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73B1 - 베인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베인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73B1
KR910000173B1 KR1019880000252A KR880000252A KR910000173B1 KR 910000173 B1 KR910000173 B1 KR 910000173B1 KR 1019880000252 A KR1019880000252 A KR 1019880000252A KR 880000252 A KR880000252 A KR 880000252A KR 910000173 B1 KR910000173 B1 KR 91000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chamber
communication path
pressure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391A (ko
Inventor
노부유끼 나까지마
겐이찌 이노마다
시게루 오까다
가즈오 에이다이
Original Assignee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이다가끼 유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이다가끼 유끼오 filed Critical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 F04C28/1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using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3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2/3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2/34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베인형 압축기
제1도-제7도는 본 발명이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베인형 압축기의 일부를 노치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잇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잇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Ⅳ-Ⅳ선에 잇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전가동상태에 있어서의 밸브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일부 가동상태에 있어서의 제5도와 같은 형상의 도면.
제7도는 주름통 고장시에 있어서의 제5도와 같은 형상의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가동상태에 있어서의 밸브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
제9도는 같은 일부 가동상태에 있어서의 제8도와 같은 형상의 도면.
제10도는 같은 주름통 고장시에 있어서의 제8도와 같은 형상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베인형 압축기의 일부분을 노치한 측면도.
제12도는 마찬가지로 전가동상태에 있어서의 밸브기구부분의 확대단면도.
제13도는 마찬가지로 일부 가동상태에 있어서의 제12도와 같은 형상의 도면.
제14도는 마찬가지로 주름통 고장시에 있어서의 제12도와 같은 형상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흡입실(저압실) 19 : 배출실(고압실)
28 : 저압연통로(연통로) 29 : 고압연통로(연통로)
30 : 연통로 33,33' : 밸브기구
34 : 주름통(bellow) 35,35' : 스푸울밸브(spool valve)
39 : 제2환상홈(전가동으로 하는 수단)
43 : 로드(전가동으로 하는 수단)
44 : 모우터(전가동으로 하는 수단)
48 : 보올밸브 51 : 폐쇄체(전가동으로 하는 수단)
본 발명은 예컨데 자동차용 공기조와장치의 냉매압축기로서 사용되는 베인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피압축가스의 흡입량의 조절에 의하여 베인형 압축기의 능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소위 가변용량식 베인형 압축기가 있으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게 설정되었고, 또, 저압실측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신축(伸縮)하는 주름통(bellow)과 그 주름통에 연결된 밸브체를 지닌 저압실측 압력이 조성치 이상일 때에는 주름통이 축소하여 밸브가 배출용량을 제어하는 압력계 통로를 전부 가동상태로, 저압실측 압력이 소정치 이하일 때에는 전술한 주름통이 신장하여 밸브가 압력계 통로를 일부 가동상태로 각각 전환하도록 한 밸브기구를 구비한 구성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소 62-129593호 공보).
그와 같은 종래의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 주름통이 고장나서 그 내·외부가 연통하면, 그 주름통이 신장하기 때문에, 밸브는 압력계 통로를 일부 가동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버리기 때문에 압축기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주름통이 고장나서 그 내·외부가 연통하여도 압축기의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베인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는,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게 설정되고, 또한, 저압실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신축하는 주름통과 그 주름통에 연결된 밸브를 지닌 저압실측 압력이 소정치 이상일 때에는 주름통이 축소하여 밸브가 배출용량을 제어하는 압력계 통로를 전부 가동상태로, 저압실측 압력이 소정치 이하일 때에는 주름통이 신장하여 밸브가 압력계 통로를 일부 가동상태로 각각 전환되도록 한 밸브기구를 구비한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 그 밸브기구에 주름통의 내·외부가 연통하였을 때 압력계 통로를 전부 가동상태로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름통이 고장나서 그 내·외부가 연통하면 압력계 통로가 전부 가동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고정됨에 따라 압축기의 기능이 충분히 확보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제1도-제7도를 기초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며, 이 도면중 (1)은 하우징이고, 일단면이 개구(開口)되는 원통형의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일단면에는 그 개구면을 폐쇄하도록 모울트(도면에 없음)로 부착한 리어헤드(rear head)(3) 등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2)의 프런트(front)측 상면에는 열매체인 냉매가스의 배출구(4)가, 또, 리어헤드(3)의 상면에는 냉매가스의 흡입구(5)가 각기 설정되어 있다. 이것들 배출구(4)와 흡입구(5)는 나중에 설명하는 배출실과 흡입실에 각기 연통되어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펌프본체(6)가 수납되어 있다. 그 펌프본체(6)는 캠링(7)과, 그 캠링(7)의 양측 개구단에는 그 개구면을 폐쇄하도록 장착한 프런트 사이드블럭(8)과, 리어사이드블럭(9) 및 캠링(7)의 조립된 내부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수납한 원형의 로우터(10)와, 이 로우터(10)의 회전축(11)를 주요 구성요소로하고 있으며, 그 회전축(11)은 양 사이드블록(8),(9)에 각기 설치한 베어링(12),(12)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캠링(7)의 내주면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형상을 이루고, 그 캠링(7)의 내주면고 로우터(10)의 외주면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180°편위하여 대칭적으로 공극실(13),(13)이 구획되어 있다.
로우터(10)에는 그 지름방향으로 잇따른 베인홈(14)이 둘레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두로 여러개(예컨데 5개)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들의 베인홈(14)내에 베인(151-155)이 각기 방사방향으로 잇따라서 출몰(出沒)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다.
리어사이드블럭(9)에는 둘레방향으로 180°편위하여 대칭적으로 흡입구(16),(16)가 설치되어 있다(제2도 및 제3도 참조). 이것들 흡입구(16),(16)는 베인(151-155)에 의하여 구분되는 공극실(13)의 용적이 최대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흡입구(16),(16)는 리어사이드블럭(9)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이것들 흡입구(16)를 개재하여 리어헤드(3)와 리어사이드블럭(9) 사이의 흡입실(저압실)(17)과 공극실(13)이 연통되어 있다.
캠링(7)의 양측 주벽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개(예컨데 4개)의 배출구(18)가 각기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18)를 개재하여 케이스(2)의 내주면과 캠링(7)의 외주면 사이의 배출실(고압실)(19)과 공극실(13)이 연통되어 있다. 이것들 배출구(18)에는 배출밸브(20) 및 배출밸브제지구(21)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리어사이드블럭(9)에는 제3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로우터(10)측) 표면에 환상의 요부(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요부(22)내에 원호상의 바이패스포오트(by-passport)(23),(23)가 둘레방향으로 180°편위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되었고, 이것들 바이패스포오트(23)를 개재하여 흡입실(17)과 공극실(13)이 연통되어 있다. 나아가서, 그 요부(22)내에는 바이패스포오트(23),(23)의 개방각을 제어하기 위한 링형 상의 제어부재(24)가 정역(正逆)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그 제어부재(24)의 외주면에는 그 둘레방향으로 180°편위하여 대칭적으로 원호상의 노치부(25),(2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술한 제어부재(24)의 한측면에는 둘레방향으로 180°편위하여 대칭적으로 돌출된 쪼각형태의 수압부재(26),(26)가 일체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수압부재(26),(26)는 바이패스포오트(23),(23)와 연속하여 설치한 원호사의 압력작동실(27),(27)내에 슬라이드할 수있도록 끼워져 있다. 이것들 압력작동실(27)내는 수압부재(26)에 따라 제1실(271)과 제2실(272)로 2분되어 있으며, 제1실(271)은 흡입구(16) 및 바이패스포오트(23)를 개재하여 흡입실(17)에, 제2실(272)은 압축기의 배출용량을 제어하는 압력계 통로를 구성하는 저압연통로(28) 및 고압연통로(29)를 개재하여 흡입실(17) 및 배출실(19)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한편의 제2실(272)과 다른편의 제2실(272)은 연통로(30)를 개재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그 연통로(30)는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리어사이드블럭(9)의 반 로우터측면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된 보스부(9a)에 그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설치된 한쌍의 연통구멍(30a),(30a)과 보스부(9a)의 돌출단면과 리어헤드(3)의 내주면 사이에 구획되게 형성된 환상의 공극실(30b)등으로 되어 있다. 연통구멍(30a),(30a)의 각 일단은 제2실(272),(272)에 각 타단은 환상의 공극실(30b)에 각기 개구하고 있다.
저압연통로(28)와 고압연통로(29)는 리어사이드블럭(9)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재(24)의 한쪽면 중앙부 및 수압부재(26)의 양 단면에 걸쳐서 특수형상의 시일부재(31)가 장착되어있다. 그 시일부재(31)에 의하여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실(271)과 제2실(272) 사이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재(24)의 내·외주면과 리어사이드블럭(9)의 환상요부(22)의 내외주면 사이가 각각 기밀상태로 밀폐되어 있다.
제어부재(24)는 가압부재인 코일스프링(32)에 의하여 바이패스포오트(23)의 개방각을 크게 하는 방향(제3도중 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32)은 흡입실(17)쪽으로 뻗어나온 리어사이드블럭(9)의 보스부(9a)의 외주측에 끼워져 있다. 코일스프링(32)은 그 일단은 보스부(9a)에, 타단은 제어부재(2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저압연통로(28)와 고압연통로(29)에 걸쳐서 밸브기구(33)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기구(33)는 흡입실(17)쪽(저압실측)의 압력에 감응하여 전환작동하는 것으로 주름통(34)과 스푸울밸브(35)와, 그 스푸울밸브(3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6) 등으로 되어 있다. 주름통(34)은 그 내부가 외부에 대하여 밀폐되어 있으며, 그 내부의 압력은 진공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대기압으로 설정되고, 또한, 내부에는 코일스프링(도면에 없음)이 설치되어 있다. 주름통(34)은 흡입실(17)내에 위치하여 그 축선을 회전축(11)의 그것과 평행으로 하여 신축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주름통(34)은 그 바깥쪽, 즉, 흡입실(17)쪽의 압력이 2기압 정도로 균형되어 있어서 흡입실(17)쪽의 압력이 소정치(2기압) 이상인 경우에는 축소하고, 소정치(2기압) 이하인 경우에는 신장한다. 스푸울밸브(35)는 리어사이드블럭(9)에 저압연통로(28)와 고압연통로(29)에 직교 연통시켜서 설치한 구멍(37)내에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스푸울밸브(35)는 그 외주면에 그 축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제1, 제2 및 제3이 환상홈(38),(39) 및(40)을 지님과 동시에 그 내부축의 중심에 잇따라서 호흡용 통로(41)가 설치되어 있다. 주름통(34)쪽의 제3환상홈(40)은 스푸울밸브(35)의 지름방향으로 잇따른 연통로(40a)를 개재하여 호흡용 통로(41)와 연통하고 있다. 스푸울밸브(35)의 한쪽에 형성한 스프링요부(凹部)(35a)와 구멍(37)의 내단면 사이에 코일스프링(36)을 설치하였으며, 또한, 그 스푸울밸브(35)의 타단면은 주름통(34)의 내단면에 맞닿고 있다.
그리고, 흡입실(17)쪽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고, 주름통(34)이 축소상태에 있을 때, 스푸울밸브(35)의 제1환상홈(38)이 고압연통로(29)와 합치함에 따라 그 고압연통로(29)는 개구상태로 됨과 동시에 저압연통로(28)는 스푸울밸브(35)의 주벽에 의하여 폐쇄된다. 또, 흡입실(17)쪽의 압력이 일정한 설정치 이하이고, 주름통(34)이 신장상태에 있을 때 스푸울밸브(35)의 제1환상홈(38)이 고압연통로(29)와 합치하지 않으며, 그 고압연통로(29)는 스푸울밸브(35)의 제3환상홈(40)이 합치함으로서 저압연통로(28)는 열린다. 나아가서, 주름통(34)이 고장나서 그 내·외부가 연통하면, 그 주름통(34)은 최대한으로 신장하고, 제2환상홈(39)이 고압연통로(29)와 합치하면, 저압연통로(28)는 스푸울밸브(35)의 주벽으로 폐쇄된다.
제2환상홈(39)은 주름통(34)이 고장나서 그 내·외부가 연통하였을 때, 압력계 통로를 전부 가동상태로 하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회전축(11)이 차량의 엔진에 관련하여 회전되어서 로우터(10)가 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인(151-155)이 원심력 및 베인배압에 따라 베인홈(14)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하고, 그 선단면이 캠링(7)의 내주면에 미끄럼접합하면서 로우터(10)와 일체로 회전하여 각 베인(151-155)에서 구분된 공극실(13)의 용적을 확대하는 흡입행정에서 흡입구(16)로부터 공극실(13)내에 열매체인 냉매가스를 흡입하여, 그 공극실(13)의 용적을 축소하는 압축행정에서 냉매가스를 압축하고, 압축행정말기의 배출행정에서 그 압축냉매가스의 압력으로 배출밸브(20)가 개방되어서 그 압축냉매가스는 배출포오트(18), 배출실(19) 및 배출구(4)를 순차로 개재하여 도면에 없는 공기 조화장치의 열교환회로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압축기의 작동시에 있어서 저압축인 흡입실(17)내의 압력이 흡입구(16)를 개재하여 양쪽의 압력작동실(27),(27)의 제1실(271),(271)내에 도입되고, 또, 고압측인 배출실(19)의 압력이 고압연통로(29)를 개재하여 양쪽의 압력작동실(27),(27)의 제2실(272),(272)내에 도입된다. 따라서, 제1실(271)내의 압력과 코일스프링(32)의 가압력의 합의 힘(제어부재(24)를 바이패스포오트(23)의 개방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 즉, 제3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힘)과, 제2실(272)내의 압력(제어부재(24)를 바이패스포오트(23)의 개방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힘)의 차이에 따라서 제어부재(24)가 회동하여 바이패스포오트(23)의 개방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힘)의 차이에 따라서 제어부재(24)가 회동하여 바이패스포오트(23)의 개방각을 제어함으로써 압축개시 시기를 제어하여 배출용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압축기의 저속운전시에 있어서는 흡입실(17)내의 냉매가스의 압력(흡입압력)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밸브기구(33)의 주름통(34)은 축소하여 스푸울밸브(35)의 제1환상홈(38)만이 고압연통로(29)에 합치하고, 그 고압연통로(29)가 개구(開口)함과 동시에 저압연통로(28)가 스푸울밸브(35)의 주벽으로 폐쇄된상태(제5도의 상태)에 있으며, 제2실(272)내에 배출실(19)내의 압력이 공급되어 제2실(272)내의 압력이 제1실(271)내의 압력과 코일스프링(36)의 부가력의 합의 힘에 극복되고, 제어부재(24)는 제3도중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운동 한계위치에서 회전운동이 유지되며, 그 제어부재(24)의 노치부(25)는 제3도중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패스포오트(23)와는 합치하지 않아서 그 바이패스포오트(23) 전체가 제어부재(24)에 의하여 페쇄되어 있다(개방각도는 영). 따라서 흡입구(16)로부터 공극실(13)내에 보내진 냉매가스의 모두가 압축되어서 배출되기 때문에 압축기의 배출용량이 최대로 되어 전부 가동상태로 된다.
이어서, 압축기가 고속운전상태로 되면 흡입실(17)내의 흡입압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밸브기구(33)의 주름통(34)이 일정길이 만큼 신장하여 스푸울밸브(35)를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1도중 좌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스푸울밸브(35)의 제3환상홈(40)만이 저압연통로(28)에 합치하며, 그 저압연통로(28)가 개구됨과 동시에 스푸울밸브(35)의 주벽으로 고압연통로(29)가 폐쇄된다(제6도의 상태). 이에 따라 제2실(272)내에의 배출실(19)내의 압력공급은 정지됨과 동시에 제2실(272)내의 압력이 저압연통로(28)를 개재하여 저압쪽인 흡입실(17)내에 누출하기 때문에 제2실(272)내의 압력이 급속하게 저하되며, 그 결과 제어부재(24)는 제3도중 시계방향으로 즉각 회동하여 그 제어부재(24)의 노치부(25)가 제3도중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패스포오트(23)와 합치함에 따라 바이패스포오트(23)가 개구된다. 따라서 흡입구(16)로부터 공극실(13)내에 보내진 냉매가스가 바이패스포오트(23)를 통하여 흡입실(17)로 누출하기 때문에 그 바이패스포오트(23)가 개구한 만큼 압축개시 시기가 늦어져서 공극실(13)내의 냉매가스 압축량이 감소하고, 압축기의 배출용량이 감소하여 일부 가동상태로 된다.
한편, 주름통(34)이 고장나서 그 내·외부가 연통하면 그 주름통(34)은 제6도에 나타낸 상태보다 더욱 신장(伸長)되고,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푸울밸브(35)의 제2환상홈(39)만이 고압연통로(29)와 합치하여 고압연통로(29)가 개구된다. 따라서, 배출실(19)내의 압력이 제2실(272)내에 공급되어 압축기의 배출용량이 최대로 되는 전부 가동상태에서 고정된다. 이와같이, 주름통(34)이 고장나서 그 내·내부가 연통하여도 배출용량을 제어하는 압력계 통로는 전부 가동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압축기의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푸울밸브(35)에 설치한 제2환상홈(39)으로서, 주름통(34)이 고장났을 때에 모두 가동으로 하는 수단을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8도-제10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모우터와 로드로 구성하여도 좋다. 즉, 스푸울밸브(35')는 하나의 환상홈(38')과 호흡용 통로(41') 및 작은 지름부분(42)을 지닌 종래와 마찬가지 것이다. 스푸울밸브(35)가 끼워진 구멍(37)의 내저부에서 로드(43)가 출몰(도면에서 좌우측으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설치하여, 그 로드(43)를 모우터(44)의 정역(正逆)회전으로 전술한 구멍(37)내를 그 축선방향으로 잇따라서 이동이 자유롭도록 한다.
그리고, 주름통(34)이 정상인 상태에 있으면, 로드(43)는 제8도 및 제9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37)의 내저부로부터 구멍(37)의 안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입실(17)내의 흡입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면, 주름통(34)이 축소하여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홈(38')이 고압연통로(29)와 합치하고, 그 고압연통로(29)가 개구됨과 동시에 저압연통로(28)가 스푸울밸브(35')의 주변으로 폐쇄되어 전부 가동상태로 된다.
또, 흡입실(17)내의 흡입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주름통(34)이 신장하여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지름부분(42)이 저압연통로(28)와 합치하여 그 저압연통로(28)가 개구됨과 동시에 고압연통로(29)가 스푸울밸브(35')의 주벽으로 폐쐐되어서 일부 가동상태로 된다.
한편, 주름통(34)이 고장나서 그 내·외부가 연통하면 이것을 검출스위치(도면에 없음)가 검출하여 모우터(44)에 통전하고, 이 모우터(44)가 구동하여 로드(43)가 구멍(37)안쪽으로 돌출하며, 그 로드(43)로 스푸울밸브(35')가 가압되어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홈(38')이 고압연통로(29)와 합치한 상태로 되어 전부 가동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스푸울밸브(35')의 큰 지름 부분과 작은 지름부분(42)의 경계단부(42a)가 스토퍼벽(45)에 맞닿게 되고, 맞닿았음을 검출스위치(도면에 없음)가 검출함에 따라 모우터(44)에 대한 통전이 차단된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밸브기구(33)로서 스푸울밸브를 지닌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1도-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올밸브를 지닌 밸브기구(33')에 대하여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즉, 밸브기구(33')는 하나의 연통로(46)를 지닌 압력계 통로를 전환하는 것으로 주름통(34)과 케이스(47), 보올밸브(48) 및 이 보올밸브(48)를 폐쇄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9)등으로 되어 있다. 보올밸브(48)는 주름통(34)에 그 일단이 연결된 막대(50)의 타단에 맞닿고 있다. 막대(50)의 일단측 외주부에는 테이퍼 형상의 폐쇄체(5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름통(34)이 정상인 상태에 있고, 흡입실(17)내의 흡입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면 주름통(34)이 축소하여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올밸브(48)로 연통로(46)가 폐쇄되어 제2실(272)내의 압력이 제1실(271)내의 압력과 코일스프링(36)의 가압력의 합의 힘에 극복되어 제어부재(24)에 의하여 바이패스포오트(23) 전체가 폐쇄된다(개방각도는 영). 따라서 압축기의 배출용량은 최대로 되어 전부 가동상태로 된다.
또, 흡입실(17)내의 합입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주름통(34)이 신장하여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올밸브(48)가 연통로(46)를 개구하고, 제2실(272)내의 압력이 연통로(46)를 개재하여 흡입실(17)내에 누출하기 때문에 제2실(272)내의 압력이 저하하여 제어부재(24)의 노치부(25)가 바이패스포오트(23)와 합치함에 따라 바이패스포오트(23)가 개구한다. 따라서 바이패스포오트(23)가 개구한 만큼 압축개시 시기가 지연되어 압축기의 배출용량이 감소하여 일부 가동상태로 된다.
나아가서, 주름통(34)이 고장나서 그 내·외부가 연통하면 그 주름통(34)이 제13도의 상태보다 더욱 신장하여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체(51)에 의하여 연통로(46)가 폐쇄됨에 따라 전부 가동상태로 고정된다.
더욱이, 상기한 제8도-제14도에 나타낸 각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도-제7도의 실시예와 동일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혀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는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게 설정되고, 또한, 저압실측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신축하는 주름통과 그 주름통에 연결된 밸브를 지녔으며, 저압실측 압력이 소정치 이상일 때에는 주름통이 축소하여 밸브가 배출용량을 제어하는 압력계 통로를 전부 가동상태로, 저압실측 압력이 소정치 이하일 때에는 주름통이 신장하여 밸브가 압력계 통로를 일부 가동상태로 각각 전환하도록 한 밸브기구를 구비한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 이 밸브기구에 주름통의 내·외부가 연통하였을 때 압력계 통로를 전부 가동상태로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주름통이 고장나서 그 내·외부가 연통하여도 배출용량을 제어하는 압력계 통로는 전부 가동상태로 고정되므로, 압축기의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게 설정되고, 또한, 저압실측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신축하는 주름통(34)과, 그 주름통(34)에 연결된 밸브 등을 지녔으며, 저압실측 압력이 소정치 이상일 때는 주름통(34)이 축소하여 밸브가 배출용량을 제어하는 압력계 통로를 전부 가동상태로, 저압실측 압력이 소정치 이하인 때는 주름통(34)이 신장하여 밸브가 압력계 통로를 일부 가동상태로 각기 전환하도록 한 밸브기구(33)를 구비한 베인형 압축기구에 있어서, 그 밸브기구(33)에 주름통(34)의 내·외부가 연통하였을 때 압력계 통로를 전부 가동상태로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압력계 통로는 여러개의 연통로(30)를 지녔으며, 밸브는 여러개의 연통로(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푸울밸브(35)이며, 전부 가동으로 하는 수단은 스푸울밸브(35)에 설치되었으며, 또한, 여러개의 연통로(30)중의 소정의 연통로응 연통하는 홈(38),(39),(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형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압력계 통로는 여러개의 연통로(30)을 지녔으며, 밸브는 여러개의 연통로(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푸울밸브(35)이며, 전부 가동으로 하는 수단은 스푸울밸브(35),(35')를 강제적으로 전부 가동위치에 이동시키는 모우터(44)와 로드(43) 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형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압력계 통로는 여러개의 연통로(30)을 지녔으며, 밸브는 하나의 연통로(30)를 개폐하는 보올밸브(48)이며, 전부 가동으로 하는 수단은 주름통(34)에 연결되어서 하나의 연통로를 폐쇄하는 폐쇄체(51)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형 압축기.
KR1019880000252A 1987-09-25 1988-01-15 베인형 압축기 KR910000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41554 1987-09-25
JP241554 1987-09-25
JP62241554A JPH0772553B2 (ja) 1987-09-25 1987-09-25 ベーン型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391A KR890005391A (ko) 1989-05-13
KR910000173B1 true KR910000173B1 (ko) 1991-01-21

Family

ID=1707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252A KR910000173B1 (ko) 1987-09-25 1988-01-15 베인형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50815A (ko)
JP (1) JPH0772553B2 (ko)
KR (1) KR910000173B1 (ko)
DE (1) DE382855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4779U (ko) * 1988-11-04 1990-05-15
JPH0739838B2 (ja) * 1990-04-11 1995-05-01 株式会社ゼクセル 可変容量型ベーン型圧縮機の軸受構造
DE19927400A1 (de) * 1998-06-24 1999-12-30 Luk Fahrzeug Hydraulik Hydraulische Fördereinrichtung
US6755625B2 (en) 2002-10-07 2004-06-29 Robert H. Breeden Inlet throttle valve
CN103867447B (zh) * 2014-03-18 2016-03-02 浙江新劲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用控制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437B2 (ja) * 1985-07-19 1994-09-07 株式会社ゼクセル ベ−ン型圧縮機
JPS62129593A (ja) * 1985-11-28 1987-06-11 Diesel Kiki Co Ltd ベ−ン型圧縮機
DE3672476D1 (de) * 1985-12-28 1990-08-09 Diesel Kiki Co Fluegelzellenverdichter mit variabler foerdermenge.
DE3768172D1 (de) * 1986-07-07 1991-04-04 Diesel Kiki Co Trennschieberkompressor mit veraenderlicher foerdermenge.
US4776770A (en) * 1986-12-19 1988-10-11 Diesel Kiki Co., Ltd. Variable capacity vane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28558A1 (de) 1989-04-20
KR890005391A (ko) 1989-05-13
US4850815A (en) 1989-07-25
DE3828558C2 (de) 1994-01-20
JPS6483879A (en) 1989-03-29
JPH0772553B2 (ja) 1995-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272B1 (ko) 가변용량식 베인형 압축기
EP0373269B1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US5993177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improved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US6231316B1 (en) Scroll-type variable-capacity compressor
EP0486120B1 (en) Scroll type compressor
KR900003099B1 (ko) 가변 용량형 베인 압축기
KR900003100B1 (ko) 가변용량식 베인형 압축기
KR870006314A (ko) 가변용량식 베인형 압축기
KR910000173B1 (ko) 베인형 압축기
KR900004610B1 (ko) 베인형 압축기
KR930010467B1 (ko) 가변용량식 베인형 압축기
JPH0730950Y2 (ja) 可変容量型ベ−ン圧縮機
US4890985A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S6149189A (ja) 可変容量型回転圧縮機
JPS63186982A (ja) ベ−ン型圧縮機
KR930006368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
JPS63205493A (ja) ベ−ン型圧縮機
JPH0410395Y2 (ko)
US5350280A (en) Fluid compressor
KR910002785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
JPH0229265Y2 (ko)
JPH0712711Y2 (ja) 可変容量型圧縮機
JPS6316187A (ja) ベ−ン型圧縮機
JPH055271Y2 (ko)
JPH025931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