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167B1 - 포락선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포락선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167B1
KR900009167B1 KR1019870009617A KR870009617A KR900009167B1 KR 900009167 B1 KR900009167 B1 KR 900009167B1 KR 1019870009617 A KR1019870009617 A KR 1019870009617A KR 870009617 A KR870009617 A KR 870009617A KR 900009167 B1 KR900009167 B1 KR 90000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rol
envelope
sec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267A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7000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167B1/ko
Publication of KR89000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4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 G10H1/053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during execution only
    • G10H1/057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during execution only by envelope-forming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락선 발생회로
제1도는 종래의 포락선 발생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출력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포락선 발생블록도.
제4도는 제3도의 상세회로도.
제5a도, 제5b도는 제4도의 출력파형도.
제6도는 제4도 타이밍제어부의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이밍 제어부 2 : 스위치부
3 : 고역통과여파기 4 : 전원스위치부
5 : 샘플앤드홀드부 6 : 파형선택스위치부
본 발명은 전자악기에 의해 발생되는 음색을 실제의 악기음색과 유사하게 발생시키기 위한 파형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음색의 변화를 자유로이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한국악기의 특성에 적합한 음색도 발생시킬 수 있게 한 포락선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락선 발생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전원(V), (Vc) 및 건반조작에 연동되는 스위치(S14), 순차적으로 스위칭해주기 위한 스위치(S11), (S12), (S13), 이 스위치(S11), (S12), (S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11), 파형의 각 구간 기울기를 결정해 주기 위한 가변저항(VR11), (VR12), (VR13), 콘덴서(C1)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 회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반조작에 의해 스위치(S14)가 단락되면, 제어회로부(11)에서 그를 감지하여 스위치(S11)를 단락시킴으로써 전원(V)은 스위치(S14), (S11) 및 가변저항(VR11)을 통하여 콘덴서(C11)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되어(t0-t1구간)출력 단자(OUT)로 출력되고, 이때(t1) 제어회로부(11)에서 스위치(S11)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스위치(S12)를 단락시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이 전원(Cc)전압과 같아질 때 (t2)까지 가변저항(VR12) 및 스위치(S12)를 통해 서서히 방전된 후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스위치(S12)가 단락되어 있는 한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은 전원(Vc) 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t3) 다시 제어회로부(11)에서 스위치(S12)를 개방하고 스위치(S13)를 단락하면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저항(VR13) 및 스위치(S13)를 통하여 접지로 방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어회로부(11)에서 스위치(S11), (S12), (S13)를 순차적으로 소정시간씩 단락시킴으로써 출력단자(OUT)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락선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종래의 포락선 발생회로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락선 신호만 출력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2도에서 상승구간(t0-t1)이 존재하지 않는 악기의 음색을 만들기가 어려울 뿐아니라, 상술한 포락선 파형과는 다른 한국악기의 음색을 만들기가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음색의 변화를 자유로이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한국악기의 특성에 적합한 음색도 발생시킬 수 있는 두 종류의 포락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종류의 포락선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1)와, 이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를 받아 계단파를 발생하는 스위치부(2)와, 이 스위치부(2)에서 발생되어 출력되는 계단파중 고역주파수 성분만 통과시켜 주기위한 고역통과여파기(3)와, 상기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에 의해 포락선 발생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부(4)와, 이 전원스위치부(4)의 출력전압전위를 유지하기 위한 샘플앤드홀드부(5)와, 상기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를 받아 상기 고역통과여파기(3) 또는 샘플앤드홀드부(5)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파형선택스위치부(6)로 구성한 것이다.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신호단자(CS1)를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그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저항(R2)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하여 스위치부(2)를 구성하고, 이 스위치부(2)의 저항(R2) 및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접속점을 콘덴서(C1)를 통해 가변저항(VR1) 및 다이오드(D1)에 접속하여 고역통과여파기(3)를 구성하며, 상기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단자(CS2)를 스위치(SW2)의 제어단에 접속한 후 그의 각 고정단자(a1), (a2), (a3)를 전원단자(Vcc) 및 접지저항(R3), 접지에 접속하여 전원스위치부(4)를 구성하고, 이 전원스위치부(4)의 출력측인 스위치(SW2)의 가동단자를 가변저항(VR2)을 통해 콘덴서(C2) 및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여 샘플앤드홀드부(5)를 구성하고, 상기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신호단자(CS3)를 스위치(SW1)의 제어단자에 접속한 후 그의 고정단자(b1), (b2)를 상기 고역통과여파기(3)의 출력측 및 샘플앤드홀드부(5)의 출력측에 각각 접속하여 파형선택스위치부(6)를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반이 눌러지면 타이밍제어부(1)에서 그를 감지하여 제1포락선 신호발생을 제어할 것인가 제2포락선 신호발생을 제어할 것인가를 결정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그의 제어신호단자(CS1), (CS2), (CS3)로 출력하게 된다. 즉 제1포락선 신호발생제어시에는 그의 제어신호단자(CS3)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파형선택스위치부(6)의 스위치(SW1)을 그의 고정단자(b1)에 단락시키고, 또 그의 제어신호단자(CS1)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치부(2)의 트랜지스터(TR1)를 오프시킨다.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는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변하는 계단파가 출력되고, 이 계단파는 고역통과여파기(3)의 콘덴서(C1)를 통해 가변저항(VR1)에 인가되므로 그 고역통과여파기(3)의 출력측에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신호가 출력된다. 이 파형신호의 기울기는 가변저항(VR1)의 값에 의해 결정되고, 고역통과여파기(3)의 후단에 접속된 다이오드(D1)는 포락선발생이 끝난 후 트랜지스터(TR1)가 온되어 그의 콜렉터 전위가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변하게 될때 발생되는 음의 부분파를 상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고역통과여파기(3)에서 출력된 파형신호(제1포락선 신호)는 파형선택스위치부(6)의 스위치(SW1)를 통하여 출력단자(OUT)로 출력된다.
한편, 제2포락선 신호발생 제어시에는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신호단자(CS3)에 저전위신호가 출력되어 파형선택스위치부(6)의 스위치(SW1)를 그의 고정단자(b2)에 접속시키고, 그의 제어신호단자(CS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원스위치부(4)의 스위치(SW2)를 그의 고정단자(a1)에 단락시킨다.
이에따라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그 스위치(SW2) 및 가변저항(VR2)을 통해 콘덴서(C2)에 충전되므로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된다(t0-t1구간).
이후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 전위가 소정전위 VA에 도달되는 시점(t1)에서 스위치(SW2)를 그의 고정단자(a2)에 단락시키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접지저항(R3)의 값을 높게 설정시켜 놓으면 저항(R3)을 통하는 전류의 흐름을 막아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후 전반에서 요구하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스위치(SW2)를 그의 고정단자(a1)에 다시 단락시키면(t2), 전원단자(Vcc)이 전원이 그 스위치(SW2) 및 가변저항(VR2)을 통해 콘덴서(C2)에 다시 충전되므로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 전위는 다시 상승되고, 이와 같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 전위가 소정전위 VB에 도달하는 시점(t3)에서 스위치(SW2)를 그의 고정단자(a3)에 단락시키면 콘덴서(C2)의 충전전압은 가변저항(VR2) 및 스위치(SW2)를 통하여 접지로 방전되므로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 전위는 접지전위까지 하강된다. 이와 같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그 연산증폭기(OP1)에서 증폭되어 출력된다.
결국,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측에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신호(제2포락선 신호)가 출력되고, 이와 같이 출력된 파형신호는 파형선택스위치부(6)의 스위치(SW1)를 통하여 출력단자(OUT)로 출력된다.
상기에서, 고역통과여파기(3) 및 샘플앤드홀드부(5)의 출력신호 기울기는 가변저항(VR1), (VR2)의 가변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동작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내면 제6도와 같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형태의 포락선 신호뿐아니라, 튀는감의 음색을 지닌 포락선 신호 및 한국악기에서 요구하는 특별한 형태의 포락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자악기에 이용되는 포락선 발생회로에 있어서, 두 종류의 포락선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1)와, 이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를 받아 계단파를 발생하는 스위치부(2)와, 이 스위치부(2)에서 출력되는 계단파중 고역주파수 성분만 통과시키는 고역통과여파기(3)와, 상기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에 의해 포락선 발생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부(4)와, 이 전원스위치부(4)의 출력전압전위를 유지하는 샘플앤드홀드부(5)와, 상기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를 받아 상기 고역통과여파기(3) 또는 샘플앤드홀드부(5)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파형선택스위치부(6)로 구성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락선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부(4)는 상기 타이밍제어부(1)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SW2)의 고정단자(a1), (a2), (a3)를 전원단자(Vcc), 접지저항(R3), 접지에 각각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락선 발생회로.
KR1019870009617A 1987-08-31 1987-08-31 포락선 발생회로 KR90000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617A KR900009167B1 (ko) 1987-08-31 1987-08-31 포락선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617A KR900009167B1 (ko) 1987-08-31 1987-08-31 포락선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267A KR890004267A (ko) 1989-04-21
KR900009167B1 true KR900009167B1 (ko) 1990-12-24

Family

ID=1926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617A KR900009167B1 (ko) 1987-08-31 1987-08-31 포락선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1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267A (ko) 198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0667A (en) Rhythm unit with programmed envelope waveform, amplitude, and the like
US4001816A (en) Electronic chime
US3571481A (en) Marimba tone forming system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3637915A (en) Sustain keyer circuitry with sustain time control circuit i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900009167B1 (ko) 포락선 발생회로
US3948137A (en) Pitch determining voltage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a voltage controlled typ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3952624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generating tone signals having pitch frequency, tone color and volume envelope varied with time
JP3121250B2 (ja) 警報音響装置
US4028978A (en) Synthesizer typ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volume envelope decay time control
US4397211A (en) Circuit for producing musical tones
US3823244A (en) Audio signal keyer
US4408514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portaments property
JPS6040036B2 (ja) 自動演奏装置
US4338845A (en) System for expanding the dynamic volume range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US3526702A (en) Dynamic keying circuit for musical instrument
US4135425A (en) Envelope generator for electronic organ
JPS5942313B2 (ja) 鍵盤式電子楽器
US4364296A (en)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
US4086838A (en) Vibrato signal generating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016791A (en) Automatic rhythm playing apparatus
KR910000520Y1 (ko) 전자악기의 엔벨로프 파형 발생회로
KR100380571B1 (ko) 히스테리시스특성을갖는비교회로
JPS5855433Y2 (ja) エンベロ−プ信号発生器
JPS6210792Y2 (ko)
US3509265A (en) Signal-selecting system for keyboard typ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