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389Y1 - 유공압 (油空厓) 실린더의 쿠션장치 - Google Patents

유공압 (油空厓) 실린더의 쿠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389Y1
KR900010389Y1 KR2019870012737U KR870012737U KR900010389Y1 KR 900010389 Y1 KR900010389 Y1 KR 900010389Y1 KR 2019870012737 U KR2019870012737 U KR 2019870012737U KR 870012737 U KR870012737 U KR 870012737U KR 900010389 Y1 KR900010389 Y1 KR 900010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pring
hydraulic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2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970U (ko
Inventor
이시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최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최관식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2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389Y1/ko
Publication of KR8900029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06Squeeze-tub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28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8Lin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공압(油空厓) 실린더의 쿠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작동 이전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유공압 실린더의 단면도.
본 고안은 유압 실린더내의 피스톤축에 삽착되는 플런저에 통공을 천설하여 유압작동시 공간부에 생긴 압력을 통공으로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 스프링으로도 완충효과를 얻도록한 유공압 실린더의 쿠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일측이 경사진 플런져(21)를 피스톤(22)의 로드 (23)에 끼워서 이것이 실린더 헤드(24) 내공(24')으로 삽입될때 작은공차(D1)에 의한 쿠션효과를 얻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작은 공차(D1)를 얻기 위한 끼워맞춤은 가공이 정밀해야 하며, 로드(23)의 변형 마찰에 플런져(21)가 불균형 하게 손상될 뿐만 아니라 유압실린더(20)내의 스트로크 말단에서 쿠션효과를 얻기위하여 유로를 차단하기 때문에 유압실린더관(20)의 쿠션부위가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고안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종래의 제4도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본 고안에 있어서도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즉, 유압실린더관(20)내에 피스톤헤드(3)가 왕복운동하는 것에 있어서, 실린더헤드(1)에 형성된 요입부(1')에 경사턱(1")이 형성되게 하여, 로드(3')에 삽착된 플런져(2)가 경사턱(1")에 걸릴수 있도록 하되, 플런져(2)에 형성시킨 통공(2')으로 유압이 통과 될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플런져(2)의 요구(2")에는 스프링(4)을 삽입시켜 피스톤 헤드(3)를 탄발지지 시켜서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5는 기밀부재, 6은 유압배출통로, 7은 공간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유압실린더관(20)내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헤드(1)의 중앙을 피스톤 헤드(3)가 슬라이딩 하면서 왕복 운동을 함에 있어 유압이 가해지는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로드(3')에 삽착된 플런저(2)는 스프링(4)의 탄력에 의하여 로드(3')의 턱(3")과 피스톤 헤드(3)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유압이 서서히 작용하여 피스톤 헤드(3)를 이동시키면, 로드(3')도 같이 이동하면서 플런저(2)가 실린더헤드(1)의 요입부(1')로 들어가 경사턱(1")에 맞닿게 되고 유압배출통로(6)를 차단시킨다. 이때도 유압은 계속적으로 피스톤헤드(3)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스프링(4)이 수축되면서 공간부(7)에 생긴 높은 압력이 플런저(2)의 통공(2')을 통하여 배출통로(6)로 배출된다.
이때 통공(2')을 빠져나가는 유압은 서서히 빠져 나감과 동시 스프링(4)도 서서히 수축되어 쿠션효과를 2중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유압이 반대로 작용할때는 역순으로서, 피스톤 헤드(3)가 스프링(4)에 의해 탄발되면서 플런져(2)를 경사턱(1")으로부터 이탈시켜서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로드에 삽착시킨 플런져에 통공을 형성시켜서 공간부에 생긴 높은 압력을 이 통공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실린더의 충격을 감소 시킴과 동시에 스프링 탄발에 의하여도 쿠션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한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유압실린더관(20)내의 로드(3')에 스프링(4)을 형성하여 피스톤(3)을 지지하는 것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1)에 형성된 요입부(1')에 경사턱(1")이 형성되게 하여 경사면이 형성된 플런저(2)가 상기한 경사턱(1")에 걸릴 수 있도록 하되, 플런저(2)의 요구(2")에 스프링(4)이 걸려 피스톤헤드(3)를 지지시켜서된 유공압 실린더의 쿠션장치.
KR2019870012737U 1987-07-31 1987-07-31 유공압 (油空厓) 실린더의 쿠션장치 KR900010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737U KR900010389Y1 (ko) 1987-07-31 1987-07-31 유공압 (油空厓) 실린더의 쿠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737U KR900010389Y1 (ko) 1987-07-31 1987-07-31 유공압 (油空厓) 실린더의 쿠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970U KR890002970U (ko) 1989-04-08
KR900010389Y1 true KR900010389Y1 (ko) 1990-11-15

Family

ID=1926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2737U KR900010389Y1 (ko) 1987-07-31 1987-07-31 유공압 (油空厓) 실린더의 쿠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3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827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스레인지의 열전대 장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827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스레인지의 열전대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970U (ko) 198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9415A (ko) 안전장치를 가진 타입기
US3229589A (en) Impact tool and pneumatic piston return system therefor
US4518328A (en) Piston for piston pump
KR900010389Y1 (ko) 유공압 (油空厓) 실린더의 쿠션장치
US7918375B2 (en) Pneumatically operable fastener-driving tool and seal mechanism assembl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950017176A (ko)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JPS6393578A (ja) ハンマードリル
JPH09177717A (ja) 直線作動機
KR101995485B1 (ko) 범퍼구간이 구비된 압력 전달 실린더
WO2023184854A1 (zh) 液压缸及作业机械
KR970075353A (ko) 리니어 압축기의 실린더 충격흡수장치
JPH01295009A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の中間停止装置
JP2001012411A (ja) 圧力従動ツールアクチュエータモジュール
CN217055807U (zh) 液压缸及作业机械
JP3685377B2 (ja) 往復作動機
US4632405A (en) Device for forcing piston ring radially outwardly
JP6780820B2 (ja) エアシリンダ
JP3307865B2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のクッション装置
JPS6144006Y2 (ko)
SU846903A2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541731Y2 (ja) 逆止弁
KR950005433A (ko) 용접봉작동용 공압식 구동장치
SU353812A1 (ru) ЮТЕКА •Б. Ф. Воронин
KR20030069680A (ko) 벨로우즈 타입의 저마찰 고속 리니어 액츄에이터
JPH0650774U (ja) 油圧ブレ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