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656Y1 - 프린터의 플레튼 조절노브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플레튼 조절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656Y1
KR900009656Y1 KR2019880006292U KR880006292U KR900009656Y1 KR 900009656 Y1 KR900009656 Y1 KR 900009656Y1 KR 2019880006292 U KR2019880006292 U KR 2019880006292U KR 880006292 U KR880006292 U KR 880006292U KR 900009656 Y1 KR900009656 Y1 KR 900009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haft
guide
case
act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853U (ko
Inventor
김승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6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656Y1/ko
Publication of KR8900208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8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6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린터의 플레튼 조절노브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 3a 도는 본 고안의 조절노브 측면도.
제 3b 도는 제 3a 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플레튼축
3 : 가이드축 4 : 가이드홈
5 : 제 1 스톱부 51 : 제 2 스톱부
6 : 조절노브 8, 10 : 요홈
9 : 결합구 11, 12 : 작동구
13 : 작동핀 15 : 스프링
본 고안은 프린터에 있어서 플래톤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를 케이스내에 필요에 따라 출몰시킬수 있도록 한 프린터의 플레튼 조절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프린터의 플레튼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가 있었으나 이는 프린터의 케이스를 관통하여 플레튼축에 체결토록 되어 있었으며 프린터 케이스의 외면에 항시노출되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종래의 것은 조절노브의 노출에 따라 포장이 불편하게 되었고 또한 조절노브가 손상될 염려가 있었으면 외관상으로도 좋지못한 점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절노브가 출몰되도록 안출된바가 있었는데 이 고안역시 조절노브를 출몰시키려면 조절노브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직선이동을 거쳐야 함으로 이중적인 작동과정이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조절노브를 조작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어왔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축된 것으로 플레튼축의 가이드축에 연결되는 조절노브를 출몰시킴에 있어 단지 직선이동만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절노브의 출몰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이드축에 스톱부를 가지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이에 작동핀을 갖는 작동구를 가이드되게 설치토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린터의 케이스(1)에 플레튼축(2)이 형성된 가이드축(3)을 조절노브(6)가 형성된 노브축(7)내에 스프링(15)으로 탄력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3)의 양측부에는 가이드홈(4)를 형성하고 이의 양측부에는 제 1 스톱부(5)와 제 2 스톱부(51)를 형성한다.
상기, 노브축(7)의 선단 일측에는 결합구(9)를 고정설치하되 이 결합구(9)의 내측과 상기 노브축(7)의 내측에는 요홈(10), (8)을 각각 형성하고 이에 작동핀(13)을 돌출형성시킨 작동구(11)(12)를 고정핀(14)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하며 상기, 작동핀(13)은 가이드축(3)의 가이드홈(4)에 삽입가이드되도록 하여서 된 구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시된 제 2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조절노브(6)를 프린터의 케이스(1)에 관통시켜 플레튼축(2)의 가이드축(3)에 스프링(15)으로 탄력 설치하되 조절노브(6)의 노브축(7)선단과 결합구(9)에 각각 설치한 작동구(11)(12)의 작동핀(13)을 상기 가이드축(3)의 가이드홈(4)에 삽입 가이드되게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조절노브(6)를 사용하지 않을때는 조절노브(6)의 후단을 케이스(1)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즉 도면의 표현상 좌측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노브축(7)의 요홈(8)과 결합구(9)의 요홈(10)에 설치된 작동구(11)(12)의 작동핀(13)은 가이드홈(4)을 따라 가이드되다가 도시된 제 2 도에서와 같이 작동구(11)(12)의 작동핀(13)이 제 1 스톱부(5)에 걸리게 되는데 이와같이 걸리게 되는 원리를 보면 제 1 스톱부(5)는 브이자형의 골(谷)로 형성되어 있어 이에 작동핀(13)이 삽입되어 있고 가이드축(3)의 후방과 노브(6)간에는 스프링(15)의 탄발력으로 조절노브(7)를 케이스(1)외측으로 밀어내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구(11)(12)는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결국 조절노브(6)는 작동핀(13)과 제 1 스톱부(5)에 의하여 로킹되어 노출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다음, 조절노브(6)를 노출시켜 사용하고자 하려면 다시 조절노브(6)를 누른다. 조절노브(6)를 누름에 따라 작동구(11)(12)는 요홈(8)(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수평상태의 균형을 잃게되어 작동핀(13)은 제 1 스톱부(5)의 브이자형인 경사진 골을 따라 가이드 되다가 제 1 스톱부(5)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이때 누루는 힘을 제거한다.
누르는 힘을 제거함에 따라 이때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하여 조절노브(6)는 케이스(1)로부터 외부로 가이드 되려는 힘이 작용되고 아울러 작동핀(13)은 가이드홈(4)를 따라 가이드되어 우측으로 가이드된다. 우측으로 가이드된 작동구(11) (12)는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스톱부(51)에 작동핀(13)이 걸리게 된다.
작동핀(13)이 제 2 스톱부(51)에 걸리게 되면 이때 조절노브(6)는 케이스(1)로부터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 노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도 스프링(15)의 탄발력은 계속 작용하고 있으므로 조절 노브(6)는 유동이나 흔들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후, 다시 조절노브(6)를 밀어 넣게되면 이때 작동구(11)(12)는 요홈(8)(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요홈(8)(10)의 범위내에서 작동구(11) (12)는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 작동구(11)(12)는 수평상태에서 힘이 가해질때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평상태의 균형을 잃게되고 이어서 작동핀(13)은 가이드홈(4)을 따라 가이드되는 것이다.
이후, 조절노브(6)는 다시 케이스(1)에 삽입되어 로킹되는 것인데 이에 대한 작동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노브축(7)과 결합구(9)에 형성된 요홈(8)(10)은 작동구(11)(12)의 회동각도 범위를 한정시켜 주고 또한 설치상태의 균형유지 역할을 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서 조절노브(6)를 직선이동만으로 로킹 및 출물을 행하게 되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고 또한 포장이 용이하고 외관 또한 미려함을 제공하게 되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1)에 플레튼축(2)이 형성된 가이드축(3)을 조절노브(6)가 형성된 노브축(7)내에 스프링(15)으로 탄력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3)의 양측부에는 가이드홈(4)을 형성하고 이에는 양단부로 제 1 및 제 2 스톱부(5), (51)를 각각 형성하며 노브축(7)의 내측과 결합구(9)의 내측에는 각각 요홈(8)(10)을 형성하고 이에 고정핀(14)에 의하여 작동핀(13)이 돌출형성된 작동구(11)(12)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작동구(11)(12)의 작동핀(13)은 상기 가이드홈(4)에 삽입가이드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프린터의 프레튼 조절노브.
KR2019880006292U 1988-04-30 1988-04-30 프린터의 플레튼 조절노브 KR900009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292U KR900009656Y1 (ko) 1988-04-30 1988-04-30 프린터의 플레튼 조절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292U KR900009656Y1 (ko) 1988-04-30 1988-04-30 프린터의 플레튼 조절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853U KR890020853U (ko) 1989-11-01
KR900009656Y1 true KR900009656Y1 (ko) 1990-10-19

Family

ID=1927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292U KR900009656Y1 (ko) 1988-04-30 1988-04-30 프린터의 플레튼 조절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6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853U (ko) 198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7948A (en) Hinge for connecting two relatively movable furniture components
PL332027A1 (en) Return mechanism of a lock operating member and lock housing
KR870001073B1 (ko) 낚시용 리일의 핸들절첩 장치
KR900009656Y1 (ko) 프린터의 플레튼 조절노브
AU8401191A (en) Locking device
KR960020838A (ko) 버클장치
KR910000169Y1 (ko) 낚시용 스피닝리일에 있어서의 스푸울의 드랙조절장치
AU529461B2 (en) Pintumbler cylinder lock
EP0304241A3 (en) Hinge switch arrangement
KR950012881B1 (ko) 낚시용 리일의 핸들 접는 장치
US5210950A (en) Pocket or clasp knife
KR960005818Y1 (ko) 용지가이드 고정장치
DE69900597T2 (de) Verbinder mit sekundär verriegelungsmechanismus
GB1272034A (en) Toggle switch actuator assembly
KR960004267Y1 (ko) 혁대용 버클
US5855294A (en) Feed release mechanism for a terminal insertion machine
KR920005213Y1 (ko) 도어로크 손잡이 안내장치
KR200148879Y1 (ko) 가위
KR910006138Y1 (ko) 포터블 VTR의 핸들 로크 (Lock)장치
JPH02184473A (ja) トラクタ機構
KR950002521Y1 (ko) 실린더 리컬도어록에 있어서 렛지의 신장 조절구조
KR100250911B1 (ko) 도어정의 잠금장치
KR920006105Y1 (ko) 카세트데크 ff.rew 조작레버의 노브 형합장치
JPH0614386Y2 (ja) 回路遮断器操作装置のハンドル施錠装置
KR960004270Y1 (ko) 벨트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