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133Y1 - 전화기용 무단통화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용 무단통화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133Y1
KR900010133Y1 KR2019880001487U KR880001487U KR900010133Y1 KR 900010133 Y1 KR900010133 Y1 KR 900010133Y1 KR 2019880001487 U KR2019880001487 U KR 2019880001487U KR 880001487 U KR880001487 U KR 880001487U KR 900010133 Y1 KR900010133 Y1 KR 900010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scr
diode
reed switch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8330U (ko
Inventor
정학병
Original Assignee
정학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학병 filed Critical 정학병
Priority to KR2019880001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133Y1/ko
Publication of KR890018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8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2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용 무단통화 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 무단통화 방지장치의 회로도.
본 고안은 전화기의 무단통화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드 스위치와 SCR을 설치하고 SCR의 자려특성을 이용하여 된 전화기용 무단통화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무단통화 방지장치는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전화기 내부회로중 다이얼 펄스 발생부(31)의 출력선에 리드스위치(32)를 직렬로 연결하여 걸려오는 전화는 받을 수 있도록 하되 다이얼 펄스발생부(31)의 다이얼 펄스출력을 하이브리드 코일(33)에 리드스위치(32)를 통하여 공급 되도록 하므로서 전화기 관리자가 리드스위치(32)를 자석으로 온 시켜야만 다이얼 펄스를 국선(L1-L2)쪽으로 내보낼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리드스위치(32)를 좌석으로 온 시켜야만 다이얼 펄스를 국선(L1-L2)쪽으로 내보낼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무단통화 방지 장치는 전화기 내부를 뜯어서 납땜 설치 하여야만 하므로 그 설치가 번거로워 일반 가입자는 설치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더우기 리드스위치(32)가 온된 상태에서도 리드스위치(32)를 통하여 다이얼 펄스가 직접인가되므로 리드스위치(32)는 전류용량이 큰 것을 사용하여야만 하여 단가가 그다지 저렴하게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드스위치와 SCR을 설치하여 SCR의 자려 특성을 이용하여 전화기의 주전류 통로는 SCR로 하되 SCR의 스위칭은 리드 스위치로 하므로서 소용량의 리드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고 더우기 전화곡선중 일측선에 직렬로 접속할수 있어 누구라도 손쉽게 설치 할 수 있는 전화기용 무단통화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장치는 입력단자(A1, A2)는 각각 전화국선(L1)과 전화기(1)에 연결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1,D3)를 통하여 SCR(Q1)의 애노드와 리드스위치(2) 및 제너다이오드(ZD)의 에노드에 연결하고, 입력단자(A1,A2)는 다이오드(D2,D4)를 역으로 통하여 접지하며, SCR(Q1)의 캐소우드는 접지함과 동시에 게이트는 저항(R2,R4)의 접속점과 다이오드(D5)의 애노드에 연결하고, 리드스위치(2)는 다이오드(D6)를 통하여 다이오드(D5)의 캐소우드에 연결함과 동시에 콘덴서(C1)를 통하여 접지하며, 다이오드(D5)에 저항(R3)가 병렬접속되게 함과 동시에 저항(R2)의 일단은 접지하되 저항(R4)의 일단은 제너다이오드(ZD)의 캐소우드에 연결하여된 구성으로서 여기에서, 미설명 부호 L2: 국선이고, 저항(R1)은 SCR의 캐소우드 접지 저항이다.
이러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는 전화기(1)를 사용 하려면 자석을 리드 스위치(2)위를 스쳐지나 가도록 하면 리드스위치(2)는 온 되어서 국선(L1)의 전위는 다이오드(D1)→리드스위치(2)→저항(R3)의 통로를 통하여 SCR(Q1)의 게이트에 인가됨과 동시에 콘덴서(C1)를 충전하게 된다.
동시에 리드스위치(2)가 온되는 순간에 국선(L1)의 전위가 소정의 트리거 펄스로 SCR(Q1)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이때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위가 이후에는 리드스위치(2)가 복귀 되어 오프되어도 SCR(Q1)의 게이트에 인가되면서 소정전위를 유지하게 되므로 SCR(Q1)는 도통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태에서는 전화기(1)의 다이얼 펄스나 다이얼 주파수는 다이오드(D3)→SCR(Q1)→저항(R1)→접지→다이오드(D2)의 통로를 통하여 국선(L1)측으로 인가되고 동시에 송화신호도 다이얼 펄스와 동일한 통로를 통하여 전화국선(L1)에 인가된다. 또한 전화국선(L1)측에서 전화기(1)쪽으로 인가되는 수화신호는 다이오드(D1)→SCR(Q1)→저항(R1)→접지→다이오드(D4)를 통하여 전화기(1)에 인가된다.
이러한 상태로 통화를 하다가 전화기(1)에 송수화기(1')를 놓으면 전화기(1)내의 훅크스위치가 오프되고 전화기(1)측의 국선(L1,L2)에 인가되던 전위가 끊어져서 SCR(Q1)의 애노드 캐소우드 사이의 양단전위가 없어지므로 즉 SCR(Q1)의 주 전원이 없어지므로 SCR(Q1)은 오프 상태가 된다. 또한 리드스위치(2)는 오프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국선(L1)은 완전히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렇게 리드스위치(2)도 오프되고 SCR(Q1)도 오프상태가 된 경우에 국선(L1)축에서 링깅신호(벨신호)가 인가되면 벨신호는 그 인가전압이 높으므로 제너다이오드(ZD)가 온되어 저항(R4)를 통하여 SCR(Q1)의 게이트에 펄스전압이 트리거 펄스로서 인가되어 SCR(Q1)이 온 된다.
동시에 저항(R3)을 통하여 콘덴서(C1)를 충전시키게 되므로 SCR(Q1)는 온 상태를 자려 특성상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저항(R2)는 고정항값을 가지므로 SCR(Q1)는 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벨신호는 전화기(1)에 도달되어 전화기(1)로서 외부전화를 수신하게 된다.
전화기의 통화가 끝난 이후 전화기(1)의 송수화기(1')를 놓으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전화기의 훅크 스위치가 오프되어 SCR(Q1)이 오프된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걸려오는 전화는 받을수 있지만 전화기(1)을 이용하여 외부전화를 사용하는 것은 리드스위치를 순간온시켜야만 되는 것이므로 무단히 전화를 통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 장치에 의하면 외부전화는 언제라도 받고 통화할 수 있으나 호출 통화는 방지 할 수 있고 또한 전화기의 국선에 직렬로 입력단자를 연결 하면 되는 것이어서 누구라도 쉽게 설치할수 있다.

Claims (1)

  1. 입력단자(A1,A2)는 각각 전화국선(L1)과 전화기(1)에 연결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1,D3)를 통하여 SCR(Q1)의 애노드와 리드스위치(2) 및 제너다이오드(ZD)의 애노드에 연결하고, 입력단자(A1,A2)는 다이오드(D2,D4)를 역으로 통하여 접지하며, SCR(Q1)의 캐소우드는 접지함과 동시에 게이트는 저항(R2,R4)의 접속점과 다이오드(D5)의 애노드에 연결하고, 리드스위치(2)는 다이오드(D6)를 통하여 다이오드(D5)의 캐소우드에 연결함과 동시에 콘덴서(C1)를 통하여 접지하며, 다이오드(D5)에 저항(R3)가 병렬 접속되게함과 동시에 저항(R2)의 일단은 접지하되 저항(R4)의 일단은 제너 다이오드(ZD)에 캐소우드에 연결하여된 전화기용 무단 통화방지장치.
KR2019880001487U 1988-02-09 1988-02-09 전화기용 무단통화 방지장치 KR900010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487U KR900010133Y1 (ko) 1988-02-09 1988-02-09 전화기용 무단통화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487U KR900010133Y1 (ko) 1988-02-09 1988-02-09 전화기용 무단통화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330U KR890018330U (ko) 1989-09-09
KR900010133Y1 true KR900010133Y1 (ko) 1990-10-31

Family

ID=1927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487U KR900010133Y1 (ko) 1988-02-09 1988-02-09 전화기용 무단통화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1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330U (ko) 198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9634A (en) Hold circuit for telephone
US3629514A (en) Subscriber{40 s holding circuit
US4459435A (en) Telephone privacy apparatus
US4015091A (en) Telephone ringing generators
KR900010133Y1 (ko) 전화기용 무단통화 방지장치
CA1116734A (en) Subscriber drop-connected circuits
US4794640A (en) Switching control apparatus for intercom-telephone sets
US49245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cognition of a telephone dialing signal
US3681536A (en) Electronic telephone call restricting device
CA1193775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US3967076A (en) Call denial circuit for key telephone systems
CA1112776A (en) Electronic tone ringer
KR100233097B1 (ko)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US5040207A (en) Two-telephone intercom
KR910003756Y1 (ko) 통화전 임의의 주의문이 청취되는 전화기 회로
KR0125205Y1 (ko) 전화기의 링거임피던스 손실 방지 회로
JPS59259A (ja) 電話機
SU786049A1 (ru) Приемник вызывного сигнала
SU1429334A1 (ru) Телефонный аппарат с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м звонком
RU206692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двух телефонных абонентов к одной абонентской линии
KR100206744B1 (ko) 단일 정류 회로용 전화기
PL160626B1 (pl) Uklad wyposazenia centralowego aparatu centralnej baterii C B PL PL PL
SU1732488A1 (ru) Концентратор телефонной линии
SU1158016A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сигнала ответа абонента
CA1263776A (en) Telephone test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