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325B1 - Parking garage - Google Patents

Parking ga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325B1
KR900008325B1 KR1019840001199A KR840001199A KR900008325B1 KR 900008325 B1 KR900008325 B1 KR 900008325B1 KR 1019840001199 A KR1019840001199 A KR 1019840001199A KR 840001199 A KR840001199 A KR 840001199A KR 900008325 B1 KR900008325 B1 KR 900008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body
lifting
operation switch
switc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50000583A (en
Inventor
야스요시 가쯔다
아끼라 기따지마
미쯔오 도가시
기요시 야마기시
다이스께 다지마
켄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도오큐샤료오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다까하시 이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3095199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4156U/en
Priority claimed from JP95200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4158U/en
Application filed by 도오큐샤료오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다까하시 이와오 filed Critical 도오큐샤료오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2단주차장치Two-stage parking device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일부 절결한 전체사시도.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제2도는 정면도.2 is a front view.

제3도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제4도는 체인조절부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chain control.

제5도는 구동축부의 요부를 표시한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drive shaft.

제6도는 진동방지장치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the anti-vibration device.

제7도는 낙하방지장치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제8도는 제7도를 우측에서 본 도면.8 is a view of FIG. 7 viewed from the right.

제9도는 조작스위치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on switch.

제10도는 동 요부종단면도.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me part.

제11도는 제10도의 A-A선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12도는 조작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측단면도.1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switch.

제13도는 제12도를 우측에서 본 단면도.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viewed from the right.

제14도는 정지장치의 정면단면도.1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stop device.

제15도는 제14도를 좌측에서 본 도면.FIG. 15 is a view of FIG. 14 viewed from the left.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a : 대향벽 2, 2a : 가로비임1,1a: facing wall 2, 2a: aspect ratio

3, 3a, 3b, 3c : 보조기둥 4, 4a, 4b, 4c : 지주3, 3a, 3b, 3c: auxiliary pillar 4, 4a, 4b, 4c: strut

5 : 상단깔판 6 : 하단깔판5: upper pallet 6: lower pallet

7, 7a, 7b, 7c : 체인 8 : 안내돌기7, 7a, 7b, 7c: chain 8: guide protrusion

9 : 브래킷 10 : 체인조절기9: bracket 10: chain adjuster

11 : 조정너트 12, 12a, 12b, 12c : 스프로킷11: Adjustment nut 12, 12a, 12b, 12c: Sprocket

13 : 모우터 14 : 지지틀13: motor 14: support frame

15 : 구동축 16, 16a, 16b, 16c : 권상스프로킷15: drive shaft 16, 16a, 16b, 16c: hoist sprocket

18 : 구동스프로킷 24 : 로크레버18: drive sprocket 24: lock lever

25 : 베이스 26 : 솔레노이드25: base 26: solenoid

27 : 리밋스위치 34 : 스프링27: limit switch 34: spring

본 발명은 지하격납형의 2단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2단주차장치는 지하공간을 유용하게 이용하고, 장치의 설치작업도 용이하며, 전체의 구성도 간단하고 값싸게 제공할 수 있고, 지반의 침하 혹은 용기등의 영향을 잘 받지 않으며, 받았을 경우에도 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정위치를 지하격납상태로 해둠으로써 지표면에는 돌출물이 노출되지 않아서, 보기가 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stage parking device of the underground containment type, the two-stage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to use the underground space,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is easy, the overall configuration can be provided simply and cheaply. It is not affected by ground subsidence or container, and it is easy to repair even when it is received. Also, it is not exposed to projections on the ground because it is plac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state. will be.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이런 종류의 2단주차장치는 소정의 위치에 기립시킨 고정기둥을 기준으로해서 장치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기둥을 정확하게, 더우기, 지반의 침하 혹은 융기에 견딜수 있도록 견고하게 기립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공사에 많은 수고와 비용을 필요로 한 것으로서, 또한 한번 지반의 침하 혹은 융기등이 있으면, 그 보수에는 많은 수고와 비용이 필요하게 되며, 또 지표면에 고정기둥이 돌출하는 등 보기가 흉하다는 결점이 있었다.This type of two-stage parking device used in the prior art is to install the device on the basis of a fixed column standing u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unless the standing column is firmly stood up so as to withstand the settlement or rising of the ground accurately, moreover, No, it requires a lot of labor and expense for construction, and once there is subsidence or uplift of the ground, the repair requires a lot of labor and expense, and the view is unsatisfactory such as protruding pillars on the ground. There was a fla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고정기둥을 폐지하고, 지하격납부를 구성하는 대향벽의 상단에 소요간격을 띄어서 가로비임을 현가고정하고, 이 가로비임사이에는 각각 네구석 부분근처를 적당한 길이의 지주로 연결한 상단깔판 및 하단깔판으로된 승강체가 설치되고, 하단깔판의 대략 네구석부분에 각각 체인의 일단을 고착시킴과 동시에, 이 체인을 각각 그 고착부분상방의 가로비임에 착설한 안내스프로킷에 현가하여, 모우터에 의해서 균등하게 자유로이 감아 올리수 있게 하고, 또한 승강체의 상승시에 작용하는 낙하방지장치가 설치된 공지의 2단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상승시에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정지장치가 상기 상단깔판위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체의 조작스위치가 지상에 돌출됨이 없이 상기 가로비임 또는 승강체내에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abolishes the fixed column as described above, and secures the horizontal beam by hanging the required interval on the upper end of the opposing wall constituting the underground containment, between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appropriate length of the struts A lifting body consisting of the upper and lower pallets connected to each other is installed, and one end of the chain is fixed to approximately four corners of the lower pallet, and the chain is suspended on a guide sprocket which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eam above the fixing part. In the well-known two-stage park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fall prevention apparatus which can be wound up freely and evenly by a motor and acts at the time of lifting of a lifting body, the stop device which operates automatically when the lifting body raises is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llet and installed in the horizontal beam or the lifting body without the operation switch of the lifting body protruding from the ground. Is characteristic.

따라서, 고정기둥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지하격납부를 구성하는 대향벽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로비임을 기준으로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지반의 침하 혹은 융기등의 영향을 잘 안받고, 가령지반의 침하 혹은 융기등이 생겼을 경우에도, 가로비임의 레벨등을 수정만하면되어, 경제적인 것이다.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fixing pillar, and the device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horizontal beam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posing wall constituting the underground containment part, and it is not well influenced by the settlement or the elevation of the ground. Even if sinking or uplift occurs, it is economical just to modify the level of the horizontal beam.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지하격납부(a)는 적당한 지표면을 굴삭해서 자동차를 격납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며, 그 적어도 길이방향에는 콘크리이트 등의 대향벽(1)(1a)이 설치된다.The underground containment portion (a) is configured in such a size that an automobile can be stored by excavating an appropriate ground surface, and at lea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cing walls (1) 1a such as concrete are provided.

다음에 상기 대향벽(1)(1a)의 상단에는 소요의 간격을 띄어서 가로비임(2)(2a)의 현가되고, 그 양단부가 대향벽(1)(1a)에 고정된다.Next, at the upper end of the opposing walls (1) (1a), the suspension beams (2) and (2a) are suspended at intervals of the required interval,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opposing walls (1) (1a).

도면중(3)(3a)(3b)(3c)는 상기 가로비임(2)(2a)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착설한 보조기둥이고, 뒤에 설명하는 낙하방지장치등의 안전장치의 부착등에 이용된다.(3), (3a), (3b) and (3c) in the figure are auxiliary pillars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bending of the horizontal beams (2) and (2a), and are used for attaching safety devices such as a fall prevention device described later. do.

다음에, 상기 가로비임(2)(2a)사이에는 각각 네구석근처를 적당한 길이의 지주(4)(4a)(4b)(4c)로 연결한 상단깔판(pallet)(5) 및 하단깔판(6)으로 구성된 승강체(b)가 착설된다.Next, between the horizontal beams (2) and (2a), the upper pallet (5) and the lower pallet (4),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four corners near each other by struts 4, 4a, 4b, and 4c of appropriate length. A lifting body (b) consisting of 6) is mounted.

또한, 상기 승강체(b)를 구성하는 하단깔판(6)의 각각 네구석부분에는 체인(7)(7a)(7b)(7c)이 자유로이 조정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lower pallet 6 constituting the lifting body (b) is provided with a chain (7) (7a) (7b) (7c) freely adjustable.

즉, 하단깔판(6)의 네구석부분의 소정위치에 체인(7)(7a)(7b)(7c)이 결합하는 제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안내돌기(8)를 각각 설치하여, 이 안내돌기(8)와 수평위치에 적당한 간격을 띄어서 각각 브래킷(9)를 부착하며, 이 브래킷(9)에 끼워진 체인조절장치(chainadjustor)(10)의 선단에 체인(7)(7a)(7b) (7c)을 연결하고, 체인 조절장치(10)의 후단에 조정너트(11)를 체결하여 결합한다.That is, the guide projections 8 as shown in FIG. 4 to which the chains 7, 7a, 7b, and 7c are coup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four corners of the lower pallet 6 are respectively provided. The brackets 9 are attached to the guide protrusion 8 and the horizontal position at appropriate intervals, and the chains 7, 7a and 7b are attached to the ends of the chain adjusters 10 fitted to the brackets 9, respectively. 7c), and then tighten the adjustment nut (11) to the rear end of the chain control device (10).

따라서, 체인조절장치(10)를 조정하므로서 승강체(b)의 수평설치도 용이하며, 또한 계속사용으로 체인이 늘어졌을 경우 등의 사후조절도 용이한 것이다.Therefore, the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elevating body (b) is also easy by adjusting the chain adjusting device 10, and also the post-adjustment, such as when the chain is stretched by continuous use, is also easy.

다음에, 상기 안내돌기(8)에 결합된 체인(7)(7a)(7b)(7c)상방의 가로비임(2)(2a)의 안쪽에는 스프로킷(12)(12a)(12b)(12c) 이 부착되며, 이 스프로킷(12)(12a)(12b)(12c)에 각각 상기 체인(7)(7a)(7b)(7c)이 현가되고, 각각 정·역 회전모우터(13)에 의해서 균등하게 자유로이 감아올릴 수 있게 구성된다.Next, the sprockets 12, 12a, 12b and 12c are placed inside the horizontal beams 2 and 2a above the chains 7, 7a, 7b and 7c coupled to the guide projections 8. ), The chains (7) (7a) (7b) (7c) are suspended on the sprockets (12) (12a) (12b) (12c), respectively, and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13) It can be configured to be rolled up freely evenly.

즉,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비임(2)(2a)의 각각 일단의 하방이면서 승강체(b)의 승강방해가 되지않는 위치에 지지를 (14)(14)이 착설되며, 이 지지틀(14)(14)사이에 구동축(15)이 축받침되어, 이 구동축(15)의 양단근처에 상기 스프로킷(12)(12a)(12b)(12c)에 현가된 체인(7)(7a)(7b)(7c)이 맞물리는 권상스프로킷(16)(16a) (16b)(16c)이 부착된다. 또한, 이 각각의 권상스프로킷(16) (16a)(16b)(16c)에 대응시켜서 체인(7)(7a)(7b)(7c)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래핑스프로킷(17)(17a)(17b)(17c)이 부착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and FIG. 5, the support is supported at a position below one end of each of the horizontal beams (2) and (2a) and at the position where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b) does not rise and fall (14, 14). This installation is carried out, and the drive shaft 15 is supported between the support frames 14 and 14, and is suspended in the sprockets 12, 12a, 12b and 12c near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15. The hoisting sprockets 16, 16a, 16b and 16c to which the chains 7, 7a, 7b and 7c are engaged are attached. Moreover, the lapping sprockets 17, 17a, 17b which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hoisting sprockets 16, 16a, 16b and 16c to prevent the chains 7, 7a, 7b and 7c from peeling off. ) 17c is attached.

또한, 구동축(15)에는 구동스프로킷(18)이 부착되며, 구동축(15)의 상방이면서, 가로비임(2)(2a)의 하방에 착설된 정역회전모우터(13)의 구동축에 부착된 스프로킷(20)과 구동스프로킷(18)이 구동체인(21)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a drive sprocket 18 is attached to the drive shaft 15, and a sprocket attached to the drive shaft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3 installed above the drive shaft 15 and mounted below the horizontal beam 2, 2a. 20 and the drive sprocket 18 are connected to the drive chain 21.

또한, 상기 정역회전모우터(13)는 감속기 및 브레이크가 붙어있는 것이 사용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정역회전모우터(13)를 뒤에 설명하는 스위치로 제어해서, 승강체(b)의 상승 및 하강을 행할 수 있으며, 승강체(b)의 상한정지 및 하한정지는 가로비임(2)(2a) 혹은 승강체(b)측에 부착된 리밋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행해진다.In addition, the reverse rotation motor 13 is used that is attached to the reducer and brake.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rward / reverse motor 13 can be controlled by a switch described later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body b, and the upper and lower stops of the lifting body b are horizontal ratios (2). 2a or a limit switch (not shown) attached to the lifting body b sid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체(b)의 상단깔판(5) 및 하단깔판(6)에 자동차(d)를 올려놓고, 그것을 체인(7)(7b)(7c)에 의해서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이며, 별도로 승강체(b)의 진동방지 및 낙하방지장치가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uts the vehicle (d) on the upper pallet (5) and the lower pallet (6) of the lifting body (b), i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chain (7) (7b) (7c) The vibration preventing and falling prevention device of the lifting member (b) is installed separately.

먼저, 진동방지기구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단깔판(6)의 상기 보조기둥(3)(3a)(3b)(3c)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브래킷(22)을 각각 착설하고, 이 브래킷(22)에 각각 보조기둥(3)(3a)(3b)(3c) 의 바깥쪽으로부터 결합되는 로울러(23)를 착설하여, 승강체(b)가 로울러(23)와 보조기둥(3)(3a)(3b)(3c)에 의해서 전후 및 좌우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상승 및 하강만을 행하도록 구성된다.First, the vibration prevent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The brackets 22 as shown in FIG. 6 are respectively positioned at positions opposite to the auxiliary pillars 3, 3a, 3b, and 3c of the lower pallet 6, respectively. It installs and the roller 23 which engages from the outer side of the auxiliary pillar 3, 3a, 3b, 3c is attached to this bracket 22, respectively, and the lifting body b assists with the roller 23. The pillars 3, 3a, 3b, and 3c restrict movement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are configured to perform only a rise and a fall.

다음에 승강체(b)를 상승시켰을때의 낙하방지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면,이 낙하방지장치는 상기 보조기둥(3)(3a)(3b)(3c)에 대응해서 4개소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승강체(b)의 상승후에, 그 승강통로에 로크레버(24)를 돌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Next, the fall prevention device at the time of raising the lifting body b will be described. The fall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at four locations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pillars 3, 3a, 3b, and 3c. In this case, after the lifting body b rises, the lock lever 24 is projected on the lifting passage.

즉,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조기둥(3b)(3c) 및 (3)(3a) 혹은 가로비임(2)(2a)부분에 낙하방지장치(c)가 설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fall prevention device c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pillars 3b, 3c and 3, 3a or the horizontal beams 2, 2a.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7도,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쪽, 즉, 보조기둥(3b)(3c) 및 (3)(3a)쪽에 베이스(25)를 고정하고, 이 베이스(25)상방에 솔레노이드(26) 및 리밋스위치(27)를 병설하며, 다시 그하방에 적당한 간격을 띄어서 브래킷(28)(28a)을 고정하고, 이 브래킷(28)(28a) 사이에 핀(29)에 의해서 상기 로크레버(24)의 하방을 고착하며,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26)의 플랜저(26a)의 하단에 적당한 간격을 띄어서 연결판(30)(30a)을 핀(31)으로 고착하고, 동시에 연결판(30)(30a)사이에 상기 로크레버(24)를 위치하게 해서 연결판(30)(30a)의 하단과 로크레버(24)를 스프릿핀(32)으로 고착해서 구성된 것이다.In detail,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base 25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that is, the auxiliary pillars 3b, 3c and 3, 3a, and the base is fixed. (25) The solenoid 26 and the limit switch 27 are installed above, and the brackets 28 and 28a are fixed at a suitable interval thereunder, and the pin (28) between the brackets 28 and 28a is fixed. 29) to secure the lower side of the lock lever 24, and also to secure the connecting plate 30, 30a with a pin 31 at a lower end of the flanger 26a of the solenoid 26. At the same time, the lock lever 24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s 30 and 30a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lates 30 and 30a and the lock lever 24 are fixed to the split pins 32.

또한, 도시한 실시예의 겅우, 상기 핀(31)의 리밋스위치(27)쪽을 연장시켜서, 이 연장부분이 리밋스위치(27)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서, 솔레노이드(26)에 의해서 그 플랜저(26a)가 상방으로 당겨졌을때, 핀(31)의 연장부분이 리밋스위치(27)의 가동접점(27a)에 접촉하여, 리밋스위치(27)로부터 전기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urth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imit switch 27 side of the pin 31 is extended so that the extended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limit switch 27, and the flanger 26a is provided by the solenoid 26. Is extended upward, the extension part of the pin 31 contacts the movable contact 27a of the limit switch 27, and is comprised so that an electrical signal can be acquired from the limit switch 27. FIG.

이것들은 리밋스위치(27)의 베이스(25)에 대한 부착 위치를 선택하면 용이하다. 또한, 로크레버(24)의 후단(24a)은 로크레버의 돌출시, 즉, 승강체(b)의 승강통로에 위치하고 있을때, 베이스(25)에 밀착하여, 그이상의 움직임이 정지되는 형상으로 되어있다.These are easy to select the attachmen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25 of the limit switch 27. In addition, the rear end 24a of the lock lever 24 is in a shape tha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se 25 when the lock lever protrudes, i.e., is located in the lifting passage of the lifting body b. have.

또한, 브래킷(28)의 정위치에 보울트(33)가 삽통되어, 이 보울트(33)와 상기 핀(31)사이에 스프링(34) 착설되어, 플랜저(26a)가 항시 하방으로 당겨지도록 구성된다.Further, the bolt 33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28 at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spring 34 is installed between the bolt 33 and the pin 31 so that the flanger 26a is always pulled downward. .

상기와 같은 구성의 낙하방지장치는, 승강체(b)의 상승용스위치를 넣었을때에는, 솔레노이드(26)에 통전되지않고, 로크레버(24)가 승강체(b)의 상승을 방해함이 없이 쑥들어가게되고, 승강체(b)의 상승후는 로크레버(24)가 자중 및 스프링(34)의 인장력에 의해서, 제7도의 실선위치, 즉, 승강체(b)의 승강통로에 돌출시켜져서, 승강체(b)의 낙하를 방지한다.In the fall prevention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lifting switch b of the lifting body b is inserted, the solenoid 26 is not energized, and the lock lever 24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ifting of the lifting body b. After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ing body b, the lock lever 24 protrudes to the solid line position of FIG. 7, that is, the elevating passage of the elevating body b, by the self-weight and the tension force of the spring 34. The fall of the lifting body b is prevented.

다음에, 승강체를 하강시킬 경우에는 승강체(b)의 하강용 스위치를 넣었을때, 솔레노이드(26)에 통전되어 플랜져(26a)가 당겨져서, 로크레버(24)가 제7도의 이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쑥들어가게 되어서 승강체(b)의 하강이 행해지며, 승강체(b)에 의해서 그 하한검지스위치(下限檢知 switck)가 작용하고, 그와 동시에 솔레노이드(26)에의 통전이 차단되도록 구성하면 된다.Next, in the case of lowering the lifting body, when the lowering switch of the lifting body b is turned on, the solenoid 26 is energized, the flanger 26a is pulled out, and the lock lever 24 is the one point of FI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ing body b is carried out in the state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and the lower limit detecting switch acts by the elevating body b, and at the same time, the energization to the solenoid 26 is performed. You can configure it to block.

또한, 상기 승강체(b)의 상승용 및 하강용의 조작스위치는 조작완료까지 계속 누르는 방식으로서, 손(발)을 때면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witch for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aid lifting body b is a system which keeps pressing until completion of operation, and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stops when a hand (foot) is stopped.

즉, 한번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소정의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상승 혹은 하강하는 방식의 경우, 긴급시에 신속한 정지가 곤란하다.That is, once the operation switch is operated, in the case of the system of automatically raising or lower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difficult to stop quickly in an emergency.

또한, 상기 조작스위치는 지상에 기립시킨 지주형으로 해도 좋으나, 어린이들의 기어올라가거나, 장난을 해서 위험한 경우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aid operation switch may be a post type standing on the ground, it may be dangerous to climb up or play with children.

그때문에, 지하격납방식이고 더우기 잠글수 있는 형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the basement storage method and the type which can be locked more.

다음에 본 발명에 사용하는 조작스위치를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switch used fo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강체(b)를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조작스위치를 장난하게되면 위험하므로, 따라서 장난을 못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함과 동시에 조작하는 사람에게 위험하지 않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witch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levating body b is dangerous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device so as to prevent mischief and to avoid danger to the person operating the same.

또한, 지상에 돌출하지 않는 편이 자동차의 출입에 방해도 되지않고 보기도 좋은 것이다.In addition, if you do not protrude on the ground will not interfere with the car's entrance and look good.

제9도, 제10도, 제11도에는 조작스위치를 중공의 가로비임(2) 혹은 (2a)의 선단내부에 잠글수 있게, 더우기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9, 10, and 11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operation switch is installed so as to be stepped on by a foot to lock the inside of the tip of the hollow horizontal beam 2 or 2a.

제9도, 제10도, 제11도에 있어서, (36)은 중공의 가로비임(2) 혹은 (2a)의 앞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한 스위치케이스로, 그 양쪽면에는 가로비임(2) 혹은 (2a)의 양쪽면으로부터 삽통한 보울트(37)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38a)(39a)는 승강체(b)의 상승용 및 하강용의 조작스위치(38)C39)의 가동편이고, 이것들이 스위치케이스(36)의 앞판(36a)을 관통해서 전방에 돌출되어 있다.9, 10, and 11, reference numeral 36 denotes a switch case inserted from the front end opening of the hollow horizontal beam 2 or 2a, and on both sides thereof, the horizontal beam 2 or ( The bolts 37 inserted from both sides of 2a) are screwed and fixed. (38a) and (39a) are movable pieces of operation switches (38) and (C39)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ing body (b), and they protrude forward through the front plate (36a) of the switch case (36). .

또, 이 앞판(36a)의 전면에는 조작스위치(38)(39)의 가동편(38a)(39a)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브래킷(40)(40a)의 돌설되고, 이 각 브래킷(40)(40a)에는 1본의 축(41)이 삽통되었다.In addition, a front of the front plate 36a protrudes from the pair of brackets 40 and 40a with the movable pieces 38a and 39a of the operation switches 38 and 39 interposed therebetween. One shaft 41 was inserted into 40a.

그리고, 이 축(41)에는 역ㄴ자모양의 두개의 푸트키커(42)(42a)가 회전자재하게 축받침되어, 이들 푸트키커(42)(42a)의 각 후단이 조작스위치(38)(39)의 가동편(38a)(39a)에 접근시켜져서, 각 선단이 가로비임(2) 혹은 (2a)의 선단에 돌출시켜진다. (43)(43a)는 축(41)에 감겨서, 지지되는 동시에, 후단부가 앞판(36a)에 연결되고, 중앙현가부분이 푸트키커(42)(42a)의 각선단방향으로 연결되어 토오셔날스프링이고, 각 푸트키커(42)(42a)는 제10도에 있어서 항상 시계방향으로 희동하는 힘이 가해져 있다.In addition, two shaft-shaped foot kickers 42 and 42a are supported on the shaft 41 by rotation, and each rear end of the foot kickers 42 and 42a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switch 38 ( Approaching the movable pieces 38a and 39a of 39, each tip protrudes to the tip of the horizontal beam 2 or 2a. The 43 and 43a are wound around the shaft 41 and supported,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36a, and the central suspension portion is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each tip of the foot kickers 42 and 42a. It is a spring, and in FIG. 10, the foot kicker 42 and 42a always apply the force which always moves clockwise.

또한, 이 푸트키커(42)(42a)의 상방모가 난 부분은 시계방향으로의 회동규제부가 되어서 평상시는 앞판(36a)의 앞면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airs of the foot kickers 42 and 42a become the rotational restriction part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are usually connected to the front face of the front plate 36a.

또한 제9도에서 상기 가로비임(2) 혹은 (2a)의 앞단 양쪽에는 상기 푸트키커(42)(42a)의 양쪽에 위치하고, 하변이 길게연장된 대략 삼각형상의 판(44)이 부착되어, 그 경사변(44a) 위에 덮개(45)가 씌어지게 된다.In Fig. 9, both sides of the foot kickers 42 and 42a are attached to both front ends of the horizontal beam 2 or 2a, and a substantially triangular plate 44 with a lower side extended is attached. The cover 45 is covered on the inclined side 44a.

이 덮개(45)는 가로비임(2) 혹은 (2a)의 위에 경첩(46)에 의해서 자유로이 개폐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덮개(45)의 대략 중앙부에는 자물쇠(47)가 부착되며, 이 내부회동단(47a)에 연결클릭(47b)의 돌설되어, 키이로크시에 있어서는 연결클릭(47b)이 가로비임(2) 혹은 (2a)내부에 용접등에 의해서 고정된 연결돌기(48)와 결합하여, 덮개(45)가 열리지않게 제지되도록 되어있다.The lid 45 is freely supported by the hinge 46 on the horizontal beam 2 or 2a. In addition, the lock 47 is attached to the substantially center portion of the lid 45, and the inner click end 47a protrudes from the connecting click 47b, so that in the case of key lock, the connecting click 47b is the aspect ratio (2). Alternatively, the lid 45 is restrained from being opened by engaging with the connecting projection 48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in (2a).

또한 제10도에서(49)는 키이구멍을 막아,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한 캡이고, (50)은 야간에 덮개(45)을 열면 점등되는 램프이다.In FIG. 10, 49 is a cap capable of free rotation by blocking the keyhole and preventing the ingress of rainwater, and 50 is a lamp that is turned on when the cover 45 is opened at night.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작스위치는 자물쇠(47)에 키이를 집어넣어 덮개(45)를 열고, 발로 푸트키커(42) 혹은 (42a)의 어느 한쪽을 밟으면, 조작스위치(38) 혹은(39)의 가동편(38a) 혹은 (39a)이 이동해서 조작스위치(38) 혹은 (39)가 작용하여 정역회전모우터(13)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켜, 승강체(b)를 상승 혹은 하강시킬 수 있다.In the operation switch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key 45 is inserted into the lock 47, the cover 45 is opened, and when the foot kicker 42 or 42a is stepped on with the foot, the operation switch 38 or 39 is operated. The movable piece 38a or 39a moves to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38 or 39 so that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motor 13 can be rotated forward or reverse to raise or lower the lifting body b. have.

그리고, 자동차의 교체종료후는 덮개(45)를 닫고, 자물쇠(47)를 잠그어 놓으면, 어린이들이 장난을 못하게 되는 것이다,And, after the replacement of the car is closed, the cover 45, lock the lock 47, the children will not play,

또한, 이 조작스위치에 의하면 조작자는 승강체(b)의 승강통로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발로 조작하게 되기 때문에 안전하며, 더우기 지상에 돌출하지 않아, 보기도 좋은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operation switch, the operator is safe to operate with his feet at the point away from the lifting passage of the lifting body b, and furthermore, it does not protrude on the ground, and the view is also good.

제12도, 제13도에는 지하격납부(a)에 나선케이블을 가진조작 스위치를 격납하여, 사용시에 꺼내서 사용하는 예가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9도 내지 제11도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지표면고정부, 구체적으로는 가로비임(2)(2a)부분을 덮는 커버(52)의 선단부에 자물쇠가 붙은 덮개(53)가 개폐자재하게 착설된다.12 and 13 show examples in which an operation switch having a spiral cable is stored in the basement storage portion a and taken out during use. Also in this case,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FIGS. 9 to 11 can be obtained. That is, the cover 53 with a lock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fixing part, 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cover 52 which covers the part of the horizontal beam 2, 2a.

이 자물쇠부착덮개(53)는 자물쇠(54)를 가지며, 키이에 의한 내부 회동단(54a)에는 연결클릭(54b)이 부착되고, 이 연결클릭이 뒤에 설명하는 스위치수납상자(55)쪽에 형성한 돌기(56)에 결합해서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다.This lock attachment cover 53 has a lock 54, and a connection click 54b is attached to the inner pivoting end 54a by the key, and this connection click is formed on the switch storage box 55 side described later.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lock in engagement with the projection 56.

다음에, 상기 자물쇠부착덮개(53)의 하방에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방이 좁혀진 스위치수납상자(55)가 착설된다.Next, as shown in FIG. 12, the switch storage box 55 in which the downward direction was narrowed below is installed below the lock attachment cover 53. As shown in FIG.

이 스위치수납상자(55)는 당연하게 승강기(b)의 승강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착설된다.The switch storage box 55 is naturally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ifting of the elevator b.

다음에, 스위치수납상자(55)에 수납하는 조작스위치(57)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 조작스위치(57)는 하단에 적당한 길이의 나선케이블(58)이 연결되고, 하방이 좁혀진 상기 스위치 수납상자(55)내에 투입해도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고, 스위치수납상자(55)내에 수납되어 걸려지도록 구성된다.Next, the operation switch 57 to be housed in the switch storage box 55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switch 57 has a spiral cable 58 of a suitable length connected to a lower end thereof, and the switch storage box is narrowed downward.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switch storage box 55 and hanged, without falling down even if it throws in 55.

이것들은 조작스위치(57)의 크기 혹은 반대로 스위치수납상자(55)의 크기를 미리 조정하면 된다.These should just adjust the magnitude | size of the switch storage box 55 beforehand by the magnitude | size of the operation switch 57 or vice versa.

또한 상단에는 꺼내기로 용이하게 하기 위한 레버(59)가 부착된다. 도면중 (57a)(57b)는 승강체(b)의 상승, 하강용조작저튼이다.Also attached to the top is a lever 59 for easy removal. In the figure, 57a and 57b are operation lever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ing body b.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승강체(b)의 상승 및 하강은, 키이로 자물쇠 부착덮개(53)를 열고, 다음에 조작스위치(57)의 레버(59)를 쥐고 조작스위치(57)를 꺼내어, 승강체(b) 및 지하격납부(a)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조작할 수가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body b opens and closes the lock cover 53 with a key, and then pulls out the operation switch 57 while holding the lever 59 of the operation switch 57 to lift up and down. It can operate at the position away from the sieve b and the underground containment part a.

즉, 나선케이블(58)에 의해서 조작스위치(57)는 원활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조작스위치(57)를 격납하는 경우는 단지 스위치 수납상자(55)에 투입하면, 하방에 나선케이블(58)이 연결되고, 더우기 나선케이블(58)의 중량에 의해서 조작스위치(57)는 기립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방이 좁혀진 스위치수납상자(55)내에 수납되며, 다음의 꺼내기에도 극히 용이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operation switch 57 can be smoothly taken out by the spiral cable 58. Next, in the case of storing the operation switch 57, when only the case is put into the switch storage box 55, the spiral cable 58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nd furthermore, the operation switch 57 is controlled by the weight of the spiral cable 58. Is housed in the switch storage box 55 which is narrowed downward while maintaining the standing state, and is also very easy to take out next.

그뒤, 자물쇠부착덮개(53)를 닫고 잠그면 어린이들이 장난을 할 수 없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단깔판(5)에, 승강체(b)의 상승시에 작용하는 정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After that, when the lock cover 53 is closed and locked, the children cannot pl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llet 5 is provided with a stop device which acts upon the lifting of the lifting body b.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단깔판(6)상의 자동차(d)의 출입시에는 승강체(b)가 지표면까지 상승시켜진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d on the lower pallet 6 enters and exits, the lifting body b is raised to the ground surface.

그때, 특히 상단깔판(5)위에 자동차(d)가 있으며, 중심이 높아져서, 그 상태에서 강한 옆바람 혹은 지진등의 지면진동을 받게되면, 승강체(b)의 요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상단깔판(5)위의 자동차(d)낙하등을 초래하면 극히 위험하다.At that time, especially when the vehicle (d) is located on the upper pallet (5), and the center is high, and the ground vibration such as a strong side wind or an earthquake is received in that state, the lifting body (b) may fluctuate. (5) It is extremely dangerous to cause the fall of the above car (d).

또한, 상단깔판(5) 위의 자동차(d)에 사이드브레이크가 완전히 걸려있지 않았을 경우 등에는 승강체(b)의 승강시에 자동차(d)가 자연히 이동하는 우려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de brake is not completely stuck to the vehicle d on the upper pallet 5, there is a fear that the vehicle d naturally moves when the lifting body b is elevated.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승강체(b)의 상승시에 상단깔판(5)의 자동차에 자동적으로 작용하는 자동차의 정지장치가 설치된다. 그 상세한 것이 제2도, 제3도, 제14도, 제15도에 표시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stop device is automatically provided to act on the vehicle of the upper pallet 5 when the lifting body (b) is raised. The details are shown in FIG. 2, FIG. 3, FIG. 14, and FIG.

본 발명의 정지판(60)은 산형으로 구성되어, 소정위치에 항상 착설되어있는 고정정지판(61)과의 사이에서 자동차(d)의 차륜(62)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The stop plate 60 of this invention is comprised in the mountain shape, and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can support the wheel 62 of the motor vehicle d between the fixed stop plate 61 alway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즉, 정지판(60)은 차륜(62)의 정지위치쪽의 일단을 축(63)으로 축받침해서 타단이 승강체(b)의 상승시에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stop plate 60 bears one end of the wheel 62 at the stop position toward the shaft 63 so that the other end thereof is lifted upward when the lifting body b rises.

상세하게 설명하면, 정지판(60)의 하면위치의 상단깔판(5)위에는 브랫킷(64)에 의해서 회전자재하게 축(65)이 지지되고, 이 축(65)에는 선단이 정지판(60)의 하면을 슬라이드하여, 이 정지판(60)의 타단을 들어 올리는 2개의 레버(66)가 착설된다.In detail, the shaft 65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racket 64 on the upper pallet 5 at the lower surface position of the stop plate 60, and the tip is supported on the shaft 65 by the stop plate 60. ), Two levers 66 are mounted to slid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 plate 60 to lift the other end of the stop plate 60.

다음에, 상기축(65)이 상단깔판(5)의 측단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66)와 대체로 직선상태가 되도록 대략 삼각형상의 판(67)의 한 모난부분이 고착된다.Next, the shaft 65 extends to the side end of the upper pallet 5, and as shown in FIG. 14 at the end thereof, the plate 67 is substantially triangular so as to be in a substantially straight state with the lever 66. One angular part of is fixed.

또한,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대략삼각형상의 판(67)은 미리 보스(67a)와 일체로 구성하여, 이 보스(67a)를 축(65)에 끼워 넣어서 핀(68)에 의해서 일체가 되게 구성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bstantially triangular plate 6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ss 67a in advance, and the boss 67a is inserted into the shaft 65 to be integrated with the pin 68. It consists.

다음에, 상기 대략 삼각형상의 판(67)의 선단모난부분에는 승강체(b)의 하강시에 고정측스토퍼(69)에 충돌해서 상방으로 이동시켜져서 축(6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연결레버(70)가 착설된다.Next, at the tip angular portion of the substantially triangular plate 67, a connection is made to impinge upon the fixed side stopper 69 and move upward when the lifting body b descends to rotate the shaft 65 clockwise. The lever 70 is mounted.

또한, 상기 대략 삼각형상의 판(67)의 나머지 모난부분에는 이 모난부분을 상기 고정정지판(61)쏙으로 인장된 스프링(71)이 연결된다.Further, a spring 71 in which the angular portion is tensioned by the fixed stop plate 61 ′ is connected to the remaining angular portion of the substantially triangular plate 67.

도면중, (72)는 스프링(71)에 의한 대략 삼각형상의 판(67)이 필요 이상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이다.In the figure, 72 is a stopper which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ubstantially triangular plate 67 by the spring 71 more than necessary.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정지장치는 승강체(b)가 하강해 있을 경우는 대략 삼각형상의 판(67)선단의 연결레버(70)가 고정측 스토퍼(69)에 충돌해서 들어올려져, 축(65)을 중심으로해서 레버(66) 및 대략 삼각형상의 판(67)이 제14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져서, 정지판(60)의 상단깔판(5) 위에 밀착상태가 되어, 이것을 타넘으면서 자동차를 출입시킬 수 있다.In the stopp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lifting body b is lowered, the connecting lever 70 at the tip of the substantially triangular plate 67 collides with the fixed side stopper 69, and the shaft 65 is lifted. The lever 66 and the substantially triangular plate 67 ar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14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llet 5 of the stop plate 60, and the vehicle is turned over. Can enter and exit.

다음에, 승강체(b)를 상승시키면, 연결레버(70)가 고정측 스토퍼(69)로부터 벗겨져서, 스프링(71)이 자동적으로 작용해서, 축(65)을 중심으로해서 레버(66) 및 대략 삼각형상의 판(67)이 제14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스토퍼(72)의 위치까지 회전시켜져서, 레버(66)의 선단이 정지판(60)의 하면을 슬라이드해서 정지판(60)이 들어올려져, 차륜(62)을 고정정지판(61)과의 사이에 지지하는 것이다.Next, when the lifting body b is raised, the connecting lever 70 is peeled off from the fixed side stopper 69, and the spring 71 automatically acts so that the lever 66 and the axis 65 are centered. The substantially triangular plate 67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the position of the stopper 72 in FIG. 14 so that the tip of the lever 66 slides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 plate 60 to stop the plate 60. This is lifted up to support the wheel 62 between the stationary stop plate 61.

상기와 같이, 정지장치는 승강체(b)의 상승시에는 자동적으로 작용을 계속하여, 하강시에는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극히 편리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성을 제거해서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top device continues to operate automatically when the lifting body (b) is raised, and is automatically released at the time of falling, which is extremely convenient,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ility by eliminating the risk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정지장치는 한쪽 차륜에만 설치해도 되는 것이다.The stop device may be provided only on one wheel.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공간을 유용하게 이용하고, 장치의 설치 작업도 용이하며, 전체의 구성도 간단하고 값싸게 제공할 수 있고, 지반침하 혹은 융기등의 경우에 보수도 용이하며, 더우기 조작 스위치를 지상에 돌출시키지 않는 구조로 하면 보기에도 좋고, 또한 각종 안전대책으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극히 우수한 2단주차장치라고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underground space usefully,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evice is easy, and the overall configuration can be provided simply and inexpensively, and in the case of ground subsidence or uplift, it is easy to repair, Moreover, it is good to see if the structure does not protrude on the ground, and it can be said to be an extremely excellent two-stage parking device because the safety can be improved by various safety measures.

Claims (4)

지하격납부(a)를 구성하는 대향벽(1, 1a)의 상단에 소요간격을 띄어서 가로비임(2, 2a)을 현가고정하고, 이 가로비임사이에는 각각 네구석부분 근처를 적당한 길이의 지주(4,4a,4b,4c)로 연결한 상단 및 하단깔판(5, 6)으로 이루어진 승강체(b)가 설치되고, 하단깔판의 대략 내구석부분에 각각 체인(7,7a,7b,7c)의 일단을 고착함과 동시에, 이 체인을 각각 그 고착부분 상방의 가로비임부에 설치한 안내스프로킷(12,12a,12b,12c)에 현가하여, 모우터(13)에 의해서 균등하게 자유로이 감아올릴 수 있게하고, 또한 승강체의 상승시에 작용하는 낙하방지장치가 설치된 공지의 2단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상승시에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정지장치가 상기 상단 깔판위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체의 조작스위치(38,39 ; 57)가 지상에 돌출됨이 없이 상기 가로비임의 난부내에 또는 가로비임부분을 덮는 커버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주차장치.The hanging beams are fixed at the upper end of the opposing walls 1 and 1a constituting the basement storage part a, and the suspension beams 2 and 2a are fixed to the suspension beams. A lifting body (b)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pallets (5, 6) connected by (4,4a, 4b, 4c) is installed, and the chains (7,7a, 7b, 7c) in approximately endurance portions of the lower pallet,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the chain is suspended on the guide sprockets 12, 12a, 12b, and 12c provided in the horizontal beam portion above the fixing portion, and wound freely by the motor 13. In a well-known two-stage parking device which is capable of being raised and is provided with a drop preventing device that acts upon the lifting of the lifting body, a stopp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rates upon the lifting of the lifting body is installed on the upper pallet and at the same time the lifting body Operation switch (38, 39; 57) of the horizontal beam without the projecting on the ground In a two-stage or parking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cover which covers the horizontal beam portion. 상기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장치는 차륜(62)의 정지위치쪽의 일단을 축(63)으로 축받침해서 타단이 승강체(b)의 상승시에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는 정지판(60)과, 브래킷(64)에 의해서 회전자재하게 축(65)이 지지되고 상기 축(65)에는 선단이 정지판(60)의 하면을 슬라이드하여 이 정지판의 타단을 들어올리는 2개의 레버(66)와, 미리 보스(67a)와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보스(67a)를 축(65)에 끼워 넣어서 핀(68)에 의해서일체가 되게 구성된 삼각형상의 핀(67)과, 연결레버(70) 및 스프링(71)으로 구성되어, 승강체(b)가 하강해 있는 경우는 상기 레버 및 삼각형상의 판이 정지판의 상단깔판 위에 밀착되어 자동차의 출입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승강체를 상승시키면 정지판이 들어 올려져 차륜이 고정정지판(61)과의 사이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주차장치.The stop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 device bears one end of the stop position of the wheel 62 with the shaft 63 so that the other end thereof is lifted upward when the lifting body b rises. The shaft 65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racket 64, and the shaft 65 has two levers 66 which have a tip end for sli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 plate 60 to lift the other end of the stop plate. , A triangular pin 67 formed in one piece with the boss 67a in advance and integrally formed by the pin 68 by inserting the boss 67a into the shaft 65, the connecting lever 70 and the spring ( 71), when the lifting body (b) is lowered, the lever and the triangular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llet of the stop plate to enable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and when the lifting body is raised, the stop plate is lifted up. The two-stage pa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is stopped between the stationary stop plate (6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38, 39)는 중공의 가로비임(2) 혹은 (2a)의 앞단 개구부로부터 삽입한 스위치케이스(36)내에 설치되고, 상기 가로비임(2) 혹은 (2a)의 위에서 경첩(4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덮개(45)의 중앙부에 부착된 자물쇠(47)를 열어 축(41)에 회전자재하게 축받침된 푸트키커(42) 혹은 (42a)의 어느 한 쪽을 밟으면 상기 조작스위치(38) 혹은 (39)의 가동편(38a) 혹은 (39a)이 이동해서 상기 조작스위치(38) 혹은 (39)가 작용하여 정역회전 모우터(1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승강체(b)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주차장치.2. The switch (36)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witches (38, 39) are provided in a switch case (36) inserted from the front opening of the hollow horizontal beam (2) or (2a). Of the foot kicker 42 or 42a rotatably supported on the shaft 41 by opening the lock 47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lid 45 which is support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hinge 46 above. Pressing either side moves the movable pieces 38a or 39a of the operation switch 38 or 39 so that the operation switch 38 or 39 acts to fix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motor 13. A two-stage pa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or lowering (b) by raising or lowering by rotating or reverse ro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57)는 가로비임(2, 2a)부분을 덮는 커버(52)의 선단부에 자물쇠(54)가 붙은 덮개(53)의 하방에 설치된 스위치 수납상자(55)에 수납되어, 키이로 상기 덮개를 열고 상기 조작 스위치(57)의 레버(59)를 쥐고 상기 조작스위치를 꺼내어 조작 버튼(57a) 또는 (57b)을 눌로 승강체(b)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주차장치.The switch storage box 55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witch 57 is provided below the cover 53 with the lock 54 attached to the tip of the cover 52 covering the horizontal beams 2 and 2a. Stored in the door, and holding the lever 59 of the operation switch 57 and pulling out the operation switch by pressing a key to raise or lower the lifting body b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57a or 57b. Two-stage pa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19840001199A 1983-06-21 1984-03-09 Parking garage KR9000083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95199 1983-06-21
JP58-95200 1983-06-21
JP95200 1983-06-21
JP95199 1983-06-21
JP1983095199U JPS604156U (en) 1983-06-21 1983-06-21 Operation switch structure of double-level parking device
JP9520083U JPS604158U (en) 1983-06-21 1983-06-21 Operation switch structure of double-level par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83A KR850000583A (en) 1985-02-28
KR900008325B1 true KR900008325B1 (en) 1990-11-12

Family

ID=264364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199A KR900008325B1 (en) 1983-06-21 1984-03-09 Parking garage
KR1019840001230A KR910002588B1 (en) 1983-06-21 1984-03-12 Park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230A KR910002588B1 (en) 1983-06-21 1984-03-12 Par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0000832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83A (en) 1985-02-28
KR850000584A (en) 1985-02-28
KR910002588B1 (en) 199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8707T3 (en) TEMPORARY SECURITY SPACES FOR ELEVATORS.
US6484850B1 (en) Elevator control panel device
US4642953A (en) Moveable stair apparatus
KR900008325B1 (en) Parking garage
JP2019124055A (en) Safety fence device for manhole
JPH0940381A (en) Bucket for vehicle for high lift work
KR10083402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 drop of a canvas door
JP4454765B2 (en) elevator
JPS6310274B2 (en)
JP3596946B2 (en) Safety fence for multi-story parking facilities
JP3824750B2 (en) Parking equipment gate equipment
JP3809498B2 (en) Gas station guard device
KR102446293B1 (en) Work boarding device
KR102446299B1 (en) Work boarding device
JPH0138212Y2 (en)
JPH034683Y2 (en)
JPH054879Y2 (en)
JPS5929735Y2 (en) Building evacuation device
JPH0720164Y2 (en) A pillar that can appear and disappear on the ground
RU2081276C1 (en) Elevator for underground activity
JPH0214639Y2 (en)
JPH041250Y2 (en)
JPH0813834A (en) Pallet falling prevention mechanism for two-stage type parking device
JPH0237966Y2 (en)
KR890003370Y1 (en) Safety fence device for esca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