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233Y1 -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 - Google Patents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233Y1
KR900007233Y1 KR2019870010709U KR870010709U KR900007233Y1 KR 900007233 Y1 KR900007233 Y1 KR 900007233Y1 KR 2019870010709 U KR2019870010709 U KR 2019870010709U KR 870010709 U KR870010709 U KR 870010709U KR 900007233 Y1 KR900007233 Y1 KR 900007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ixed
cylinder
ro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118U (ko
Inventor
최용조
최병석
Original Assignee
최용조
최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조, 최병석 filed Critical 최용조
Priority to KR2019870010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233Y1/ko
Publication of KR890000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2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 발췌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부 작동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절곡시킨 호주머니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절곡시킨 호주머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관 1' : 구멍
2 : 받침판 2' : 구멍
3, 4, 5, 6 : 레일 3', 4', 5', 6' : 안내홈
7, 8 : 슬라이드판 9, 10 : 실린더
9', 10' : 피스톤로드 11 : 축받이
12 : 지지판 12', 12" : 돌편
13 : 실린더 13" : 피스톤로드
14 : 가이드봉 15 : 지지봉
16 : 압압판 16' : 나사간
18 : 압압간 19 : 스위치
20 : 스프링 21 : 페달
22 : 연결간 22: 받침판
24 : 수직봉 25 : 지지판
25' : 지지관 26 : 고정봉
27, 27' : 스프링 28 : 지지판
29 : 고정봉 30 : 실린더
31 : 피스톤로드
본 고안은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를 매우 능률적으로 절곡시킬 수 있도록 한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에 관한 것이다.
피복에 미싱으로 봉착되는 호주머니 재단지는 피복에 봉착 하였을시 재단지의 외변이 쉬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를 제6도와 같이 절곡하여 제7도와 같이 절곡부가 내측에 위치되게 미싱으로 봉착하여 호주머니를 만들게 되는바, 종래에도 절곡을 기계화하기 위하여 대틀상의 대판에 절열에 의하여 주변부를 가열시킬 수 있는 투창을 뚫고 이 투창의 대틀후부에 축착한 공간에 의하여 압상하는 압판을 감착하고 대판상에는 포켓트 포편의 봉대절곡용의 절흠을 갖인 습동판을 사내측으로 습동을 득하도록 장설하고 대틀의 적소에 가설한 회동축에는 습동판을 습동시키는 작동간을 고설하고 회동축과 공간을 회동축이 일정량 회동된 후 압상토록 관연시켜 대틀의 절단상부에 공간을 구착함과 동시에 공간의 적소하부에 형판을 설하여서 된 캇타와이셔츠 포켓트 성형기가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35-10643호로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형판을 손으로 작동시켜야 하게 되므로 손놀림과 힘을 많이 요하게 되면서 기계적인 구조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작비를 많이 요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손으로 호주머니 재단지만을 다룰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균일하고 양호한 상태로 절곡시킬 수 있도록 한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1)의 상면에 구멍(1')와 구멍(2')이 일치되게 고정시킨 받침판(2)에 비스듬하게 안내홈(3'), (4'), (5'), (6')이 요입된 레일(3), (4) 및 레일(5), (6)을 고정하여 안내홈(3'), (4') 및 안내홈(5'), (6')에는 ""형의 슬라이드판(7), (8)을 끼워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슬라이드판(7), (8)은 실린더(9), (10)의 피스톤로드(9'), (10')와 연결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축받이(11)에는 돌편(12'), (12")을 형성한 지지판(12)을 유착하여 실린더(13)를 고정하고 실린더(13)의 피스톤로드(13')와 돌편(12'), (12")을 관통시킨 가이드봉(14)의 단부에는 지지봉(15)을 고착하여 압압판(16)의 나사간(16')을 나사맞춤하고 지지판(12)의 중간부에는 스위치(19)를 작동시키는 압압판(18) 돌출하고 지지판(12)은 기판(1)과 스프링(20)으로 탄력된 페달(21)과 연결간(22)으로 연결하여 상,하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받침판(23)의 하방에 고정시킨 수직봉(24)은 기판(1)에 고정봉(26)으로 고정된 지지판(25)의 지지관(25')을 관통시켜 스프링(27), (27')으로 탄력시키는 한편 지지판(25)에 고정봉(29)으로 고정된 지지판(28)에는 실린더(30)를 고정하여 실린더(30)의 피스톤로드(31)의 상, 하 작동에 의하여 수직봉(24)을 상, 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32는 호주머니 재단지이고, 33은 슬라이드판(9), (10)을 전열시키기 위한 전열선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을 작동시키기전 상태는 받침판(23)의 직상방에 압압판(16)이 상승되어 있고 양 슬라이드판(7), (8)은 압압판(16)의 폭보다 넓게 전개되어져 있으며, 실린더(30)의 피스톤로드(31)는 수직봉(24)의 단부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미절곡된 호주머니 재단지(32)를 받침판(23)위에 바르게 펴놓음과 동시에 페달(21)을 밟아 하강시키게 되면 압압판(16)보다 폭이 넓은 호주머니 재단지(32)의 테두리는 제2도와 같이 슬라이드판(7), (8)의 상면이 놓여지게 된다.
이의 상태는 압압판(16)을 완전 하강시킨 상태인데 압압판(16)이 완전 하강됨과 동시에 하강되는 압압간(18)에 의하여 스위치(19)는 작동하게 되며 이의 스위치(19)가 작동됨과 동시에 실린더(9), (10)가 작동되어 양 슬라이드판(8), (8)은 제3도의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져 제4도와 같이 호주머니재단지(32)의 테두리를 절곡시켜 주게 된다.
다음 실린더(30)의 피스톤로드(31)가 상승하여 수직봉(24)을 상방향으로 압압시켜 양 슬라이드판(7), (8)과 받침판(23)사이에 놓여진 호주머니재단지(32)의 절곡부를 일정시간 압착시킨 후 실린더(30)의 피스톤로드(31)는 하강되고 이와 동시 실린더(13)의 작동으로 압압판(16)은 제5도의 점선화살표 방향의 전면으로 빠지게 되는데, 압압판(16)이 전면으로 완전 빠짐과 동시에 실린더(30)의 피스톤로드(31)는 재상승하여 받침판(23)을 상향 이동시켜 호주머니재단지(32)의 절곡부를 압착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 페달(21)에서 발을 떼면 지지판(12)은 제5도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실린더(13)의 작동으로 피스톤로드(13')가 후퇴되어 압압판(16)은 제1도의 원위치로 복귀되고 양 실린더(9), (10)의 작동으로 양 슬라이드판(7), (8)은 제3도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벌어져 제6도와 같이 테두리를 절곡시킨 호주머니를 완성시키게 되는 것인데, 본 고안의 실린더(9), (10)의 실린더(13) 및 실린더(30)의 작동은 자동 전자 콘트롤박스내의 전자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매우 합리적인 구조로 구성된 기계에 의하여 절곡시키게 되므로 작업자의 힘의 소모를 덜어 빠른 시간내에 호주머니재단지의 테두리를 대량 절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판(1)의 상면에 고정시킨 받침판(2)에는 비스듬하게 레일(3), (4) 및 레일(5), (6)을 고정하여 레일(3), (4), (5), (6)의 안내홈(3'), (4'), (5'), (6')에는 ""형의 슬라이드판(7), (8)을 끼워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슬라이드판(7), (8)은 실린더(9), (10)의 피스톤로드(9'), (10')와 연결하고 축받이(11)에는 지지판(12)을 유착하여 실린더(13)를 고정하고 실린더(13)의 피스톤로드(13')와 돌편(12'), (12")을 관통시킨 가이드봉(14)의 단부에는 지지봉(15)을 고착하여 압압판(16)의 나사간(16')을 나사맞춤하고 지지판(12)의 중간부에는 스위치(19)를 작동시키는 압압간(18)을 돌출하여 지지판(12)은 페달(21)과 연결간(22)으로 연결하고 받침판(23)의 수직봉(24)은 기판(1)에 고정시킨 지지판(25)의 지지관(25')을 관통시켜 스프링(27'), (27)으로 탄력시키고 지지판(25)에 고정시킨 지지판(28)에는 수직봉(24)을 작동시키는 실린더(30)를 고정시켜서 된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
KR2019870010709U 1987-06-30 1987-06-30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 KR900007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709U KR900007233Y1 (ko) 1987-06-30 1987-06-30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709U KR900007233Y1 (ko) 1987-06-30 1987-06-30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118U KR890000118U (ko) 1989-03-02
KR900007233Y1 true KR900007233Y1 (ko) 1990-08-11

Family

ID=1926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709U KR900007233Y1 (ko) 1987-06-30 1987-06-30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2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118U (ko) 198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595567U (zh) 一种服装生产用剪裁机
KR900007233Y1 (ko) 호주머니 재단지의 테두리 절곡기
CN111037618A (zh) 一种服装面料切割用便于定位固定切割的切割设备
CN211227622U (zh) 一种服装加工用的缝纫机专用服装折边装置
CN211729280U (zh) 折带机防粘料的切断机构
CN220028388U (zh) 建筑板材加工装置
CN219460427U (zh) 一种服装面料打样器
CN213173096U (zh) 一种用于服装裁剪的定位夹紧装置
CN210280427U (zh) 一种文件夹生产用蝌蚪夹机
CN221072012U (zh) 一种耐磨舒适型床品面料毛边裁剪装置
CN217751590U (zh) 一种铝箔生产用分切装置
CN218699463U (zh) 一种电路板加工用的开孔装置
CN215848595U (zh) 一种隔音板快速打孔装置
CN112680943B (zh) 一种摆臂式裁断机的裁切装置
CN220224723U (zh) 一种织物烫金的裁剪装置
CN212554110U (zh) 手动切纸机
CN216972958U (zh) 一种服装生产用的裁切平台
CN219410311U (zh) 一种服装裁剪装置
CN218779218U (zh) 一种用于校服面料裁剪的工作台
CN221029136U (zh) 抗皱麂皮绒面料复合压花装置
CN218711719U (zh) 一种服装面料加工用固定装置
CN220784212U (zh) 一种布标打孔机
CN215925273U (zh) 一种防止服装偏移的局部缝制用双针链式机
CN220611887U (zh) 一种冲压机的冲压机构
CN215758166U (zh) 一种新材料加工用辅料布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10619

Effective date: 1991092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