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612Y1 - 안내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안내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612Y1
KR900010612Y1 KR2019880003723U KR880003723U KR900010612Y1 KR 900010612 Y1 KR900010612 Y1 KR 900010612Y1 KR 2019880003723 U KR2019880003723 U KR 2019880003723U KR 880003723 U KR880003723 U KR 880003723U KR 900010612 Y1 KR900010612 Y1 KR 900010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rum
attached
pin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829U (ko
Inventor
이종희
Original Assignee
이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희 filed Critical 이종희
Priority to KR2019880003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612Y1/ko
Publication of KR8900198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8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G09F11/0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the elements being flexible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내표시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장치의 내부 정면도.
제3도는 동 문이 열린상태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내부평면도.
제4도는 동 문이 닫힌 상태의 내부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 2 : 필름
3 : 로울러 4 : 지지대
5 : 스프링 6 : 지지편
7 : 피니언 8 : 래칫휠
9 : 회전드럼 10 : 래크기어
11 : 안내공 12 : 지지봉
15 : 케이스 16, 16' : 표시창
17 : 래크축 18 : 레버
19 : 스프링 20 : 레버축
21, 21', 21" : 접동로울러 22 : 모터작동레버
23, 23' : 접점 24 : 스프링
M : 모우터 25 : 안내방송용작동버튼
26 : 요홈
본 고안은 안내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내외버스나 고속버스, 전철등의 대중교통수단이나, 음식점이나 상점, 백화점등의 대중업소의 출입문에 설치하여 각종안내표시와 함께 계몽, 광고등을 입체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광고효과와 함께 국민의 질서의식 함양에 이바지하기 위한 장치로 본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인 198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1669호를 개량한 것이다.
상기 선출원고안은 순수한 기계식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작동범위에 한계가 있고 광범위한 광고효과를 기대하기에 미흡한 결함을 가지고 있었는바,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고안이 가지는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출입문에 일련의 작동레버와 기어를 당접시켜 출입문이 열리고 닫힐 때마다 드럼상에 권회된 필름이 일정범위의 이동되게하여 시각적으로 보다 다양하고 동적인 광고효과를 기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계획된 필름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자동으로 원상복귀케하여 반복사용되게 함으로써 광고의 반복효과를 기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시내외버스의 자동출입문(13)이 상측 내부벽면(14)에 장착한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장치는 케이스(15)의 전면에 표시창(16)(16')이 좌우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 4도는 본 고안 장치의 내부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케이스(15)의 내부우측에 필름(2)이 권회된 드럼(1)이 장착되어 있고 드럼(1) 하단부에는 모우터(M)가 부착되어있으며, 이 드럼(1)의 상단부에는 로울러(3)가 당접되어 있고, 이 로울러(3)의 지지대(4)에는 스프링(5)과 지지편(6)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5)의 좌측에는 하단부에 피니언(7)과 래칫휠(8)이 연결된 회전드럼(9)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7)에는 중앙에 안내공(11)이 형성된 래크기어(10)가 지지봉(12)에 삽입되어 있으며, 래크기어(10)의 우측에는 요홈(26)이 형성되어 래크축(17)의 외측단에 레버(18)가 스프링(19)에 의하여 탄착되어 있고, 레버축(20)의 외측에는 접동로울러(21)(21')(21")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9)이 권회된 필름(2)상에는 모터작동레버(22)가 당접되어 접점(23)이 접점(23')과 접촉되게 스프링(24)에 의하여 탄착되어 있고, 안내방송용작동버튼(25)이 래크기어(10)의 이동경로상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내표시장치는 문(13)이 열려있을때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스프링(19)에 의하여 레버(18)가 레버축(20)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고 래크기어(10) 역시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문(13)이 닫히면 문(13)과 레버(18)의 접동로울러(21)(21')(22")가 당접되면서 레버(18)를 축(20)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시켜 래크기어(10)가 좌측으로 이동되게하고, 그에 따라 피니언(7)이 역회전되며, 이때 피니언(7)이 요홈(26)내에 도달되면 피니언(7)은 래크기어(10)에서 벗어나 회전을 멈추게되고, 피니언(7)이 역회전해도 피니언(7)에 연결된 래칫휠(8)에 의하여 회전드럼(9)은 회전되지 않고 그대로 정지되어 있게되므로 필름(2)이 역회전되는 일은 없다.
이 상태에서 문(13)이 다시 열리면 스프링(19)의 탄착력에 의하여 레버(18)가 축(20)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되면서 래크기어(10)를 우측으로 당겨 피니언(7)을 정회전시켜 회전드럼(9)상에 필름(2)을 권회시켜 필름(2)상에 표시된 안내문이나 광고문등이 표시창(16')에 투시되게하여 광고효과를 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은 문(13)이 열리고 닫힘에 따라 반복되다가 드럼(1)상에 권회된 필름(2)이 좌측회전드럼(9)으로 전부 이동되어 회전드럼(9)상에 필름(2)이 일정두께에 도달되면 필름(2)에 당접된 모터작동레버(22)가 회동되어 접점(23)이 접점(23')에 접촉되면서 모우터(M)를 일정시간 작동시켜 필름(2)이 드럼(1)상에 원상태로 감기도록하여 원상으로 복귀되게 함으로써 반복사용되게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안내표시장치의 드럼(1)상에는 로울러(3)가 스프링(5)에 의하여 탄착된채 당접되어 있어 필름(2)이 좌측으로 이동될 때 필름(2)이 급격히 풀리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고, 드럼(1)에 다시 감길때엔느 그 제지력을 반대 방향으로 작용시켜 보다 용이하게 필름(2)이 감기도록 해 주고 있다.
또한 래크기어(10)의 이동경로상에는 안내방송용작동버튼(25)이 부착되어 문(13)이 닫힐때마다 작동버튼(25)을 작동시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승하차등에 관한 안내방송이 나오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정류장에 정차하기전에 일일이 안내방송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케해주고 있다.
그리고 첨부도면에는 그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본 고안의 장치에는 케이스(15)의 내부에 조명들을 부착하여 보다 다양한 광고효과를 기하게 할 수도 있고, 작동레버(18)를 사용하지 않고 출입문(13)에 모터작동버튼을 장착함으로써 문(13)이 열리고 닫힐때마다 모우터가 작동하여 필름을 이동시킬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안내표시장치는 문이 열리고 닫힐때마다 각각 다른 광고문을 볼 수 있게 함으론싸 보다 효과적인 입체 광고효과를 기하게 함과 동시에, 모우터가 필름을 원상으로 복귀시킬 때에만 가동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극히 적게 소요되는 잇점이 있는 신규의 고안이다.

Claims (1)

  1. 피니언(7)과 래칫휠(8)이 장착된 회전드림(9)에 필름(2)을 권회시켜 하단에 모우터(M)가 부착된 드럼(1)에 연결하고 상기 피니언(7)에 안내공(11)과 요홈(26)이 형성된 래크기어(10)를 지지봉(12)에 삽입하어 접동로울러(21)(21')(21")가 부착된 레버(18)와 스프링(19)으로 탄착연결하면, 상기 드럼(1)에 로울러(3)를 스프링(5)으로 탄착시키고 상기 회전드럼(9)의 권회된 필름상에 모터작동레버(22)를 당접시켜 접점(23)(23')과 연결되게 하며 래크기어(10)의 이동경로 상에 안내방송용 작동버튼(25)을 부착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시 장치.
KR2019880003723U 1988-03-21 1988-03-21 안내표시 장치 KR900010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723U KR900010612Y1 (ko) 1988-03-21 1988-03-21 안내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723U KR900010612Y1 (ko) 1988-03-21 1988-03-21 안내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829U KR890019829U (ko) 1989-10-05
KR900010612Y1 true KR900010612Y1 (ko) 1990-11-23

Family

ID=1927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723U KR900010612Y1 (ko) 1988-03-21 1988-03-21 안내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492B1 (ko) * 2019-08-30 2019-11-13 유우림 입체모형으로 조립 가능한 언어 학습용 골판지 블록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492B1 (ko) * 2019-08-30 2019-11-13 유우림 입체모형으로 조립 가능한 언어 학습용 골판지 블록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829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0612Y1 (ko) 안내표시 장치
US1210955A (en) Advertising device.
JP2007190065A (ja) 遊技機
JPH0734394Y2 (ja) からくり時計の照明装置
US2095401A (en) Station announcer
JPH0523184U (ja) 回転式文字板
GB2022899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s
US2177715A (en) Roller sign mechanism
JPS6025742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3538633A (en) Expressway sign
US1760664A (en) Electrically-operated sign
KR100512682B1 (ko) 도어용 광고시스템
KR850003177Y1 (ko) 택시미터의 주행 표시기
KR920001186Y1 (ko) 두루말이 그림 작동장치가 내장된 인형
JPH0740232Y2 (ja) 可動飾り付き時計
JPS6341488Y2 (ko)
JPH0620157Y2 (ja) 装飾時計の飾り扉開閉機構
JPH032932Y2 (ko)
CN2265590Y (zh) 门灯开关
KR910008647B1 (ko) 인체존재 검지장치
JPH026091U (ko)
JPH02124589U (ko)
JPS6017034Y2 (ja) 引戸の発音具
JPH03108194U (ko)
JPH0227251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