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290Y1 -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再化性) 처리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물림장치 - Google Patents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再化性) 처리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물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290Y1
KR900010290Y1 KR2019880007513U KR880007513U KR900010290Y1 KR 900010290 Y1 KR900010290 Y1 KR 900010290Y1 KR 2019880007513 U KR2019880007513 U KR 2019880007513U KR 880007513 U KR880007513 U KR 880007513U KR 900010290 Y1 KR900010290 Y1 KR 900010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tongs
rods
equipment
con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708U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삼영전자공업 주식회사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영전자공업 주식회사, 김광수 filed Critical 삼영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7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290Y1/ko
Publication of KR890023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7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再化性) 처리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물림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우측면도.
제4도는 제2도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제5도 B-B선 단면도.
제7도는 제5도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2' : 회동체인 취착판
3, 3' : 횡간 4, 4' : 집게
5, 5' : 압지판 S : 집게스프링
6, 6' : 작동봉 7, 7' : 돌기
8, 8' : 로울러 9, 9' : 에어실린더
9'' : 피스턴축 10, 10' : 승강봉
11, 11' : 테이퍼면 20, 20' : 작동봉 스프링
21, 21' : 받침판
본 고안은 양리드선을 갖는 콘덴셔를 재화성(再化性) 처리 즉 에이징(AGING)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에이징기(機)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콘덴셔 이송용 체인에 콘덴셔를 공급시키는 자동물림장치이다.
콘덴셔는 그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 시간동안 재화성 처리를 거쳐야 되는것으로 재화성 처리를 위한 에이징기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콘덴셔 이송용 체인에 착설된 집게에 자동으로 콘덴셔가 물려지도록 함으로서 재화성 처리상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아울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양질의 콘덴셔를 양산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것이다.
종래에는 재화성 처리를 위한 에이징기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 체인에 집게를 착설하여 이집게에 일일이 콘덴셔를 인위적으로 물려주게 됨으로 많은 작업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작업능률 또한 저하 될 뿐만아니라 콘덴셔를 사람의 손으로 자주 만지게 됨으로 오염되는 문제점과 불량율이 높아지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측에 회동체인 취착판(2)(2')을 가진 기체(1)의 전후방횡간(3)(3')에 스프링(S)로 압지되게한 두개의 압지판(5)(5')로 형성된 다수의 집게(4)(4')를 착설한 것에 있어서 횡간(3)(3')의 하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돌기(7)(7')가 돌설된 작동봉(6)(6')를 기체(1)의 양측으로 관통시키고 집게(4)(4')의 압지판(5')에는 받침편(5'')(5''')를 형성하여 돌기(7)(7')와 접촉되게 하며 작동봉(6)(6')의 우측단부에는 로울러(8)(8')를 착설하여 로울러(8)(8')의 상부에는 에어실린더(9)(9')의 피스턴축(9'')에서 착설되게한 승강봉(10)(10')를 기체(1)에 수직으로 관통시키고 승강봉(10)(10')의 하단에는 접촉테이퍼면(11)(11')를 형성하여 로울러(8)(8')와 접촉되게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봉(6)(6')의 우측단부에 스프링(10)(20')를 탄설하여 작동봉(6)(6')를 에어실린더가 횡방향으로 밀어 주도록 하고 작동봉(6)(6')의 돌기(7)(7')와 접촉되는 받침편(21)(21') 집게(4)(4')의 압지판(5)에 형성하여서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0은 체인 31은 콘덴셔 32는 콘덴셔의 양쪽리드선을 보인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체인(30)에 착설되어 에어징기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기체(1)이 공차 상태에서 콘덴셔를 공급받기 위해 자동적으로 정지되면서 에어실린더(9)(9')의 피스턴축(9'') 하단에 끼워지게 되고 정지된 기체(1)의 직방하방에는 콘덴셔 공급체인이 콘덴셔(31)을 재치한 상태로 정지되면 기체(1)의 우측상부에 설치된 에어실린더(9)(9')의 피스턴축이 하강되어 승강봉(10)(10')을 하강시키고 이때 승강봉(10)(10')의 하단에 형성된 접촉테이퍼면(11)(11')이 작동봉(6)(6')에 착설된 로울러(8)(8')를 우측으로 밀어주게되면 작동봉(6)(6')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작동봉(6)(6')에 돌설된 돌기(7)(7')가 집게(4)(4')의 압지판(5')에 형성된 받침판(5'')(5''')를 우측으로 밀어주면 집게(4)(4')의 압지판(5')가 제2도의 점선 표시와 같이 벌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체인에 재치된 콘덴셔(31)을 별도의 장치가 위로 밀어 올려주면 콘덴셔(31)의 양쪽리드선(32)가 벌어진 집게(4)(4') 사이로 공급됨과 동시에 에어실린더(9)(9')의 피스턴축이 상승되면서 작동봉(6)(6')는 집게(4)(4')의 스프링(S)에 의하여 원상으로 복귀되면서 집게(4)(4')가 콘덴셔(31)을 물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체인(30)이 회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작동봉(6)(6')에 스프링(20)(20')을 탄설하여 에어실린더가 작동봉(6)(6')를 좌측으로 밀게되면 작동봉(6)(6')에 돌설된 돌기(7)(7')가 집게(4)(4')의 압지판(5)에 형성된 받침편(21)을 밀어서, 압지판(5')를 벌려주게되고 벌어진 사이로 콘덴셔(30)의 리드선(31)이 공급되면 에어실린더의 피스턴축이 후퇴되면서 작동봉(6)(6')는 스프링(20)(20')에 의하여 원상으로 복귀되면서 집게(4)(4')에는 콘덴셔(30)이 물린 상태로 기체(1)가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개의 콘덴셔를 동시에 자동으로 집게 공급하게 됨으로 작업능률이 증대될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방법에 의하여 공급되지 않으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가 있고 양질의 콘덴셔를 다량생산할 수 있는 잇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양쪽에 회동체인 취착판(2)(2')를 가진 기체(1)의 전후방횡간(3)(3')에 스프링(S)로 압지되게한 두개의 압지판(5)(5')로 형성된 두개의 집게(4)(4')를 착설한 것에 있어서, 횡간(3)(3')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기(7)(7')가 돌설된 작동봉(6)(6')를 기체(1)의 양측으로 관통시키고 집게(4)(4')의 압지판(5')에는 받침편(5)(5')를 형성하여 돌기(7)(7')와 접촉되게 하며, 작동봉(6)(6')의 우측단부에는 로울러(8)(8')를 착설하여 로울러(8)(8')의 상부에는 에어실린더(9)(9')의 피스턴축(9'')에 착설되게한 승강봉(10)(10')를 기체(1)에 수직으로 관통시키고 승강봉(10)(10')의 하단에는 접촉테이퍼면(11)(11')를 형성하여서된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 처리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물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봉(6)(6')의 우측단부에 스프링(20)(20')를 탄설하고 작동봉(6)(6')의 돌기(7)(7')와 접촉되는 받침편(21)(21')는 집게(4)(4')의 압지판(5)에 형성하여서된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 처리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물림장치.
KR2019880007513U 1988-05-20 1988-05-20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再化性) 처리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물림장치 KR900010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513U KR900010290Y1 (ko) 1988-05-20 1988-05-20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再化性) 처리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물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513U KR900010290Y1 (ko) 1988-05-20 1988-05-20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再化性) 처리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물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708U KR890023708U (ko) 1989-12-04
KR900010290Y1 true KR900010290Y1 (ko) 1990-11-08

Family

ID=1927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513U KR900010290Y1 (ko) 1988-05-20 1988-05-20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再化性) 처리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물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2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708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767B1 (ko) 고무 성형품의 스트립핑용 다이세트형 프레스 기계장치
CN111266636A (zh) 一种助行器可调横向杆的横槽切割机构
KR900010290Y1 (ko)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再化性) 처리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물림장치
CN219944277U (zh) 一种方便用的金属制品加工用冲压机
CN212682588U (zh) 一种铜杆批量切割装置
CN212330267U (zh) 一种智能压合工装机
CN215200884U (zh) 一种快速精准的螺杆断料调整装置
CN115007708A (zh) 一种基于连续高速冲压的高效一体成型的冲压生产线
CN212582266U (zh) 一种服装花边裁切装置
CN211106195U (zh) 一种化妆瓶自动化印刷装置
CN109623934B (zh) 一种料管自动打销钉设备
CN208993297U (zh) 一种横向进料式数码印花机
CN219171916U (zh) 一种平面丝网印刷机的自动取料机构
CN212145205U (zh) 一种pcb板打销钉装置
CN218366042U (zh) 一种滤板自动生产生产线装置
KR900010291Y1 (ko) 양리드형 콘덴셔의 재화성(再化性) 처리 장치에 있어 콘덴셔 자동공급장치
CN220591181U (zh) 一种板材自动连续折弯装置
CN220859522U (zh) 一种布料打样机
CN215480518U (zh) 一种玻璃模具成初模用自定心夹具
CN210935740U (zh) 一种油箱内外体钢板自动定位涂油装置
US3832881A (en) Workpiece translation mechanism
CN219405542U (zh) 一种瓶盖自动造型装置
CN220028536U (zh) 一种圆线衣架自动成型机
CN215967293U (zh) 一种自动化拼框设备的多工位结构
CN220426441U (zh) 一种彩钢板压合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