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349Y1 - 도어(door)용 고정구의 괘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door)용 고정구의 괘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349Y1
KR900007349Y1 KR2019870010080U KR870010080U KR900007349Y1 KR 900007349 Y1 KR900007349 Y1 KR 900007349Y1 KR 2019870010080 U KR2019870010080 U KR 2019870010080U KR 870010080 U KR870010080 U KR 870010080U KR 900007349 Y1 KR900007349 Y1 KR 900007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crew
toilet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917U (ko
Inventor
박대봉
Original Assignee
박대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봉 filed Critical 박대봉
Priority to KR2019870010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349Y1/ko
Publication of KR890000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49Y1/ko

Links

Landscapes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DOOR)용 고정구의 괘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일부 단면하여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구 2 : 본체
3 : 압지 로울러 5 : 나사공
6 : 스프링 8 : 삽지구
10 : 회동편 11 : 상향 절곡부
12, 12' : 측면 절곡부 14, 14' : 힌지용 나사
15 : 고정나사
본 고안은 재래식 화장실등에 화장실 문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구만으로 괘정할 수 있는 도어용 고정구의 괘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래식 화장실에 사용되는 고정구는 화장실 문을 닫았을때 문이 자연적으로 열리는 것만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었으므로 화장실내의 내측에서 화장실문을 고정하기 위한 괘정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압지 로울러가 축착된 양측 지지대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프링은 별도의 지지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므로 이탈의 위험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고 화장실 문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괘정 장치를 설치하여 고정구 만으로 화장실문을 고정하기 위한 도어용 고정구의 괘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갭(9)이 형성된 삽지구(8)를 화장실 문에 고정하고 압지로울러(3)가 축착된 본체(2)를 문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도어용 고정구(1)에 있어서, 본체(2)의 양측면에는 나사공(5)을 형성시키고 상향 절곡부(11)와 통공(12a)이 형성된 측면 절곡부(12), (12')로 구성되는 회동편(10)에 나사공(10a)을 형성시켜 삽지구(8)의 갭(9)에 삽입될 고정나사(15)를 체결한후 힌지용 나사(14), (14')를 통공(12a)으로 삽입하여 본체(2)의 나사공(5)에 체결시키므로서 회동편(10)을 회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괘정 장치가 설치된 고정구(1)를 재래식 화장실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사람이 화장실 내측에서 문을 닫으면 제2도에서와 같이 삽지구(8)가 괘지 로울러(13)의 사이로 삽입되어 화장실문은 자연적으로 열리지 않는 상태가 되고 회동편(10)의 상향 절곡부(11)를 밀면 회동편(10)이 통공(12a)을 통해 본체(2)의 나사공(5)에 체결된 힌지용 나사(14)를 측으로 회동하므로 나사공(10a)에 체결된 고정나사(15)가 삽지구(8)의 갭(9)에 삽입되어 화장실 문에 고정된 삽지구(8)를 괘정함과 동시에 화장실 문을 괘정하게 되고 상향절곡부(11)를 당기면 갭(9)으로부터 고정나사(15)가 이탈되어 화장실 문을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회동편(10)을 원 위치로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화장실 문을 열게 되면 삽지구(8)의 내측이 갭(9)에 삽입된 고정나사(15)에 걸리게 되므로 화장실 문이 괘정되는 것이며 회동편(10)의 상향 절곡부(11)를 당긴 상태에서는 삽지구(8)의 이탈을 제어하는 고정나사(15)가 갭(9)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므로 화장실 문이 열수 있도록 해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향 절곡부(11)를 밀어 삽지구(8)가 괘정된 상태에서는 회동편(10) 양측의 측면 절곡부(12), (12')가 본체(2)의 라운드부(4)에 밀착되므로 회동편(10)의 자연 회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측면 절곡부(12), (12')의 통공(12a)을 통해 본체(2)의 나사공(5)에 체결된 힌지용 나사(14), (14')는 제3도에서와 같이 압지 로울러(3)가 축착된 지지대(7)를 지나 스프링(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스프링(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재래식 화장실등에 사용되던 고정구에 힌지용 나사로 고정나사가 체결된 회동편을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화장실 문을 괘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괘정구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구의 본체에 회동편을 축착시키기 위해 체결한 힌지용 나사를 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갭(9)이 형성된 삽지구(8)와 압지 로울러(3)가 축착된 본체(2)로 구성되는 고정구(1)에 있어서, 상향 절곡부(11)와 통공(12a)이 형성된 측면 절곡부(12), (12')로 구성된 회동편(10)의 나사공(10a)에 고정나사(15)를 체결하고 통공(12a)을 통해 본체(2)의 양측면에 형성된 나사공(5)에 힌지용 나사(14), (14')를 체결하여서된 도어용 고정구의 괘정장치.
KR2019870010080U 1987-06-24 1987-06-24 도어(door)용 고정구의 괘정장치 KR900007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080U KR900007349Y1 (ko) 1987-06-24 1987-06-24 도어(door)용 고정구의 괘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080U KR900007349Y1 (ko) 1987-06-24 1987-06-24 도어(door)용 고정구의 괘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917U KR890000917U (ko) 1989-03-15
KR900007349Y1 true KR900007349Y1 (ko) 1990-08-13

Family

ID=1926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080U KR900007349Y1 (ko) 1987-06-24 1987-06-24 도어(door)용 고정구의 괘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3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917U (ko) 198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349Y1 (ko) 도어(door)용 고정구의 괘정장치
US2272825A (en) Lock for kitchen closets
JPS6349477Y2 (ko)
KR870001925Y1 (ko) 괘지 장치가 부설된 경첩
JP2599810Y2 (ja) トイレ用ドアの戸当り部構造
JP3778848B2 (ja) 開き戸の指挟み防止装置
KR200325027Y1 (ko) 도어 개방 고정구
CN215671554U (zh) 一种无基座方轴回位执手回弹结构
KR950007588Y1 (ko) 배달물 투입구의 덮개 잠금장치
KR200237567Y1 (ko) 가구용 걸이대 연결장치
KR900003124Y1 (ko) 도어록킹장치
KR970001911Y1 (ko) 가방용 잠금장치
JPH0223747Y2 (ko)
KR900004165Y1 (ko) 경첩
KR200402711Y1 (ko) 화장실 칸막이용 힌지장치
KR200291394Y1 (ko) 출입문의 회전축 지지구
KR860002539Y1 (ko) 괘정장치가 형성된 핸들의 열쇠 삽입부위 가림판
KR950008339Y1 (ko) 서랍용 트랙수단
KR890004583Y1 (ko) 돌출창 개폐 조정기(Sliding stay)
KR960001231Y1 (ko) 매립형 손잡이겸 자물쇠
KR940000763Y1 (ko) 가전제품용 도어의 좌우 개폐장치
JPS6017464Y2 (ja) 天井点検口
KR200176688Y1 (ko) 카메라 부착 도어폰의 체결부 커버 힌지장치
KR970003386Y1 (ko) 홀딩 도어용 코너레일
KR0114471Y1 (ko) 도어체결용 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