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805B1 - 고점도 유동물의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점도 유동물의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805B1
KR900007805B1 KR1019870015589A KR870015589A KR900007805B1 KR 900007805 B1 KR900007805 B1 KR 900007805B1 KR 1019870015589 A KR1019870015589 A KR 1019870015589A KR 870015589 A KR870015589 A KR 870015589A KR 900007805 B1 KR900007805 B1 KR 900007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ling
fluid
tank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755A (ko
Inventor
마사오 노부다
데쓰야 이우찌
Original Assignee
하우스쇼꾸힝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쓰까 구니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스쇼꾸힝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쓰까 구니히꼬 filed Critical 하우스쇼꾸힝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7001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805B1/ko
Publication of KR89000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점도 유동물의 충전장치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인 적절한 용기를 고점도 유동물로 충전시키는 장치의 구체예를 나타내며, 제1도는 그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V-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제10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고르기장치의 구체예이며, 제6도는 그의 평면도.
제7도는 정면도.
제8도는 정면도.
제9도는 제7도의 VI-V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전술한 두 장치로 이루어지는 포장기전체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제11도는 그의 평면도.
제12도는 그의 측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종래 장치의 충전조작의 예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충전조작의 예시도, 그리고 제16도는 고르기 조작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콘베이어 22 : 슬랫
31: 탱크 33 : 피스톤
34 : 실린더 35 : 수평축
36 : 아암 37 : 노즐
39 : 스풀밸브(절환장치) 94 : 해머
96 : 자루 C : 용기
본 발명은 고점도 유동물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카레소스와 같은 고점성을 갖는 유동물을 적당한 용기에 충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식품공업분야에서 종이팩, 플라스틱컵 및 병과 같은 적당한 용기에 다소 점성의 물질을 충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목적으로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들면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어서 1,000cps 이상의 점도를 갖는 전술한 유동물(W)을 종래에는 단일노즐(N)을 통해 적당한 용기에 충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용기에 유동물에 충전하여 넘쳐 흐르게 하는데, 이것은 뚜껑으로 적당하게 밀봉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방법은 용기에 충전된 물질을 평탄하게 하기 위한 적당한 기구의 사용을 요한다.
게다가,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물질을 충전하는데 복수의 노즐(N)이 사용되는 방법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제용도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이러한 결점을 완전히 제거하기에 여전히 불충분하다.
용기에 충전된 유동물을 더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용기를 적당한 기구로 진동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것 같다.
이렇게하기 위해, 용기를 고점도 유동물로 충전하는 동안 용기의 바닥에 압축공기흐름을 단속적으로 주입시키는 방법이 종래에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후기한 것들과 같은 해결되어야 하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당한다.
첫째로, 압축공기의 단속적 주입은 전자밸브의 개폐(온-오프)조작에 의해 실행되나, 이러한 밸브의 사용은 내구력이 불충분하다.
둘째로, 사용된 압축공기의 질에 따라 위생문제가 일어나는 한편, 그의 질이 양호할지라도, 압축공기가 대기의 상태를 저해하고 이것은 용기에 충전될 물질의 각종 먼지에 의한 오염과 같은 다른 위생문제의 발생을 가져온다.
이제 본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종래의 충전장치와 관련된 전술한 결점을 제거할 수 있는 고르기장치가 갖추어진 고점성의 물질을 용기에 충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3,000cps 이상, 특히 10,000cps 이상의 고점성을 갖는 유동물로 용기를 충전하되 이러한 점성물질로 용기에 쌓이게 하는 일이 없는 충전장치, 환언하면 이러한 물질을 전술한 문제를 동반하는 일이없이 가능한한 편평하게 용기에 충전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목적이다.
또한 충전조작이 장기간 계속될지라도 시간에 따라 충전된 물질의 양에 변화를 결코 일으키지 않으며 안정되고 일징한 양의 점성물질을 용기에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점성물질을 용기에 충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전체크기가 소형이며 탱크와 일정한 공급장치를 그들간의 높이에 큰 차이를 둠으로써 지나치게 큰규모로 용기를 제작할 필요성을 제거하면서 물질의 안정되고 일정한 충전조작을 허용하는 점성물질을 용기에 충전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더 이상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질의 통로를 적당한 온도로 유지하고 그의 표면에 방수력을 부여하며, 노즐의 미끄럼부분의 공극과 고점도 유동물을 공급하는 스풀이 충전조작을 통해 변화되지 않고 아무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으며 충전조작이 안정되고 일정할 수 있는 점성물질을 용기에 층전하는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들은 고점도 유동물을 받는 탱크; 유동물을 일정한 유속으로 방출하는 기구로 갖추어지고 탱크에 연통되는 연통기구; 연통기구의 방출하는 쪽에 연결되고 아래로 배향된 그의 방출구가 용기를 운반하는 콘베이어의 통로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충전노즐; 상부 및 하부를 가지며 스풀이 갖추어진 충전노즐이 하부에 장착된 아암; 자유회전 가능하고 가역적 방식으로 상부에서 아암을 지지하는 수평축; 그리고 진동중심으로서 제공되는 수평축상에 아암을 진동시키는 기구로 이루어지는 고점도 유동물을 적당한 용기에 충전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고점도 유동물을 용기에 충전하는 장치와 탱크; 일정한 유속으로 물질을 충전하는 탱크에 연통하는 일정공급장치; 용기를 삽입하는 구멍과 그의 주변부에서 고점도 유동물이 충전될 용기의 개구부 테두리 둘레에 형성된 용기의 테를 받는 슬랫이 갖추어진 단속구동 슬랫-콘베이어; 자루 및 자루의 한 단부에 고정된 해머헤드로 이루어진 다른 단부가 고정되고 축이 가역적으로 회전할 때 해머헤드가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해 서 있는 슬랫에 의해 수용된 용기의 바닥에 타격을 줄수 있도륵 수평배치된 가역적 회전 가능 구동축; 그리고 용기의 개구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면하고 용기의 높이보다 작은 거리에서 개구부 주변부로부터 분리되어 위치하는 용기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로 구성되는 포장기에는 전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슬랫-콘베이어(11)가 장비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면, 전방 또는 앞으로"하는 용어는 콘베이어가 작동하는 수송방향(제11도 및 제12도의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에 기준하여 용기를 콘베이어에 의해 수송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한편, "후면, 후방 또는 뒤로"라는 용어는 전술한 방향과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좌우" 방향은 "전면, 전방 또는 앞으로" 방향에 대하여 정의되어 있다.
용기운반장치(12)는 슬랫-콘베이어(11)가 작동하는 수송로의 출발점에 배치되어 있으며, 슬랫-콘베이어 후면에는 충전장치(13), 고르기장치(14), 마개장치(15) 및 마개밀봉용장치(16)의 순으로 구성되는 일련의장치로 배치되어 있다.
더우기, 벨트 콘베이어(17)는 슬랫-콘베이어(11)앞에 배치되어 있고, 출발점으로서 슬랫-콘베이어 앞의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뻗어 있는 수송로를 가지며, 용기교환장치(18)가 배치되어 있고 슬랫-콘베이어(11)통로의 끝점에서 벨트콘베이어(17)통로의 출발단으로 뻗어 있다.
전술한 장치 가운데 슬랫-콘베이어(11), 충전장치(13) 및 고르기장치(14) 이외의 것들은 본 발명의 장치에 직접 관련되어 있지 않으면 본 발명에서 다시 그와같은 종래의 장치 자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간소화하기 위해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슬랫-콘베이어(11)는 제1도 내지 제10도에 잘 나타나 있으며, 상호 병렬로 배치되어 있고 수직면 및 그사이에 뻗어 있는 다수의 슬랫(22)에서 주기적으로 작동하고 그에 고정된 한쌍의 좌우 순환체인(21)이 장비되어 있다.
거의 타원형 단면을 갖는 6개의 홀(23)은 타원형의 주축이 슬랫(22)의 세로방향과 일치하도록 그의 세로방향에 따라 슬랫(22)상에 형상된다.
접시형 용기(C)의 가장자리는 홀주변에서 슬랫에 의해 수용되고 지탱된다.
이와 관련하여 체인(21)은 그것을 구동하는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단속적으로 구동된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충전장치(13)는 슬랫-콘베이어(11)위에 그리고 좌우측으로 병렬로 배치된 유동물을 함유하는 두 탱크(31); 용기에 그 물질로 충전하는 6개의 실린더(34)가 있으며, 각각은 내부에 피스톤(33)을 포함하고 그 중 각각 3개는 밑부에서 수직연결관(32)을 통하는 탱크(31) 중 하나에 연결되며; 용기에 그 물질을 충전하는 6개의 노즐(37)이 있으며, 각각은 자유로이 진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평축(35)과 아암(36)을 통하는 각각 실린더(34)에 의해 연결되고 지탱되며; 진동중심으로서 역할을하는 수평축상의 아암(36)을 진동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구관(38)은 각각의 탱크(31)의 밑벽위에 장착되며, 이는 그의 내부압력을 유지하는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장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관(32)상단은 이와같은 출구관에 전달된다. 관의 내부통로 개폐용 절환장치인 스풀밸브(39)는 연결관(32)중간에 배치된다.
스풀밸브(39)는 연결관(32)에 수직이 되도륵 배치되고 앞뒤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통형 하우징(40) 및 하우징(40)내에 포함되고 연결관(32)의 상하단을 연통하도록 역할을 하는 수직연통로(41)로 장비된 스풀(42)로 구성되어 있다.
스풀(42)은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막대(43)가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수단의 작용으로 앞뒤로 움직이는 막대(44)는 그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다.
온수자킷(45)은 유동물을 고화발생으로부터 방지하는 것으로 장비되어 있으며, 이는 하우징(40) 거의 전부와 하우징(40)을 통해 하향돌출되어 있는 연결관(32) 일부를 에워싸고 있다.
용기에 유동물을 충전하는 실린더(34)는 전후방을 향하고 스풀밸브(39)의 하우징(40)과 나란히 뻗어 있는 트렁크벽(46)과; 그의 전단을 폐쇄한 끝벽(47)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구(48)는 그의 전단에서 트렁크벽(46)상에 상향배치되고 연결관(32)하단에 연결된다.
끝벽(47)의 하부부근에서, 입구(48)보다 작은 크기릍 갖는 출구(49)가 장비되어 있다.
피스톤(33)은 뒤로 돌출되어 있는 막대(50)를 가지며 그 막대의 후단에 도시되지 않은 기구의 작용에 의해 앞뒤로 움직이는 막대(51)가 연결된다.
수평축(35)은 전후방을 향해 뻗어 있으며, 그의 후단에서 실린더의 출구(49)를 폐쇄하도록 충전용 실린더(34)의 끝벽(47)에 고착된다. 수평축은 밀폐된 바닥을 가지며 축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뻗어 축으로 형성된 홀(52)과, 축전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뻗어 있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홀(53)을 가지며, 축으로 형성된 홀(52)의 후단에서 개구는 출구(49)와 접속된다.
아암(36)도 충전실린더(34)에서 충전노즐(37)로 유동물은 수송하는 관으로서 역할을 하며, 상호 연통하는 수직상부관(54)과 L-형(측면도) 하부관(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부로 회전하는 실린더부(56)는 상부관(54)의 상단에 배치되며, 이는 축의 외면에 열린 방사상으로 형성된 홀(53)의 개구주변을 포함하며 수평축(35) 외면의 광대부에 미끄러지도록 접속되고 삽입된다.
온수자킷(57)은 실린더부(56)를 포함하는 상부관 전체를 에워싸도록 배출된다.
온수자킷(57) 외면상에 연결바아(66)의 오목부와 접속될 전방돌출볼록부(58)가 장비되어 있다.
충전노즐(37)은 실린더형을 가지며, 입구관(59)은 노즐 외주 하단 가까이 후방에 배치되고 입구관은 아암(36)의 하부광(55) 정상에 연결된다. 충전노즐(37) 내면은 균일 직경을 가지며 그의 하단에 위치한 배출구(60)에서도 평평하다.
스풀(61)은 노즐에 삽입된다.
상호간에 미끄러지며 접촉하는 노즐과 스풀의 표면은 바람직하게 세라믹으로 만들어진다. 충전노즐(37)의 상부말단에서, 실린더형 케이스(62)와 노즐(37)은 일직선으로 놓이도록 배열된다. 케이스(62)의 상부말단에서, 유압실린더(63)는 케이스의 개구를 차단하기 위하여 아래쪽으로 배치된다.
그의 피스톤 막대(64)는 케이스(62)내에서 연장하고 연결부재(65)를 통해 스풀(61)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노즐을 진동하기 위한 아암(36)위를 가로지르는 수평연결바(66)와 한쌍의 암수 연결부재(67, 68)를 통해서 연결바(66)의 좌측말단부(제2도에서 우측말단부)와 연결되는 피스톤 막대(69)가 부착된 유압실린더(70)로 이루어진다.
연결바(66)의 하부테두리에서 그의 길이를 따라 노즐(37)간의 간격과 같은 일정한 간격으로 노즐과 계지시키기 위한 여섯군데의 오목부(71)가 형성된다.
이들 오목부(71)의 각각은 계지를 위하여 대응하는 각각의 볼록부(58)와 계지된다.
제5도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볼록부(72)는 수연결부재(67)상에 형성되고 오목부(73)는 암연결부재(68)상에 형성된다.
그로써, 연결된(74)은 볼록부(72)가 오목부(73)와 계지되어 있는 동안 암수 연결부재를 통해 통과될 수 있다.
연결핀(74)은, 두 연결부재(67, 68)로의 삽입과 그로부터의 철회가 자유로우므로 두 연결부재(67, 68)는 그안으로의 삽입 또는 그로부터의 철회에 의해 연결핀과 자유롭게 계지가 풀어질 수 있다.
제2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유압실린더(70)의 피스톤막대(69)는 유압실린더(70)의 우측뿐 아니라 좌측을 향해서도 돌출하고, 실린더형 수나사부재(75)는 실린더(70)의 점말단에서 조여지고 실린더형 암나사부재(76)는 수부재상에 조여진다.
암나사부재(76)는 피스톤막대(69)의 스토퍼로서 작용하고 그로써 막대(69)가 앞으로 또는 뒤로 움직이는 동안의 스트로크 거리는 부재(76)가 유압실린더(70)의 발단벽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제어된다.
이러한 이유로, 노즐(37)의 진동각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은 보다 상세하게 아래에 기술되는 것과같이 가능하게 된다.
유압실린더(70)는 브래킷(78)을 통해 슬라이딩판(79)에 연결된다. 슬라이딩판(79)의 두 전후 테두리부위는 제4도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판(80)과 볼트로 죄어진 L-자형 단면을 가지는 안내부재(81)에 의해 수용된다.
상향돌출부위(82)는 슬라이딩판(79)의 좌측테두리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나비형 볼트(83)는 자유롭게 조여지는 방법으로 돌출부(82)에 배치된다. '
또 다른 돌출부(84)가 또한 돌출부(82)에 면하여 설치판(80)의 좌측말단에 배치되고 나비형 볼트(83)가 돌출부(84)를 통해 형성된 나사 절삭구멍(85)안으로 조여진다.
더우기, 긴구멍(86)이 좌우방향으로 설치판(80)을 통해 형성되고 고착을 위한 레버(87)의 수나사 절삭부위(88)가 긴구멍(86)을 통해 삽입된다.
이 점에서, 수나사절삭 부위(88)는 또한 슬라이딩판(79)을 통해 형성된 나사 절삭구멍(89)안으로 조여진다.
슬라이딩판(79)은 레버(87)를 느슨하게 하고 나비형 볼트(83)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압실린더(70)와 함께 좌우방향 둘다에서 전후로 움직인다.
이 작동에 따라, 노즐(37)이 진동하는 각도의 범위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같이 제어될 수 있다.
고점도를 가지는 유동물질로 용기를 충전하기 의한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무엇보다도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풀밸브(39)가 개방되면, 충전실린더(34)의 피스톤(33)이 전후로 움직이는 스트로크의 전방 한계에 위치하여, 충전노즐(37)의 스풀(61)은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노즐의 배출구(60)가 차단된다.
만약 피스톤(33)이 이 상태에서 위로가면 일정량의 유동물이 탱크(31)로부터 실린더(34)에 흡수된다.
그후 스풀밸브(39)가 차단되고 충전노즐(37)의 분리된 개구(60)가 열려지면서 피스톤(33)이 앞으로가면 실린더(34)의 유동물은 수평축과 아암(36)의 내부를 통해 충전노즐(37)로 흘러가게 되고 그후 물질은 배출구(60)를 통해 흘러나온다.
이 단계에서, 유압실린더(70)의 피스톤막대(69)는 제2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좌방향으로 기울어있는 상태로부터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상태로 하기 위해 노즐(37)을 진동하기 위해 철회된 상태로부터 돌출된다.
노즐의 진동 스트로크의 크기와 범위는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제어되고, 이점에서 충전노즐(37)은 진동하여 노즐의 배출구(60)는 개구가 용기(C)에 면하는 동안 용기(C)상을 우방향으로부터 좌방향으로 교차한다.
결과적으로, 유동물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전히 평탄하게 되지는 않더라도 어띤 과잉산적도 유발하지 않으면서 용기(C)에 채워진다.
그로써, 충전작동의 완료 후, 유압실린더(70)의 피스톤 막대(69)는 그의 철회상태로 복귀하고 충전노즐(37)은 상기 언급된 것과 반대방향으로 진동하고, 한편 노즐(37)아래에서 유동물로 충전된 용기(C)는 공용기(C)로 대치되고 전자는 용기의 밀봉을 위해서와 같은 다음 단계로 수송된다.
이 단계에서, 전술한 작동이 반복되어 충전실린더(34)는 탱크(31)로부터 공급되는 유동물로 재충전된다. 고르기 장치(14)는 제16도로부터 보여지는 바와같이 전술한 작동을 따르는 용기(C)에 충전된 유동물을 완전히 매끄럽게 하기 위해 작용하고, 장치는 제6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바, 용기에 타격을 주는 해머(94)와 용기의 돌발유출을 방지하는 부재(95)가 장착된 슬랫-콘베이어(11)로 이루어진다.
해머(94)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열된 한쌍의 좌우 자루(96)으로 이루어지고 12 해머헤드는 이를 두 자루상위를 가로지르는 연결막대(97)를 통해 이들 자루(96)의 전방말단에 위쪽으로 배치되고, 이를 해머헤드 중 둘은 각각 여전히 소정위치에 위치한 하나의 슬랫(22)에 의해 지지되는 한용기(C) (이 경우 모두 6개의 용기가 있다)에 지정되어 있다.
두 자루(96)의 후방말단은 수평축(99)에 고정된다.
수평축(99)의 두 말단은, 각각은 베어링(102, 103)을 통해서, 그 사이에 슬랫 콘베이어(11)를 유지하고 다른 하나와 면하게 하기 위해 위치하고 있는 한쌍의 좌우 브래킷(100, 101)에 의해 지지된다. 수평축(99)의 좌측말단은 우측 브래킷(10)상에 우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진동을 위한 아암(104)의 기저부위는 돌출부의 말단에 고정된다.
슬릿(105)은 진동을 위해 아암(l04)내에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의 전방말단과 근접한 곳에 형성되고 암나사부재(106)가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방법으로 삽입되고 슬릿(105)과 계지된다.
암나사부재(106)가 레버가 부착된 나사절삭막대(107)와 맞물려져서 암나사부재(106)가 슬릿(105)내에서 나사절삭막대(107)를 회전시킴으로써 전후 작동할 수 있다.
암나사부재(106)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한 일체화 수평핀(108)이 있고, 이 핀에는 유압실린더(109)의 피스톤봉(110)이 연결되어 있다. 유압실린더(109)의 기저부는 제10도에서와 같이 편심축(111)에 연결되어 있다.
편심축(111)은 장착부재(112)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장착부재(112)는 그 좌단에서 구동축(113)에 볼트연결되어 있다. 구동축(113)은 두베어링(114)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그 우단에서는 협동이 붙이휘일(115)이 축에 실려 있다. 협동이붙이휘일(115)은 모우터(116)의 출력축에 고정된 구동휘일(117)과 결합되어 있다.
용기가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95)는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난 것 처럼 그 좌우방향에서 콘베이어(11)위에 배열된 한쌍의 전후 수평축(118)에 장착된 수평 봉상부재(예컨대 합계 12개의 부재)로 되어있고 해머헤드(98)와 유사한 한 용기(C) (이 경우 모두 6개 있음)에 두부재씩이 할당되어 있다.
모우터(116)를 시동시켜 구동축(113)을 회전시키면 아암(104)에 진동운동이 전달되어 편심축(11)과 유압실린더(109)로 되어 있는 크랭크기구를 통해 노즐을 진동시킨다.
그래서 노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아암(104)의 진동 다음에는 수평축(99)의 역전이 따르고 그 결과 지레받침역할을 하는 수평축(99)위에서 진동하는 해머(94)의 헤드(98)는 유동물이 충전된 용기(C)를 타격한다.
그래서 용기(C)가 진동할 수 있고 그 결과 용기에 넘쳐 흐를 것 같이 충전되는 유동물이 용기(C)내에 고르게 충전된다.
진동의 진폭 및 진동수는 용기내용물의 성질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특정예는 진폭 5mm이고 진동수는 3 내지 4사이클/초이다. 진폭의 조정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암나사부재(106)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 만으로 얻어질 수 있는 한편 진동수의 조정은 모우터(116)의 회전수를 변경하는 것 만으로 역시 얻어질 수 있다. 추가하여 해머헤드(98)의 높이는 유압실린더(109)의 피스톤봉(110)을 왕복운동되게하여 변경될 수 있고 그렇게함으로써 이 장치가 깊이가 다른 각종 용기에 적합화 될 수 있다.
한편 해머(94)가 용기(C)를 타격하면 용기는 용기(C)를 수납 지지하고 슬랫(22)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3)으로부터 튀어나오기 쉽다. 그러나, 이 경향은 용기가 튀기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95)가 있어 확실하게 방지된다.
더우기, 부재(95)가 용기(C)와 충돌하여 용기(C)에 충격을 주면, 이 충돌이 노즐의 진동과 더불어 용기에 상승효과를 주어 용기내용물을 균일하게 한다.
위에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용기에 고점도 유동물을 충전할때 충전노즐이 적당한 진폭 및 진동수를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용기에 넘쳐흐름이 없이 용기에 그런 유동물을 최대한 원활하게 충전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Claims (6)

  1. 고점도 유동물을 수납하는 탱크(31), 일정유속으로 유동물을 배출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탱크에 연통되어 있는 연통수만, 연통수단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있고 그의 하향배출구(60)가 용기(C)를 운반하는 슬랫콘베이어(11)의 주행로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충전노즐(37), 상방부와 하방부를 갖고있고 스풀(61)이 장착된 충전노즐(37)이 그 하방부에 장착된 아암(36), 아암(36)을 그 상방부에서 회전자재이고 가역적 방식으로 지지하는 수평축(35), 및 진동 중심으로 작용하는 수평축(35)상의 아암(36)을 진동시키는 기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성 유동물을 적당한 용기에 충전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정유속으로 유동물을 배출하는 수단이 절환장치인 스풀밸브(39)와 실린더-피스톤장치(34, 33)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아암(36)에는 열수재킷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탱크(31)에 탱크의 내부압력을 유지시키는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용기에 유동물을 충전하는 노즐(37)과, 스풀(61)은 미끄럼 가능하게 상호 접촉하고 세라믹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표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6. 탱크(31), 탱크에 연통되어 있고 일정유속으로 유동물을 배출하는 장치, 용기(C)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23)과 고점도 유동물을 수용할 슬랫(22)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용기의 윗가장자리를 그 주위부에 수납하는 슬랫(22)이 구비되어 있는 단속구동슬랫콘베이어(1l), 자루(96) 및 자루의 일단에 고정된 해머헤드(98)로 구성되어 있고 용기를 타격하는 해머(94), 자루(96)의 타단이 고정되고 축이 가역회전시 해머헤드(98)가 소망위치에 정지해 있는 슬랫(22)에 수납된 용기(C)의 바닥을 타격하도록 수평 배치된 가역회전구동축(99), 및 용기(C)개구의 주위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고 있고 용기(C)의 높이보다 작은거리만큼 개구의 주위로부터 격치되어 있는 용기의 도약을 방지하는 부재(9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점도 유동물을 충전하는 장치
KR1019870015589A 1987-12-31 1987-12-31 고점도 유동물의 충전장치 KR900007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589A KR900007805B1 (ko) 1987-12-31 1987-12-31 고점도 유동물의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589A KR900007805B1 (ko) 1987-12-31 1987-12-31 고점도 유동물의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755A KR890009755A (ko) 1989-08-03
KR900007805B1 true KR900007805B1 (ko) 1990-10-20

Family

ID=1926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589A KR900007805B1 (ko) 1987-12-31 1987-12-31 고점도 유동물의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8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755A (ko) 198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1001A (en) Device for filling viscous material
RU2403799C2 (ru) Отсад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0016997A (ko) 제조용 장치, 방법 및 가요성 백
JP4172830B2 (ja) 高速液体充填機械
US3228412A (en) Dispensing valve having particular cleaning means
US5038548A (en) Defoaming method and apparatus
US3298404A (en) Machine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to a predetermined level
KR900007805B1 (ko) 고점도 유동물의 충전장치
US4000765A (en) Bottom-up container-filling machine
CA1315751C (en) Apparatus for minimizing foam in filling containers
US4375826A (en) Container filling machine
US20210387754A1 (en) Dosing assembly for use with a filler, a valve for a dosing assembly and a method of providing a fill material
US20060289077A1 (en) Cartridge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KR20210009807A (ko) 파우치 성형기의 용액 주입장치
US4305437A (en) In-case container filling machine
US7198077B1 (en) Filler apparatus for multiple chamber receptacles
CN1013754B (zh) 高粘度流体的充填装置
US1401150A (en) Machine for filling bottles, &c.
KR101335986B1 (ko) 파우치 포장 장치
KR200326388Y1 (ko) 분상체용 포장기계의 분배 투입장치
JP2007153447A (ja) 高速液体充填機械
JPS6322304A (ja) 高粘度流動物の充填装置
JP2614757B2 (ja) 高粘度流動物の充填装置
KR850001171B1 (ko) 수평 포대 제조기용 제품 성형 장치
JPS6322303A (ja) 容器に山盛りに充填された高粘度流動物の均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