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870Y1 - 전열 온수 보일러 - Google Patents

전열 온수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870Y1
KR900008870Y1 KR2019870018095U KR870018095U KR900008870Y1 KR 900008870 Y1 KR900008870 Y1 KR 900008870Y1 KR 2019870018095 U KR2019870018095 U KR 2019870018095U KR 870018095 U KR870018095 U KR 870018095U KR 900008870 Y1 KR900008870 Y1 KR 900008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ter
hot water
check valv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8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184U (ko
Inventor
김대남
Original Assignee
김대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남 filed Critical 김대남
Priority to KR2019870018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870Y1/ko
Publication of KR890009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열 온수 보일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조 2 : 온수조
4 : 격판 5 : 제1실
6 : 제2실 9,12,16 : 체크밸브
17 : 온수송출관
본 고안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히이터를 온수조내에 설치하여 물의 온도를 높임과 아울러 이에 따른 압력상승으로 온수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전열 온수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형태의 보일러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특히 최근에 사회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환경오염문제나 연탄가스등이 인체에 끼치는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지금까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보일러의 대부분의 연탄을 사용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일러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데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보일러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식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되는데, 그 첫째는, 버어너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증가시켜 연소가스의 흐름을 한층 빠르게 함으로서, 열에너지 전달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그 둘째는, 보일러 공간내에 가능한 전열면적을 넓게하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상기 첫번째 방식은, 강제순환 방식을 이용하여야 함에 기인하여 모우터등이 사용됨에 따라 동력의 소비가 함께 소음문제도 함께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두번째 방식은 전열면이 증가되는 만큼 단위면적당 전달되는 열에너지의 양이 적게 되므로서 열효율은 증가시킬 수 있으나, 전열면적은 증가하는 만큼 공기의 흐름속도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적 연결되는 히이터를 온수조내에 설치하여 이 히이터에 의하여 물의 온도를 높이고, 이때 발생되는 온수조내의 압력상승으로 물의 순환을 유도하는 전열 온수 보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설치되는 수조(1)은 온수조(2)와 급수관(3)에 의해 연통된다.
온수조(2)는 격판(4)에 의해 제1실(5)와 제2실(6)으로 구획 분리된다. 그리고 격판(4)에는 볼(7)에 의해 구멍(8)이 개폐되는 체크밸브(9)가 설치되어져 제1실(5)에 유입되어 있는 물이 제2실(6)으로 상승될 때 압력차에 따라 구멍(8)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실(5)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통상의 히이터(H)가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볼(10)이 내설되고 구멍(11)이 뚫려 있는 체크밸브(12)가 설치되어져 환수관(13)의 물 유입을 개폐토록 되어 있다.
제2실(6)의 상면에는 볼(14)가 내설되고, 구멍(15)가 뚫려 있는 체크밸브(16)이 설치되어져 급수관(3)을 개폐토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실(6)의 측면은 온수송출관(17)과 연통되며 내부에는 온수감지기(18)에 내장되어 있어 제2실(6)내의 수온이 온수소절노브(19)에 셋팅된 온수로 될 때 이를 감지하여 하이터(H)의 전원이 오프되고 그 이하일때에는 온 되도록 되어 있다.
환수관(13)에는 에어밸브(20)과 차단밸브(21)이 설치되어져 급수시 차단밸브(21)을 잠그고 에어밸브(20)을 열어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2,23은 온도에 따라 각각 점등되는 적, 청색의 표시 램프를 나타내고 24는 전원 스위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먼저 전원스위치(24)를 온시키게 되면 히이터(H)가 가열되어 온수조(2)의 제1실(5)내에 유입되어 있는 물을 가열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제1실(5)내의 수온 상승과 함께 제1실(5)내부에는 압력이 높아진다.
이때, 제1실(5)의 상면은 체크밸브(9)에 의해 차단되어 있고, 하면은 또 하나의 체크밸브(12)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밀폐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시간이 단축되며 이로 인하여 제1실(5)내의 압력이 상승되게 되면 볼(7)이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위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그러면, 구멍(8)을 통하여 제1실(5)내의 물이 상승된다.
이와 같이 물이 상승되면, 체크밸브(16)의 볼은 위로 밀려가 급수관(3)을 차단시키게 되므로서, 제1실(5)에서 제2실(6)으로 유입되는 물은 온수송출관(17)을 통하여 온수파이프(도시생략)내를 순환하고, 환수관(13)을 통하여 제1실(5)로 다시 유입된다.
이때, 체크밸브(12)의 볼(10)이 위로 밀려 올라가면서 구멍(11)이 열려지게 되므로 물의 유입이 가능케된다.
이와 같이,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1실(5)내의 수온이 낮아지게 되고, 이와 더불어 압력도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체크밸브(9)의 볼(8)은 상승압을 받지 않게 되므로 원위치 되어 제1실(5)와 제2실(6)과를 차단시켜 제1실(5)를 밀폐상태로 유지케 하는 것이다
그리고 히이터(H)는 계속적으로 가열되므로 제1실(5)내의 수온은 점차 상승되어 전기한 바와 같은 물의 순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수조(1)로부터 보충되는 물의 제2실(6)으로만 공급되기 때문에 제1실(5)의 수온이 저하되지 않게 되고, 온수감지기(18)에 감지되는 수온의 정도에 따라 히이터(H)에 전원이 공급되어지므로 일정온도의 물을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기적으로 히이터를 가열함으로서 수온을 점차 상승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압력으로 물을 순환시켜 난방을 하게됨으로 종래 연탄보일러가 갖는 제반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난방이 필요한 시간에만 가동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난방면적이 좁은 곳에 특히 적합하여 난방이 어려웠던 지하실이나 다락방등에도 간편히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온수조(2)를 격판(4)로 제1실(5)와 제2실(6)으로 구획 형성하고, 전기한 제1실(5)에 히이터(H)를 내장시키며 격판(4)에는 체크밸브(9)를 설치하여 제1실(5)에서 제2실(6)으로 물의 이동을 가능케 하고, 제2실(6)의 상면에는 체크밸브(16)을 설치하여 수조(1)과 연결시키며, 측면은 온수송출관(17)과 연통시킴과 아울러 제1실의 하면에는 체크밸브(12)를 설치하여 환수관(13)과 연통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온수 보일러.
KR2019870018095U 1987-10-23 1987-10-23 전열 온수 보일러 KR900008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8095U KR900008870Y1 (ko) 1987-10-23 1987-10-23 전열 온수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8095U KR900008870Y1 (ko) 1987-10-23 1987-10-23 전열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184U KR890009184U (ko) 1989-05-30
KR900008870Y1 true KR900008870Y1 (ko) 1990-09-29

Family

ID=1926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8095U KR900008870Y1 (ko) 1987-10-23 1987-10-23 전열 온수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8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184U (ko) 198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7650A (zh) 双能源环保节能蒸箱
US2373731A (en) Heating unit
KR900008870Y1 (ko) 전열 온수 보일러
KR20090070462A (ko) 열 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KR200463198Y1 (ko) 난로용 보일러
KR100393917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20020025922A (ko) 보일러
KR100490828B1 (ko) 온돌과 폐수열 및 폐열회수기를 결합한 고효율 난방 및온수공급 시스템
KR200259439Y1 (ko) 야외용매트의가열장치
JPS6023636Y2 (ja) 給湯装置
KR890006772Y1 (ko) 가스레인지를 이용한 난방용 라디에이터장치
KR200333251Y1 (ko) 온수 보일러
CN219868479U (zh) 燃气热水器
KR200315488Y1 (ko) 온수 보일러의 폐열흡수용 연통.
KR900006506Y1 (ko) 증기 보일러
CN2332957Y (zh) 一种低压高温蒸汽发生器
KR200174696Y1 (ko) 축사용 전기보일러
KR200219771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920000504Y1 (ko) 휴대용 소형 온수보일러
KR820002215Y1 (ko) 구멍탄 보일러
KR870001688Y1 (ko) 온수 보일러
KR100283262B1 (ko) 가스보일러의 비례밸브 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KR820000557Y1 (ko) 난로겸용 온수 보일러
CN2182958Y (zh) 无电源自控连续沸腾式燃气沸水器
KR20020093685A (ko) 온풍기용 연탄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