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499Y1 - 전기 온돌 - Google Patents

전기 온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499Y1
KR900010499Y1 KR2019880000775U KR880000775U KR900010499Y1 KR 900010499 Y1 KR900010499 Y1 KR 900010499Y1 KR 2019880000775 U KR2019880000775 U KR 2019880000775U KR 880000775 U KR880000775 U KR 880000775U KR 900010499 Y1 KR900010499 Y1 KR 900010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tube
bend
electric
contro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529U (ko
Inventor
박순호
Original Assignee
박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호 filed Critical 박순호
Priority to KR2019880000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499Y1/ko
Publication of KR890016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5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4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온돌
제1도는 본고안의 일부를 단면한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회로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난방관 2, 3 : +-도선
2', 3': 도전성마개 2", 3": 노출노선
4 : 절연벤드 4': 절결부
5 : 물통 6, 6': 송배수관
7 : 온도조절기 8 : 콘트롤박스
8': 릴레이 9 : 온도감지붕
10 : 온돌판 11 : 램프
12 : 물 A : 일반전원
B : 심야전원
본고안은 전기 온돌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난방관내에 장입된 물을 전기적 장치로서 가온시킴과 동시 이의 전원인 일반전기와 심야전기가 자동으로 교환되게한 전기온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돌 난방장치로서는 연탄보일러, 기름보일러 또는 가스보일러, 전기보일러가 있으나 이는 많은 설치면적을 찾이할 뿐만아니라 도중 열손실은 물론 취급상 불편한 점이 있어 이를 개선할 목적으로 전열선을 바로 온돌바닥에 매설하는 난방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전력의 과소모와 과열현상이 있고 또한 장기 사용하면 열선이 노후 단절되어 사용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고 또한 열매체유를 방전형식으로 가열하는 가열장치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열팽창압등의 문제점이 있어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안은 이상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인데 이의 고안요지는 합성수지로된 온수 난방관내에 + -도선이 매입된 절연벤드를 장입하되 이 절연벤드의 일정지점마다 절결된 절결부위에서 + -도선이 노출되어 이 노출부에 방전된 전류가 물을 가온되게 하고 가온된 물은 조절기로서 그 온도를 조절함과 동시 심야전기가 끊어지는 시간이 되면 릴레이의 작동으로 일반전기와 접점이 자중으로 이루어지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돌판(10)에 매입되게한 합성수지제 온수 난방관(1)(1')의 일측 입구 구부에는 콘트롤박스(8)에서 인출된+도선(2)및 -도선(3)이 도전성 마개(2')(3')를 거쳐 절연벤드(4)내에 매입되어 있는 도선(2)(3)이 연결되어 있으되 이 도선(2)(3)은 일정간격으로 절결된 절연밴드(4)의 절결부(4')에서 노출도선(2")(3")이 되게 하였으며, 난방관(1)(1')의 일측에는 물통(5)과 연결된 송배수관(6)(6')이 연결되며 난방관(1)(1')의 타측에는 온도감지붕(9)이 부착되어 있으되 그 일측단부는 콘트롤박스(8)에 장치된 온도조절기(7)및 릴레이(8')와 연결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콘트롤박스(8)내에 장치된 온도조절기(7)및 릴레이(8')에 의해 적정온도 유지 및 일반전원(A)과 심야전원(B)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것은 공지한 바와같고 이를 사용할시는 먼저 합성수지로된 온수 난방관(1)(1')내에 물을 장입한 후 전원을 입력시키면 절연벤드(4)의 절결부(4')에 노출된 도선(3")(4")이 방전되면서 이 방전류는 난방관(4)내에 장입된 물(12)을 가온시키게 된다.
이때 가온된 물이 온도조절기(7)에서 설정하고 있는 한정치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온도감지붕(9)에 의해 릴레이(8')가 작동하여 전원을 차단시키고 온도가 하강되면 다시 전원을 입력시켜 주므로 난방관(1)(1')내에 물은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심야전원(B)과 일반전원(A)의 절환은 통상의 절환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어 소정된 타임에 이르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절환된다.
또한 난방관(1)(1')내의 온수는 마개(2')(3')에 의해 막혀져 대류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이므로 열손실이 거의 없고 가온과정에 기포가 생기거나 압이 생기면 이때에는 송배수관(6)(6')을 통해 배출되므로 안전성이 있고 난방관(1)(1')내의 물(12)이 소모되면 물통의 물이 송수관(6)을 통해 자동으로 보충해 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온수 난방관(1)(1')내에 장입된 절연벤드(4)내에 + -도선(2)(3)이 매입되어 일정간격으로 절결된 절결부(4')에서 노출도선(2")(3")이 되게하고 이 노출도선(2")(3")에서 발생한 방전전류가 난방관(1)(1')내에 담긴 물을 가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온도의 얼룩없이 고루 가온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난방관(1)(1')의 길이를 임의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난방관(1)(1')내의 물은 유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이므로 열손실을 극소화 할수 있음은 물론 전력소모도 적어 경제적인 잇점도 함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반전원(A)과 심야전원(B)을 자동으로 절환하는 릴레이(8')와 온도조절기(7)를 장착한 콘트롤 박스(8)에서 인출된 + -도선(2)(3)이 난방관(1)(1')에 있는 + -도선(2)(3)과 연결되게 한것에 있어서 콘트롤 박스에서(8)에서 인출된 도선(2)(3)은 난방관(1)(1')구부에 꽂인 도전성 마개(2')(3')를 거쳐 절연벤드(4)내에 매입된 도선(2)(3)과 연결되게 하되 절연벤드(4)에는 일정간격으로 절결부(4')를 형성하여 이 절결부(4')에서 + -노출도선(2")(3")이 되게함을 특징으로 한 전기온돌.
KR2019880000775U 1988-01-27 1988-01-27 전기 온돌 KR900010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775U KR900010499Y1 (ko) 1988-01-27 1988-01-27 전기 온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775U KR900010499Y1 (ko) 1988-01-27 1988-01-27 전기 온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529U KR890016529U (ko) 1989-08-19
KR900010499Y1 true KR900010499Y1 (ko) 1990-11-19

Family

ID=1927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775U KR900010499Y1 (ko) 1988-01-27 1988-01-27 전기 온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4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110A (ko) * 2002-01-23 2002-03-29 변동주 금속관보일러에 의한 주택의 자동난방법과 온수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529U (ko) 198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8793A (en) Tankless electric water heater with instantaneous hot water output
US4410791A (en) Electric instant water heater
US4307606A (en) Thermal transition zone sensing and indicating system
US1996625A (en) Liquid heating system
KR0180211B1 (ko) 전열온수관의 난방방법 및 그장치
US4419569A (en) Modular heating cable assembly
CA2291988A1 (en) Electric heater for a livestock water tank
KR900010499Y1 (ko) 전기 온돌
EP03471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minimum temperature for liquids in pipes
CN205980339U (zh) 一种过流外热式热水器及饮水装置
KR950000323Y1 (ko) 수도동결방지용 히터 자동 온도제어장치
KR19980025315A (ko) 전열선과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방법 및 그 장치.
US4684061A (en) Water heater secondary control device
KR890007390Y1 (ko) 온돌용 전열관
US2914649A (en) Aquarium heater
GB2224189A (en) Tubular electric heater
KR200262162Y1 (ko) 동파방지용 히터
KR960005737Y1 (ko) 이동식 온수 보일러
KR950000324Y1 (ko) 수도동결 방지기의 온도조절장치
KR900006516Y1 (ko) 전기 난방 보일러
CN2378677Y (zh) 电热热水器
JPH021377Y2 (ko)
JPS5856512Y2 (ja) 電気温水器等の発熱装置
KR900010630Y1 (ko) 난방용 전열판
KR940005177Y1 (ko) 순간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