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739Y1 - 전선관용 접속 박스 - Google Patents

전선관용 접속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739Y1
KR900010739Y1 KR2019880012014U KR880012014U KR900010739Y1 KR 900010739 Y1 KR900010739 Y1 KR 900010739Y1 KR 2019880012014 U KR2019880012014 U KR 2019880012014U KR 880012014 U KR880012014 U KR 880012014U KR 900010739 Y1 KR900010739 Y1 KR 900010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hole
nail
tableting
cor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2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832U (ko
Inventor
류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플라트
류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플라트, 류춘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플라트
Priority to KR2019880012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739Y1/ko
Publication of KR900003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선관용 접속 박스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키 위한 일부 해탈한 사시도.
제2도는 정면 사시도.
제3도는 철근에 고정시의 설명도.
제4도는 시공중의 설명을 위한 제1도 A-A선 단면도.
제5도는 요부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박스몸체 2, 2', 2" 및 4, 4' : 절취편
3 : 배면 5, 5' : 통공
6, 6' : 앞면부위 7 : 협지돌조
8, 8' :자형요홈 9 : 못
10, 10' : 타압편 11 : 요구
12 : 철골 13 : 폼
14 : 시멘트 몰탈
본 고안은 전선관용 접속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 배선에 사용되는 접속 박스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미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5-100에 의하면 하나의 접속구 자리에 외경이 크고 작은 두 개의 규격의 전선관을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구조와 접속 상자를 배설 고정하기 위해 박은 못을 용이하고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못박음 절취선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출원 고안은 시멘트 몰탈의 형체를 조성하기 위한 폼이 목재질의 경우 유효하나 폼을 철판등으로 하는 공사에 있어서는 못을 박을 수 없어서 상기와 같은 배선용 접속상자를 고정하는데는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 실용신안 공고 제85-988호에 의하면 연결구의 내단부가 박스 내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박스내의 사용 공간부를 협소하게 만들고 그 돌출부가 배전선에 접속되기 쉬워 시공중에 전선을 손상시킬 염려가 있어서 전선관을 박스 외부에서 접촉가능하게 하고 또 박스 내측으로는 하등의 돌출몰이 없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내측으로 하등의 돌출몰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기 외측벽에 조립홈과 반원형의 요홈을 갖는 접속부를 형성해야 하므로 복잡하여 이를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하는 경우 생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실용신안 공고 제85-3189호에 의하면 두갈래 한쌍형의 철근 협지 돌출부를 박스의 배판부에 배설하여 시공전에 철근등에 임시로 고정시키도록 되고, 모서리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목판으로 되는 품에는 못등으로 타정하여 고정하도록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철근등에 임시 고정하지 않는 경우 두 갈래 한쌍형의 협지 돌출부는 아무런 작용이나 효과도 없을 뿐 아니라 박스 모서리부에 형성된 구멍등에 못등을 이용하여 목판으로 되는 품에 타정하는 경우 콘크리트 몰탈의 양생이 끝나 독판으로 되는 폼을 뜯어 내는 경우 폼에 박혀 있던 못 끝이 그대로 돌출되어 있어서 이를 절단 해내야 하기 때문에 끝 마무리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바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두갈래 한쌍의 협지 돌조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되고, 또 박스 모서리의 구멍에 끼워 타정하는 못의 몸체 중앙을 타압시켜 넓게 함으로서 구멍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박스 모서리의 구멍 부근에 이르는 못의 몸통을 요설시켜 옆으로 미는데 따라 절단이 쉽게 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박스 몸체(1)의 측면에는 각기 배관 연결용 절취편(2,2',2")이 형성되고, 배면(3)에도 수개의 절취편(4,4'…)이 형성되며 모서리에서는 각기 통공(5,5'…)이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한 통공(5,5'…)은 몸체(1)의 앞면 부위(6,6'…)는 지름이 통공보다 약간 크며, 배면(3) 상하측에는 두 갈래 한쌍의 협지 돌조(7)의 삼각돌기(7,7")가 끼워지도록 ""자형 요홈(8)(8')이 요설되었으며 타정용 못(9)의 몸통 중앙부에는 타압편(10,10')이 돌설되고 하단쪽에는 홀쭉한 요구(11)가 형성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부호 12는 철골, 13은 목판으로 되는 폼, 14는 콘크리트 몰탈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것이므로 폼이 철판으로 되는 경우에는 배면(3)의형 요홈(8)에 협지돌조(7)를 끼워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12)등에 임시로 고정시켜 놓고 철판으로 되는 폼을 댄 뒤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할 수가 있으며 또 목판으로 되는 폼으로 공사를 하는 곳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면을 목재로 되는 폼(13)에 대고 통공(5)에 못(9)을 박을 수가 있어서 공지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14)을 타설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콘크리트 몰탈(14)이 양생되면 박스몸체(1)는 콘크리트 속에 매설된 그대로 있게되나 못(9)끝이 앞면 밖으로 나온 상태가 된다.
이런 경우 종래에는 절단기를 이용하여 일일이 상기 뽀죽하게 돌설되는 못(9)을 절단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빠져 나온 못(9)을 밀기만 하면 요구(11)가 절곡되어 부러져 나오고 이때 앞면 부위(6)가 통공(5) 보다 지름이 넓기 때문에 쉽게 못(9)을 부러뜨릴 수 있게되어 아주 간편하게 처리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며, 또 못(9)은 미리 통공(5)에 끼워 놓는다 하더라고 못(9)의 중간에 형성시켜 놓은 타압편(10,10')이 통공(5) 내주면에 빡빡하게 삽입되므로 공사장으로 수송중에도 빠져나와 잃어버리는 일이 없어서 즉시 타정만 하면 되므로 실용적이다.
또 박스 몸체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사출하는 경우 산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비도체이기 때문에 몸체 박스에 의한 전기적 쇼트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는등 실용적으로 유효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박스몸체(1) 측면에 수개의 절취편과 배면(3)에도 수개의 절취편(4,4')이 형설되며 모서리에는 각기 통공(5,5'…)이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한 통공(5)(5')…은 몸체(1) 앞면 부위(6,6…)가 통공(5,5'…)의 지름보다 약간 크며 배면 상하측에는 두 갈래 한쌍의 협지돌조(7)의 삼각돌기(7',7")가 삽탈되도록 ""자형의 요홈(8,8')이 요설되며, 타정못(9)의 몸통 중앙부는 타압편(10,10')이 돌설되고, 하단에는 홀쭉한 요구(11)가 형성되어 상기한 통공(5,5'…)을 통해 타정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용 접속박스.
KR2019880012014U 1988-07-26 1988-07-26 전선관용 접속 박스 KR900010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014U KR900010739Y1 (ko) 1988-07-26 1988-07-26 전선관용 접속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014U KR900010739Y1 (ko) 1988-07-26 1988-07-26 전선관용 접속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32U KR900003832U (ko) 1990-02-08
KR900010739Y1 true KR900010739Y1 (ko) 1990-11-30

Family

ID=1927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2014U KR900010739Y1 (ko) 1988-07-26 1988-07-26 전선관용 접속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7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32U (ko) 199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1574A (en) Composite insulated wall
AU602944B2 (en) Retaining device
US3778019A (en) Form structure
KR900010739Y1 (ko) 전선관용 접속 박스
KR20160140120A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0440066B1 (ko)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20150071124A (ko) 콘크리트 벽체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
JPH075799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鉄筋打継ぎ工法
JP3063525U (ja) 型枠内用鉄筋支持具
KR860002603Y1 (ko) 자동 흙손
KR200400350Y1 (ko) 수직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고정구
JPH0139322Y2 (ko)
JPS6137718Y2 (ko)
KR200143662Y1 (ko) 미장용 흙손의 손잡이 체결장치
JP2710012B2 (ja) 建設用型枠
JP2553252Y2 (ja) 鉄筋配設用スペーサー
KR850002237Y1 (ko) 철근 연결구
KR19990014922U (ko) 케이블브래킷
KR930005583Y1 (ko) 조립식 거푸집
KR200184342Y1 (ko) 철근구조물의 철근 고정구조
KR850003189Y1 (ko) 실내배선용 박스류
JPH01119735U (ko)
KR200206263Y1 (ko) 홀딩 도어의 구조
KR820000808Y1 (ko) 합성 수지제 쐐기
KR200187741Y1 (ko) 거푸집용 몰딩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