle hill holder system
DE4403351C2 (de) Vorrichtung zur Vorgabe des Drosselklappenöffnungsgrades bei einem automatischen Abstandsregelungs- und Antrieb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S6344093B2 (ko)
JPS62265424A (ja) 被動部材制御装置
US485647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rottle valve
KR910000341Y1 (ko) 드로틀 제어장치
US5199401A (en) Engine throttle servoactuator control system
GB2186024A (en) Automotive engine output control linkage with a wheel slip override
US4776420A (en)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with traction control and cruise control
US20010032047A1 (en) Constant vehicle speed maintaining device for motorcycle
KR900701567A (ko) 모우터 차량 운동 제어장치
JPS62170740A (ja) 内燃機関のための装置
JPH01121523A (ja) スロツトル開度調整装置
DE60206233T2 (de) Elektrische Feststellbremse
US5014806A (en) Throttle control apparatus
JP2932753B2 (ja) 自動定速走行装置
US4862852A (en) Throttle contro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