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922Y1 - 모우터의 검지장치 - Google Patents

모우터의 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922Y1
KR900008922Y1 KR2019870011834U KR870011834U KR900008922Y1 KR 900008922 Y1 KR900008922 Y1 KR 900008922Y1 KR 2019870011834 U KR2019870011834 U KR 2019870011834U KR 870011834 U KR870011834 U KR 870011834U KR 900008922 Y1 KR900008922 Y1 KR 900008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rotation
rotation speed
motor
speed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1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806U (ko
Inventor
아츠오 모리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오까 가츠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오까 가츠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3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8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14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speed s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우터의 검지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모우터의 측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모우터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모우터의 주요 부분의 측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모우터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
제 5 도 내지 제 8 도는, 종래 기술의 모우터로서, 제 5 도는, 그의 측단면도.
제 6 도는, 그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
제 7 도는, 종래의 모우터에 있어, 마그네트와 검지부와의 관게를 나타낸 설명도.
제 8 도는, 종래의 모우터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
제 9 도는, 본 고안에 있어 회전수 검지부재가 검지한 펄스 전류와 그의 정형후의 파형도.
제 10 도는, 종래 기술의 모우터에 있어 회전수 검지 부재가 검지한 펄스 전류와 그의 정형후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우터(Rotor) 2 : 회전 요우크
3 :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 4 :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
5 : 모우터풀리 6 : 스테이터 코일
6a : 직선부 7 : 베이스
7a : 일어세운부재 7b : 구멍
8 : 플렉시블기판 8b : 도체패턴
9 : 베어링 10 : 회전축
11 : 회전수 검지부재 11b : 착설판
12 : 나사 13 : 일어세운 부재
14 : 나사 P : 펄스전류
P' : 펄스신호 Φ₁Φ'₁Φ₂ : 자속
본 고안은,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이하 DAT라 약칭함)의 캡스턴 등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모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우터의 회전수를 자기적으로 검지하는 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DAT의 캡스턴 등의 구동원으로서는, 얇은 형의 브러쉬레스(Brushless) 모우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모우터에는, 회전수 검지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그의 회전수 검지부재로서 로우터의 회전수가 검지되며, 제어회로에 의하여 회전수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제 5 도 내지 제 8 도는, 종래 기술의 브러쉬레스 모우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5 도는, 그의 측단면도이고, 제 6 도는, 그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이고, 제 7 도는, 마그네트와 검지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제 8 도는, 그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이다.
브러쉬레스 모우터의 로우터(1)는, 회전 요우크(2)의 아래면에 고정된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3)와 바깥둘레에 고정된 회전검지용 마그네트(4)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3)에는, 회전 방향을 따라서 N극과 S극이 교호로 착자(着磁)되어 있다.
상기의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에는, N극과 S극이 상기의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3)보다도 짧은 피치로서 교호로 착자되어 있다.
또한, 모우터의 고정쪽에는, 6개의 스테이터 코일(6)이 원주 방향을 따라서 동일 간격으로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스테이터 코일(6)의 직선부(6a)에 흐르는 전류와 회전구동용 마그네트(3)의 자계에 의하여 로우터(1)에 회전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쪽에는 회전수 검지부재(11)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는, 회전수 검지부재(11)는 베이스(7)위의 로우터(1)의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로우터(1)가 회전하면,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의 자극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수 검지부재(11)가 자극의 변화를 검지하여,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펄스 전류(P)를 출력시킨다.
이 펄스 전류(P)파형을 정형하면, 제 9 도에서 나타낸 펄스신호(P')를 얻게된다.
제 9 도에서 나타낸 펄스신호(P')를 카운트 하는 것에 의하여 로우터(1)의 회전수를 알수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모우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수검지부재(11)가 검지해야할 자속만을 정확하게 검지하여, 제어계로 피이드 백 하여야만 한다.
예를들면, DAT의 캡스턴 모우터에서는, 회전수 검지부재(11)가 로우터(1)의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의 자극을 N,S,N,S,…로 검지하여, 제 9 도에서와 같은 펄스 전류(P)를 발생시키고, 도시하지 아니한 제어회로로서 펄스신호(P')로 파형을 정형하며, 그의 펄스신호(P')에 의하여 회전수를 검지하고, 검지한 회전수를 제어회로로서 처리하여가는 것에 의하여 안정된 회전을 얻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일련의 동작을 정확하게 행할려며는, 회전수 검지 부재(11)가 로우터(1)의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의 자극의 지속(Φ₂)만을 정확하게 검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에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수 검지부재(11)가 회전수검지용 마그네트(4)의 자속(Φ₂)만이 아니고, 회전구동을 마그네트(3)의 자속(Φ'₁)까지를 검지하여 버리기 때문에, 그 결과, 제 10 도에서 나타낸 펄스전류(P)의 파형에 물결치는 형상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정형된 펄스신호(P')의 파형도 불균등하게 되므로, 잘못된 신호를 제어회로에 피이드 백하는 거이되어, 모우터의 와우, 플러터(wow.Flutter)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전수 검지부재가 검지하는 회전구동용 마그네트에서의 누설자속을 최대한 적게하고, 낮은 와우 플러터로 안정된 회전을 지속하는 모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베이스 위에 플렉시블기판이 형성되고, 이 플렉시블 기판위에 스테이터 코일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스테이터 코일위에는 마그네트를 구비한 로우터가 회전이 자유롭게 대향하고 있고, 또한 로우터의 주위에는 회전수 검지용의 마그네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위에는 이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회전수 검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모우터의 검지장치에 있어서, 검지부재와 스테이터 코일과의 사이의 베이스 위에 일어세운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일어세운 부재와 인접한 구멍을 검지부재 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검지부재와 스테이터 코일과의 사이의 베이스 위에 일어세운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일어세운 부재와 인접한 구멍을 검지부 쪽에 형성한 것에 의하여,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 에서의 누설 자속이 베이스를 통하여 검지소자에 뛰어드는 일이 없이, 로우터의 회전 요우크에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로 부터의 자속이 전달되어, 그 상태대로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에 되돌아 가므로, 따라서 검지소자가 검지하는 것에 외부교란이 극히 적게되어, 검지파형이 안정되므로, 안정된 모우터의 회전을 얻는 것이다.
[실시예]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3 도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도는, DAT의 캡스턴의 동력원등으로 사용되는 브러쉬레스 모우터의 측단면도이고, 제 2 도는, 그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이며, 제 3 도는, 그의 주요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중에서, 부호(7)는, 금속판 등에 의하여 형성된 베이스이고, 그의 베이스(7)위에는 플렉시블 기판(8)위에 스테이터 코일(6)이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일(6)은 원주방향을 따라서 동일 간격으로 6개가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스테이터 코일(6)은, 플렉시블 기관(8)의 표면을 따라서 대략 삼각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플렉시블 기판(8)의 표면에는 도체 패턴(8b)이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도체패턴(8b)에 의하여 도시하지 아니한 제어회로로부터 각각의 스테이터 코일(6)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7)위에는 회전수 검지부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수 검지부재(11)의 아래부분에는 착설판(11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착설판(11b)이 나사(1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부호(10)는 회전축이다.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축(10)은 베어링(9)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0)의 앞끝단에는, 로우터(1)의 회전 요우크(2)를 고정하고 있는 모우터 풀리(5)가 고정되어 있다.
로우터(1)의 회전요우크(2)의 아래면에는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3)와, 바깥둘레에는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3)에는 회전방향을 따라서 N극과 S극이 교호로 착자되고 있다.
또한,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에는 N극과 S극이 회전방향을 따라서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3)보다 짧은 피치로서 착자되어 있다.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3)는 스테이터 코일(6)위에 미세한 공극을 가지고 대향하고 있다.
또한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는, 상기의 회전수 검지부재(11)에 미세한 공극을 가지고 대향하고 있다.
회전수 검지부재(11)와 스테이터 코일(6)과의 사이의 베이스(7)위에는, 일어세운 부재(7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일어세운 부재(7a)와 인접한 구멍(7b)을 상기 회전수 검지부재(11)쪽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모우터의 동작은, 스테이터 코일(6)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스테이터 코일(6)에 전류가 흐르면, 직선부(6a)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와 로우터(1)의 회전 요우크(2)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3)의 자계에 의하여 로우터(1)에 회전력이 작용한다.
로우터(1)가 회전하면, 회전수검지용 마그네트(4)의 자극이 이동에 따라서, 이 자속(Φ₂)을 회전수 검지 부재(11)로서 검지하여, 제 9 도에 나타낸 펄스전류(P)가 출력된다.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3)의 자속은, 스테이터 코일(6)과 플렉시블기관(8)을 통하여 베이스(7)에 전달되고, 이어서 일어세운 부재(7a)에 도달된다.
일어세운 부재(7a)의 앞끝단 부근에서 가장 투자율이 높은 것은, 회전 요우크판(2)인 것이어서, 자속은 일어세운 부재(7a)로부터 일어세운 부재(7a)와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와의 사이의 공극,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 그리고 회전 요우크 판(2), 으로 전달되어,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3)로 되돌아 간다.
상기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구동용 마그네트(3)로부터 회전수 검지부재(11)로의 누설자속은 극히 적게 되어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안정된 펄스전류(P)를 회전수 검지부재(11)가 출력하는 것이되므로, 결과적으로 낮은 와 플러터로서 안정된 회전을 모우터가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회전수 검지부재(11)와 회전수검지용 마그네트(4) 및 일어세운 부재(7a)가 회전구동용 마그네트(3)의 바깥둘레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나, 이들은 회전구동용 마그네트(3)의 안쪽둘레부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수 검지부재(11)와 회전수 검지용 마그네트(4)와 일어세운 부재(7a)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나, 회전위치 검지부재와 회전위치 검지용 마그네트 및 일어세운 부재에 대하여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명백한 것이다.
다음에, 제 4 도에서 일어세운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어세운 부재(13)를 L자형상의 철판등으로 형성하고, 나사(14)에 의하여 착설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수 검지부재와, 스테이터 코일과의 사이의 베이스 위에 일어세운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의 일어세운 부재와 인접한 구멍을 회전수 검지부재 쪽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구동용 마그네트로부터 코일을 통하여 베이스에 전달된 자속이, 그 상태대로 회전수 검지부재에 전달되는 일이 없고, 일어세운 부재의 돌출 끝단에서, 그의 돌출 끝단 부근에서 가장 투자율이 높은 회전 요우크판에 흡수되어, 회전구동용 마그네트로 되돌아 가게 된다.
그 결과, 일어세운 부재를 형성하지 않고, 회전구동용 마그네트로부터 베이스에 전달된 자속이, 회전수검지부재로 뛰어들어가고 있는 모우터의 회전수 검지부재가 검지하는 파형보다, 일어세운 부재를 형성한 모우터의 회전수 검지부재가 검지하는 파형쪽이 훨신 안정되고, 그것에 의하여 정형된 파형도 안정되므로서, 보다 안정된 모우터의 회전을 얻을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베이스(7)위에 플렉시블 기판(8)이 형성되고, 이 플렉시블 기판(8)위에 스테이터 코일(6)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스테이터 코일(6)위에는 마그네트(3)를 구비한 로우터(1)가 회전이 자유롭게 대향하고 있고, 또한 로우터(1)의 주위에는 회전수 검지용의 마그네트(4)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7)위에는 이 마그네트(4)에 대향하는 회전수 검지부재(11)가 형성되어 있는 모우터의 검지장치에 있어서, 검지부재(11)와 스테이터 코일(6)과의 사이의 베이스(7)위에 일어세운 부재(7a)를 형성하고, 상기 일어세운 부재(7a)와 인접한 구멍(7b)을 검지부 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의 검지장치.
KR2019870011834U 1986-12-19 1987-07-21 모우터의 검지장치 KR9000089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95679U JPS63100983U (ko) 1986-12-19 1986-12-19
JP?195679 1986-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806U KR880013806U (ko) 1988-08-30
KR900008922Y1 true KR900008922Y1 (ko) 1990-09-29

Family

ID=3115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1834U KR900008922Y1 (ko) 1986-12-19 1987-07-21 모우터의 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00983U (ko)
KR (1) KR9000089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806U (ko) 1988-08-30
JPS63100983U (ko)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1963A (en) Brushless, permanent magnet d-c pulse current controlled, essentially uniform torque dynamo electric machine, particularly motor
US4110676A (en) Dynamoelectric machine and tachometer
US4839551A (en) Brushless motor structure enabling accurate relative positioning of rotor and stator coils
EP0200537A2 (en) Electrical motor with improved tachometer generator
KR900008922Y1 (ko) 모우터의 검지장치
JPH1141897A (ja) 回転速度検出手段を有するモータ
KR860002893A (ko) 전자적으로 정류되는 직류기 및 그 사용방법
JPS61280753A (ja) 可変速永久磁石電動機
KR930007341Y1 (ko) 직류 무정류자 모터
JPH0350458Y2 (ko)
KR880002193Y1 (ko) 브러시레스 서보 모터의 속도 제어장치
KR890005916Y1 (ko) 브러시리스 모우터
JPH03261358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
KR100227756B1 (ko) 브이씨알 헤드드럼모터의 에프쥐센서회로
JP2588043Y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H04364348A (ja) 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
JPS6142262A (ja) ブラシレスモ−タ
JP2001078392A (ja) センサー付き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3803396B2 (ja) 電動機
KR930003685Y1 (ko) 무정류자 직류모터의 에프 지(fg)신호 착자구조
KR930011834B1 (ko) 무정류자 직류전동기
JP2616216B2 (ja) 電動機
KR19980035176U (ko) 편평형 직류 무정류자 모터
JPH04172956A (ja) 電動機
JPH0685624B2 (ja) スロツト鉄心形モ−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