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067B1 - 수냉식 원자로의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위치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수냉식 원자로의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위치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067B1
KR900009067B1 KR1019830005968A KR830005968A KR900009067B1 KR 900009067 B1 KR900009067 B1 KR 900009067B1 KR 1019830005968 A KR1019830005968 A KR 1019830005968A KR 830005968 A KR830005968 A KR 830005968A KR 900009067 B1 KR900009067 B1 KR 90000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water
fuel
probe
manip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697A (ko
Inventor
샤펜버그 라이너
Original Assignee
브라운 보베리 리악터 지엠비에취
커트 부흐발트· 테오 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116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90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운 보베리 리악터 지엠비에취, 커트 부흐발트· 테오 퀴퍼 filed Critical 브라운 보베리 리악터 지엠비에취
Publication of KR850004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G21C17/07Leak t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냉식 원자로의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위치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의 부분개략 측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제2b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편평면도.
제3도는 머니퓰레이터(manipulator)의 측면 부분단면도.
제4도는 덮개후드(covering hood)를 벗긴 제3도에 의한 머니퓰레이터의 평면도.
제5a도는 선형운동(linear motion)을 회전운동(rotary motion)으로 전환하는 장치일부의 단편종단면도.
제5b도는 세터링 리셉타클(centering receptacle)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6도는 연료저장푸우울(pool)의 수중(水中)에 설치된 머니퓰레이터 일부 단편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Ⅶ방향에서 본 단편의 저면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의 일부단편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착장치(Attachment device) 2 : 상부측
3 : 연료조립체 저장랙(fuel assembly storage rack)
4 : 핀 5 : 베아링 판(Bearing plate)
6 : T자형 슬롯(T-shaped slot) 7 : 머니퓰레이터(Manipulator)
8 : 훅(Hook) 9 : 연료조립체(fuel assembly)
10 : 프로브(probes) 11 : 기체판(Base plate)
12 : 얼라이먼트 핀(Alignment pins)
13, 84, 104 : 슬라이드(slide)
14, 14a : 얼라이먼트 보링(Alignment borings)
15 : 와서(Washer) 16 : 볼트
17, 33, 36 : 컷아우트(Cutout) 18 : 판(Plate)
19 : 로울러(Roller) 20 : 트랙(Tracks)
21, 25 : 화살표방향 22 : 센터링시이트(Centering seat)
23 : 단부지지체(End support)
24 : 슬롯구멍부착장치(Slotted hole attachment)
26 : 연료조립체 하부단부재(Fuel assembly lower end fitting)
27 : 정지구(stop device) 28 : 편심축(Eccentric shaft)
29 : 쇼울더 컬러(shouldered collar) 30 : 로커(Rocker)
31 : 정지구(stop)
32 : 연료조립체 상부단부재(Fuel assembly upper end fitting)
34 : 조(Jaw) 35 : 안내부재(Guidance)
37, 85, 106 : 고정점 38 : 레버장치(Lever system)
39 : 통공 40, 42 : 띠줄(Straps)
41, 83, 105 : 나사볼트(Threaded bolt)
43 : 지지체(Supporting unit)
44 : 초음속프로브(Ultrasonic probes) 45 : 덮개후드(Covering hood)
46 :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Watertight compartment)
47, 55 : 볼트 48, 56, 68 : (0-Seal)
49 : 볼트이음부(Bolted joint)
50 : 압축공기공급부재(compressed air supply)
51 : 포위물(surrounding water)
52 : 감시장치(Monitoring devices) 53 : 구성부재(Component part)
54, 62 : 플랜지(Flange) 57 : 중실축(Solid shaft)
58 : 중공샤프트(Hollow shaft)
59, 63, 82 : 볼베아링(Ball bearings)
60, 67 : 스페이서 슬리브(Spacer sleeve)
61 : 조 커플링(Jaw coupling) 64 : 4각형바(Square bar)
65, 70 : 거어더(Girder) 66 : 조임볼트(Clamping bolt)
69 : 샤프트 시일(shaft seal) 71 : 허브(Hub)
72, 73, 76, 77, 78, 80, 100, 101 : 레버(Lever)
74 : 슬롯 및 설편이음부(Slot and tongue joint)
75, 79, 102 : 볼베아링핀(Ball bearing pin)
81, 103 : 회전중심부(Center of rotation)
86, 97 : 너트
87, 93 : 회전볼리이드스크류(Rotating ball leadscrew)
88, 94, 110 : 로드(Rod)
89, 99, 111 : 마찰베아링(Friction bearing)
90, 92 : 스텝핑모터(Stepping moter)
91 : 랙 및 피니온벨트구동장치(Rack and pinion belt drive)
95, 109 : 기체지지체(Base support) 96 : 프레임(Frame)
98 : 접근스위치(Approach switches) 107 : 하우징(Housing)
108 : 로드/충돌베아링 안내부재(Rod/friction bearing guidance)
112 : 로울(Roll) 113 : 프로브고정구(Probe fixture)
114 : 공급라인(Supply line)
115 : 전기공급라인(Electric supply line)
116 : 에너지흡수장치(Energy absorbing device)
117 : 안내편(Guide piece)
118 : 연료조립체지지케이지(Fuel assembly retaining cage)
119 : 연료조립체 수리장소(fuel assembly repair station)
120 : 안내레일(Guide rail) 121 : 저면
122 : 측벽(Side wall)
123 : 연료저장 푸우울(fuel storage pool)
124 : 로우프 구동부재(Rope drive) 125 : 구동장치(Drive unit)
126 : 축(Axis) 127 : 저부단(Lower edge)
128 : 피복튜브(Cladding tubes) 129 : 브래킷(Bracket)
130 : 브래킷판(Bracket plate)
본 발명은 수냉식 원자로의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위치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독의 독일원자협회의 핵기술년보(1980. 827∼831면) 회의보고서에서 상기 방법은 공지되었다. 그러나, 그 연료조립체와 그 장치의 상호작동에 대해서는 하등의 언급이 없다. 또, 여기서 그 초음파 처리방법의 계속적인 실시만을 중대시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초음파 처리방법의 실시를 용이하게 또 신뢰성 있게 사용할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다음에 구체적으로 특정시킨 특징을 조합시켜 위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a) 검사할 연료조립체가 그 머니퓰레이터를 지지하는 부속장치에서 그 장치 사이에 설치한 슬라이드(Slide)로 센터링(centering)되게 하고, 호이스트(hoist)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b) 그 슬라이드를 그 검사위치에 있도록 한다.
(c)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compartment)내에 설치된 머니퓰레이트 구동장치의 운동이 연료저장 푸우울의 수중에 설치된 프로브(probes)에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효과는 길이가 약 4mm인 연료조립체가 신뢰성있게 지지되어 있고, 그 머니퓰레이터를 지지하는 슬라이드에 일정한 위치로 있게 하는데 있다.
또,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에 배치된 그 구동장치의 분리와 그 프로브의 운동을 효과있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문제점의 해결은 다음에 열거한 특징을 조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a) 검사할 연료조립체가 지지케이지(retaining cage)내에서 수직위치로 지지되도록 한다.
(b) 그 머니퓰레이터가 브래킷(bracket)상의 검사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c)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 내에 설치된 머니퓰레이터 구동장치의 운동이 그 연료저장 푸우울의 수중에 설치된 프로브에 전달되게 한다.
그 머니퓰레이터를 공지된 수리위치와 연결시켜 연료교체(refueling) 조작을 가속화함으로써 핵발전소의 이용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가 X- 또는 Y-방향으로 그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되어 그 직선운동(linear motion)이 레버장치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며 그 회전운동이 물이 새지 않은 컴파트멘트에서 연료저장 푸우울로 전달되고, 그 회전운동이 다른 레버장치에 의해 다시 변환되어 그 프로브를 지지하는 슬라이드로 전달되는 특정방법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에 설치된 구동장치에서 발생하는 직선운동은 그 구동장치 사이에서 발생한 회전운동을 하면서 어떠한 시이링(Sealing)문제도 발생하지 않고 그 프로브로 전달되어 연료저장 푸우울의 수중에서 작동된다. 본 발명은 그 부착장치가 그 연료조립체 저장랙(rack)의 상부축의 크기에 적합한 핀에 의해 그 상부측에 고정되고, 그 센터링 시이트(centering seat)가 두 대향측에 꼭낀 연료조립체 하부단과 접촉되어 그 센터링속도(centering rate)가 변화되며, 그 머니퓰레이터를 지지하는 슬라이드가 두 위치로 작동되고, 그 구동장치의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가 그 구동장치를 지지하는 기체판(base plate)과 덮개후드(covering hood)에 의해 폐쇄되며,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성부재가 그 기체판을 관통하는 공정을 행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슬라이딩블록(sliding block)의 방법으로 그 핀은 이동시킬수 있고 T자형 슬롯내에 고정시킬수 있으며 그 T자형 슬롯이 그 기체판내에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하여 핀사이의 거리는 각종의 저장 랙(rack) 구조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센터링시이트(Centering seat)가 그 단부지지체와 대향하여 편심축으로 구성된 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그 단부지지체는 그 기체판에 부착되고 그 시이트가 그 단부지지체에 대향하여 위치되며, 그 편심축은 로커(Rocker)에 의한 원격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그 시이트가 그 편심축에 부착되며, 그 편심축의 운동을 제한시키는 정지구(stop)로 된 장치를 제공한다.
그 가변성 센터링 시이트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는 무엇보다도 최대의 편심점의 어떠한 초과도 정지구에 의해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 그 센터링시이트가 안내부재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수 있는 조(Jaw)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치에 의해 그 센터링시이트의 개구는 서로 다른 연료조립체의 크기에 따라 더 적합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는 그 머니퓰레이터를 지지하는 슬라이드가 그 기체판에 부착된 트랙(tracks)으로 안내되고, 그 슬라이드운동이 원격 제어레버장치 및/또는 유압/압축공기 실린더에 의해 발생되며, 그 슬라이드가 그 기체판에서 돌출되고 나사식 결합으로 고정시킨 얼라이먼트핀(alignment pins)을 구성하는 수개의 얼라이먼트 보링(alignment borings)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검사조작을 할 때 그 머니퓰레이터운동이 간섭을 받을 경우 그 피복튜브 사이의 간극에서 그 머니퓰레이터를 지지하는 슬라이드에 의해 그 프로브를 이탈시킬수 있다. 유압/공기압축 제어실린더가 고장이 날 경우 그 슬라이드는 그 원격 제어레버장치에 의해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 장치는 기밀하지 않은 공급라인을 통해 물이 새지 않는 머니퓰레이터 컴파트멘트로 물이 흐를 때 어떠한 누수도 예방하기 위하여 그 컴파트멘트를 압축공기로 채우며 이 때 그 공기의 압력은 그 컴파트멘트 외부의 수압보다 더 높으며 그 컴파트멘트의 누수유무는 감시장치에 의해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화시키는 구성부재는 그 구성부재가 기체판을 관통시켜 그 기체판에 볼트로 단단히 조여있는 플랜지를 가지며, 중공샤프트와 중실축(solid shaft)이 그 플랜지를 관통하여 공축으로 구성되고, 그 중실축 및 중공샤프트의 자유단에서 레버가 축으로 회전할수 있게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그 구성부재는 물이 새지않은 컴파트멘트 내외측에서 평행사변형 형상의 거울-대칭 레버장치가 구성되어 그 컴파트멘트 내측에 있는 고정점이 직선 구동운동을 하는 슬라이드상에, 또 그 프로브를 지지하는 슬라이드상의 컴파트멘트 외측에 있도록 다른 레버에 회전운동을 한다. 중공샤프트 및 중실축이 공축배열을 하고 있으므로 그 운동을 전달하는 오차의 크기는 적다.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내에 배열된 그 레버장치의 고정점을 형성하고 있는 슬라이드가 두 회전 볼 리이드스크류(ball leadscrews)에 의해 이동되며, 그 각각은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에 의해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그 스테핑모터에 의해 정해진 운동은 뒤틀림(backlash)없이 전달된다. 프로브의 어떠한 손실도 예방하기 위하여 그 프로브를 지지하는 슬라이드가 보호 정지구로서 에너지흡수장치에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8도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워터푸우울(water pool)(도시생략)에 설치된 연료조립체저장 랙(racks)(3)의 상부측(2)에서 하강운동을 할 때 그 부착장치(1)을 두터운 선으로 나타낸다.
핀(4)가 그 부착장치(1)의 베아링판(bearing plate)(5)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그 연료조립체 저장랙(3)의 기준점(reference point)에 그 부착장치(1)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제7도에서와 같이, 핀(4)가 T자형 슬롯(6)에 안내되어 고정되며, 그 슬롯(6)은 대각선의 횡방향에서 그 베아링판(5)의 하부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4)은 슬라이딩 블록의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볼트는 서로 다른 연료조립체 저장랙의 크기에 대하여 별문제없이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부착(1)은 파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머니퓰레이터(7)이며 도시되지 않은 호이스트(hoist)의 훅(8)에는 검사할 연료조립체(9)를 나타낼 수 있다. 그 연료조립체(9)와 그 머니퓰레이터(7)은 두께가 수미터인 수층(水層)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다음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브(10)은 수중에서 작동한다. 머니퓰레이터(7)의 기체판(11)상에서 얼라이먼트 핀(12)에 의해 축회전되는 것과 같이 슬라이드(13)상에서도 동일하게 축회전이 된다.
그 얼라이먼트 핀(12)는 슬라이드(13)의 적당한 얼라이먼트 보링(14)로 돌출되고 와서(washers)(15) 및 볼트(16)(제3도)에 의해 고정된다.
제2a도에서와 같이, 그 슬라이드(13)은 판(plate)(18)로 구성되어 있어 그 판(18)은 컷아우트(cutout)(17)을 가지며 대향측면에 로울러(19)를 구성한다.
그 로울러(19)에 의해 슬라이드 (13)은 베아링판(5)에 부착된 트랙(20)에서 화살표 방향(21)로 이동할 수 있다.
센터링시이트(22)는 그 베아링판(5)에 또 부착되어 있고, 그 센터링시이트(22)는 단부지지체(23)으로 구성되며그 단부지지체(23)은 슬롯구멍(slotted hole)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로다른 크기의 그 연료조립체 하부단부재(26)에 적합하게 화살표(25)의 방향으로 조절할수 있다.
편심축(28)의 정지구(stop device)(27)이 그 단부지지체(23)과 대향하여 그 베아링판(5)에 부착되어 있다. 그 편심축(28)의 쇼울더 컬러(shouldered collar)(29)상에는 그 자유단에 부착된 도시되지않은 로우프(rope)와 로커(rocker)(30)을 설치시켜 그 로우프에 의해 그 편심축(28)이 회전된다.
또, 그 쇼울더컬러(29)에는 정지구(31)을 설치시켜 적절하게 조절할 때 그 정지구(31)은 그 편심축(28)이 최대점에 도달되기전에 그 연료조립체 하부단부재(26)에 접촉되도록 하여 그 베어링판(5)에서 정지되게 한다.
연료조립체(9)가 그 연료조립체 하부단부재(26)위에 현수(suspend)되어 중심에 오도록 호이스트(hoist)가 그 연료조립체 상부단부재(32)와 연결되어 있다. 그 베아링판을 중심에 있도록한 그 연료조립체의 범위내에서 컷아우트(cutout)(36)이 있어 그 연료조립체는 정지되지 않는다.
또, 그 센터링 시이트에는 두개의 조(Jaw)(34)로 구성되어 있어 그 조는 안내부재(guidance)(35)(제2b도)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13)은 중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컷아우트(17)로 구성되어 있고, 그 연료조립체(제2a도)에 가까이 있는 검사위치와 그 연료조립체에서 멀리있는 위치로 이동될수 있다.
원격제어운동은 레버장치(38)의 고정점(37)과 연결되어 그 고정점(37)주위를 회전시키는 로드공구(rod tool)(도시생략)에 의해 워터푸우울(water pool)의 외측위치에서 발생한다.
통공(39)를 형성한 두띠줄(strap)(40)이 베아링판(5)에서 돌출되어 있고, 그 통공은 그 기체판의 하부측에 부착되어 있다. 그 통공에는 그 슬라이드(13)을 고정시키기 위해 로드공구에 의해 나사볼트(41)를 조일수 있다. 따라서, 통공간의 거리는 그 슬라이드의 이동행정(travel)과 일치한다.
그 나사볼트는 그 상부측에 부착된 띠줄(strap)(42)로 안내되나, 지지체(43)은 이 띠줄(42)에서 가까운 슬라이드(13)의 상부측에서 또 돌출되어 있고 이 지지체(43)에는 레버장치(38)이 연결되어 그 슬라이드(13)의 종방향 운동을 발생한다.
또 그 슬라이드(13)은 유압 또는 공기압축 운동장치에 의해 이동할수도 있다. 그러나, 머니퓰레이터 제어가 고장이 날경우 그 연료조립체에서 그 프로브(10)을 꺼내도록 하기위하여 수동레버장치의 제어를 지속한다.
그 슬라이드가 복귀될수 없을경우 이탈시에는 그 프로브, 머니퓰레이터 및 연료조립체에 손상을 준다.
제3도 내지 제6도는 초음속프로브(44)를 지지하는 프로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머니퓰레이터조립체 또는 머니퓰레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얼라이먼트 핀(12)를 부착장치(1)의 슬라이드(13)에서 떨어져 형성한 기체판(11)과 덮개후드(45)가 그 구동장치를 포함한 물이 새지않은 컴파트멘트(46)을 포위하고 있다.
그 덮개후드(45)는 볼트(47)에 의해 기체판(11)에 부착되고 그 볼트사이에는 0-시일(0-seal)이 설치되어 있다.
그 볼트이음부(49)에 의해 그 전기공급케이블이 물이 새지 않은 컴파트멘트(46)내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공기 공급부재(50)에서 압축공기를 그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46)에 충만시켜 그 공기압력이 그 포위수 (surrounding water)(51)의 압력보다 비교적 더 높다.
그 시일(seal)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어떠한 누수도 그 구동장치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감시장치(52)에 의해 압력감소를 나타내어 시일링에 대한 대책을 적시에 취할 수 있다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고 회전운동에서 동일한 직선운동으로 다시 변환시키는데 필요한 감시장치(52)를 제3도와 제6도의 구동장치에 나타낸다. 그 구동장치에는 플랜지(54)를 갖고있어 그 플랜지(54)는 기체판(11)를 관통하여 볼트(55)에 의해 그 기체판(11)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그 통로에는 필요한 시일링(sealing)을 0-시일(56)에 의해 얻어진다. 중실축(57)과 중공샤프트(58)이 서로, 그리고 플랜지(54)에 공축으로 배치되어, 그 중공샤프트(58)은 볼베아링(59)에 의해 플랜지(54)에 안내되고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스페이서 슬리브(spacer sleeve)(60)이 볼베아링(59)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조커플링(Jaw coupling)(61)에 의해 중공샤프트(58)에 볼트로 조인 플랜지(62)가 작동하여 동일하게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며 동시에 볼베아링(63)을 구성시켜 그 중실축(57)을 반경방향으로 안내한다.
그 중공샤프트(58)에 위치한 볼베아링(63)에 의해 그 중심축(57)에 반경방향으로 지지를 한다. 그 머니퓰레이터(7)의 물이 새지않은 컴파트멘트(46)내에 돌설되어 있는 중실축(57)의 단부에는 4각바(squarebar)(64)를 구비하여, 거어더(girder)(65)를 그 4각바(64)의 중심으로 끼워 조임볼트(clamping bolt)(66)에 의해 고정시킨다.
스페이서슬리브(67)를 설치한 거어더(65)가 작동하여 그 중공샤프트(58)과 플랜지(54)의 축방향으로 그 중실축(57)을 지지한다.
그 워터푸우울의 포위물(51)과 서로 접해있는 볼베아링은 0-시일(68)과 샤프트 시일(69)에 의해 내부누수(in-leakage)를 방지한다. 그 포위물(51)내에 배치된 중실축과 중공샤프트의 단부에는 그 중실축(57)에 고정된 거어더(70)이 있고 그 중공샤프트(58)에 허브(hub)(71)이 있다.
그 워터푸우울의 포위물(51)내에 배치된 레버(73)이 물이 새지않은 컴파트멘트(46)에 배치된 레버(72)와 동일한 운동을 행하도록 거울-대칭구조 및 거울-대칭배열을 한 레버(72, 73)을 그 중실축(57)의 거어더(65, 70)에 볼트로 조인다. 그 레버(72, 73)의 정확한 위치는 슬롯 및 설편이음부(slot-and tongue joint)(74)에 의해 정하여 진다.
또, 그 중공샤프트(58)의 플랜지(62)와 허브(71)에 동일하게 부착된 레버(76, 77)도 거울-대칭구조 및 거울-대칭배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부착타입은 제5b도에서와 같이 거어더(65)에 부착시킨 레버(72)의 자유단은 다른 레버(78)상의 볼-베아링핀(75)에 그 물이 새지않은 컴파트멘트내에서 축회전되어 있다.
동일하게, 중공샤프트(58)의 플랜지(62)에 부착된 레버(77)은 또 볼베아링핀(79)에 의해 다른 레버(80)에도 부착된다.
다른레버(79, 80)의 자유단은 회전중심부(81)에 연결되어 이들 레버는 그 중심부의 주위에서 볼베아링(82)에 의해 작동될수 있다.
두 레버(78, 80)을 작동시킬 수 있는 나사볼트(83)이 슬라이드(84)로 나사식으로 부착되어 고정점(85)를 형성하고, 그 고정점(85)는 X- 또는 Y- 방향으로 그 슬라이드(84)와 함께 작동시킬수 있다.
제4도에서 레버(72, 76, 78, 80)은 슬라이드(84)와 그 구동장치를 더 명백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파선으로만 표시한다.
슬라이드(84)는 너트(86)에 의해 지지되고 그 너트(86)은 회전볼 리이드스크류(rotating ball leadscrew)(87)과 같이 결합되어 있다.
로드(rod)(88)이 그 회전볼 리이드스크류(87)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고, 슬라이드(84)와 연결된 마찰베아링(89)에 의해 Y-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로드는 안내된다.
이와 같은 이동이 발생될 때 스텝핑모터(90)에 의해 그 회전볼 리이드스크류(87)은 랙 및 피니온벨트 구동장치(rack and pinion belt drive)(91)에 의해 회전되어 너트(86)과 슬라이드(84)를 작동한다.
동일한 스텝핑모터(92)도 랙 및 피니온벨트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볼 리이드스크류(93)를 구동시키며 평행한 로드(94)는 X-방향으로 그 슬라이드(84)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체지지체(95)에 의해 회전볼 리이드스크류(93)과 그 연결된 로드(94)가 기체판(11)에 부착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슬라이드(84)와 그 결합 구동장치가 프레임(96)에 의해 지지되고 그 프레임(96)은 그 회전볼 리이드스크류(93)의 너트(97)과 로드(94)의 마찰베아링(99)와 결합되어 있다.
접근스위치(approach switches)(98)은 고정시킬수 있는 제한위치에서 그 슬라이드(84)의 운동을 예방한다.
제3도 및 제6도에 의해 각각의 볼베아링핀(102)에 의해 레버 (100, 101)은 또 그 푸우울의 수중에서 중심축(57)의 거어더(70)와 중공샤프트(58)의 허브(71)에 배치되고 레버 (72, 77)에 거울-대칭인 레버(76, 73)과 결합되어 있다. 프로브을 지지하는 슬라이드(104)에 고정된 나사볼트(105)에 의해 고정점(106)을 가진 공통 회전 중심부(103)을 이들 레버의 자유단에 형성한다.
따라서, 그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46)내에 설치된 슬라이드(84)의 고정점(85)에 그 프로브(10)을 지지하는 슬라이드(104)의 고정점(106)은 수직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다.
기체판(11)을 관통하는 구성부재(53)에 의해 두고정점(85, 106)의 정확한 점운동(point motion)이 보장된다.
슬라이드(104)는 하우징(107)내에 설치한 로드/마찰베아링 안내부재(rod/friction bearing guidance)(108)에 의해 X-방향으로 작동할수 있다.
Y-방향으로, 기체지지체(109)를 통하여 기체판(11)의 면에 부착된 두개의 로드(10)이 그 슬라이드의 안내를 제공한다.
그 로드(110) 중 하나가 마찰베아링(111)에 의해 포위되고 반면에 다른 로드(110)에는 로울(112)가 회전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숫치표시장치(evaluating unit)에서 초음속프로브(44)의 신호를 취하는 공급라인(114)가 프로브고정구(113)에서 떨어져 구성되어 있다. 장해물에 접근할때 그 프로브(10)의 이동운동을 정지시킬 목적에서 전기공급선(Electric supply line)(115)에 의해 공급된 에너지 흡수장치(116)이 또 그 프로브고정구(113)와 결합되어 있다.
그 프로브고정구(113)은 또 이동운동중에 있는 프로브를 지지시킬 목적에서 그 프로브의 단면에 적합한 안내핀(guidance piece)(117)을 구성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방법(procedure)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연료조립체(9)를 연료조립체 수리장소(119)의 연료조립체 지지케이지(cage)(118)에 넣어 수직방향위치로 유지시킨다.
그 수리장소(119)의 안내레일(guidance rail)(120)이 저면(121)과 연료저장 푸우울(123)의 일측벽(122)에 고정되어 있다.
로우프 구동장치(124)와 구동장치(drive unit)(125)가 설치되어 그 연료조립체 지지케이지(119)이 각각 그 안내레일(120)을 따라 수직운동을 하고 또 축(126)주위에서는 회전운동을 한다.
공지된 수리장치에서는 불량연료봉(연료펠릿을 함유한 피복튜브로 되어있고 단부캡(end cap)에 의해 막혀있음)을 제거시켜 그 수리장소 밖에서 검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그 불량연료봉을 그 수리장치 안에서 검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연료조립체 상부단부재(32)에 의해 그 연료조립체를 그 연료조립체 지지케이지의 상부단(top end)에서 지지, 고정시킨다.
그 연료조립체(9)는 그 연료조립체 지지케이지(118)에서 현수되고 그 연료조립체 하부단부재(26)과 같이 철제프레임으로된 그 지지케이지(118)의 저부단(127)을 지나 돌출되어 그 피복튜브(128)이 그 지지케이지(118)에서 적어도 10mm 정도까지 돌출된다. 그 안내레일(120)에 부착된 브래킷(129)이 제3도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머니퓰레이터(7)을 지지한 얼라이먼트핀(12)와 3개의 얼라이먼트 보링(Boring)(14a)에 의해 그 브래킷판(130)상에 지지된다. 연료조립체 상부단부재(32)와 결합한 고정장치는 그 머니퓰레이터(7)의 프로브(10)이 그 피복튜브(128)사이의 간극으로 이동될수 있게 그 브래킷(129)의 얼라이먼트 보링(14a)에 적합하게 한다.
그 수리장소와 그 머니퓰레이터를 이와같이 결합시킴으로써 불량연료봉의 검출과 대치를 동일한 장치에서 수행할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초음속 프로브헤드(probe head)를 설치하고 연료봉의 피복열(row)사이에 끼우며, 연료저장 푸우울 내측에 배치된 구성부재상에 설치시켜 작동하는 머니퓰레이터를 갖춘 프로브에 의해 수냉식 원자로의 연료조립체를 구성하는 연료봉속(fuel rod bundle)내측의 불량연료봉 피복을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머니퓰레이터(7)을 지지한 부착장치(1)내에서 그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드(slide)(13)으로 검사할 연료조립체(9)를 중심에 오게하고 호이스트(hoist)에 의해 지지시키며 슬라이드(13)을 그 검사위치로 오게하고;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내에 설치된 머니퓰레이트(7)의 구동장치의 운동은 그 연료저장 푸우울의 포위물(51)중에 배치된 프로브(prove)(10)으로 전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
  2. 적어도 하나의 초음속프로브헤드를 설치하고 연료봉의 피복열사이에 끼우며 연료저장 푸우울 내측에 배치된 구성부재상에 설치시켜 작동하는 머니퓰레이터를 갖춘 프로브에 의해 수냉식 원자로의 연료조립체를 구성하는 연료봉속 내측의 불량된 연료봉피복을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검사할 연료조립체를 지지케이지(118)내측의 수직위치로 지지시키고, 머니퓰레이터(7)를 브래킷(bracket)(129)상의 검사위치에서 지지시키며,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내에 설치된 머니퓰레이터(7)구동장치의 운동을 그 연료저장 푸우울의 포위물(51)내측에 설치한 프로브(10)으로 전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슬라이드(84)를 X- 또는 Y-방향으로 작동시키며, 직선운동을 레버장치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고, 회전운동을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46)에서 연료저장 푸우울로 전달시키며, 그 회전운동을 다른 레버장치에 의해 동일한 직선운동으로 다시 변환시켜 그 프로브를 지지하는 슬라이드(104)로 전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
  4. 부착장치(1)을 상부측(2)의 크기에 적합한 핀(4)에 연료조립체 연료저장랙(rack)(3)의 상부측(2)에 고정시키고, 센터링시이트(centering seat)(22)가 두 대향측 상의 연료조립체 하부단부재(26)와 접촉되어 그 센터링속도를 변화시킬수 있도록 하며, 머니퓰레이터(7)을 지지하는 슬라이드(13)을 두 위치로 작동시키고, 그 구동장치의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46)가 그 구동장치를 지지하는 기체판(11)과 덮개후우드(covering hood)(45)에 의해 포위되고,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성부재(53)가 그 기체판을 관통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판(11)에는 T자형 슬롯(6)을 형성하고 핀(4)를 작동시켜 슬라이딩블록(sliding block)의 방법으로 이들의 슬롯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시이트(centering seat)(22)가 그 기체판에 부착된 단부지지체(23)과 대향측상에 배치된 편심축(28)으로 구성되어 그 편심축이 로커(rocker)(30)에 의한 원격제어로 작동되고 정지구(31)을 그 편심축에 부착시켜 그 운동을 제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시이트(22)가 안내부재(35)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작동될수 있는 조(Jaws)(34)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머니퓰레이터(7)을 지지하는 슬라이드(13)이 기체판(11)에 부착된 트랙(Tracked)(20)에 안내되고, 그 슬라이드운동은 원격제어 레버장치 및/또는 유압/압축공기 실린더에 의해 발생하며, 그 슬라이드(13)은 기체판(11)에서 돌출되고 나사식접속에 의해 고정된 얼라이먼트핀(12)을 형성하는 수개의 얼라이먼트 보링(boring)(14)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46)에는 압축공기를 채워 그 압축공기의 압력이 그 컴파트멘트 외측의 수압(水壓)보다 비교적 더 높으며 감시장치(52)가 그 컴파트멘트의 어떠한 누수도 나타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부재(53)에는 기체판(11)을 관통하여 그 판을 볼트로 조인 플랜지(54)를 가지며, 중공샤프트(58)과 중실축(57)이 그 플랜지를 공축으로 관통하고, 그 중공샤프트와 중실축의 자유단에는 레버가 축으로 회전되며, 그 물이 새지 않는 컴파트멘트(46)의 내측과 외측에 평행사변형상의 거울-대칭레버장치가 구성하도록 이 레버가 다른 레버에 축회전되어 그 고정점(85, 106)이 직선구동운동을 하는 슬라이드(84)에서 그 컴파트멘트(46)의 내측에, 또 프로브(10)을 지지하는 다른 슬라이드(104)에서 그 컴파트멘트의 외측에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장치의 고정점을 형성하는 슬라이드(84)가 두 회전볼 리이드 스크류(87, 93)에 의해 작동되고 각각은 스텝핑모터(90, 92)에 의해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10)을 지지하는 슬라이드(104)가 프로브(10)의 보호정지구로서 에너지 흡수장치(11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 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13. 제4항에서, 상기 연료조립체 하부단부재(26)과 연결된 연료조립체 피복튜브(9)가 그 머니퓰레이터 프로브(10)의 연료조립체 지지케이지(cage)(118)하부단을 지나 돌출되어 그 피복튜브(9)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검사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KR1019830005968A 1983-10-12 1983-12-16 수냉식 원자로의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위치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KR900009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3337084 DE3337084A1 (de) 1983-10-12 1983-10-12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uffinden defekter brennstabhuellrohre wassergekuehlter kernreaktoren
DEP33370842-33 1983-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697A KR850004697A (ko) 1985-07-25
KR900009067B1 true KR900009067B1 (ko) 1990-12-20

Family

ID=621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968A KR900009067B1 (ko) 1983-10-12 1983-12-16 수냉식 원자로의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위치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55993A (ko)
EP (1) EP0137077B1 (ko)
JP (1) JPS6082996A (ko)
KR (1) KR900009067B1 (ko)
AT (1) ATE32283T1 (ko)
DE (2) DE3337084A1 (ko)
ES (1) ES8702054A1 (ko)
ZA (1) ZA8393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4909A1 (de) * 1985-07-12 1987-01-22 Bbc Reakto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uefen von vertikal erstreckten brennstaeben wassergekuehlter kernreaktoren, die zu einem brennstabbuendel zusammengefasst sind
DE3542200A1 (de) * 1985-11-29 1987-06-04 Bbc Reaktor Gmbh Verfahren zum pruefen der abmessungen eines brennelementes fuer kernreaktoren
US4728483A (en) * 1986-04-24 1988-03-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integrated fuel assembly inspection system
DE3632061A1 (de) * 1986-09-20 1988-04-07 Bbc Reaktor Gmbh Einrichtung zur inspektion eines kernreaktor-brennelementes
DE3632060A1 (de) * 1986-09-20 1988-05-05 Bbc Reaktor Gmbh Einrichtung zur inspektion von kernreaktor-brennstaeben
US5215706A (en) * 1991-06-05 1993-06-01 Siemens Pow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nic testing of nuclear fuel rods employing an alignment guide
KR100470932B1 (ko) * 2002-07-31 2005-02-2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와전류 탐상검사용 핵연료봉 이송장치
US20060193422A1 (en) * 2005-02-14 2006-08-31 Davis Michael D Fuel channel characterization method and device
US20060291608A1 (en) * 2005-06-22 2006-12-28 Davis Michael D Fuel channel characterization method and device
RU2596216C1 (ru) * 2015-05-12 2016-09-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согласованного вращения асинхронных двигателей
CN106932480B (zh) * 2015-12-31 2019-10-11 中核建中核燃料元件有限公司 一种提高燃料棒包壳管超声探伤装置稳定性的方法
CN108269628B (zh) * 2016-12-30 2023-10-20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正方形排列破损燃料组件的超声检查装置
CN106708116B (zh) * 2017-03-08 2019-05-21 苏州汇才土水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多功能水压强控制器
CN114945995A (zh) * 2019-10-11 2022-08-26 Bwxt加拿大核能股份有限公司 缺陷燃料棒束定位系统
CN112466489A (zh) * 2020-11-17 2021-03-09 中广核工程有限公司 核电站乏燃料贮存格架自动定位与缺陷检测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749A (en) * 1973-07-05 1977-04-12 Wachter William J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on of nuclear fuel rods
US4175000A (en) * 1973-10-23 1979-11-20 The Babcock & Wilcox Company Method for inspecting nuclear reactor fuel elements
JPS511893A (ko) * 1974-06-24 1976-01-09 Hitachi Ltd
FR2298859A1 (fr) * 1975-01-22 1976-08-20 Framatome Sa Appareil et installation d'examen des barreaux combustibles d'un reacteur nucleaire
FR2304149A1 (fr) * 1975-03-14 1976-10-08 Framatome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xamen de prolongateurs d'un reacteur nucleaire
DE2605962C2 (de) * 1976-02-14 1982-05-06 Brown Boveri Reaktor GmbH, 6800 Mannheim Einrichtung zum Lokalisieren defekter Brennstabhüllrohre eines kompletten Brennelements
DE2659555C2 (de) * 1976-02-14 1983-06-16 Brown Boveri Reaktor GmbH, 6800 Mannheim Einrichtung zum Lokalisieren defekter Brennstabhüllrohre eines kompletten Brennelements eines wassergekühlten Kernreaktors
US4274205A (en) * 1979-04-23 1981-06-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asuring fixture
FR2494837A1 (fr) * 1980-11-26 1982-05-2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controle des dimensions et de l'ecartement de pieces rigides disposees en faisceau
JPS57161613A (en) * 1981-03-31 1982-10-05 Nuclear Fuel Ind Ltd Measuring device for distance among fuel element of nuclear fuel assembly
FR2517104B1 (fr) * 1981-11-25 1987-07-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xamen d'un assemblage combustible de reacteur nucleaire et machine d'examen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DE3149362C2 (de) * 1981-12-12 1983-10-27 Brown Boveri Reaktor GmbH, 6800 Mannheim Verfahren zum Auffinden defekter Brennstabhüllrohre mit Hilfe von Ultraschall
FR2525799A1 (fr) * 1982-04-21 1983-10-28 Legrand Roger Appareil de positionnement d'un instrument par rapport a un faisceau d'organes allonges
DE3219938A1 (de) * 1982-05-27 1983-12-01 Bbc Reaktor Gmbh Einrichtung zur inspektion von brennelementen insbesondere zum detektiren defekter brennstaebe aus kompletten brennelementen wassergekuehlter kernreaktoren
FR2538155B1 (fr) * 1982-12-17 1988-08-12 Fragema Framatome & Cogema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lements combustibles defectueux utilisant l'absorption ultrason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39376B (en) 1984-08-29
JPH0527077B2 (ko) 1993-04-20
EP0137077A3 (ko) 1985-05-22
US4655993A (en) 1987-04-07
DE3375531D1 (en) 1988-03-03
JPS6082996A (ja) 1985-05-11
ES527983A0 (es) 1986-12-16
ES8702054A1 (es) 1986-12-16
EP0137077A2 (de) 1985-04-17
KR850004697A (ko) 1985-07-25
DE3337084A1 (de) 1985-04-25
EP0137077B1 (de) 1988-01-27
DE3337084C2 (ko) 1991-03-28
ATE32283T1 (de) 198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067B1 (ko) 수냉식 원자로의 튜브를 피복한 불량연료봉을 위치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US3809607A (en) Reactor vessel in-service inspection assembly
US4205940A (en) Apparatus for remotely repairing tubes in a steam generator
US4438805A (en) Manipulator for remote-controlled inspection and, if necessary or desirable, repair of heat exchanger tubes
US3943756A (en) Wall inspection device
US5586155A (en) Narrow access scanning positioner for inspecting core shroud in boiling water reactor
US4893512A (en) Swinging-type automatic examination apparatus for piping
US4672852A (en) Test manipulator externally applicable to a pipe
CN104979029B (zh) 核电站控制棒驱动机构ω焊缝超声检查装置
CN103115964A (zh) 一种核电站主泵主轴超声波自动扫查装置
US4213732A (en) Apparatus for remotely repairing tubes in a steam generator
US55685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ultrasonic inspection of core spray T-box welds
EP2907139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sensor position in limited access areas within a nuclear reactor
US4336104A (en) Inspection and testing device
US5434895A (en)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the internal surface of an adapter passing through the head of the vessel of a nuclear reactor
JP2000046987A (ja) 原子炉の炉心内配管部保全装置
JPH06148378A (ja) 取付ボルトの超音波探傷検査装置
US4488435A (en) Analysis manipulator for non-destructive material test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rdinates thereof
US3929007A (en) Apparatus for carrying out ultrasonic inspection of pressure vessels
CN209570527U (zh) 一种车载ct无损检测系统
JPS61132894A (ja) 燃料集合体の核燃料要素の漏れを検知する方法及び装置
KR830000007B1 (ko) 증기발생기의 관 원격 수리장치
CA1090991A (en) Apparatus for remotely repairing tubes in a steam generator
FR2426965A1 (fr) Installation de controle pour joints de raccord de tuyaux a une cuve de reacteur nucleaire
CA1130545A (en) Apparatus for remotely repairing tubes in a steam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