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112Y1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112Y1
KR900011112Y1 KR2019860002735U KR860002735U KR900011112Y1 KR 900011112 Y1 KR900011112 Y1 KR 900011112Y1 KR 2019860002735 U KR2019860002735 U KR 2019860002735U KR 860002735 U KR860002735 U KR 860002735U KR 900011112 Y1 KR900011112 Y1 KR 900011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shaft
thread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2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4998U (ko
Inventor
박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철건상사
박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철건상사, 박건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철건상사
Priority to KR2019860002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1112Y1/ko
Publication of KR8700149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49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1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05F1/0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 E05F1/0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with cams or helical trac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첩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중 내부의 종공에 자중 암나사부가 형성되었고 하단 부에 괘지돌기가 형성되어있는 스톱퍼의 종단면도.
제3도는 문짝을 폐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4도는 문짝을 개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수부 2 : 스톱퍼
3 : 회동축 4 : 축지공
5, 5' : 괘지홈 7 : 다중암나사부
10 : 나사봉 11 : 축부분
12 : 다중숫나사부 13 : 링
본 고안은 도어에 사용되는 자동닫힘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짝의 일측에 고정되며 다중 숫나사부가 형성된 회동축과 다중암나사부가 형성된 스톱퍼가 걸려지는 축수부로 문짝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문짝의 개방이 회동축에 작용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 문짝을 즉, 문짝의 자중에 의하여서 자동으로 닫히게 함과 아울러 스톱퍼를 상승시키면서 180°회전시켜주어 개방되면서 승강된 회동축이 회전을 억지 해줌으로서 문짝을 개방된 상태로도 유지시켜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래에도 문짝이 열리는 관성력만으로 문짝을 개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4-970호로 알려진 바 있었다. 상기 인용고안을 2개의 경첩판의 축수부에 축을 삽설시킨 통상의 것에 있어서, 축 양단의 각 축수부에 회동림을 유설하고, 일측의 경첩판에는 괘지링을 다른 일측의 경첩판에는 돌출부를 각각마련하고, 양측의 경첩판에 지지되는 스프링에는 괘지만을 형성시켜서 괘지홈에 걸려지도록 하여 스프링의 탄성으로 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를 가진 인용고안을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문짝의 개방시 스프링을 긴장 시켜주어야만 하므로 문짝을 가볍게 밀어서 개방하기가 어려우며, 문짝이 수평상태로만 개방되는 것이어서 문짝과 문틀간에 반드시 틈새를 형성시켜주어야만 했었다.
따라서 문짝을 폐쇄시켜주더라도 상기 틈새사이로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되어 실내의 냉, 잔방 효율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초개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것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은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이 표현되어 있다.
도면에서 1은 축수부, 2는 스톱퍼 3은 회동축을 나타낸 것이다.
축수부(1)는 관상으로 되어있으며 내부에는 회동축(3)이 지지되는 축지공(4)이 형성되어 있고, 축수부(1)의 상단부에는 180°간격 괘지홈(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축에는 문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브래키트(6)가 한 몸체로 접합되어 있다.
스톱퍼(2)의 외경은 상기 축수부(1)의 외경과 거의 같은 크기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내부에는 다중암나사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상기 축수부(1)의 괘지홈(5)(5')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괘지돌기(8)(8')가 180°간격으로 아래를 향하여 돌설되어 있고, 하단부의 내부면, 즉 내경에는 반원형 걸림턱(9)이 돌출되어 있다. 이 반원형 걸림턱(9)의 구조는 제2도에 잘 표현되어 있다.
회동축(3)에는 축수부(1)에 얹혀지는 스톱퍼(2)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으로서, 회동축(3)의 상부 일측에는 문짝의 측면 귀퉁이에 박혀지면서 고정되는 나사봉(10)이 뻗혀져 있고, 회동축(3)이 하단부에는 상기 스톱퍼(2)의 내경을 관통하면서 축수부(1)의 축지공(4)내로 삽입되는 가느다란 축부분(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부분(11)의 직상부에는 다중숫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다중숫나사부(12)는 상반부가 직경이 큰 산마루부분(12-1)과 이 보다 직경이 작은 골 부분(12-12)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골부분(12-2)과 축부분(11)이 만나는 부위에는 상기 스톱퍼(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해주는 링(13)이 끼워지는 링 기움턱(14)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는 브래키트(6)를 문틀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나사못 끼움구멍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는 문짝을 폐쇄시켜주는 상태가 표현되어 있다. 제3도와 같은 상태에서는 문짝과 나사봉(10)으로 고정된 회동축(3)이 축수부(1)위에 얹혀진 스톱퍼(2)와 긴밀하게 접하게 된다. 즉, 축수부(1)의 괘지홈(5)(5')에는 나사봉(10)과 같은 방향의 스톱퍼(8)(8')가 걸려진 상태가 되면서 스톱퍼(2)의 다중암나사부(7)과 회동축(3)의 다중숫나사부(12)중 직경이 큰 산마루부분(12-1)과 결합된 상태로 있게 되어 문짝의 하단부와 문틀저면 또는 실내바닥이 최대한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깥공기와 실내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이므로 실내의 냉, 난방효율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제4도에는 문짝을 문틀로부터 개방시켜주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4도와 같은 상태에서 문짝과 나사봉(10)으로 고정된 회동축(3)의 축수부(1)위에 얹혀진 스틉퍼(2)로부터 회전하면서 승강된다. 다시 말하면 회동축(3)의 산마루부분(12-1)이 스톱퍼(2)의 다중암나사부(7)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볼트와 너트결합시 너트가 이동하는 거리인 리이드만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승강된다. 이때 회동축(3)에 회전구간, 즉 문짝의 개방범위는 다중 숫나사부(12)의 산마루부분(12-1)의 길이에 의해서 제한받으며 이것으로 말미암아 문짝의 개방범위가 실질적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문짝을 개방시키면서 회전되었던 회동축(3)을 리이드가 다중 숫나사무(12-1)를 갖기 때문에 문짝의 자중에 의해서 개방된 문짝을 폐쇄시키려고 하는 복원력 즉, 역회전 모멘트를 갖게된다.
따라서, 문짝을 밀어주기만 하면 문짝은 개방과 폐쇄가 본 고안의 경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사용도중 문짝을 개방된 상태로 계속 유지시켜주기 위해서는 문짝이 개방된 상태 즉 문짝을 잡고서 회동축(3)의 골부분(12-2)이 스톱퍼(2)의 다중 암나사부(7)로부터 노출도 상태에서 스톱퍼(2)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올리듯이 회전시켜주어 다시 말하면 스톱퍼(2)를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시켜서 축수부(1)의 괘지홈(5)에 있던 괘지돌기(8)가 반대편 괘지홈(5')에 오도록하고 괘지홈(5')에 있던 괘지돌기(8')가 역시 반대편 괘지홈(5)에 바뀌어지도록 하면 볼트, 너트 결합시 너트를 회전시킴 결과가 되어 회동축(3)의 골부분(12-2)과 축부분(11)이 만나는 부위에 끼워진 링(13)에 의해 지지되는 스톱퍼(2)에 의해 회동축(3)이 나선형으로 회전되면서 하강하여 문짝을 폐쇄시켜주는 것이 방지된다. 즉, 본 고안은 스톱퍼(2)와 회동축(3)의 상호 맞물림 작용에 의해서 문짝을 스스로 닫히게 열거나, 문짝을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시켜볼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맞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용중 고장의 우려가 없고, 특히 문짝을 여닫는데 큰 힘이 들이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축지공(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괘지홈(5)(5')이 18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브래키트(6)가 접합되어 있는 관상의 축수부(1)에, 내주면에 다중암나사부(7)가 형성되어 있고 괘지돌기(8)(8')가 180℃ 간격으로 아랫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 내경방향으로 반원형 걸림턱(9)이 형성된 스톱퍼(2)를 얹혀놓고, 문짝에 삽입고정되는 나사봉(10)이 고정되어 있고 산마루부분(12-1) 및 골부분(12-2)으로 분할된 다중숫나사부(12)와 축부분(11)이 형성된 회동축(3)을 상기 스톱퍼(2)와 나사결합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KR2019860002735U 1986-03-08 1986-03-08 경첩 KR900011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735U KR900011112Y1 (ko) 1986-03-08 1986-03-08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735U KR900011112Y1 (ko) 1986-03-08 1986-03-08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998U KR870014998U (ko) 1987-10-22
KR900011112Y1 true KR900011112Y1 (ko) 1990-12-15

Family

ID=1924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2735U KR900011112Y1 (ko) 1986-03-08 1986-03-08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11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998U (ko) 198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47117B2 (ko)
KR900011112Y1 (ko) 경첩
KR100323653B1 (ko) 도어 스토퍼
KR200433909Y1 (ko) 도어 스토퍼
CN208010153U (zh) 一种角度可调升降铰链
KR200442711Y1 (ko) 도어의 힌지장치
KR940000237Y1 (ko) 도어클로우저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JPH0678705B2 (ja) 扉等用ダンパー
KR920008459Y1 (ko) 대문짝의 힌지장치
KR940002556Y1 (ko) 도어체크 일체형 경첩
JPS6243096Y2 (ko)
KR920007990Y1 (ko) 문의 좌, 우에 부착할 수 있는 괘정구
JPH0225899Y2 (ko)
JPH0484686U (ko)
JPS6019890Y2 (ja) 折戸用連結装置
KR200486873Y1 (ko) 자동 조심용 경첩
JPS6115181Y2 (ko)
JPS5926077Y2 (ja) 折りたたみ扉装置
JPS603910Y2 (ja) 折戸の軸受装置
JPH0546431B2 (ko)
JP2538824Y2 (ja) 二つ折り扉におけるジョイント部のエンドキャップ
JPH0439978Y2 (ko)
KR200241874Y1 (ko) 열림 상태가 고정되는 경첩
KR960006830Y1 (ko) 가전제품의 도어힌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