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278Y1 -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278Y1
KR900011278Y1 KR2019870013512U KR870013512U KR900011278Y1 KR 900011278 Y1 KR900011278 Y1 KR 900011278Y1 KR 2019870013512 U KR2019870013512 U KR 2019870013512U KR 870013512 U KR870013512 U KR 870013512U KR 900011278 Y1 KR900011278 Y1 KR 900011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pipes
hot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149U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2019870013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1278Y1/ko
Publication of KR890005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3/00Steam-generation plants, e.g. comprising steam boilers of different types in mutual association
    • F22B33/12Self-contained steam boilers, i.e. comprising as a unit the steam boiler, the combustion apparatus, the fuel storage, accessory machines and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20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securing water-tube s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18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for varying the speed or delivery pressure of feed pumps
    • F22D5/22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for varying the speed or delivery pressure of feed pumps with fl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발생기의 일부 단면을 보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수조 내부를 보인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회로 구성도.
제4도는 버어너(BURNER)와 연관기구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수관 2, 2' : 온수공급관
3 : 수조 4 : 온수공급관
5 : 증기공급관 6 : 내벽
7 : 외벽 8, 9 : 수관
8', 9' : 증기관 10 : 연결관
11 : 수관 12 : 워터레벨콘트롤
13 : 탱그 15 : 펌프
16 : 호스 18 : 스팀건
19 : 호스 20 : 고정틀체
본 고안은 고압의 증기와 고온의 포화수 및 저온의 증기를 생성하여 장소에 구에 받음이 없이 간편하게 이동 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증기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기발생기는 여러부분에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특히 살충살균의 공해성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고온의 증기를 이용한 무공해 소독이 필요한 주방이나 병원 기타 위생시설의 구석진 곳까지 소독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그 증기밭생기의 구조가 코일형상으로 되어 일단에는 펌프, 타단에는 증기의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는바, 이는 증기만을 생성하였고 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작업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며, 설치비용을 추가로 부담하여야 하며 스팀건(STEEM GUN)에 별도의 노즐(N0ZZLE)이 없었고. 또한 생성되어 나온 증기로는 세척만 할수 있고 고온을 사용할 수 있는 스팀건이 없으며 초소형으로 만들 수 없는 구조이고 증기의 온도관계로 사용중 세척하는 물체에 변형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장소에 제한 받지 않고 무공해 소독을 할수 있으며 또는 저온의 습포화 스팀이나 물이 혼합된 상태로 각종 기계류, 자동차 및 철구조물등을 세척할 수도 있도록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 일측에 급수관(1)과 상부 양측으로 온수공급관(2)(2')을 형성한 수조(3)의 내부에 수관(8)(9)및 증기관(8')(9')을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자그 형상으로 각층을 형성하여, 한층은 횡방향의 지그자그 형상, 그 윗층은 종방향으로의 지그자그 형상으로 계속 반복하여 다수개의 관층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맨상단부측의 관층은 증기관(8')(9')으로 형성되며 그외의 하부층들은 수관(8)(9)으로 형성되는바, 이들 수관 및 증기관은 상호연통하도록 연결된 동일 형상의 관으로서, 연결관(10)에 의해 워터레벨콘트를(12)과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수조(3)의 상단부에 연통된 온수공급관(2')은 온수플로우트랭크(13)에 연결되며, 온수믈로우트 탱크(13)의 하면의 중심부에서 연통되어 나온 연결관(14)은 펌프(15)와 연결된다.
그리고 수조(3)일측의 상단부에 형성된 온수공급관(2)은 호스(16)와 연결된손잡이(32)의 일단에 노즐(17)이 형성된 스팀건(18)에 연결시킨다.
다음 두개의 증기관(8')(9') 이 하나로 연결된 증기공급관(5)은 수조(3)측부에 입설하되 이 증기공급관(5)은 스팀건(18)과 연결된 호스(19)에 연결된다.
또한 수관(8)(9)및 증기과(8')(9')은 각 층별로 별도로 형성된 사각 형상의 고정틀체(20)의 양측 벽체(21)(21')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반원형상의 요입부(22)에 절반씩 삽입되며 다시 그위에나, 아래에 동일한 형상의 고정틀체(20)를 재치시키되 수관(8)(9)의 나머지 절반이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르 상하측에 고정틀체(20)를 상호결합 되도록 구성하여 수관(8) (9) 및 증기관(8') (9')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버어너(23)와 연관 구성으로서 오일탱크(24)내의 오일이 스트레이너(STRAINER)(25)오일펌프(26)및 솔레노이드발브(27)를 거쳐서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이설명부호 28은 급수호스, 30은 오일펌프스위치, 31은 선택스위치, 32는 손잡이, 33은 발브, 34는 연소실, 35는 증기관, 36은 온수관, 37은 에어쳄버, 38은 프레셔콘트롤, 39는 써머콘트롤, 40은 안전밸브, 41은 케이스, 42는 바퀴, 43은 압력게이지, 44는 브레이거 45는 매그네틱콘택트(MAGNETIC CONTACTS), 46은 오일주입구, 47은 연도, 48은 증기출구, 49는 온수출구, 50은 손잡이 51은 오일게이지.52는 증기발생기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운전하기 전에 각부위인 급수호스(28). 온수호스(16). 스팀호스(19)및 노즐(17)등 기타 부위가 정상 인지를 확인할 것이며, 전압과 연료를 확인한후 수조(3)에 급수호스(28)를 연결하여서 급수한 후 온수플로우 트랭크(13)에 물이 찬 것을 확인한 스타링스위치(29)를 "ON"시킨 다음 오일핌프스위치(30)를 'ON"시켜 오일 버너(23)와 오일펌프(26)를 기동시키고 점화가 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점화가 되지 않으면 잠시후(약30초)다시 반복한다
점화가 확인되면 선택스위치(31)를 "ON"하여서 물이 워터레벨콘트롤(12)내의 중간부위까지 물이 유입되게 하며. 중간부위에 물이 차이게 되면 펌프(15)는 정지하게되고 물이 온수공급관(2)을 통하여 노즐(17)로 습포화 증기가 분사되어 나오는데 선택스위치(31)가 "OFF"시에는 스팀만 분사되어 나오고 "ON"시에는 습포화 증기만 분사되어 나오게 된다.
온수는 스팀건(18)의 손잡이(32)에 취부된 발브(33)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하게 되는데 발브(33)를 열면 온수와 스팀이 동시에 노즐(17)로 분사되어 나오게 되고 닫으면 스팀만 분사되어 나오게 된다.
다음에 냉수 공급에서 부터 노즐(17)로 스팀 또는 온수가 동시에 분사되어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수관(1)을 통하여 냉수가 수조(3)에 유입되면 이 냉수는 수조(3)의 하부에 충입되면서 부터 상부를 향하여 올라가면서 연소실(34)에서의 연소열에 의하여 1차로 가열되면서 점차로 온수로 되고 1차로 가열된 온수는 수조(3)의 양측부에 형성된 온수공급관(2)(2')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하되 온수공급관(2')을 통한 온수는 온수플로우트탱크(13)로 온수를 공급하게되며 이 탱크(13)내의 온수는 그 하측의 연결관(14)을 통하여 펌프(15)로 들어가서 다시 출구로 나온 온수는 2개의 수관(8)(9)으로 온수를 공급하여 다시 2차로 연소실(34)의 연소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이와 같이 하부의 수관(8)(9)에서 2차로 가열된 온수는 점차로 지그자그 형상의 수관을 통하여 올라가면서 가열되면서 최상단의 증기관(8')(9')에는 포화중기가 형성되며 이 증기는 일측에 입설된 증기공급관(5)을 통하여 수조(3)의 측부에 형성된 증기관(35)과 호스(19)를 통하여 스팀건(18)으로 돌아가게되며 이 중기는 다시 노즐(17)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수조(3)상단의 일측에 형성된 온수공급관(2)은 온수관(36)과 호스(16)를 통하여 스팀건(18)에 연결되며 연결부위에 착설된 발브(33)를 잠그면 노즐(l7)을 통하여 스팀만 나오고, 발브(33)를 열면 스팀 및 온수가 노즐(17)을 통하여 동시에 나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펌프(15)에서 수조(3)나 수관(8)(9)내에 직접 냉수를 공급하지 않고 1차로 수조(3)내에서 가열시킨후 이 온수를 온수플로우트탱크(13)에 접수시킨후 이 온수를 펌프(15)로 수판(8)(9)내에 급수하되 그 도중에 에어챔버(37)를 구성 하였으므로 워터햄머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급수가 행하여지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대의 장비로 두종류의 각기 다른상태 즉 고온의 스팀과 고온의 포화수를 생성 할수 있으며 또한 고온의 포화스를 이용하여 재온의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성하여 어느곳에서나 장소의 제한을 받지않고 자유자재로 이동하면서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고 종래의 냉수를 펌프로 직접 급수하여 급격한 온도차로 인한 워터햄머(Water Hammer)와 프리밍(Priming)현상을 최소화하고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수조(3)내에 수관(8)(9)과 증기관(8')(9')을 형성하였고 에어쳄버(37)를 사용하였으므로 워터햄머를 방지하며 안정적인 급수가 행하여질 수 있고 부하변동에 여유 있게 대처하며 압력을 원할히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버어너(23)에 더블노즐을 설치하여 프레셔콘트롤(PRESSURE CONTROL)(38)로서 압력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과열방지용 써머콘트롤(THERMO CONTROL)(39)과 압력제어용 안전핀브(40)와 프레서콘트를(38)을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증기발생기에서 생성된 증기 및 포화수의 온도는 약 150℃로서 고온의 포화수로 저온의 습포화 증기가 생성되는 것은 스팀건(18)의 노즐(17)을 통하여 팽창되면 팽창직전의 물의 에탈피 150Kca1/g, 물의 증발 잠열 539Kca1/g 이므로 팽창시의 엔탈피 강화와 증발 잠열에 의하여 약60-90℃정도의 온도가 저하 되어 저온의 습포화 스팀을 생성하도록 하였으며 물을 혼합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스팀건(18)선단의 노즐(17)은 용도에 따라 교환하여 압력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며 호스(16)(19)(28)를 이용하기 때문에 스팀건(18)의 사용 장소가 어느 곳이라도 용이하게 사용할수 있으며 증기발생기 자체의 케이스(41)에 바퀴(42)를 부착하여 어느곳이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초소형 증기발생기로서 내부의 수관(8)(9)및 증기관(8')(9')은 열관효율이 우수한 경질의 동관(COPPER TUBE)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열효율을 증대시키고 저온의 습포화 스팀 또는 용도에 따라 물을 혼합하여 각종 기계류 자동차 주방 및 철구조물등을 세척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버어너(23)와 연관된 구성으로는 오일탱크(24)내의 오일이 스트레이너(25)오일펌프(26)및 솔레노이드발브(27)를 통하여 오일버어너(23)의 노즐을 통하여 오일이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증기와 포화수의 두종류를 생성할 수 있고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살균살충의 소독과 세척을 겸할수 있으며 사용중 세척하는 몸체에 변형이 되지 않도록하고 열효율이 우수한 것이다.

Claims (2)

  1. 급수관(1)과 온수공급관(2)(2')을 형성한 수조(3)의 내부 고정틀체(20)에 수관(8)(9) 및 증기관(8')(9')을 지그자그 형상으로 각층을 형성하여, 한층은 횡방향의 지그자그 형상, 그 윗층은 종방항으로서의 지그자그 형상으로 계속 반복하여 다수개의 관층으로 적층하되, 이들 수관 및 증기관은 상호 연통하도록 연결된 동일형상의 관으로서, 연결관(10)에 의해 워터레벨콘트롤(12)과 연통되도록 설치하며, 수조(3)의 상단부에 연통된 온수공급관(2') 은 온수플로우트탱크(13)에 연결되며, 온수플로우트탱크(13)의 하면의 중심부에서 연통되어 나온 연결관(14)은 펌프(15)와 연결하고, 수조(3)일측의 상단부에 형성된 온수공급관(2)은 호스(16)와 연결된 손잡이(32)의 일단에 노즐(17)이 형성된 스팀건(18)에 연결되어 지며, 두개의 증기관(8')(9')이 하나로 연결된 증기공급관(5)은 수조(3)측부에 입설되어 스팀건(18)과 연결된 호스(19)에 연결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틀체(20)는 양측벽체(21)(21')의 상하면에 반원형상의 요입부(22)를 다수개로 각각 형성하여 상하부의 고정틀체(29)들이 각각 재치되어 결합하면서 상호 대응하는 요입부에 수관(8)(9)및 증기관(8')(9')이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KR2019870013512U 1987-08-13 1987-08-13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KR900011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512U KR900011278Y1 (ko) 1987-08-13 1987-08-13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512U KR900011278Y1 (ko) 1987-08-13 1987-08-13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149U KR890005149U (ko) 1989-04-18
KR900011278Y1 true KR900011278Y1 (ko) 1990-12-22

Family

ID=1926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512U KR900011278Y1 (ko) 1987-08-13 1987-08-13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12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089B1 (ko) * 2013-12-23 2014-06-26 주식회사 씨앤에스씨 스팀 온수 혼합 분사 스팀발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089B1 (ko) * 2013-12-23 2014-06-26 주식회사 씨앤에스씨 스팀 온수 혼합 분사 스팀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149U (ko) 198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2332A1 (zh) 一种具有蒸汽洗涤功能的洗衣机及控制方法
US6422180B1 (en) Flush line for dishwasher
JP3927496B2 (ja) 高圧飽和蒸気を発生させるための装置
KR900011278Y1 (ko)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KR940003747Y1 (ko) 열저장기의 중기액화탱크
US55558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liquid
KR200241537Y1 (ko) 세탁소용 다리미의 스팀발생용 보일러
CN204806358U (zh) 一种蒸汽发生器
KR200282504Y1 (ko) 스팀세차기
KR200297944Y1 (ko) 가습기의 온수 역류방지장치
KR200189684Y1 (ko) 스팀보일러.
KR200339056Y1 (ko) 스팀 다리미
KR200176376Y1 (ko) 가정용 보일러의 온수 예열장치
KR920000504Y1 (ko) 휴대용 소형 온수보일러
US560286A (en) Oooooo
US1265826A (en) Washing apparatus.
KR200218928Y1 (ko) 스팀발생기
KR100524108B1 (ko) 스팀 발생 장치
KR890008349Y1 (ko) 온수 가온 장치
KR830002501Y1 (ko) 증기 발생 장치
JPH04270801A (ja) ジャケット釜加熱装置
KR20000005286U (ko) 전기 스팀 다리미
KR100727526B1 (ko) 순간 가열식 스팀청소기
JPS6021700Y2 (ja) 給湯装置
JP2538783Y2 (ja) スチームサウナの蒸気噴出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