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06B1 -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 - Google Patents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06B1
KR910000106B1 KR1019870001241A KR870001241A KR910000106B1 KR 910000106 B1 KR910000106 B1 KR 910000106B1 KR 1019870001241 A KR1019870001241 A KR 1019870001241A KR 870001241 A KR870001241 A KR 870001241A KR 910000106 B1 KR910000106 B1 KR 91000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water
freshwater
sea
l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196A (ko
Inventor
황종서
Original Assignee
황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서 filed Critical 황종서
Priority to KR101987000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106B1/ko
Publication of KR88001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4a도는 외해수위가 높을 경우의 선박입항 및 어류소상 상태 설명도.
(b)는 외해수위가 높을 경우의 선박출항 및 어류소하 상태 설명도.
(c)는 외해수위가 낮을 경우의 선박입항 및 어류소상 상태 설명도.
(d)는 외해수위가 낮을 경우의 선박출항 및 어류소하 상태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측면도.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6도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
제7도는 제7도의 C-C선 단면도.
제8a도는 외해수위가 높을 경우의 선박입항 및 어류소상 상태 설명도.
(b)는 외해수위가 높을 경우의 선박출항 및 어류소하 상태 설명도.
(c)는 외해수위가 낮을 경우의 선박입항 어류소상 상태 설명도.
(d)는 외해수위가 낮을 경우의 선박출항 및 어류소하 상태 설명도.
제9a도는 외해수위가 높을 경우의 어류소상 상태 설명도.
(b)는 외해수위가 높을 경우의 어류소하 상태 설명도.
(c)는 외해수위가 낮은 경우의 어류소상 상태 설명도.
(d)는 외해수위가 낮을 경우의 어류소하 상태 설명도.
본 발명은 하구에 용수원 개발을 위하여 설치되는 담수호와 외해사이에 어도(魚道)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외해와 담수호간의 통선로와 어도를 겸하도록 한 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특히 기수역(
Figure kpo00001
水域:해수와 담수가 섞이는 감조구역)인 하구에 용수원 개발을 위하여 담수호를 조성함에 있어서는 댐의 일측에 외해측과 담수호측 통선용 갑문을 설치하여 통선용 갑문을 교호로 개폐하면서 선박이 댐사이의 갑실을 통해 담수호와 외해간의 입.출항을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해의 해수가 용수원이 되는 담수호로 역류하여 담수와 섞이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토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하천하구에는 서식하는 어종이 매우 다양한 바, 용수원 개발을 위하여 담수호를 조성하면, 해산어는 없어지고, 담수어 중 갈겨니, 꺽지등 유수성(流水性) 어류는 담수호 상류로 올라가서 서식하게 되며, 호소성(湖沼性) 어류인 밀자개, 붕어, 잉어등 만이 담수호내에서 서식하게 되고, 하구의 어종의 다양성은 없어지고 일부 호소성어류가 급격한 증가를 보이는 반면 웅어, 황복, 뱀장어, 은어, 숭어, 농어, 학꽁치, 줄꽁치 등 소하성 어종은 소상이 불가능하여 점차 없어지게 된다.
본 발명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하구에 있어서 담수호 조성전에 90여종이었던 어종이 담수호 조성으로 20여종으로 급격히 감소되는 등 자연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경제성 어종인 황복, 숭어, 농어, 은어, 뱀장어 등이 그 수역에서 멸종되며 자연보존과 어민 소득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담수호와 외해사이에 설치되는 통선로(담수호측과 외해측 갑문사이에 조성되는 갑실을 말함)와 별도로 통선로 일측에 어도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어류의 이동을 도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어도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은 막대한 공사비와 인력 및 시간을 요할뿐 아니라 전체어종의 이동 특성에 적합하도록 설치하는데는 기술적 난체가 있으며, 어도운영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종래 어도는 바닥을 계단식으로 하여 유속을 조정한 소위 계단식 어도가 대부분인바, 어류의 특성에 따라서는 어도를 따라 이동할 수 없는 어류가 많다.
예컨대 치어가 소상하여 6-15년간 담수에서 생장한 후 산란을 위해 성어가 심해로 나가는 뱀장어는 유영력은 떨어지지만 어도를 이용하는 능력이 커서 유속만 줄이면 계단식 어도로도 소상할 수 있으며, 치어가 소상하여 담수에서 한해 여름동안 성장한 후 하강하여 하구에 산란하고 죽는 은어는 유영력과 도약력이 커서 어떠한 어도로도 소상할 수 있다.
그러나 웅어, 황복, 줄꽁치, 학꽁치, 꺽정이 등의 어류는 성어가 산란을 위해 소상하고 치어가 연안으로 나가는 유형인바 이들은 유영력과 도약력이 약하여 계단식 어도로는 소상하지 못하며, 숭어, 가숭어, 농어 등의 어류는 치어가 소상하여 성장한 후 가을에 연안으로 나가 성장하고 산란하는 유형인바 이들은 유영력과 도약력이 양호하여 어떠한 어도로도 소상할 수 있으나, 유속이 빠르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종래 계단식 어도로서는 모든 어종에 적합한 어도를 제공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몇몇 경제적 어종에만 적합하게 설계되는 실정이어서 생태계 보전상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계단식 어도를 운영함에 있어서는 1.5-3m3/sec 내외의 유량이 필요하며 1일 16시간씩 연간 4개월을 운영하는 경우 연간 1,000-2,000만m3의 물을 방류하여야 하는 것이며, 운영시기가 영농기, 갈수기와 겹치기 때문에 중.소규모의 담수호의 경우에는 운영이 곤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통선로와 별도의 설치하지 않고 통선로를 어도로써 겸용토록 함으로써 종래 별도의 어도 설치에 따른 막대한 공사비와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전체 어종의 이동에 적합하여 생태계 보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적은량의 담수 방류로서도 어류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어 영농기, 갈수기에도 운영에 지장이 없도록 한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의해(1)측과 담수호(2)측에 각각 안내레일(3)(4)을 따라 승강개폐하는 통선용 갑문(5)(6)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갑실(7)을 조성하며, 통선용 갑문(5)(6)을 교호로 개폐하면서 선박이 외해(1)와 담수호(2) 사이를 통선하도록 한 일반적인 하천하구의 담수호에의 통선설비에 있어서, 담수호 측벽(8)과 갑실측벽(9)에 유인수 방류관(10)을 매설하여 담수호(2)와 갑식(7)을 연통시키며 유인수 방류관(10)의 중간부에 개폐밸브(11)를 설치하여 통선시 또는 어류이동이 많은 시기에 통선문 갑문(5)(6)을 교호로 개폐하면서 유인수 방류관(10)을 통해 담수호(2)로부터 유인수(담수)를 갑실(7)측으로 방류하여 어류가 갑실(7)을 통해 외해(1)와 담수호(2)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통선용 갑문(5)(6)은 일반적인 것에서와 같이 모터와 기어등을 이용한 개폐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개폐하는 것으로 그 구조에 대하여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갑문(5)(6)의 상부에는 차도 내지 인도용 교량을 설치하여 댐(미도시)상의 도로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인바 이는 일반적인 방법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인수 방류관(10)은 갑실(7)의 평균수위 또는 관리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다.
유인수 방류관(1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11)는 전동식 밸브를 사용하며, 갑실(7)의 측벽(7)에 수위센서(14)를 설치하여 수위센서(14)에서의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밸브(11)가 자동적으로 개폐작동하도록 한다.
또한 밸브(11)는 수위센서(14)나 밸브(11)의 전동부(12)의 기능고장시를 대비하여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수동조작 핸들(13)이 설치된 것으로 하며, 수동조작을 위하여 관리인이 밸브(11)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밸브(11)의 작동은 어류의 유인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외해(1)와 갑실(7)의 수위가 담수호(2)의 수위보다 낮을 때 열리고, 양측 수위가 근접하면 닫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수위센서(14)와 제어장치(미도시)를 셋팅하며, 수동조작시에는 관리인이 육안관찰에 의해 개폐시기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하여 하천 하구에 담수호를 설치한 상태에서 통선 및 어류 이동상태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외해(1)의 수위가 담수호(2)의 수위보다 높을 경우 선박이 외해(1)로부터 담수호(2)측으로 입항함에 있어서는 제4a도와 같이, 1단계로 좌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외해측 통선용 갑문(5)을 열어 선박이 쇄선표시 상태와 같이 갑실(7)내로 진입하게 한다음 2단계로 우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외해측 갑문(5)을 닫고 담수호측 갑문(6)을 열어 쇄선표시와 같이 담수호(2)측으로 입항하도록 하며, 출항함에 있어서는 제4도(b)와 같이, 1단계로 우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담수호측 갑문(6)을 열어 선박이 쇄선표시 상태와 같이 갑실(7)측으로 진출하게 한다음 2단계로 좌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담수호측 갑문(6)을 닫고 외해측 갑문(5)을 열어 쇄선표시와 같이 외해(1)측으로 출항토록 한다.
외해(1)의 수위가 담수호(2)의 수위보다 낮을 경우 선박이 입항함에 있어서는, 제4도(c)와 같이, 1단계로 좌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외해측 갑문(5)을 열어 선박이 쇄선표시 상태와 같이 갑실(7)내로 진입하게 한 다음 2단계로 우측 그림의 실선 표시 상태에서 외해측 갑문(5)을 닫고 담수호측 갑문(6)을 열어 쇄선표시 상태와 같이 담수호(2)측으로 입항하도록 하며, 출항함에 있어서는 제4도(d)와 같이, 1단계로 우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담수호측 갑문(6)을 열어 선박이 쇄선표시 상태와 같이 갑실(7)측으로 진출케한 다음 2단계로 담수호측 갑문(6)을 닫고 외해측 갑문(5)을 열어 외해(1)측으로 출항하도록 한다.
상술한 통선과정에서 외해(1)측 어류는 선박의 입항과 아울러 소상하게 되며, 담수호(2)측 어류는 선박의 출항과 아울러 소하하게 된다.
여기서 담수호(2)측 어류가 외해(1)측으로 소항하는 데는 지장이 없으나, 외해(1)측 어류가 담수호(2)측으로 소상하는 데는 단순히 선박입항을 위해 갑문(5)(6)을 교대로 개폐하는 것만으로는 어류의 소상이 미흡하게 된다.
그 이유로서는 선박의 입항을 위해 외해측 갑문(5)을 개방한 상태에서 외해(1)는 물론 갑실(7) 내의 물이 모두 해수 성분을 띄고 있기 때문인 바, 외해측 갑문(5)을 개방한 상태에서 담수호(2)측의 담수를 방류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박이 출입할 할 때 또는 어류의 이동(소상 및 소하 특히 소상)이 많은 시기에 있어서 외해(1)의 수위가 담수호(2)의 수위보다 낮을 경우 외해측 갑문(5)을 개방한 상태에서 밸브(11)를 열어 담수호(2)측의 담수를 유인수 방류관(10)을 통해 외해(1)측으로 방류함으로써 외해측 어류를 갑실(7)내로 유인한 다음, 어류가 최대로 유인되면 외해측 갑문(5)을 닫고, 담수호(2)측 갑문(6)을 열어 유인된 어류가 담수호(2)내로 소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밸브(11)는 외해(1) 및 갑실(7)의 수위가 담수호(2)의 수위보다 낮을 경우 수위센서(14)의 수위 감지신호를 받은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개방되며 수위가 근접하면 폐쇄되도록 하였으므로 갑문(5)(6)을 개폐하는 것만으로 어류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기능 고장을 일으킨 경우에는 관리인이 수위를 관찰하여 수동조작핸들(13)을 돌려서 개폐하면 된다.
상술한 어류의 이동을 유인하는 것은 통선을 위해 갑문(5)(6)을 개폐함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시기적으로 어류의 이동이 많은 경우에는 통선과 무관하게 갑문(5)(6)을 개폐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선로가 되는 갑실(7)을 통해 통선은 물론 어류의 이동을 겸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어도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막대한 공사비와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갑실(7)의 바닥은 계단식이 아닌 자연적인 경사를 가진 평면이므로 일부의 어류만 이동할 수 있는데 그치지 않고 전어종의 이동할 수 있는 어도를 제공할 수 있어 하구 어종의 변화나 멸종될 염려가 없으며 생태계 보존에 기여할 수 있으며, 하구의 담수호 조성으로 하구 주민들이 농업으로 전업하게 되는 일없이 농업과 어업을 겸업으로 할 수 있어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있어 상기 유인수 방류관(10)의 담수호(2)측 단부에 연결관(15)을 연결하여 그 선단을 유인수 방류관(10)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장 설치하며, 유인수 방류관(10)에 방류펌프(16)를 설치하여 수위센서(14)와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밸브(11)가 개방될 때 자동으로 가동되도록 하며, 기능고장을 대비하여 수동조작으로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담수호(2)의 수위가 유인수 방류관(10)보다 낮을 경우에는 방류펌프(16)에 의해 유인수(담수)를 방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타 구성 부분중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선 및 어류 이동 상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같으며, 어류 유인시 밸브(11)만 개방하던 것을 밸브(11)의 개방과 함께 방류펌프(16)를 가동시키는 것이다.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외해측 통선을 갑문(5)과 담수호측 통선용 갑문(6)에 각각 어도공(17)(18)을 설치하고 이를 승강개폐하는 어도 갑문(19)(20)으로 개폐토록 한 것이다.
상기 어도공(17)(18)은 평균수위 내지 관리수위보다 상부에서부터 하부에 이르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어도 갑문(19)(20)은 모터와 기어장치 등의 개폐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 개폐되는 것으로 그 구조는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구성 부분중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류의 소상이 많을 때 통선하는 과정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제8도에서 도시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류의 소상이 많지 않거나 통선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선용 갑문(5)(6)을 개폐하지 않고, 어도 갑문(19))20)을만을 개폐함으로써 어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외해(1)의 수위가 높은 경우 외해(1)측 어류가 담수호(2)측으로 소상함에 있어서는 제9a도와 같이 좌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외해측 어도 갑문(19)을 열어 외해측 어류가 쇄선 표시와 같이 어도공(17)을 통해 갑실(7)내로 이동하게 한다음 우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외해측 어도 갑문(19)을 닫고 담수호측 갑문(20)을 열어 어도공(18)을 통해 담수호(2)로 소상하도록 하며, 담수호(2)측 어류가 외해(1)측으로 소하함에 있어서는 제9b도와 같이 우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담수호측 갑문(20)을 열어 어류가 쇄선표시와 같이 어도공(18)을 통해 갑실(7)내로 이동하게 한다음 좌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담수호측 갑문(20)을 닫고 외해측 갑문(19)을 열어 쇄선표시와 같이 어도공(17)을 통해 외해측으로 소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외해(1)의 수위가 담수호(2)측 수위보다 낮은 경우, 외해(1)측 어류가 소상함에 있어서는 제9c도와 같이 좌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외해측 갑문(19)을 열어 어류가 쇄선표시와 같이 어도공(17)을 통해 갑실(7)내로 이동하게 한다음, 우측 그림의 실선 표시 상태에서 담수호측 갑문(20)을 열어 어류가 어도공(18)을 통해 갑실(7)로 이동하게 한 다음, 좌측 그림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담수호측 갑문(20)을 닫고 외해측 갑문(19)을 열어 어도공(17)을 통해 외해로 소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어류의 이동에 있어서 어류가 담수호(2)측에서 외해(1)측으로 소하하는데는 별다른 지장은 없으나, 외해(1)측에서 담수호(2)측으로 소상하는 경우에는 외해측 갑문(19)을 개방한 상태에서 외해(1)는 물론 갑실(7)내의 물은 해수 성분이 대부분이므로 담수를 찾아 소상하려는 어류가 유인되지 않게 되므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인수를 방류하여 어류를 유인하는 것이다.
즉, 외해(1)의 수위가 담수호(2)측 수위보다 낮을때 외해측 갑문(17)을 열어 유인수 방류관(10)을 통해 담수호(2)측 담수호(2)측 담수를 유인수로서 갑실(7)와 외해(1)측으로 방류시켜 외해(1)측 어류가 유인되어 외해측 어도공(17)을 통해 갑실(7)내로 이동하도록 유인한 다음 갑실(7)내에 어류가 최대로 유인되면 외해측 갑문(19)을 닫고 담수호(2)측 갑문(20)을 열어 유인된 어류가 어도공(18)을 통해 담수호(2)측으로 소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외해(1)측과 담수호(2)측에 각각 통선용 갑문(5)(6)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갑실(7)을 조성한 것에 있어서, 담수호 측벽(8)과 갑실측벽(9)에 유인수 방류관(10)을 매설하여 그 중간에 전동부(12)와 수동조작핸들(13)에 의해 개폐되게 개폐밸브(11)를 설치하고, 갑실 측벽(9)에 수위센서(14)를 설치하여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전동부(12)를 작동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수 방류관(10)의 담수호(2)측 단부에는 선단이 담수호(2) 바닥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관(15)을 연결하고, 유인수 방류관(10)에는 방류펌프(16)를 설치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
KR1019870001241A 1987-02-14 1987-02-14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 KR91000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241A KR910000106B1 (ko) 1987-02-14 1987-02-14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241A KR910000106B1 (ko) 1987-02-14 1987-02-14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196A KR880010196A (ko) 1988-10-07
KR910000106B1 true KR910000106B1 (ko) 1991-01-21

Family

ID=1925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241A KR910000106B1 (ko) 1987-02-14 1987-02-14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1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196A (ko) 198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58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riculture utilizing converted hopper barges or the like
KR100934092B1 (ko) 하천용댐의 어류이동시스템 건설공법
Kramer et al. Evaluating the potential for marine and hydrokinetic devices to act as artificial reefs or fish aggregating devices. based on analysis of surrogates in tropical, subtropical, and temperate US west coast and hawaiian coastal waters
Thorstad et al. Upstream migration of Atlantic salmon in three regulated rivers
KR100770385B1 (ko) 선박을 이용한 해양 부상 양식장
CA2120968A1 (en) Variable buoyancy ballast assembly for fish incubator
Stout Effects on a harsh environment on the life history patterns of two species of tropical aquatic Hemiptera (Family: Naucoridae)
Crawford An ecological study of Tasmanian flounder
KR20090038402A (ko) 어도의 유지수량과 유속저감용 간헐적작동 개,폐장치로된 사이펀어도및 그 장치방법.
KR910000106B1 (ko) 하천하구 담수호에의 어도겸용 통선설비
KR101288089B1 (ko)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Stenberg Effects of gas supersaturation on migrating Atlantic salmon smolt (Salmo salar) in Evangervatnet
KR100385938B1 (ko) 바다 및 민물용 자망 어구
Roessler et al. Biscayne Bay: its environment and problems
Welcomme Fish biodiversity in floodplains and their associated rivers
CN214431095U (zh) 一种鱼苗放流装置
JPH07255315A (ja) カニ飼育装置
WO1999060844A2 (en) Lobster ranching methods and structures
Olmsted et al. Aquatic biodiversity and the electric utility industry
Schwartz Homing behavior of tagged and displaced carp, Cyprinus carpio, in Pymatuning Lake, Pennsylvania/Ohio
Tucker et al. Early and mid-metamorphic larvae of the tarpon, Megalops atlantica, from the Cape Fear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1973–74
Skilbrei et al. A new release system for coastal ranching of Atlantic salmon(Salmo salar) and behavioural patterns of released smolts
Pincetti Sustainable coastal developm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environmental impacts between floating platforms and dredging
JP2017184643A (ja) ホタル幼虫育成システム及びホタル幼虫育成方法
RU2294635C2 (ru) Способ аэрации воды, концентрации и лова рыб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