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05B1 -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05B1
KR900007705B1 KR1019870014186A KR870014186A KR900007705B1 KR 900007705 B1 KR900007705 B1 KR 900007705B1 KR 1019870014186 A KR1019870014186 A KR 1019870014186A KR 870014186 A KR870014186 A KR 870014186A KR 900007705 B1 KR900007705 B1 KR 90000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lock
call
control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300A (ko
Inventor
김덕환
백제인
홍현하
이형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우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87001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705B1/ko
Publication of KR89001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
제l도는 일반적인 전자교환기간의 정상적인 호 접속시에 통화로가 구성되기까지의 신호흐름도.
제2도는 종래의 전자교환기내에서 신호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프로토콜 처리부내의 블럭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간처리부내의 프로그램 블럭구성을 나타낸 계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환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신호서비스기능의 분배표.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호(CALL)접속 진행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합정보통신망(ISDN)의 추구와 디지탈교환기술의 발전영향으로 교환기는 대형화되고 교환서비스 기능을 다양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다양한 교환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전화기와 교환기 혹은 교환기간에 통화로의 제어를 위한 신호의 교환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므로 이러한 신호의 교환기능은 통화로의 연결이라는 교환기의 본질적인 기능을 지원하는 성격을 띠고 있어서 신호서비스 기능이라 불리워지고 있고, 이들 중에는 개개의 중계선 통화로를 통해서 신호가 교환되는 개별선신호방식(Channal Associated Signaling)에서 교환국간의 정보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R2 MFC(Multi-Freguency Compelled)신호의 송수신 기능이 있으며, 푸쉬버튼(Push Butten) 가입자로 부터 DTMF(Dual Tone Multi-Freguency)신호의 수신기능과 교환기에서 전화기로 호의 접속진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각종 가청신호음(Audible Tone)송신기능등이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새로이 소개된 교환국간 신호방식으로서 중계선 통화로와는 별도로 공통의 전용신호로를 통하여 교환국간 신호교환이 이루이지는 공통선 신호방식(Common Channal Signaling)이 사용됨에 따라 개별선 신호방식에서는 중계선통화로와 신호로가 동일하기 때문에 신호절차 자체에 의해서 통화로의 정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공통성 신호방식에서는 중계선 통화로와 신호로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될 교환국간의 중계선 통화로에 대해서 정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속성 시험음(ContinuityCneck Tone)의 송수신 기능 등이 사용되고 있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인접한 전자교환기간의 정상적인 호 접속시에 통화로가 구성되기까지의 통화로 접속과정과 신호의 흐름도로서, 개별선 신호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접속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신호에 대하여 발신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면 발신교환기가 이러한 상태를 검출하고 발신가입자에게로 발신음을 제공하며, 발신가입자는 발신음을 감지한후에 다이얼이나 푸쉬버튼 전화기를 사용해서 상대방의 선택대상을 지정하고, 발신교환기는 발신가입자로 부터 수신된 선택정보를 분석하여 착신교환기측과의 해당중계선 통화로를 점유(Seizure)하기 위해 착신교환기로 점유신호를 보내면 착신교환기는 착신 가입자에 해당되는 번호의 송출을 허용하는 신호를 발신교환기로 보내면, 상기 번호송출 허용신호를 수신한 발신교환기는 발신가입자 정보와 서비스 등급정보를 나타내는 선택번호를 착신교환기로 보내게 되며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한 착신교환기는 선택신호를 분석한 후에 착신 가입자에게로 통화의 착신을 알리는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발신가입자에게는 통화로가 연결되어 착신가입자에게 호출신호를 보내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호출음을 중계선 통화로를 통해서 송출하게 되며, 착신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면 착신교환기는 발신교환기로 착신가입자의 응답상대를 알리며 이때 통과로의 연결이 완성되어 발신가입자와 착신가입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호 접속과정에서 사용되는 신호중에서 발신음이나 호출음 등은 교환기에서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가청신호음이고 발신가입자가 푸쉬버튼 전화기를 이용해서 선택대상을 교환기로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DTMF 신호이며 교환기간에 중계선 통화로를 통해서 가입자의 주소정보와 서비스 등급을 알리기 위한 선택신호로서 사용하는 것이 R2MFC 신호이며, 상기 제1도에서 공통선 신호방식이 사용될 경우에는 중계선 통화로와 분리된 공통의 전용신호로가 필요하고 교환기간에 통화로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R2MFC 신호 대신에 전용신호로를 통해서 No.7 신호등이 사용되는데, 통화로가 연결되기 전에 중계선 통화로의 정상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중계선통화로를 통해서 발신교환기와 착신교환기 사이에 연속성 시험음이 송수신되며 연속성 시험결과가 정상인 경우에만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종래의 전자교환기 내에서 신호서비스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전자교환기의 전형적인 모델이 제어장치(나)와 스위치네트워크(가) 가입자선 및 중계선 정합장치(21)(24) 신호서비스장치(22)(23)(25∼27)로 구성되며, 전자교환기 내에서 R2MFC 신호와 DTMF 신호, 연속성 시험음 및 가청신호음 신호에 대한 신호서비스기능의 수행절차와 제공형태 등을 살펴보기 위해서 정상적인 호 접속이 완료되기까지 각각의 신호서비스 기능이 제공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발신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면 상기 가입자선 정합장치(21)에서 가입자선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장치(나)에서 통보하면 상기 제어장치(나)는 스위치네트워크(가)에 신호로(Siganl Path)를 연결한 후에 발신가입자에게로 발신음을 제공하도록 가청신호음송신기(27)로 요구하고, 또한 DTMF 신호수신기(22)에게는 DTMF신호 수신준비를 요구한다.
이때 발신가입자는 발신음을 듣고서 다이얼링을 계속하게 되고 상기 DTMF 신호수신기(22)는 발신가입자로 부터의 모든 디지트 정보를 차례대로 수신 및 검출한 후에 검출된 정보를 제어장치(나)로 보내면, 상기 제어장치(나)는 검출된 데이타정보를 분석하여 착신측 대상을 선정하며, 착신측이 자국내의 가입자인 경우에 상기 제어장치(나)는 가입자선 정합장치(21)에 착신가입자상대의 확인을 요구하고, 상기 가입자선 정합장치(21)는 착신가입자상태를 확인하고 그 상태를 상기 제어장치(나)에게로 통보하게 되며 상기 제어장치(나)는 착신가입자가 정상인 경우에 발신가입자에게 호출음을 제공하라고 가청신호음송신기(27)로 요구하고 또한 상기 가입자선 정합장치(21)에서 호출신호를 착신가입자의 전화기에 제공하여 벨을 울리도록 하면 착신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음에 따라 상기 가입자선정합장치(21)는 이 상태를 제어장치(나)에게로 통보하며 이때 상기 제어장치(나)는 호출음과 호출신호의 제공을 중지시키고 상기 스위치네트워크(가)내에 발신가입자선과 착신가입자선간의 통화로를 연결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와는 달리 발신가입자로부터 수신검출된 정보가 타교환국의 가입자를 착신측으로 할 경우에는 교환국간에 사용되고 있는 신호방식이 개별선 신호방식인지 공통선 신호방식인지에 따라 다른 절차로 통화로가 구성되며, 상기 개별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중계선 통화로 구간인 경우 제어장치(나)는 중계선 정합장치(24)에게 착신측 교환국으로 연결되는 중계선 통화로 상태의 확인을 요구하고 상기 중계선 정합장치(24)는 중계선통화로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상태를 상기 제어장치(나)에게로 통보하며 상기 제어장치(나)는 중계선통화로의 상대가 정상인 경우에 중계선 통화로를 점유하라고 상기 중계선 정합장치(24)에게 요구하며, R2MFC신호 송수신기(25)로 착신교환기측과의 정보 교환을 요구하면 상기 R2MFC 신호 송수신기(25)는 신호정보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발신가입자의 주소정보와 발신가입자의 등급 등의 관련정보를 중계선 통화로를 통해서 착신교환기로 송출하고 상기 착신교환기로 부터는 신호전송절차 제어정보와 착신가입자 상태등의 관련정보를 수신한다.
발신교환기와 착신교환기간에 신호정보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제어장치(나)는 스위치네트워크(가)내에 발신가입자선과 중계선 통화로간을 연결하며 이때 착신 교환기측으로 부터 중계선 통화로를 통해 발신가입자에게로 호출음이 제공되며 착신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면 발신가입자와 착신가입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중계선 통화로 구간인 경우에는 R2MFC 신호 송수신기(25) 대신에 공통선 신호장치에서 No.7 신호 등이 전용의 신호로를 통해서 발신교환기와 착신교환기간에 교환되며 신호의 송수신이 완료된 후 호출음이 발신가입자에게 제공되기 전에 제어장치(나)는 중계선 통화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발신교환기의 연속성시험송수신기(26)에게 중계선 통화로의 시험을 요구하며 상기 연속성시험송수신기(26)는 착신교환기의 연속성시험송수신기(26)와 연속성시험음을 송수신함으로써 통화로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어장치(나)에 통보하면 상기 제어장치(나)는 연속성시험결과가 정상인 경우 스위치네트워크(가)내에 발신가입자선과 중계선 통화로간을 연결하며 그 이후의 접속절차는 상기 R2MFC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다.
이와같은 종래의 전자교환기에서는 호 접속제어를 위해 여러가지 신호들이 사용되는데 그중에서 R2MFC신호 송수신, DTMF 신호 수신, 가청신호음 송신 및 연속성신호음 송수신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신호서비스장치는 공통적으로 스위치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가입자선이나 중계선에 제공되지만 신호서비스 종류별로 적용되는 회선의 종류, 다중화 서비스되는 위치, 서비스의 제공형태, 서비스장치의 제어방식에 따라 신호서비스 장치의 제어방식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제어방식이 복잡하거나 혹은 신호서비스장치가 분산된 형태로 구성되어 전자교환기내의 신호서비스장치 점유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유지보수와 시스템 운용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생산성과 경계면에서 큰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신호서비스장치 구성상의 단점들을 개선하여 전자교환기내에서 신호서비스장치를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창안한 것인바, 여러종류의 신호서비스 기능을 교환기내에서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신호서비스 종류별로 규격과 서비스기능의 특성, 수행절차 및 제공형태등을 고찰하여야 하며 또한 교환기의 구조와 신호서비스 기능의 이용빈도 및 신호서비스 기능간의 관련성 등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따라 전자교환기 내에서 효울적인 신호서비스장치의 구성방법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현하였다.
먼저 R2MFC 신호송수신, DTMF 신호수신, 연속성시험 음송수신 및 가청신호음 송신에 대한 신호서비스 종류별로 규격과 특성을 살펴보면 상기 R2MFC 신호송수신 기능은 개별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전자식 교환국 사이에 원활한 정보교환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고 음성대역(300HZ∼3400HZ)내의 각 6개의 주파수로 구성된 전진(Forward) 및 후진(Backward)신호의 조합에 의해 구분된 신호정보가 사용되며 신호의 전송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속확인형(Compelled) 방식으로 전송된다.
상기 DTMF 신호의 수신기능은 푸쉬버튼 가입자로 부터 발생되는 DTMF 신호를 수신하여 가입자의 숫자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필요하고 음성대역내의 4개 주파수로 구성된 서로 배타적인 두 주파수 그룹으로 부터 각각 하나씩 선택되어 사용되며 DTMF 신호의 수신기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별도로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DTMF 신호와 같은 규격을 갖는 DTMF 신호를 송출해주는 기능이 요구된다.
상기 연속성 시험음의 송수신 기능은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교환국간 통화로의 정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하고 중계선 통화로가 접속되기 전에 음성대역내의 단일음의 주파수로 구성된 시험음을 상대교환국과 송수신하며, 이러한 연속성 시험은 통화로 형태에 따라 시험음의 종류와 시험방법이 다르다. 상기 가청신호음 송신기능은 교환기에서 자국(Local office)이나 타교환기의 가입자에게 호의 접속 진행상태를 알리기 위해 필요하고, 사용되는 가청신호음의 종류는 송출레벨과 주파수 단속비(Cadence)등에 따라 구분되어 발신음(Dial Tone)과 호출음(Ringing Tone) 및 화중음(Busy Tone)등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신호서비스 종류별로 규격과 특성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가지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R2MFC 신호와 연속성 시험음 신호는 중계선에, DTMF 신호는 가입자선에, 가청신호음은 가입자선과 중계선에 모두 사용되며, 둘째 R2MFC 신호와 DTMF 신호, 연속성 시험음 신호는 송수신 기능이 필요하고 이 송수신 기능이 통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수행되며 신호서비스가 완료되기까지에는 신호절차가 존재하지만 가청신호음신호는 단지 송신기능만이 필요하며, 세째 모든 신호의 구성은 음성대역내의 주파수가 사용되는데 이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구성은 R2MFC 신호와 DTMF 신호는 2개의 주파수가 합성된 신호로, 연속성 시험음신호는 단일주파수 신호로, 가청신호음신호는 단일 혹은 2∼4개의 주파수가 합성된 신호로 구성된다.
이밖에 전자교환기내에서 신호서비스 종류별로 서비스기능의 수행절차와 제공형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도를 살펴보면 통화로가 접속되기까지 각각의 신호는 반드시 방향이 존재하고, 교환기내에서 통화로의 접속과 제어를 위한 각종 기능이 필요하며, 제2도에서 호 접속절차에 대한 과정을 고찰한 결과 신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신호서비스장치와 주변장치와의 메세지 교환이 이루어지고, 신호서비스의 송신과 수신을 위한 수행절차가 존재하며, 신호서비스 종류별로 서비스의 제공형태가 상이하다.
이와같이 신호서비스 기능별로 여러가지 특성에 따라 제7도와 같이 분류하였으며 신호서비스 기능을 실시간(Real Time)처리부와 프로토콜(Protocol)처리부, 호 처리접속부의 3가지 기능부로 크게 세분화하였다.
상기 실시간 처리부에서는 신호는 발생해서 스위치네트워크로 송출하는 기능과, 스위치 네트워크로 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등의 시간지연이 없이 실시간처리를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는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해당되는 신호데이타를 결정하고, 수신검출된 신호데이타를 분석하여 신호의 송수신 절차를 제어하는 기능으로 즉 프로토콜 처리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호처리 접속부에서는 신호서비스 기능을 호처리 제어과정에 연결하기 위해 주변장치와 메세지를 교환하고, 해당되는 신호절차 및 수행절차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신호서비스 기능을 세분화한 기능부로 구성한 경우에 신호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처리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프로토콜 처리부로 통보하는 기능이 있어야 하고 프로토콜 처리부에서는 신호절차와 수행절차를 제어하기 위해서 프로토콜 처리부와 호처리 접속부 사이에 관련되는 메세지의 교환기능이 필요하다.
제3도는 본 발명인 신호서비스장치의 프로토콜 처리부와 실시간 처리부를 하나의 공통신호서비스 장치로 집중화시킨 구성도이며 상기 제7도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신호서비스 종류별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수신된 신호데이타를 분석하고, 송출할 신호데이타를 결정하는 기능과 신호의 처리절차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처리부(32)의 유사성과 공통성에 따라 각 서비스 종류별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프로토클처리부(32)를 하나로 공통화 하였고, 이 공통화된 프로토콜처리부(32)에서 모든 신호서비스기능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신호의 처리순서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각각의 신호서비스종류별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실시간처리부(33∼36)와 공통화된 프로토콜 처리부(32)를 한곳으로 집중화시킨 신호서비스장치(30)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공통화된 프로토콜 처리부(32)와 실시간처리부(33∼36)를 하나의 장치로 집중화시킨 신호서비스장치(30)에서 수행되는 신호서비스 기능을 호처리제어과정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주변장치와의 메세지를 교환하고, 호처리 접속과정에서 요구되는 신호절차와 수행절차의 결정을 용이하게 처리해주기 위하여 상기 호처리 접속부(31)를 제어장치(나)내에 구현하였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서비스장치(30) 구성에서 공통화된 프로토콜처리부(32)내의 프로그램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상기 공통화된 프로토콜 처리부(32)내에서는 프로토콜 처리부(32)의 융통성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신호서비스처리 기능별로 송신절차 제어블럭(42)과 송출신호 데이타결정블럭(43) 수신신호데이타 분석블럭(44) 수신절차 제어블럭(45)의 프로그램을 모듈화하여 구성하였으며, 상기 송신절차 제어블럭(42)은 메세지교환블럭(41)으로 부터 제어정보를 받아서 송신절차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상기 메세지교환블럭(41)으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블럭이며, 상기 메세지교환블럭(41)은 제3도의 호처리접속부(31)로 부터 수행절차정보를 수신해서 분석한 후에 상기 송신절차 제어블럭(42)과 수신절차제어블럭(45)으로 해당되는 정보를 알리는 기능과 제3도의 프로토콜 처리부(32)내의 프로그램 블럭으로 부터 수신되는 모든 정보를 분석한 후에 해당되는 정보를 상기 호처리접속부(31)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블럭이며, 상기 송출신호데이타 결정블럭(43)은 상기 송신절차 제어블럭(42)으로 부터 제어정보를 받아서 실시간 처리부로 송출신호 데이타정보를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블럭이며, 상기 수신신호 데이타분석블럭(44)은 실시간 처리부로 부터 수신된 신호 데이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상기 메세지 교환블럭(41)으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블럭이며, 상기 수신절차 제어블럭(45)은 상기 메세지교환블럭(41)으로 부터 분석된 정보를 받아서 수신절차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상기 메세지 교환블럭(41)으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블럭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에서 실시간 처리부내의 프로그램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로서(a)는 R2MFC 신호, (b)는 DTMF 신호, (c)는 연속성 시험음 신호, (d)는 가청신호음 신호에 대한 실시간 처리부내의 프로그램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R2MFC 신호와 DTMF 신호, 연속성 시험음 신호에 대해서는 해당신호음을 발생해서 스위치 네트워크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발생 및 송출블럭(51)(53)(55)과 해당신호음을 스위치 네트워크로 부터 수신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수신 및 검출블럭(52)(54)(56) 그리고 프로토콜 처리부와 관련데이타를 교환하는 통신블럭(50)으로 프로그램이 모듈화되어 있으며 가청신호음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신호발생 및 송출블럭(57)과 통신블럭(50)만으로 프로그램이 모듈화되어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신호서비스장치에 따른 공통신호서비스장치로 집중화시킨 블럭도의 일례로, 가입자선과 중계선 통화로에 제공되는 신호서비스 기능을 하나의 신호서비스장치에서 집중화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호서비스 기능별로 프로토콜 처리부와 실시간 처리부를 하나의 공통신호서비스장치로 집중화시킨 구성 방법으로 다양한 트래픽처리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프로토콜 처리부의 공통화에 따라 제어방식이 간편하며, 프로토콜 처리부와 실시간처리부의 프로그램을 모듈화함에 따라 새로운 기능의 추가로 수정 및 용량의 증대가 용이해지는 장점과, 가입자선과 중계선 통화로에 제공되는 신호서비스기능을 하나의 신호서비스 장치에서 집중화하여 구성함으로써 신호서비스 장치가 소형화되어 교환기내에서의 신호서비스 장치가 차지하는 점유면적이 줄어들고 제작시 생산원가가 절감되어 생산성과 경계성이 향상되며 유지보수와 시스템 운용이 간편하여 효율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스위치 네트워크(가)의 제어장치(나)가 접속된 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나)에 접속된 프로토콜 처리부(32)와 실시간 처리부(33∼36)를 하나의 공통신호서비스장치(30)로 집중화시키고, 상기 프로토콜처리부(32)는 R2MFC, DTMF, 연속성시험음 및 가청신호음 등의 신호서비스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실시간처리부(33∼36)는 상기 신호서비스 기능을 호처리 접속부(31)의 호처리 제어과정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 네트크(가)를 통해 주변 장치와 메세지를 교환하고, 상기 호처리 접속 과정에서 요구되는 신호절차와 수행절차의 결정을 용이하게 처리해주기 위해 상기 호처리접속부(31)를 상기 제어장치(나)내에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토콜 처리부(32)의 프로그램 구조는, 호처리접속부(31)로 부터 수행 절차정보를 수신해서 분석한 후 송/수신절차 제어블럭(42),(45)으로 해당되는 정보를 알리는 기능과 프로토콜 처리부(32)내의 프로그램블럭으로 부터 수신되는 모든 정보를 분석한 후에 해당되는 정보를 호처리접속부(31)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세지교환블럭(41)과, 상기 메세지교환블럭(41)으로 부터 제어정보를 받아서 송신절차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상기 메세지 교환블럭(41)으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송신절차 제어블럭(42)과, 상기 송신절차 제어블럭(42)으로 부터 제어 정보를 받아서 실시간 처리부로 송출신호 데이타 정보를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송출신호데이타 결정블럭(43)과, 실시간 처리부로 부터 수신된 신호데이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상기 메세지 교환블럭(41)으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신 신호데이타 분석블럭(44)과, 상기 메세지 교환블럭(41)으로 부터 분석된 정보를 받아서 수신절차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상기 메세지 교환블럭(41)으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신절차 제어 블럭(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실시간 처리부내의 프로그램 구조는, R2MFC 신호와 DTMF 신호 및 연속성 시험음 및 가청신호음 신호처리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R2MFC 신호와 DTMF 신호 및 연속성 시험을 신호에 대해서는 해당신호음을 발생해서 스위치 네크워크(가)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발생 및 송출블럭(51)(53)(55)과, 해당 신호음을 상기 스위치 네크워크(가)로 부터 수신해서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수신 및 검출블럭(52)(54)(56)과, 프로토콜 처리부(32)와 관련데이타를 교환하는 통신블럭(50)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청신호음에 대해서는 신호음을 발생하여 스위치 네트워크(가)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가청신호음 발생 및 송출블럭(57)과, 프로토콜 처리부(32)하고 관련 데이타를 처리하는 통신블럭(5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 장치 구성방법.
KR1019870014186A 1987-12-11 1987-12-11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 KR900007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186A KR900007705B1 (ko) 1987-12-11 1987-12-11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186A KR900007705B1 (ko) 1987-12-11 1987-12-11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300A KR890011300A (ko) 1989-08-14
KR900007705B1 true KR900007705B1 (ko) 1990-10-18

Family

ID=1926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186A KR900007705B1 (ko) 1987-12-11 1987-12-11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7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300A (ko) 198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7478B2 (ja) 会議電話装置
US4635251A (en) Meet-me conference with control capabilities
US4562572A (en) Cellular mobile radio service telephone system
JP2931227B2 (ja) 交換装置
JPH07221796A (ja) 交換装置
JP302163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900007705B1 (ko)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방법
KR19990086215A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KR20040094545A (ko) 교환국간 상호호출 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0184503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착신시 음악원 송출방법
JP2748466B2 (ja) オーダーワイヤ装置を備えた通信方式
JP3234698B2 (ja) Isdn交換機および端末
JPH0393393A (ja) 加入者集線通信方式
KR100206304B1 (ko) 내부 호 처리가 가능한 원격가입자 수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01810B1 (ko) 프로세스 다단계층 구조를 갖는 사설교환시스템의중계대발신호의실시간처리방법
KR100242699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리셋 호 서비스 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SU1670801A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 вход щего соединени к абоненту телефонной сети
JPH04369153A (ja) 複数点分散接続形会議電話サービスの通話方式
KR100526495B1 (ko) 키폰시스템에서 착신을 알리는 방법
KR10032375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운용 방법
KR20060070662A (ko) 장거리 내선 가입자 수용용 사설교환장치
JPS62230251A (ja) 共通線信号処理方式
JPH0393395A (ja) 加入者集線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