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114B1 - N-치환된 아미노디페닐에테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N-치환된 아미노디페닐에테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114B1
KR900008114B1 KR1019840003542A KR840003542A KR900008114B1 KR 900008114 B1 KR900008114 B1 KR 900008114B1 KR 1019840003542 A KR1019840003542 A KR 1019840003542A KR 840003542 A KR840003542 A KR 840003542A KR 900008114 B1 KR900008114 B1 KR 900008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yl
chloro
formula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148A (ko
Inventor
헤치 뷰우리유 앤
양밍 리 로이
Original Assignee
롬 앤하스 컴페니
윌리암 이. 람버트 Ⅲ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앤하스 컴페니, 윌리암 이. 람버트 Ⅲ세 filed Critical 롬 앤하스 컴페니
Publication of KR85000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4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치환된 아미노디페닐에테르 조성물
본 발명은 신규의 N-치환된 아미노디페닐에테르, N-치환된 아미노디페닐에테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N-치환된 아미노디페닐에테르의 사용으로 잡초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윌슨등은 미합중국 특허 4039588호에 2,4-디클로로-3'-디에틸아미노-4'-니트로디페닐에테르 및 2,4-디클로로-3'-이소프로필아미노-4'-니트로디페닐에테르와 같은 아미노-치환된 디페닐에테르 등을 발표하였다.
1982. 3. 7자 공고된 일본 특허 공보 번호 72946호는 질소의 2개의 자유전자중의 하나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저급알케닐기, 또는 저급알키닐기와 공유결합을 하고 다른 자유원자는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와 공유결합하는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3'-아미노-4'-니트로디페닐에테르와 같은 아미노디페닐에테르 유도체를 발표하였다.
1981년 3월 12일에 공고된 독일 특허 2,960,829호는 아닐린 질소원자의 2개의 자유전자중의 하나는 질소, 알킬, 시클로알킬, 클로로- 또는 히도록시- 치환된 알킬, 알릴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과 결합하고, 다른 자유전자는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과 결합하거나 또는 아닐린 질소원자의 2개의 자유전자는 고리에 O, NH, NCH3또는 CH-N(CH3)2가 참여하는 5원 고리까지 이룰 수 있는 알킬렌기와 결합할 수 있는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 또는 페닐티오) 아닐린 식물성장 조절제 및 제초제를 발표하였다.
1981년 4월 23일 공고된 독일 특허 출원 DE2938585호는 N-치환기로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히드록시, 알콕시, 페녹시, 할로페녹시, 알킬페녹시, 알콕시페녹시, 니트로페녹시, 시아노페녹시, 아미노, 알킬티오, 벤질, 알콕시카르보닐알킬, 아미노카르보닐알킬 등을 포함할 수 있는 2- 또는 4-클로로-3-페녹시-6-니트로-N-치환된 아닐린의 제조방법을 발표하였다.
독일특허 출원 DE 2926829호는 4'-위치에 수소원자 또는 니트로원자를 갖는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페닐에테르, 및 3'-위치에 니트로, 알콕시, 알킬티오, 히도록시, 술프히드릴. 아미노 및 모노알킬아미노를 갖는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니트로페닐에테르를 발표하였다. 1981년 7월 7일에 공고된 미국 특허 4277624호는 독일특허 출원 DE 2926829호에 해당한다.
1983년 2월 16일에 공고된 유럽 특허 출원 72348호는 N-치환된 및 N,N-이치환된-3-아미노-4-니트로 디페닐에테르 및 제초제로서의 그의 용도를 발표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1) 니트로디페닐에테르 3'-위치 질소원자와 사슬의 말단기사이의 사슬길이가 4내지 14원자이고, (2) 사슬은 헤태로원자 또는 작용기를 함유하는 헤테로원자, 예를들면 O,S,S(O),S(O)2,C(O)등에 의해 연결되고 또 종단되고 (3) 말단기는 시아노, 할로, 카르복시 또는 그의 염,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알킬티오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알킬아미노카르보닐 또는 알킬술폰아미도 또는 치환된 그의 유도체임을 특징으로하고 있고 얻어진 화합물들은 높은 선택성 및 제초제 활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다음식을 갖는 신규의 디페닐 에테르 부류가 제공된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Q는 다음식의 기이고,
Figure kpo00002
X1는 수소원자,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원자,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소원자이고 ; X2는 할로알킬키,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 X3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 Y는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 R은 다음식의 기이고,
-(CHR1)m-A-(CHR2)n-R3
R1및 R2는 서로 독립하여, 각각 (CHR1) 및 (CHR2)에서 수소원자 ;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직쇄-또는측쇄(C1∼C6)알킬기 ; (C1∼C6) 알콕시기 ; 또는 (C1∼C6)알킬티오기이고 ; R1및 R2는 -NH- 부분에 알콕시 또는 알킬티오알파기가 아닌것이 제공되고 ; A는 -N(R1)-, -N(O)-, -O-, -S-, -S(O)-, -S(O)2-, -C(O)-, -C(O)B- 또는 -N(H)S(O)2-이고, B는 직쇄- 또는 측쇄 (C1∼C6)알킬렌기, -O-, -S- 또는 -N(R4)-이고 ; R3는 시아노기, 할로겐원자,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롬원자 또는 식 -C(O)Z의 기이고 ; R4는 수소원자 또는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이고 ; Z는 수소원자,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 (C1∼C6)알킬기 ; -N(R4)2- ; -OR5; -SR5; 또는 -N(R4)SO2R6기이고 ; R5는 수소원자 ;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 또는 농업에 수용할 수 있는 양이온,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암모늄, 치환된 암모늄, 술포늄, 치환된 술포늄, 술폭소늄 또는 치환된 술폭소늄 양이온이고, R6는 비치환된 직쇄-또는 측쇄(C1∼C6)알킬기, [염소, 브롬, 불소, (C1∼C6)알콕시 및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고, 염소, 브롬 및 (C1∼C6)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고 같거나 또는 다를수 있는 3개의 치환체까지 치환되거나 또는 비
치환된(C1∼C6)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는 3개의 치환체까지 갖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페닐기 ; 또는 히드록시기 및 그의 농업에 수용할 수 있는 염이고 ; m은 2 내지 10의 정수이고 ;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R1, R2, R4또는 R5가 치환된 알킬기일때,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는 3개의 치환체까지 갖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환체들은 염소, 브롬, 불소, 히도록시, (C1∼C6)알콕시, (C1∼C6)알킬티오, (C1∼C6)알킬 카르보닐, (C1∼C6)알콕시카르보닐,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C6)알킬아미노, (C1∼C6)알킬카르보닐옥시 및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롬, 불소, 히도록시, (C1∼C6)알콕시, (C1∼C6)알킬티오 및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롬, 불소, 히도록시 및 (C1∼C6)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고 3개의 치환체를 갖을 수 있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C1∼C6)알킬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같거나 다를수 있는 3개의 치환체를 갖을 수 있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페닐, 페녹시 또는 패닐티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농업에 수용할 수 있는 염중에 농업에 수용할 수 있는 양이온으로 나트륨 또는 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칼슘, 마그네슘, 바륨 또는 스트론튬과 같은 알칼리토금속양이온, 다음식을 암모늄 양이온
NZ1Z2Z3Z4
상기식에서 Z1, Z2, Z3및 Z4의 각각은 독립하여 수소원자, 히도록시알킬기, (C1∼C8)알콕시기, (C1∼C4)알콕시기, (C1∼C20)알킬기, (C3∼C8)알케닐기, (C3∼C8)알키닐기, (C2∼C8) 히드록시알킬기, (C2∼C8)알콕시알킬기, (C2∼C6)아미노알킬기, (C2∼C6)할로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알킬기부분에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알킬기 또는 Z1, Z2, Z3또는 Z4중 어느 둘은 질소원자를 갖는 5- 또는 6-원 헤테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임의로 다른 헤테로원자, 즉 산소, 질소, 또는 항원자를 고리내에 포함시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페리딘, 모르폴린, 피를리딘 또는 피페라진 고리 등과 같은 포화된 화합물이고, 또는 Z1, Z2, Z3또는 Z4중 임의의 3기는 피페라졸 또는 피리딘 고리와 같은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암모늄기가 치환된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알킬기를 포함할때 치환체는일반적으로 할로겐원자, (C1-C8)알킬기, (C1∼C4)알콕시기, 히도록시기, 니트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및 (C1-C4)알킬티오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치환된 페닐기는 바람직하게는상기와 같은 치환체를 2개까지 갖을 수 있다. 대표적인 암모늄 양이온으로는 암모늄, 디에틸암모늄, 2-에틸헥실암모늄, 비스(2-히드록시에틸)암모늄, 트리스(2-히도록시에틸)암모늄, 디시클로헥실암모늄, t-옥틸 암모늄, 2-히드록시에틸암모늄, 모르폴리늄, 피페리디늄, 2-펜에틸암모늄, 2-메틸-벤질 암모늄, n-헥실암모늄, 트리에틸암몬늄, 트리메틸암모늄, 트리(n-부틸)암모늄, 메톡시 에틸암모늄, 디이소프로필암모늄, 트리(n-부틸)암모늄, 메톡시에틸암모늄, 트리메틸암모늄, 트리(n-부틸)암모늄, 메톡시 에틸암모늄, 디이소프로필암모늄, 피리디늄, 디알릴암모늄, 피라졸륨, 프로파길암모늄, 디메틸히드라지늄, 히드록시암모늄, 메톡시암모늄, 도데실암모늄, 옥타데실암모늄, 4-디클로로페닐암모늄, 4-니트로벤질암모늄, 벤질트리메틸암모늄, 2-히도록시에틸디메틸옥타데실암모늄, 2-히도록시에틸디에틸옥틸암모늄, 데실트리메틸암모늄, 헥실트리에틸암모늄 및 4-에틸벤질트리메틸암모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다음식(Ia)의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은 상기에 정의한 것과 같고 ; X3는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불소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이고 ; Y는 니트로기,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이고 ; R1및 R2는 서로 다르고, 각각 (CHR1) 및(CHR2)기에서 수소원자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이고 ; A는 R1이 수소원자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 -O-, -S-, -C(O)- 또는 -C(O)B- 기인 -N(R1)-기이고 ; B는 -O-, -N(R)- 또는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렌기이고 ; R3는 시아노기 또는 식 -C(O)Z의 기이고 ; R4는 수소원자 또는 비치환 되거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이고 ; Z는 -OR5또는 -N(R4)SO2R5이고 ; R5는 수소원자,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직쇄 X- 또는 측쇄 (C1∼C6)알킬기, 또는 농업에 수용할 수 있는 알칼리토금속 양이온, 알칼리금속 양이온 또는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이고 ; R5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 (C1∼C6)알킬기이고 ; m은 2 또는 3이고, n은 1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학합물은 X3가 수소원자이고, Y는 니트로기,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이고, R1및 R2는 서로 다른기이고 각각(CHR1) 및 (CHR2)기에서 수소원자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 (C1∼C6)알킬기이고 ; A는 -O-, -N(H)-, -N(CH3)-, -N(CH2OCH3)-, -S-, -C(O)-, 또는 -C(O)B-기이고 ; B는 -O- 또는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렌기이고 ; R3는 시아노기 또는 식 -C(O)Z의 기이고 ; Z는 -OR5기이고 ; R5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C1-C8)알킬기, 또는 알칼리토금속, 알칼리금속 또는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이고 , m은 2 또는 3이고 ; n은 1인 식(Ia)의 화합물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은 X3가 수소원자이고 ; Y가 니트로기,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이고 ; R1및 R2는 서로 다르고, 각각 (CHR1) 및 (CHR2)에서 수소원자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이고, A는 -O-, -N(H)-, -S-, -C(O)- 또는 -C(O)B-기이고 ; B는 -O-이고 ; R3는 시아노기 또는 식 -C(O)Z기이고 ; Z는 -OR5기이고 ; R5는 수소원자,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 또는 알칼리토금속, 알칼리금속, 또는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이고 ; m은 2 또는 3이고 ; n은 1인 식(Ia)의 화합물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은 X3는 수소원자이고 ; Y는 니트로기 또는 염소원자이고 ; R1및 R2는 서로 다르고, 각각 (CHR1) 및 (CHR2)기에서 수소원자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이고 ; A는 -O-, -N(H)-, -S-, -C(O)- 또는 -C(O)B-기이고 ; B는 -O-기이고 ; R3는 시아노기이거나 또는 -C(O)Z기이고 ; Z는 -OR5기이고, R5는 수소원자,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 또는 알칼리금속 양이온,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또는 칼륨 또는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이고 ; m은 2 또는 3이고, n은 1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종래의 반응 방법을 폭넓게 변화시켜 만들 수 있다. 예를들면 Y가 니트로기인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다음 일반적인 순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디메틸술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술포란, 디옥산과 같은 극성용매에 m-니트로페놀을 녹인 용액에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를 가하고, Q가 상기에 정의한 것과 같은 식 Q-Cl의 화합물에 의해 수반된다. 혼합물은 용매에 따라 변하는 약 25°내지 220℃의 온도에서 저어주고, 바람직하게는 약 100∼180℃이다. 반응을 완결 시킨후, 반응 혼합물은 물로 희석하고 에테르,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초산에틸, 에틸렌디클로라이드와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다.
휘발성물질은 감압하에 제거하고 조생성물은 증류하여 정제한다. 상기의 모노니트로 생성물은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디클로라이드와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진한 황산과 더불어 심하게 저어준다. 질산칼륨은 반응의 내부 온도를 약 -10 내지 10℃로 유지시키면서 가한다.
반응을 완결시킨후 생성물은 상기와 같이 정제하고, 최종 생성물은 에탄올과 같은 적당한 용매로 재결정하여 다음 식(II)의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Q는 상기에 정의한 것과 같다.
R이 상기에 정의한 것과 같은 식 NH2R의 아민은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t-부톡시화칼륨과 같은 염기 또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르필 에틸아민과 같은 질소염기의 존재하에 약 -24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에서 디메틸술폭사이드, 디옥산, 디메틸포름아미드, 술포란, 에탄올,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극성용매에서 시(II)의 화합물과 반응 시킨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생성물은 상기와 같이 정제하고 최종 생성물은 적당한 극성 용매로부터 재결정하거나 또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다음 식(III)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디페닐에테르를 얻는다.
Figure kpo00005
자유산은 다음 순서중의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에스테르화 시킬 수 있다 ;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에서 염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과 같은 산촉매 ; 요오도메탄, 이소프로필브로마이드와 같은 알킬화제에 의해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또는 수소화칼륨과 같은 염기로 처리 ; 벤젠, 톨루엔과 같은 유기용매에서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리딘과 같은 유기염기의 존재하에 메틸 또는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와 같은 클로로포르메이트로 처리.
다른 순서에서 A가 -O-일때, 식(IV)의 화합물은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Q, R1및 m은 상기에 정의한 것과 같고, 식 NH2-(CHR1)m-OH의 아민과 더불어 상기에 제시된 순서에 의해 제조되고 적당한 불활성 용매에 녹이고 용액은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디메톡시술폭사이드 및 술포란,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적당한 불활성용매에 약 -10℃ 내지 약120℃의 온도에서 수소화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알콕시화나트륨과 같은 적당한 염기의 현탁액 또는용액으로 가해진다. X가 할로겐원자, 바람직하게는 브롬원자 또는 다른 이탈기이고, R2, R3및 n이 상기에 정의한 것과 같은 식 X-(CHR2)m-R3의 알킬화제는 가해지고 얻어진 혼합물은 실온 근처에서 환류 온도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저어준다. 반응 혼합물은 물로 희석하고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추출액은 황산마그네슘, 탄산칼륨, 황산나트륨 및 분자시이브와 같은 건조제상에서 건조한다.
Y가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원자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다음 일반식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 제시한 순서에 따라 Q가 상기에 정의한 것과 같은 식 Q-Cl의 화합물은 다음 식(V)의 화합물과 반응한다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Y는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다. 최종 생성물은 종래의 기술, 예를들어 초산에틸, 초산 또는 에탄올과 같은 극성용매 및 팔라듐 또는 백금 또는 차콜 촉매를 사용하여 촉매 수소화 반응으로 환원시켜 다음식(VI)의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Q는 상기에 정의한 것과 같고 Y는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원자이다.
식(VI)의 화합물은 적당히 치환된 친전자제, 예를들어 X가 할로겐원자, 바람직하게는 브롬원자, 또는 다른 이탈기인 식 XR을 갖는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하에 극성용매에서 반응시킨다. 반응을 완결 시킨후에, 혼합물은 물로 희석시키고 에테르, 메틸렌클로라이드, 초산에틸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다른 종래의 제제기술 또는 상기 제시된 순서에 의해 제조된 중간체를 포함하는 적당한 후-반응에 의해 만들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다 :
메틸, 에틸 및 소듐 2-(3-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1-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이소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티오이소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아세틸-3-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1-(메록시카르보닐)-4-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부타논 및 해당하는 에틸에스테르 및 나트륨염.
1-(티오메톡시카르보닐)-4-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부타논 및 해당하는 에틸에스테르 및 나트륨염.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에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티오프로폭시)아세토니트릴.
3-(3-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폭시)프로피오니트릴.
3-(1-에틸-3-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 아미노프로필아미노)프로피오니트릴.
메틸, 에틸 및 소듐 2-(2-(1-시아노)-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2-(1-메톡시-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2-(2-메톡시메틸)-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이노에톡시)아세테이트.
O-(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틸)클로로메탄.
O-(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틸)브로모에탄.
메톡시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및 해당하는 에틸에스테르 및 나트륨염.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브로모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클로로페닐)아미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브로모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시아노페닐)아미노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클로로페닐)아미노이소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4-디클로로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브로모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프로피오ㅗ네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시아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시아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4-디클로로)페녹시)-2-브로모페닐)아미노이소프로폭시)아세테이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2차-부틸, 3차-부틸, 펜틸 및 헥실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클로로페닐)아미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딜옥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딜옥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시아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2차-부틸, 3차-부틸, 이소부필, 펜틸 및 헥실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디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클로로-4-(디플루오로클로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소듐 2-(2-N-(5-(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뿐만 아니라 상기 화합물의 각각에 해당하는 자유산들이 있다.
본 발명의바람직한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다.
1-(메톡시카르보닐)-4-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부타논.
메틸 2-(2-N-(5-(2,4-디클로로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클로로페닐)아미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메틸 1-(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브로모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시아노페닐)아미노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이소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2-(3-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폭시)아세테이트.
상기 화합물의 에틸에스테르 및 나트륨염 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산도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다.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이소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2-(3-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폭시)아세테이트.
메틸 2-(3-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부톡시)아세테이트.
메틸 2-(3-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부톡시)프로피오네이트.
더욱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예(이들 중 몇가지는 상기에 명명 되었다)로는 X3가 수소원자이고, Y가 니트로기 또는 염소원자이고, R이 다음과 같은 식(Ia)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NHCH2CH2CH2OCH2CO2CH3
NHCH(CH3)CH2CH2OCH2CO2CH3
NHCH2CH2CH2OCH2CO2CH3
NHCH2(CH3)CH2CH2CH2OCH2CO2CH3
NHCH2CH2CH2CH2CH2OCH2CO2CH3
NHCH(CH3)CH2CH2CH2CH2OCO2CH3
NHCH2CH2OCH2CH2OCH2CO2CH3
NHCH2CH2SCH2CO2CH3
NHCH(CH3)CH2SCH2CO2CH3
NHCH2CH2CH2SCH2CO2CH3
NHCH(CH3)CH2CH2SCH2CO2CH3
NHCH2CH2CH2CH2SCH2CO2CH3
NHCH(CH3)CH2CH2CH2SCH2CO2CH3
NHCH2CH2NHCH2CO2CH3
NHCH2CH2NHCH2CH2CO2CH3
NHCH2CH2N(CH3)CH2CO2CH3
NHCH2CH2N(CH2OCH3)CH2CO2CH3
NHCH(CH3)CH2NHCH2CO2CH3
NHCH2CH2CH2NHCH2CO2CH3
NHCH2(CH3)CH2CH2NHCH2CO2CH3
NHCH2CH2NHSO2CH2CO2CH3
NHCH2CH2N(CH3)SO2CH2CO2CH3
NHCH2CH2COCH2CO2CH3
NHCH2(CH3)CH2COCH2CO2CH3
상기 화합물 뿐만 아니라 측쇄 메틸기의 위치가 변하는 상기 화합물의 이성체, -S-가 -S(O)- 또는S(O)2- 및 에틸에스테르로 치환된 상기 화합물에 해당하는 화합물, 나트륨염 및 상기 화합물의 각각의 자유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규의 디메틸에테르는 후발생 및 선발생 처리 제초체로서 유용하다. 선발생 처리 제초제들은 바람직한 작물의 파종전, 파종하는 동안에 살포하거나 또는 대부분의 경우에 파종 후 및 작물 발생전에 파종될 토양을 처리하여 보통 사용된다. 후발생 저리 제초제들은 잡초가 발생된 후 및 이들의 성장 기간동안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가 유리하게 사용될수 있는 작물로는 예를들면 목화, 콩, 땅콩, 해바라기, 강남콩, 벼, 완두콩, 당근, 옥수수, 밀 및 다른 작물들이 있다.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류는 잡초 조절에 필요한 어떤 양으로 사용될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제의 바람직한 시용 비율은 에이커당 약 0.01 내지 약 12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4파운드이다.
어떤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류는 작물이 파종되기전에 토양 또는 다른 성장 배지에 유리하게 참여할수 있다. 이러한 참여는 토양과 단순히 혼합하거나 토양의 표면에 디페닐에테르류를 살포한 다음 원하는 깊이로 토양을 써레질하거나 쟁기질하거나 또는 필요한 침투 및 주입을 달성하기 위체 액체 담체로 사용하여 수행할수 있다.
옮겨심은 벼에 사용할때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류는 잡초의 선발생 또는 후발생 처리할수 있다. 즉, 이들은 잡초가 발생하기전 또는 잡초가 성장의 초기단계에 있을동안, 옮겨심은 식물의 성장 배지에 사용할수 있다. 또한 상기 에테르류는 벼가 성장 배지에 옮겨심기전 또는 욺겨심은 후에 성장 배지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류는 그 자체 또는 농업에 수용할수 있는 담체와 결합하는 제초제 조성물 또는 제제의 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할수 있다. 농업에 수용할수 있는 담체는 그 자체가 토양, 장비, 작물 또는 농업환경에 해로운 효과를 미치지 않고 조성물로 제초제 화합물을 녹이고 확산시키고 또는 방산시킬수 있는 어떤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류의 혼합물은 어떤 제초제 제제에 사용할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제제 또는 용액일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류는 용액, 수화분말, 유화농축액, 분제, 과립제제, 에어러졸 또는 유동성 유화농축액으로 제제될수 있다. 이러한 제제에서 화합물은 액체 또는 고용 담체로 만들수 있고, 바람직하다면 적당한 계면활성제가 가해질수 있다.
특히 후발생 처리에서 농업적 실행에 따라 수화제, 분무제, 분산제, 점착체, 접착제 등과 같은 보조제를 포함한다. 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보조제의 예들은 참고문헌(John W. McCutcheon사 출판 "Detergents and Emulsifiers Annual.")에서 발견할수 있다.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 화합물들은 어떤 적당한 용매에 녹일수 있다. 본 발명에 실제로 사용할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물, 알코올, 케톤,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산,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용매의 혼합물이 사용될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는 용매에서 디페닐에테르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해질수 있다. 용액의 농도는 약 2% 내지 약 98%,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75%의 범위에서 변할수 있다.
유화농축액의 제조를 위해, 디페닐에테르류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화된 나프탈렌, 옥수수기름, 소나무기름, O-디클로로벤젠, 이소포론, 시클로헥사논, 메틸올레이트 등과같은 유기용매 또는 이러한 유기 용매의 혼합물에 물의 분산을 허락하는 분산제와 더불어 녹일수 있다. 적당한 분산제로는 예를들면 알킬페놀의 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긴사슬알코올, 메르캅탄, 카르복실산 및 반응성아민 및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폴리히드릭알코올을 포함한다. 황산염 및 아황산염의 알칼리토금속 또는 암모늄염과 같은 용매에 녹는 황산염 또는 아황산염, 계면활성 성질을 갖는 알킬벤젠술포네이트 및 지방산 알코올황산나트륨염들은 에틸렌옥사이드 반응 생성물과 결합하여 또는 혼자서 유화제로서 사용될수 있다. 유동성 유화농축액은 유화농축액과 유사하게 제제되고, 상기 성분에 부가해서 물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폴리아크릴산의 수용성염과 같은 안정제를 포함한다. 유화농축액의 유효성분의 농도는 보통 약 10% 내지 60%이고, 유동성 유화농축에서는 약 75%이다.
분무를 위해 적당한 수화분말은 혼합물에 점토, 무기규산염 및 탄산염과 같은 곱게 분해한 고체 및 실리카, 참여하는 수화제, 점착체 및/또는 분산제를 화합물과 혼합하여 제조할수 있다. 이러한 제제에서 유효성분의 농도는 약 20%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75%이다. 분산제는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3%를 차지하고, 수화제는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5%를 차지할수 있다.
분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유기 또는 무기일수 있는 곱게 분쇄된 불활성 고체를 혼합하여 제조할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유용한 재료로는 예를들면 식물성가루, 실리카, 규산염, 탄산염 및 점토를 포함한다. 분제제조의 하나의 편리한 방법은 수화분말을 곱게 분쇄한 담체로 희석하는 것이다. 유효성분 약 20%내지 80%를 함유하는 분제농도는 보통 만들어지고 약 1% 내지 10%로 유용한 농도로 희석된다.
과립제제는 과립 표포토(fu1ler's earth), 버미클라이트, 옥수수속, 등겨 또는 다든 씨앗껍질을 포함하는 씨앗껍질 또는 유사한 물질과 같은 고체를 주입하여 제제할수 있다. 휘발성 유기용매에서 디페닐에테르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용액은 과립고체와 분무되거나 또는 혼합될수 있고 그다음 용매는 증발시켜 제거된다. 과립재료는 어떤 적당한 크기, 16 내지 60메쉬의 바람직한 크기를 갖을수 있다. 디페닐에테르류는 과립제제의 약 2 내지 15%를 차지할수 있다.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류는 사용하기전에 비료 또는 시비재료와 혼합할수 있다. 디페닐에테르류가 사용될수 있는 고체 시비재료의 한가지 타입으로 황산암모늄, 질산암모늄 또는 인산암모늄과 같은 비료 또는 시비성분의 입자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테르류로 코팅될수 있다. 고체 디페닐에테르류 및 고체 시비재료는 혼합장치에서 혼합될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과립제제로 비료와 더불어 사용될수 있다. 디페닐에테르 및비료의 상대적인 비율은 처리될 작물 및 잡초를 위해 알맞게 사용될수 있다. 디페닐에테르는 시비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25%이다. 이러한 조성물들은 바람직한 식물의 빠른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시비재료를 제공하고, 동시에 바람직하지 않는 식물의 성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류는 종래의 고갈론(gallon) 유압분무, 저갈론 유압분무, 분사분무, 공기분무 및 분제와 같은 보통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제초제 분무로서 사용할수 있다. 본 화합물의 용액은 저부피 사용이 보통 유용하다. 희석 및 사용 비율은 보통 사용된 장치의 타입, 사용방법, 처리될 면적 및 잡초의 타입 및 성장단계와 같은 인자에 따라 변할수 있다.
몇가지 사용을 위해 본 발명의 디페닐에테르류와 함께 1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제초제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수적인 장점 및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참여될수 있는 다른 제초제의 예들은 다음과 같다.
카르복실산 및 유도체
2,3,6-트리클로로벤조산 및 그의 염.
2,3,5,6-데트라클로로벤조산 및 그의 염.
2-메톡시-3,5,6-트리클로로벤조산 및 그의 염.
2-메톡시-3,6-디클로로벤조산 및 그의 염.
2-메틸-3,6-디클로로벤조산 및 그의 염.
2,3-디클로로-6-메틸벤조산 및 그의 염.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및 그의 염 및 에스테르.
2,4,5-트리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및 그의 염 및 에스테르.
2-메틸-4-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및 그의 염 및 에스데르.
2-(2,4,5-트리클로로페녹시)프로피온산 및 그의 염 및 에스테르.
4-(2,4-디클로로페녹시)부티르산 및 그의 염 및 에스테르.
4-(2-메틸-4-클로로페녹시)부티르산 및 그의 염 및 에스테르.
2,3,6-트리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및 그의 염.
3,7-엔독소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틸 2,3,5,6-테트라클로로테레프탈레이트.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및 그의 염.
2,2-디클로로프로피온산 및 그의 염.
2,3-디클로로이소부티르산 및 그의 염.
카르밤산 유도체
에틸 N,N-디(n-프로필)티올카르바메이트.
프로필 N,N-디(n-프로필)티올카르바메이트.
에틸 N-에틸-N-(n-부틸)티올카르바메이트.
프로필 N-에틸-N-(n-부틸)티올카르바메이트.
2-클로로알릴 N,N-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N-메틸디티오카르밤산염.
에틸 1-헥사메틸렌이민바르보티올레이트.
이소프로필 N-페닐카르바메이트.
이소프로필 N-(m-클로로페닐)카르바메이트.
4-클로로-2-부티닐 N-(m-클로로페닐)카르바메이트.
메틸 N-(3,4-디클로로페닐)카르바메이트.
페놀
디니트로-O-(2차-부틸)페놀 및 그의 염.
펜타클로로페놀 및 그의 염.
치환된 요소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3-페닐-1,1-디에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3-메톡시-1,1-디메틸우레아.
3-(4-클로로페닐)-3-메톡시-1,1-디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2-n-부틸-1-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1-메톡시-1-메틸우레아.
3-(4-디클로로페닐)-1-메톡시-1-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1,1,3-트리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디클로랄우레아.
치환된 트리아진
2-클로로-4,6-비스(에틸아미노)-2-트리아진.
2-클로로-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클로로-4,6-비스(메톡시프로필아미노)-2-트리아진.
2-메톡시-4,6-비스(이소프로필아미노)-s -트리아진.
2-메틸메르캅토-4,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
2-메틸에르캅토-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클로로-4,6-비스(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메톡시-4,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
2-메톡시-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메틸메르캅토-4-(2-메톡시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디페닐에테르 유도체
2,4-디클로로-4'-니트로디페닐에테르.
2,4,-트리클로로-4'-니트로디페닐에테르.
2,4-디클로로-6-플루오로-4'-니트로디페닐에테르.
3-메틸-4'-니트로디페닐에테르.
3,5-디메틸-4'-니트로디페닐에테르.
2,4'-디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에테르.
2,4-디클로로-3'-메톡시-4'-니트로디페닐에테르.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3'-[2-(메톡시카르보닐)-에톡시카르보닐]-4;'-니트로디페닐에테르.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3'-[1-(메톡시카르보닐)-에톡시카르보닐]-4;'-니트로디페닐에테르.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N-메탄술포닐벤즈아미드.
소듐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벤조에이트.
2-클로로-1-(3-에톡시-4-니트로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에틸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벤조에이트.
메틸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벤즈에이트.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3'-[1-(에톡시카르보닐)-에톡시카르보닐]-4'-니트로디페닐에테르.
아닐리도
N-(3,4-디클로로페닐)프로피온아미도.
N-(3,4-디클로로페닐)메타크릴아미드.
N-(3-클로로-4-메틸페닐)-2-메틸펜탄아미드.
N-(3,4-디클로로페닐)트리메틸아세트아미드.
N-(3,4-디클로로페닐)-알파, 알파-디메틸발레르아미드.
N-이소프로필-N-페닐클로로아세트아미드.
N-n-부톡시메틸-N-(2,6-디에틸페닐)클로로아세트아미드.
N-n-메톡시메틸-N-(2,6-디에틸페닐)클로로아세트아미드.
우라실
5-브로모-3-s-부틸-6-메틸우라실.
5-브로모-3-시클로헥실-1,6-디메틸우라실.
3-시클로헥실-5,6-트리메틸렌우라실.
5-브로모-3-이소프로필-6-메틸우라실.
3-3차-부틸-5-클로로-6-메틸우라실.
니트릴
2,6-디클로로벤조니트릴.
디페닐아세토니트릴
3,5-디브로모-4-히드록시벤조니트릴.
3,5-디요오도-4-히드록시벤조니트릴.
다른 유기 제초제
2-클로로-N-N-디알릴아세트아미드.
N-(1,1-디메틸-2-프로피닐)-3,5-디클로로벤즈아미드 말레익히드라지드.
3-아미노-1,3,4-트리아졸 모노소듐 메탄아르소네이트 디소듐메탄아르소네이트.
N-N-디메틸-알파, 알파-디페닐아세트아미드.
N,N-디(n-프로필)-2,6-디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N,N-디(n-프로필)-2,6-디니트로-4-메틸아닐린.
N,N-디(n-프로필)-2,6-디니트로-4-메틸술포닐아닐린.
0-(2,4-디클로로페닐)-0-메틸-이소프로필 포스포로아미드-티오에이트.
4-아미노-3,5,6-트리클로로피콜린산.
2,3-디클로로-1,4-나프토퀴논 디(메톡시-티오카르보닐)디술파이드.
3-이소프로필-1H-2,1,3-벤조티아디아진-(4)3H-온-2,2-eldhrtkdlem.
6,7-디히드로디피리돌[1,2-a : 2',1'-c]피라지디늄염.
1,1'-디메틸-4,4'-디피리디늄염.
3,4,5,6-테트라히드로-3,5-디메틸-2-티오-2H-1,3,5-티아디아진.
2-클로로-N-[(4-메톡시-6-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르보닐]벤젠술폰아미드.
2-(1-알릴옥시아미노-부틸리딘)-4-카르보메톡시-5-디메틸시클로헥산-1,3-디온.
2-(1-에톡시아미노-부틸리딘)-5-(2-에틸술피닐-프로피닐)-시클로헥산-1,3-디온.
부틸-2-[4-(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온에이트.
제초제 혼합물이 사용될때 사용된 상대적인 비율은 처리될 작물 및 바람직한 잡초 조절에서 선택성의 정도에 의존한다.
다음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사용된 모든 부 및 페센트는 다른 제한이 없으면 모두 중량에 의한 것이다. 다음 화합물 번호 1-6은 다음식(VII)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9
화합물 번호 1
메틸-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아세테이트.
화합물 번호 2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 번호 3
메톡시카르보닐메틸 3-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 번호 4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이소프로폭시)아세테이트.
화합물 번호 5
메틸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록시)아세테이트.
화합물 번호 6
이소프로필 2-(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폭시)아세테이트.
화합물 1의 제조
1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수소화나트륨(1,2당량)을 녹인 현탁액에 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톡시)-2-니트로페닐)아미노에탄올(1당량)을 가한다. 수소의 발생이 멈춘후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2당량)을 가한다. 최종 혼합을은 감합하에 농축하고 에테르에 녹인 다음 소금물로 씻어주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여과 및 증발시켜 mP 77∼78℃인 화합물 번호 1을 얻는다.
메틸 브로모프로피오네이트로 바꾸는 것을 제외하고, 화합물 번호 1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방법에 의해 화합물 번호 2를 얻는다. 화합물 번호 3은 종래의 알킬화반응 순서를 사용하여 (3-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피온산을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로 알킬화시켜 제조한다.
화합물 번호 1의 제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합물 번호 4 및 6은 1-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판-2-올을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로 알킬화시켜 제조되고 화합물 4 및 6은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된다. 화합물 5는 2-N-(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아미노프로판-1-올을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로 알킬화시켜 제조된다.
화합물 번호 1-6을 위한 nmr 데이타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고, 화합물 번호 1 및 3을 위한 원소분석 데이타는 다음 표 2에 제시하였다.
[표 1]
Figure kpo00010
[표 2]
Figure kpo00011
표 3에 제시된 것은 표 1의 6개 디페닐에테르류의 제1제초제 억제의 결과이다. 평가는 0 내지 100으로 나타냈다 ; 0=조절 안됨, 100=100% 조절(완전 억제)
시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선택된 작물의 씨앗 및 잡초를 플래이트의 토양에 파종한다. 선발생 처리 시험을 위해 플래이트는 파종 후 즉시 시험 화합물로 처리한다. 후발생 처리 시험을 위해 씨앗은 성장시키고 약 2주후에 플래이트는 시험 화합물로 처리한다.
평가될 화합물은 소량의 계면활성제(약 0.5 내지 1.0(w/v)%)를 함유하는 아세톤 및 메탄올의 50 : 50 혼합물에 녹이고, 아세톤을 희석한 다음, 표에 명시된 사용 비율(에이커당 파운드, 1bs,/A)로 에이커당 50갈론에 해당하는 담체 부피로 플래이트 위에 분무한다. 시험 화합물을 처리한 약 2주후에 식물들의 성장 단계를 관찰하였고, 화합물의 식물독성을 평가하였다.
다음 약어들은 표 3에 사용하였다 ;
PRE=선발생처리
POST=후발생처리
CKL=우엉(Xanthium pensylvanicum)
MA=금잔화(Tagetes spp.)
MG=나팔꽃(Ipomoea spp.)
SIG=결명자(Cassia obtusifolia)
TOM=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VEL=어저귀(Abutioln theophrasti)
BYG=강피(Echinochloa crus-galli)
DB=참새귀리(Bromus techorum)
FOX=뚝새풀(Setaria viridis)
JON=수수새(Sorghum helepense)
NUT=향무자(Cyperus seculentus)
WO=메귀리(Avena fatua)
[표 3]
Figure kpo00012
* 시험되지 않음

Claims (13)

  1. 다음 식(I)의 화합물 및 그의 농경가능염
    Figure kpo00013
    상기식에서, Q는 다음식의 기이고,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X1은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 X2는 할로알킬기이고 ; X3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다.)
    Y는 니트로기이고 ; R은 다음식의 기이고,
    -(CHR1)m-A-(CHR2)n-R3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이고 각각 (CHR1) 및 (CHR2)기에서 수소원자 ;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이고 ; A는 -O-, -C(O)- 또는 -C(O)B-기이고 ; B는 -O-이고 ; R3는 식 -C(O)Z의 기이고 ; Z는 -OR5이고, R5는 수소원자,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키, 또는 농업에 수용할 수 있는 양이온이고 ; m은 2 또는 3이고 n은 1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Q가 다음 식의 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X1은 수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불소원자이고 ; X2는 트리플루오로메틸키이고 ; X3는 수소원자이고 ; Y는 니트로기이고 ;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이고, 각각 (CHR1) 및 (CHR2)기에서 수소원자 또는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이고 ; A는 -O-, -C(O)- 또는 -C(O)B-이고 ; B는 -O-이고 ; R3는 식 -C(O)Z-기이고 ; Z는 -OR5기이고 ; R5는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 수소원자 또는 농업에 수용할 수 있는 알칼리토금속, 알칼리금속, 또는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이고 ; m은 2 또는 3이고 ; n은 1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A는 -O-, -C(O)- 또는 -C(O)B-이고 ; B는 -O-이고 ; Z는 OR5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A는 -O-, -C(O)- 또는 -C(O)B-이고 ; B는 -O-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R5는 수소원자, 직쇄- 또는 측쇄(C1∼C6)알킬기 또는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이고, 각각 (CHR1) 및 (CHR2)기에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 A는 -O- ; R3는 -C(O)Z ; R5는 메틸기 ; m은 2 또는 3이고 ; n은 1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kpo00016
  8. 제6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kpo00017
  9. 제6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kpo00018
  10. 제5항에 있어서, Y는 니트로기이고 ; R1및 R2는 각각 수소원자이고 ; A는 -O-, -C(O)- 또는 -C(O)B기이고 ; B는 -O-기이고 ; R3는 -C(O)Z이고 ; Z는 -OR5이고 ; R5는 메틸기이고 ; m은 2 또는 3이고, n은 1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 제5항에 있어서, Y는 니트로기이고 ;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이고, 각각 (CHR1) 및 (CHR3)기에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 A는 -O-, -C(O)- 또는 -C(O)B-이고 ; B는 -O-기이고 ; R3는 식 C(O)Z기이고 ; Z는 -OR5이고 ; R5는 메틸기이고 ; m은 2 또는 3이고 ; n은 1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2. 제5항에 있어서, Y는 니트로기이고 ; R1및 R2는 각각 수소원자이고 ; A는 -C(O)-이고 ; R3는 -C(O)Z이고 ; Z는 -OR5이고 ; R5는 메틸키이고 ; m은 2 또는 3이고, n은 1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3. 제5항에 있어서, Y는 니트로기이고 ; R1및 R2는 각각 수소원자이고 ; A는 -C(O)B-이고 ; B는 -O-이고 ; R3는 -C(O)Z이고 ; Z는 -OR5이고 ; R5는 메틸기이고 ; m은 2 또는 3이고 ; n은 1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KR1019840003542A 1983-06-23 1984-06-22 N-치환된 아미노디페닐에테르 조성물 KR900008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726183A 1983-06-23 1983-06-23
US507,261 1983-06-23
US507261 1983-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148A KR850001148A (ko) 1985-03-16
KR900008114B1 true KR900008114B1 (ko) 1990-10-31

Family

ID=2401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542A KR900008114B1 (ko) 1983-06-23 1984-06-22 N-치환된 아미노디페닐에테르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130041B1 (ko)
JP (1) JPS6013745A (ko)
KR (1) KR900008114B1 (ko)
AU (1) AU571539B2 (ko)
CA (1) CA1230883A (ko)
DE (1) DE3468678D1 (ko)
IL (1) IL72192A (ko)
NZ (1) NZ208609A (ko)
ZA (1) ZA8448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389A (en) * 1987-03-10 1990-10-23 Ciba-Geigy Corporation Phenoxyphenylthioureas phenoxyphenylisothioureas and phenoxyphenylcarbodiimides and use thereof for controlling pes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69621D1 (en) * 1981-08-07 1986-04-10 Ciba Geigy Ag Phenoxyphenyl-aminocarboxylic-acid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ZA825702B (en) * 1981-08-07 1983-06-29 Ciba Geigy Ag Novel phenoxyphenylamino acid derivatives, the production thereof, composition containing the and use thereof
ATE15032T1 (de) * 1981-11-09 1985-09-15 Duphar Int Res Diphenylaether mit herbizider wir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72192A0 (en) 1984-10-31
EP0130041A1 (en) 1985-01-02
CA1230883A (en) 1987-12-29
DE3468678D1 (en) 1988-02-18
ZA844811B (en) 1985-08-28
KR850001148A (ko) 1985-03-16
AU571539B2 (en) 1988-04-21
IL72192A (en) 1988-01-31
NZ208609A (en) 1987-09-30
AU2957184A (en) 1985-01-03
EP0130041B1 (en) 1988-01-13
JPS6013745A (ja) 1985-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9229A (en) Substituted phthalimides herbicides
US4093446A (en) Herbicidal 4-trifluoromethyl-4-nitrodiphenyl ethers
US4063929A (en) Herbicidal 4-trifluoromethyl-4'nitrodiphenyl ethers
US4039588A (en) Herbicidal 4-nitro-diphenyl ethers
CA1223272A (en) Herbicidal 4-trifluoromethyl-3'-nitrogen-substituted- 4'-substituted diphenyl ethers
EP0020052A1 (en) Novel substituted nitrodiphenyl ethers, herb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for combating weeds
US4209318A (en) Herbicidal esters of 4-trifluoromethyl-3-carboxamido-4-nitro diphenyl ethers
US4059435A (en) Herbicidal 4-trifluoromethyl-3-cyanoalkoxy-4-nitro diphenyl ethers
CS214755B2 (en) Herbicide means and method of making the active component
GB1586090A (en) Herbicidal 2-nitro-5-(substituted phenoxy)-benzoic acid esters and amides
GB1560416A (en) Trifluoromethylphenyl derivatives
US4584014A (en) Ethylideneaminooxyacetic acids and esters
US3954875A (en) Benzophenone herbicides
US4029493A (en) Substituted phenoxybenzonitriles as herbicides
KR900008114B1 (ko) N-치환된 아미노디페닐에테르 조성물
USRE31455E (en) Herbicidal 4-trifluoromethyl-4-nitrodiphenyl ethers
US5290756A (en) 4-trifluoromethyl-4'-nitrodiphenyl ethers
US4894479A (en) Herbicidal diphenyl ethers
US4335249A (en) Herbicidal diphenyl ethers, sulfides, sulfoxides and sulfones
US5028732A (en) Herbicidally active amino diphenyl ethers
US4306900A (en) Herbicidal nitrodiphenyl ethers
US4743703A (en) Herbicidal 4-fluoroalkyl-4'-nitrodiphenyl ethers
US4386954A (en) Herbicidal diphenyl ethers
CA1330445C (en) Herbicidal amide of 4-trifluoromethyl 3'-carboxyl-4'nitro diphenyl ethers
US4877897A (en) 4-Trifluoromethyl-4'-nitrodiphenyl eth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