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238Y1 - 냉장고 증발기도어의 여닫음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증발기도어의 여닫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238Y1
KR910000238Y1 KR2019870022890U KR870022890U KR910000238Y1 KR 910000238 Y1 KR910000238 Y1 KR 910000238Y1 KR 2019870022890 U KR2019870022890 U KR 2019870022890U KR 870022890 U KR870022890 U KR 870022890U KR 910000238 Y1 KR910000238 Y1 KR 910000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evaporator
refrigera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970U (ko
Inventor
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2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238Y1/ko
Publication of KR8900139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9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 증발기도어의 여닫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 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증발기 도어의 여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취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1′ : 걸림턱
2 : 안내판 2′,2″ : 걸림요구
3 : 푸쉬로드 4 : 핀
5 : 탄발스프링 6 : 가이드
6′ : 가이드장공 7′ : 도어축
8 : 증발기도어 8′ : 가이드핀
본 고안은 주로 소형냉장고내에 설치하는 증발기 도어를 냉장고 도어를 열면 자동으로 열릴 수 있게 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수동으로도 열 수 있게 한 냉장고 증발기 도어의 여닫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증발기 도어를 열 경우 먼저 냉장고 도어를 열고 나서 증발기 도어를 수동으로 열어주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증발기에 식품을 넣고 꺼내기 위해서는 한손으로 증발기 도어를 열고서 잡고 있으면서 다른 한손으로 식품을 넣거나 꺼내야 되었다.
따라서, 식품을 넣고 꺼내기 위해 증발기 도어를 여닫을 때에는 두손을 다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하였음은 물론 냉장고 도어가 열려있게 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전력소비가 많아지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냉장고의 내측벽에 고정 착설하는 지지대에 푸쉬로드를 탄발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발되게 결합하고 이 푸쉬로드의 내단에는 가이드를 부설하여 증발기 도어의 축을 가이드에 결합시켜 주므로 냉장고 도어의 여닫음 동작에 따라 증발기 도어가 자동으로 여닫히게 하고, 또 증발기 도어를 열 필요가 없거나, 선택적으로만 열고져 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증발기 도어를 여닫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발기 도어(8)의 도어축(7′) 하부 소정위치에 착설하는 가이드핀(8′)은 가이드(6)의 내단부측에 뚫은 원호상 가이드장공(6′)에 결합하고, 이 가이드(6)의 외단부는 핀(4)으로 푸쉬로드(3)의 내단에 축착 연결하며, 이 푸쉬로드(3)는 지지대(1)를 전후로 관통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탄발스프링(5)을 개재시켜 이에 의해 탄발 전진되게 하고, 이 지지대(1)의 상하면에 절개 연설한 탄성편에는 걸림턱(1′)을 돌출하여 상기 지지대(1)를 안내판(2)에 결합하면 걸림턱(1′)이 안내판(2)의 상하단 전후에 요입형성한 걸림요구(2′)(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7″은 증발기 도어축(7′)의 축받이이고, ″9″는 지지대(1)의 고정보울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냉장고 도어(A)를 열면 증발기 도어(8)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지대(1) 상하면의 걸림턱(1′)이 안내판(2)의 전방 걸림요구(2′)에 걸리도록 지지대(1)의 결합위치를 안내판(2)의 앞쪽으로 이동시켜 주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를 열면 탄발스프링(5)의 탄발력에 의해 푸쉬로드(3)가 전방으로 밀려 나가게 되며, 이렇게 되면 푸쉬로드(3)에 핀(4)으로 축착된 가이드(6)도 동시에 전진되기 때문에 가이드장공(6′)의 내단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핀(8′)이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결국 증발기 도어(8)는 도어축(7′)을 중심으로 상향회전되어 제2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냉장고 도어를 닫으면 도어가 푸쉬로드(3)의 외단을 밀어서 후진시켜 주므로 이에 의해 가이드(6)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증발기 도어(8)는 자체의 하중에 의해 도어축(7′)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어 제2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증발기 도어(8)를 자동으로 여닫을 필요가 없거나, 수동으로 열고져 할 경우에는 지지대(1)의 상하면의 탄성편을 눌러 걸림턱(1′)을 걸림요구(2′)에 이탈시킨 다음 지지대(1)의 결합 위치를 안내판(2)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턱(1′)이 걸림요구(2″)에 걸리게 하여 지지대(1)를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여 주면 탄발스프링(5)은 탄발된 상태로 있게 되고 푸쉬로드(3)는 내측으로 후진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냉장고 도어의 여닫음에 관계없이 증발기 도어(8)는 항상 닫혀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증발기 도어(8)를 수동으로 열고져 할 때에는 종래와 같이 증발기 도어(8)를 손으로 들어 올려 도어축(7′)을 중심으로 가이드핀(8′)이 가이드장공(6′)을 따라 회전되게 하여 주면 수동으로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본 고안은 증발기 도어를 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필요시에는 수동으로 열 수 있게 하였으며, 자동으로 여닫게 하면 두손을 동시에 사용하지 않고도 식품을 꺼낼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또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간을 단축시켜 주게되어 소비전력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증발기 도어(8)의 도어축(7′) 하부 소정위치에 착설하는 가이드핀(8′)은 가이드(6)의 내단부에 뚫은 가이드장공(6′)에 결합하며, 이 가이드(6)의 외단은 핀(4)으로 푸쉬로드(3)의 내단에 축착하고, 이 푸쉬로드(3)는 탄발스프링(5)으로 탄력설치되는 상태로 안내판(2)의 전후면을 관통하게 결합하며, 이 안내판(2)은 냉장고의 내측벽에 고정착설하는 안내판(2)에 전후 이동 자재토록 결합함과 동시에 그 상하면에 절개하여 연설한 탄성편에 돌출시킨 걸림턱상기 안내판(2)의 상하단 전후에 형성한 걸림요구(2′)(2″)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결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증발기 도어의 여닫음 장치.
KR2019870022890U 1987-12-23 1987-12-23 냉장고 증발기도어의 여닫음장치 KR910000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890U KR910000238Y1 (ko) 1987-12-23 1987-12-23 냉장고 증발기도어의 여닫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890U KR910000238Y1 (ko) 1987-12-23 1987-12-23 냉장고 증발기도어의 여닫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970U KR890013970U (ko) 1989-08-09
KR910000238Y1 true KR910000238Y1 (ko) 1991-01-18

Family

ID=1927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890U KR910000238Y1 (ko) 1987-12-23 1987-12-23 냉장고 증발기도어의 여닫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2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513B1 (ko) * 2002-06-28 2008-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증발기 도어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970U (ko) 198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0798436T3 (da) Låseindretning
ES2072001T3 (es) Dispositivo para retener un cajon introducido en un cuerpo de mueble.
KR850004045U (ko) 문짝용 핸들장치
US5452926A (en) Latch assembly
ATE50084T1 (de) Handbetaetigte schnapp-schliesseinrichtung eines miniaturschutzschalters.
US3451702A (en) Latch mechanism
KR910000238Y1 (ko) 냉장고 증발기도어의 여닫음장치
DE3461862D1 (en) Handle device for doors
US4486041A (en) Door handle unit
EP0309239A3 (en) Door mechanisms
US5106131A (en) Self-closing gate latch
JPH0611334Y2 (ja) ラッチ作動型平面ハンドル装置
JPS60129460U (ja) 庫内側解錠可能な冷蔵庫等の仮錠装置
DE3760018D1 (en) Locking device, especially for the door of a cold-storage room
GB75997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or fastenings for refrigerator cabinets, cupboards, or the like
US2919944A (en) Cabinet door latch
JPS5926044Y2 (ja) 扉開放動作装置
JPH0229473Y2 (ko)
KR890002084Y1 (ko) 냉장고 도어의 개폐장치
KR890005618Y1 (ko) 냉장고 도어 오픈 장치
JPS6240038Y2 (ko)
JPS6035723Y2 (ja) 回転開閉式扉のロック機構
KR860003349Y1 (ko) 전자렌지의 도어 개폐장치
KR0119909Y1 (ko) 냉장고용 도어의 열림 및 잠금장치
JP2574787Y2 (ja) 扉用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