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155Y1 - 수냉 케이블 - Google Patents

수냉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155Y1
KR900008155Y1 KR2019900009792U KR900009792U KR900008155Y1 KR 900008155 Y1 KR900008155 Y1 KR 900008155Y1 KR 2019900009792 U KR2019900009792 U KR 2019900009792U KR 900009792 U KR900009792 U KR 900009792U KR 900008155 Y1 KR900008155 Y1 KR 900008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sted
water
cooled cable
conductor
tw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9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끼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쇼오와 덴센덴란 가부시기가이샤
요시오 도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504844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885Y2/ja
Application filed by 쇼오와 덴센덴란 가부시기가이샤, 요시오 도시히꼬 filed Critical 쇼오와 덴센덴란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09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155Y1/ko

Link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냉 케이블
제 1 도는 본 고안의 수냉케이블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동 실시예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 3 도는 동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체층 2 : 꼬인선
3 : 절연호오스(hose)
본 고안은 제강용 아아크로(爐), 용접기용 등의 수냉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수냉케이블은 사용중에, 반복하여 휘어지거나 비틀림을 받게 되고, 또 보통케이블에 비하여 큰 전류의 흐름에 의한 도체소선(素線)의 충돌, 진동을 받기 때문에 단기간에 도체소선이 절단하기 쉽다.
도체소선의 절단은 신품과 교환하게 되므로, 그 비용이나 전기로 등 운휴(運休) 손실이 크고, 공장합리화를 꾀함에 있어서 커다란 장애가 되었다.
종래의 수냉케이블은 소재철선 여러개를 하나로 꼰 꼬인선을 층(layer) 꼬임을 하여 도체층을 형성하고, 그 외주에 층마다 번갈아 꼬여져 있기 때문에, 도체의 비틀림에 대하여 각층마다 긴체와 이완이 발생하여 부분적인 용력 집중이 일어나서 피로에 의한 소선의 절단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도록 된 것으로 도체단선이 잘 일어나지 않는 수명이 긴 수냉케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고안의 수냉케이블은 서로 인접하는 꼬인선의 소선의 꼬임방향을 다르게 하고, 층 꼬임을 모두 같은 방향으로 하였음에 따라 소선의 마찰 마모를 적게함과 동시에, 도체의 비틀림에 대하여 응력 집중을 피하여 피로 단선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 2 도, 제 3 도는 동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제 1 도에서 도체층(1)은 소선을 꼰 꼬인선(2)을 층꼬임하여서 된 것이며, 중심의 꼬인선(4)의 둘레에 꼬인선(2a-2c)이 순차 3층으로 층꼬임 되었으며, 그 외주는 절연호오스(3)로 수밀하게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도 및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꼬인선(2)의 소선의 꼬임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한쪽의 꼬인선이 꼬임선(우회꼬임), 다른쪽의 꼬인선이 S꼬임선(좌회꼬임)이 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중심의 꼬인선(4)은 도해한 예에서는 우회꼬임으로 되어 있으나, 좌회꼬임이라도 좋다.
또 꼬인선의 층꼬임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제 1 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중심의 꼬인선(4)의 둘레에 여러개의 꼬인선(2a-2c)이 3층을 이루어 마련되고 있으나, 이것들의 꼬인선(2a-2c)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예컨대 우회로 꼬여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수냉케이블은 사용할 때에 양단부에 주지하는 단자가 장착되었으며, 절연호오스(3)와 도체층(1)과의 사이의 간격으로 냉각수가 유통된다.
스폿용접로봇에 본 고안의 수냉케이블을 사용하여 성능실험을 하였다. 전원과 용접로봇의 요우크(Yoke)측(고정단자) 및 터어미널측(가동단자)에 2개의 수냉케이블을 개재하여 접속하고, 피용접부로서의 철판을 스폿 용접하였다.
그때의 도체단선까지의 용접타점수 (평균치)를 다음 표에 나타낸다(A). 더욱이 도표에서 종래에(B)는, 소선을 하나로 꼰 여러개의 꼬인선을 층마다 번갈아 하나로 꼬아서 도체층을 형성하고 그 외주에 절연호오스를 피복한 수냉케이블을 사용하여 마찬가지 실험을 한 것이다.
동 표에서 명맥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냉케이블은 종래예의 수냉케이블과 비교하여 약 2-3배의 수명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수냉케이블은 꼬인선 상호간의 꼬임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하였으므로, 도체를 구부릴 때에 있어서의 꼬인선 사시의 마찰이 점접촉이 아닌 선접촉으로 되어 소선의 마모를 방지한다.
또 층꼬임을 모두 같은 방향으로 하였으므로, 한방향으로 도체가 비틀어졌을 때에는 각층의 비틀림은 죄어지지만, 역방향으로 비틀렸을 때에는 각층의 꼬임이 이완하도록 되어, 층꼬임 사이의 집중 응력을 회피할 수 있어서 피로하여 단선하는 것을 방지살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체의 단선이 잘 일어나지 않아서 수명이 길어진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

  1. 소선을 하나로 꼰 꼬인선(2)을 층 꼬임하여 도체층(1)을 형성하고 그 외주에 절연호오스(3)를 피복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꼬인선(2)의 소선꼬임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하여 층 꼬임을 모두 같은 방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케이블.
KR2019900009792U 1985-04-01 1990-07-02 수냉 케이블 KR900008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9792U KR900008155Y1 (ko) 1985-04-01 1990-07-02 수냉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8440 1985-04-01
JP1985048440U JPH082885Y2 (ja) 1985-04-01 1985-04-01 水冷ケ−ブル
KR1019860002120A KR860008570A (ko) 1985-04-01 1986-03-21 수냉케이블
KR2019900009792U KR900008155Y1 (ko) 1985-04-01 1990-07-02 수냉 케이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120A Division KR860008570A (ko) 1985-04-01 1986-03-21 수냉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155Y1 true KR900008155Y1 (ko) 1990-09-03

Family

ID=2729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9792U KR900008155Y1 (ko) 1985-04-01 1990-07-02 수냉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1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24Y1 (ko) * 2008-11-26 2009-07-08 권정태 음성신호전달용 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24Y1 (ko) * 2008-11-26 2009-07-08 권정태 음성신호전달용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76571A (en) Splicing method
JP2003230963A (ja) アーク溶接ケーブル
KR900008155Y1 (ko) 수냉 케이블
US3065290A (en) Water-cooled cable
JPH082885Y2 (ja) 水冷ケ−ブル
JPS6346984Y2 (ko)
JPS61161610A (ja) 可撓ケ−ブルのシ−ルド構造
JPH0638331Y2 (ja) 抵抗溶接用ケーブル
US4006287A (en) Welding cable
JPS6121185Y2 (ko)
JPH0741049Y2 (ja) 溶接用ケーブル
JP2001210153A (ja) 水冷ケーブル
KR20060115127A (ko) 우수한 밀착성을 갖는 면상발열체
JPH0696618A (ja) 可動ケーブル用導体とその製造法
US2941023A (en) Welding cables
JPH0664940B2 (ja) 耐屈曲、耐振動可撓導体
JPH02148513A (ja) 耐屈曲、耐振動可撓導体
KR970007184Y1 (ko) 용접기의 2차측 케이블의 단자구조
JPH0576195U (ja) スピーカ用リード線
JP3108525B2 (ja) 移動用ケーブル
JPH02142017A (ja) 耐屈曲、耐振動可撓導体
JPH07335277A (ja) 電線の導体接続構造
KR800002085Y1 (ko) 용접기용 케이블의 접속구
RU2087955C1 (ru) Наконечник двухполярного гибкого водоохлаждаемого кабеля
JPH02339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