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306B1 - 마스킹 패턴을 이용한 다각형 필링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킹 패턴을 이용한 다각형 필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306B1
KR900008306B1 KR1019870013944A KR870013944A KR900008306B1 KR 900008306 B1 KR900008306 B1 KR 900008306B1 KR 1019870013944 A KR1019870013944 A KR 1019870013944A KR 870013944 A KR870013944 A KR 870013944A KR 900008306 B1 KR900008306 B1 KR 900008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masking pattern
point
offset
end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755A (ko
Inventor
정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7001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306B1/ko
Publication of KR89001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x Reproducing Arrangement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스킹 패턴을 이용한 다각형 필링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콘트롤러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다각형 필링(filling) 과정을 보인 설명도.
제3도는 종래의 다각형 필링방법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 다각형 필링방법 흐름도.
제5도는 각 오프세트값에 대응되는 마스킹 패턴표.
제6도는 본 발명방법의 적용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처리장치 2 : 롬
3 : 램 4 : 입/출력장치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에서 다각형(polygon)을 색칠(filling)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16도트가 1어드레스에 매핑(mapping)되는 16비트 마이크로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워드단위로 다각형을 필링할 수 있게 마스킹 패턴을 이용한 다각형 필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의 콘트롤러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처리장치(1) 및 롬(2), 램(3), 입/출력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라스터 주사표시 시스템에서 다각형을 필링하는 방법으로서는 가장자리(edge) 필링방법이 있는 것으로, 제2도를 참조하여 삼각형을 그리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준선에서부터 다각형의 선분과 만날때까지 익스클루시브오아(X-OR) 필링을 계속한다.
여기서, 모든 메모리는 "0"으로 초기화되었다고 가정하면, 제2도의 (a)의 경우에는 선분
Figure kpo00002
와 선분
Figure kpo00003
사이를 필링하게 되는데, 이때 삼각형 PAB부분은 "0"으로 초기화되어 있으므로 익스클루시브오아(0
Figure kpo00004
1=1)에 의해 "1"로되어 흑색으로 된다.
이후, 제2도 (b)의 경우에는 선분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사이를 필링하게 되는데, 이때 삼각형 PAB부분은 이미 흑색인 "1"로 되어 있으므로 익스클루시브오아(1
Figure kpo00007
1=0)에 의해 "0"으로 되어 백색으로 되고, 사각형 BQCA부분은 "0"으로 초기화되어 있으므로 익스클루시브오아(0
Figure kpo00008
1=1)에 의해 "1"로 되어 흑색으로 된다.
이후, 제2도의 (c)의 경우에는 선분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사이를 필링하게 되는데, 이때 삼각형 AQC부분은 이미 흑색인 "l"로 되어 있으므로 익스클루시브오아(1
Figure kpo00011
1=0)에 의해 "0"로 되어 백색으로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삼각형 ABC만이 필링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각형 필링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내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즉, 익스클루시브오아 필링을 시작할 기준선의 X점좌표의 선분의 두점(시작점, 끝점)을 읽어들여 선분의 두점 Y좌표로부터 익스클루시브오아 필링을 행할 Y주사선을 파악한다.
이후 현재의 Y주사선에서 선분과 교차되는 X점, 즉 기준 X점으로부터 익스클루시브오아 필링을 계속하다가 X의 끝점을 계산하고, 이 X의 끝점은 Y가 변함에 따라 선분의 두점(X1, Y1), (X2, Y2)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kpo00012
이후, 기준 X점으로부터 시작해서 픽셀들을 보수(complement)해나가며(익스클루시브오아필링), 기준 X의 끝점까지 픽셀을 보수시켰으면 Y값을 증가시키고, 이때 Y가 끝점을 넘으면 정지하고, 끝점을 넘지 않으면 상기 X의 끝점을 계산하는 이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각형 필링방법에 있어서는 1픽셀단위로 필링을 해나가므로 8비트 혹은 16비트가 1어드레스에 매핑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콘트롤러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많고, 비트단위로 다각형 필링을 수행하기 때문에 속도가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워드단위(16비트)로 다각형 필링을 수행하도록 하여 레이저 빔 프린터의 콘트롤러에 적용이 용이하고, 속도가 빠르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X를 수평축, Y를 수직축으로 하는 라스터 주사표시평면을 라스터 빔 프린터의 라스터 메모리로 생각하면, X좌표가 16의 배수가 아닐때 그 X좌표는 워드의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1워드에서 얼마만큼은 "1"을 그 나머지는 "0"을 가져야 한다.
이를 한번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X좌표를 16으로 나눠 그 나머지를 오프세트(offset)로 정의하고, 그 각 오프세트에 대한 마스킹 패턴을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시킨다. 즉, 오프세트값이 "0"인 경우에는 마스킹 패턴을 "FFFF"로 하고, 오프세트값이 "1"인 경우에는 마스킹 패턴을 "7FFF"로 하며, 마찬가지로 오프세트값이 "15"인 경우에는 마스킹 패턴을 "1"로 한다.
이와 같이 한 마스킹 패턴을 제1도에 도시한 레이저 빔 프린터 콘트롤러의 롬(2)에 기억시켜 놓고, 제4도의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순에 의해 다각형 필링을 수행하게 한 것이다.
즉, 제4도는 본 발명의 다각형 필링방법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선의 X점좌표(X의 시작점)와 선분의 시작점 및 끝점을 읽고, 그 선분의 시작점 및 끝점 Y좌표로부터 익스클루시브오아 필링을행할 Y구간을 파악한다. 이후 현재의 Y주사선에서 익스클루시브오아 필링을 행할 X구간, 즉 X의 끝점을 계산하고, X의 시작점 및 끝점에 대한 어드레스와 오프세트를 계산한다.
이후 그 X의 시작점 어드레스와 끝점 어드레스가 동일한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워드단위로 필링하므로 X의 시작점과 끝점은 1워드안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X의 시작점 어드레스와 끝점 어드레스가 동일한 경우에는 X의 시작오프세트 마스킹 패턴과 인버트시킨 X의 끝오프세트 마스킹 패턴을 앤드화하여 마스킹 패턴을 얻고, 이 마스킹 패턴을 어드레스내의 데이타와 익스클루시브오아시킨 후 Y값을 "1"증가시킨다.
또, X의 시작점 어드레스와 끝점 어드레스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X의 시작 어드레스에 있는 이미지를 X의 시작오프세트의 마스킹패턴에 의해 마스킹한 후 어드레스를 "1"증가시키고, 이후 현재 어드레스가 "X"의 끝 어드레스 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 어드레스에 16비트의 "1"를 익스클루시브오아시키며, 이후나 현재 어드레스가 X의 끝 어드레스보다 큰 경우에는 인버트시킨 X의 끝오프세트 마스킹 패턴을 X의 끝 어드레스에 익스클루시브오아시킨 후 상기와 같이 Y값을 "1"증가시킨다.
이때, Y의 값이 Y의 끝점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X의 끝점을 계산하는 이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Y의 값이 Y의 끝점보다 크게될때 상기 동작을 중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방법의 적용실시예를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도의 X, Y좌표에서 A(52, 12), B(36, 32), C(60, 56)의 세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을 필링하기 위한 기준선은 X=36이 된다.
이 기준선의 X좌표는 곧 X의 시작점이 되고,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선분상의 점 즉, 그 점들의 X좌표가 곧 X의 끝점이 된다.
예를 들어 Y의 값이 40인 경우
Figure kpo00013
선분상의 X의 시각점(Q)은 36, X의 끝점(P)은 44가 된다.
또한, 그 X의 시작점(Q)에서의 시작오프세트값은 36를 16으로 나눈 나머지 4가되고, X의 끝점(P)에서의 끝오프세트값은 44를 16으로 나눈 나머지 12가 된다.
따라서, 상기 시작오프세트값 4의 마스킹 패턴은 제5도의 표와같이 0FFF가 되고, 끝오프세트값 12의 마스킹 패턴은 제5도의 표와같이 000F가 된다.
그런데, X의 시작점(Q)과 끝점(P)은 워드단위로 볼때 같은 어드레스상의 점들이므로 상기 끝오프세트값 12에 따른 마스킹 패턴 000F를 인버트시켜 패턴 FFF0으로 하고, 그 패턴 FFF0를 상기 시작오프세트값 4에 따른 0FFF와 앤드화시키면 마스킹 패턴 0FF0이 된다.
한편, Y의 값이 52인 경우
Figure kpo00014
선분상의 X의 시작점(S)은 36, X의 끝점(R)은 56이 되고, 이에따라 시작오프세트값은 36를 16으로 나눈 나머지 4가 되고, 끝오프세트값은 56을 16으로 나눈 나머지 8이되며, 그 시작오프세트값 4 및 끝오프세트값 8의 마스킹 패턴은 제5도의 표와같이 0FFF 및 00FF가 된다. 이때 그 X의 시작점(S) 및 X의 끝점(R)은 워드단위로 볼때 서로다른 어드레스상의 점이므로, 시작점(S)이 있는 어드레스에 마스킹되는 패턴은 0FFF가 되고, 끝점(R)이 있는 어드레스에 마스킹되는 패턴은 00FF를 인버트시킨 FF00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워드단위(16픽셀단위)로 다각형 필링을 수행하게 되므로 레이저 빔 프린터에 손쉽게 응용할 수 있을 뿐아니라, 다각형 필링속도가 빠르게 되는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1)

  1. X좌표를 16으로 나눠 그 나머지에 따른 오프세트의 마스킹 패턴을 레이저 빔 프린터 콘트롤러의 롬(2)에 기억시켜 두고, 기준선의 X시작점 좌표와 선분의 시작점 및 끝점을 읽어 그 선분의 시작점 및 끝점의 Y좌표로부터 익스클루시브오아 필링을 행할 Y구간을 파악하고, 이후 현재의 Y주사선에서 익스클루시브오아 필링을 행할 X의 끝점을 계산하여 X의 시작점 및 끝점에 대한 어드레스와 오프세트를 계산하며, 이후 X의 시작점 및 끝점이 동일 어드레스내에 있는 경우에는 X의 시작오프세트 마스킹 패턴과 인버트시킨 X의 끝오프세트 마스킹 패턴을 앤드화하여 마스킹 패턴을 얻고, 그 마스킹 패턴을 어드레스내의 데이타와 익스클루시브오아시킨 후 Y값을 "1"증가시키고, X의 시작점 및 끝점이 동일 어드레스내에 있지 않는 경우에는 X의 시작 어드레스의 X의 시작오프세트 마스킹 패턴을 익스클루시브오아한 후 어드레스를 "1"증가시키고, 이후 현재 어드레스가 X의 끝 어드레스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 어드레스에 16비트의 "1"을 익스클루시브오아시키며, 이후나 현재 어드레스가 X의 끝 어드레스보다 큰 경우에는 인버트시킨 X의 끝오프세트 마스킹 패턴을 X의 끝 어드레스에 익스클루시브오아한 후 상기와 같이 Y값을 "1"증가시키고, 이때, Y의 값이 Y의 끝점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X의 끝점을 계산하는 이후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큰 경우에는 중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킹 패턴을 이용한 다각형 필링방법.
KR1019870013944A 1987-12-07 1987-12-07 마스킹 패턴을 이용한 다각형 필링방법 KR900008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3944A KR900008306B1 (ko) 1987-12-07 1987-12-07 마스킹 패턴을 이용한 다각형 필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3944A KR900008306B1 (ko) 1987-12-07 1987-12-07 마스킹 패턴을 이용한 다각형 필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755A KR890010755A (ko) 1989-08-10
KR900008306B1 true KR900008306B1 (ko) 1990-11-12

Family

ID=1926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944A KR900008306B1 (ko) 1987-12-07 1987-12-07 마스킹 패턴을 이용한 다각형 필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3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755A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5402A (en) Scan-conversion process and processor for converting a graphic primitive to a pixel map
US5461703A (en) Pixel image edge enhancement method and system
US49512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ling an image
EP0344686B1 (en) Clipping process and processor
CN113643446B (zh) 一种下颌神经管自动标记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080009870A (ko) 비트맵 이미지 회전 장치 및 그 방법
US50688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ours in digital typefaces
KR900008306B1 (ko) 마스킹 패턴을 이용한 다각형 필링방법
JP2634851B2 (ja) 画像処理装置
JPH0932575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5297244A (en) Method and system for double error antialiasing in a computer display system
JP2770582B2 (ja) 図形塗潰し装置
JP3089906B2 (ja) 描画装置
JPH0573693A (ja) 輪郭塗り潰し方式
US5305431A (en)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polygons on a raster display
JPH0350686A (ja) 図形処理方式
JP2782752B2 (ja) 文字パターン出力装置
KR900004949B1 (ko) 보간 도트패턴의 출력제어장치
JP2575047B2 (ja) ディジタル画像の復元装置
JP2835056B2 (ja) 高品質文字パターン発生方式
JPH0661960B2 (ja) ドツト補間制御装置
JPH025987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RU2109350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граф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JPH07152920A (ja) 図形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H02281386A (ja) 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