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132Y1 - 전원 절환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절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132Y1
KR900007132Y1 KR2019900004817U KR900004817U KR900007132Y1 KR 900007132 Y1 KR900007132 Y1 KR 900007132Y1 KR 2019900004817 U KR2019900004817 U KR 2019900004817U KR 900004817 U KR900004817 U KR 900004817U KR 900007132 Y1 KR900007132 Y1 KR 900007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full
switching
voltag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데라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사에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408839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728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41405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55493U/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사에끼 아끼라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04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16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절환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원 절환 회로를 도시한 전기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전기 회로도.
제3도 및 제3b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정류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전원 트랜스에 입력되는 전압 파형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기 회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제5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7도 및 제8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부하 및 접속점의 전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류전원 2 : 전원 트랜스
4 : 절환 스위치 8 : 브릿지 정류 회로
14 : 스위칭 회로 15 : 레벨 변별 회로
100,101,102,103 : 접속점
본 고안은 전원 절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정류 회로를 거쳐서 직류 전압을 얻는 전원 회로를 사용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혹은 라디오 수신기등에 있어서, 전압치가 다른 교류 전원을 사용할때에도 도출되는 직류 전압을 일정하게 하도록 절환하는 전원 절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류 전원은 지방마다 그 전압이 다른 경우가 있다. 즉, 교류 전원으로서 110V와 220V가 병용되는 지역, 110V만 사용되는 지역 및 220V만 사용되는 지역등이 있다. 이와 같이 교류 전원 전압이 다른 지역에 있어서, 텔레비젼 수상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 그와 같은 다른 전원 전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 직류 전압을 얻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텔레비젼 수상기등에는 전원 절환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전원 절환 회로를 도시한 전기 회로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교류 전원(1)은 탭다운 형식의 전원 트랜스(2)의 양단에 접속하고, 전원 트랜스(2)의 한쪽단을 절환 스위치(4)의 한쪽 절환 단자(6)에 접속하고, 전원 트랜스(2)의 중간 탭을 다른쪽 절환 단자(7)에 접속한다. 이 스위치(4)의 고정단자(5)와 전원 트랜스(2)의 다른쪽 단 사이에 정류용 다이오드(D1,D2,D3,D4)로 되는 브릿지 정류 회로(8)를 접속한다. 정류용 다이오드(D1 및 D2) 접속점을 접지하고, 정류용 다이오드(D3,D4)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부하(9)와 평활용 콘덴서(C1)을 접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절환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110V 교류 전원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환 스위치(4)의 한쪽 절환 단자(6)와 고정 단자(5)를 단락하면, 110V 교류 전압이 브릿지 정류 회로(8)에 의해 정류되고, 110V 직류 전압(EO)이 도출된다. 220V 교류 전원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환 스위치(4)의 다른쪽 절환 단자(7)와 고정 단자(5)를 단락하도록 절환하면, 다른쪽 절환 단자(7)가 전원 트랜스(2)의 중간 탭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220V 교류 전압이 전원 트랜스(2)에 의해 110V로 강압된다. 강압된 110V 전압은 브릿지 정류 회로(8)로 정류되고 110V 직류 전압(E)이 도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절환 스위치(4)를 절환함으로써, 교류 전원이 110V 이어도, 혹은 220V 이어도 일정 직류 전압을 브릿지 정류 회로(8)로 부터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원 절환 회로에서는, 교류 전원을 전원 트랜스(2)에 의해 강압하여 브릿지 정류 회로(8)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트랜스(2)에 의한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 또, 텔레비젼 수상기등에 있어서, 내부 샤시를 분리 샤시화하면, 전원 트랜스(2)의 입력측에 또 분리 트랜스를 설치햐야 하고, 부품수가 증가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전원 트랜스 에서의 소비 전력을 경감할 수 있고, 기기 내부의 분리 샤시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전원 절환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간단히 설명하면, 전원 트랜스의 2차 권선 양단에 브릿지 회로로 된 전파 정류 회로를 접속하고, 전원 트랜스의 2차 권선 중간 탭과 접지간 및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절환 제어 수단을 접속하고, 전원 트랜스에 입력되는 교류 전원 전압에 대하여, 중간 탭 및 전자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를 선택적으로 접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원 트랜스의 2차 권선 중간 탭을 접지한때는 전원 트랜스에 입력된 교류 전압의 1/2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고, 전파 정류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를 접지하면, 입력된 교류 전압과 같은 전압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전원 트랜스에 입력된 교류 전압의 크기에 상관없이 전파 정류 회로로부터 일정한 직류 전압과 출력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레벨 변별 수단에 의해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이 예정 전압을 초과하였는지를 변별하고,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이 예정전압 이하임을 레벨 변별한때,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와 접지간에 접속되어 있는 절환 스위칭 소자를 도통시켜서 전파 정류 회로의 다른쪽 출력 단자를 접지한다.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이 예정 전압을 초과한 것을 레벨 변별한때, 전원 트랜스의 2차 권선의 중간 탭을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절환 스위칭 소자를 도통시켜서 중간 탭을 접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레벨에 따라, 전파 정류 회로의 다른쪽 출력 단자를 자동적으로 접지시키거나 혹은 중간 탭을 접지시킬 수 있고, 수동적인 조작을 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전기 회로도 이다. 우선,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전원 회로(10)는, 2차 권선 중간부에 설치된 중간 탭(3)을 포함하는 전원 트랜스(2)와, 정류용 다이오드(D1내지 D4)를 브릿지 회로로 한 전파 정류 회로(8)와, 중간 탭(3) 또는 전파 정류 회로(8)의 한쪽 출력 단자를 접지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4)을 포함한다. 스위칭 수단(4)의 공통 단자(5)는 공통 전위로 접속되고, 한쪽 단자(6)는 전원 트랜스(2)의 중간 탭(3)에 접속되고, 다른쪽 단자(7)는 라인(11)을 거쳐서 전파 정류 회로(8)의 한쪽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라인(11)은 분기 라인(12,13)을 통해 각각 정류용 다이오드(D1 및 D2)의 양극에 접속된다. 정류용 다이오드(D1)의 음극은, 라인(14)을 거쳐서 정류용 다이오드(D3)의 양극에 접속된다. 정류용 다이오드(D2)의 음극은 라인(15)을 거쳐서 다이오드(D4)의 양극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3)의 음극및 다이오드(D4)의 음극은 라인(16,17)을 거쳐서 각각 라인(18)에 접속된다. 전원 트랜스(2)의 2차 권선의 한쪽 단자는 라인(19)을 거쳐서 전술한 라인(14)에 접속되고, 2차 권선의 다른쪽 단자는 라인(110)을 거쳐서 상술한 라인(15)에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원 회로(10)는 라인(18)을 거쳐서 부하(9)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부하(9)의 다른쪽 단자는 공통 전위로 접지된다. 또, 라인(18)은 공통 전위로 접지된 전해 콘덴서(C1)와 접속된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의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며, 제4도는 전원 트랜스에 입력되는 전압의 파형도이다.
다음에,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스위칭 수단(4)의 공통 단자(5)를 한쪽 단자(6)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다이오드(D1,D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제2도에 도시한 회로는 제3a도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제4도에 도시한 파형을 갖는 교류 전원전압(V)이 전원 트랜스(2)의 1차 권선측에 부여된다. 이때, 시간(t1 내지 t2)에 있어서, 1차 권선측에 전류가 화살표(A) 방향으로 흐르고, 2차 권선측 전류는 화살표(B,C,D)에 따른 방향으로 흐른다. 또, 제4도에 도시한 시간(t2 내지 t3)에 있어서, 1차 권선측에 화살표(E)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때, 2차 권선측에는, 화살표(F,G,D)에 따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렇게 하여, 제2도에 있어서의 절환 스위치(4)의 공통 단자(6)를 한쪽 단자(7)에 접속한 경우에 있어서, 전파 정류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전원 트랜스(2)의 1차측 권선수와 2차측 권선수와의 비가 n : 2인 것으로 한다. 2차 권선의 중간부는 중간 탭(3)을 거쳐서 공통 전위로 접지되어 있으므로, 전원 트랜스(2)의 2차측에서 얻어지는 전압(V1)은 다음 제1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V1=V/2………………………………………………………………………(1)
한편, 제2도에 도시한 스위칭 수단(4)의 공통 단자(5)가 다른쪽 단자(7)에 접속되어 있을때, 전원 회로(10)는 중간 탭(3)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제3b도에 도시한 회로와 등가로 된다. 이때, 전원 트랜스(2)의 1차측에 제4도에 도시한 파형을 갖는 전압(V)이 인가된다. 이렇게하면, 제4도의 시간(t1 내지 t2)에 있어서, 제3b도의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2차측 권선에 있어서는, 화살표(H,I,J)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제4도의 시간(t2 내지 t3)에 있어서, 전원 트랜스(2)의 1차 권선측에는, 화살표(E)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2차 권선측에는 화살표(L,M,N)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때, 2차 권선측에 나타나는 전압(V2)은 제2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V2=2. V/n………………………………………………………………………(2)
제3a도 및 제3b도에 있어서, 전원 트랜스(2)의 2차 권선측에서 각각 얻어지는 전압(V1 및 V2)을 비교하면, V1과 V2의 관계는 제(3)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V2=2. V1………………………………………………………………………(3)
따라서, 제2도에 도시한 회로는 스위칭 수단(4)을 절환함으로써, 양융 전원 절환 회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한 전원 회로(10)에서는, 스위칭 수단(4)을 절환하는 것을 잊고 부적절한 전압하에서 사용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다음에 스위칭 수단(4)을 자동적으로 절환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기 회로도이다. 우선, 제5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원 회로(100)는 주로 전원 트랜스(2)와, 전원 트랜스(2)의 중간 탭(3)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9)와, 브릿지 회로의 구성을 갖는 전파 정류 회로(8)와, 스위칭 회로(14)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1,Q2)와, 사이리스터 SCR과 레벨 변별 회로(15)를 구성하는 제너 다이오드(ZD1,ZD2)를 포함한다. 전원 트랜스(2)의 1차측 권선수와 2차측 권선수의 비는 n : 2로 선택된다.
전원 트랜스(2)의 2차 권선(16)의 일단은 라인(120)을 거쳐 전파 정류 회로(8)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된다. 2차 권선(16)의 다른 단은 라인(121)을 거쳐서 전파 정류 회로(8)의 다른쪽 입력단에 접속된다.
전파 정류 회로(8)는, 라인(122,123)이 각각 다이오드(D5,D6)의 양극에 접속되고, 다이오드(D5)이 음극은 라인(124)를 통해 다이오드(D7)의 양극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6)의 음극은 라인(125)를 통해 다이오드(D8)의 양극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7)와 다이오드(D8)의 각각의 음극은 각각 라인(126,127)을 통해 라인(128)에 접속된다.
라인(128)은 한쪽 단자가 공통 전위로 접속된 전해 콘덴서(C2)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된다. 라인(128)의 접속점(100)은 라인(129)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라인(130)을 통해 저항(R3)의 일단에 접속된다. 저항(R3)의 타단은 라인(131)을 통해 사이리스터 SCR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전술한 전파 정류 회로(8)의 라인(122,123)은 라인(132)를 통해 저항(R5)의 일단과 접속된다. 저항(R5)의 타단은 전해 콘덴서(C3)의 일단에 접속되고, 전해 콘덴서(C3)의 타단은 공통 전위로 접지된다. 상기 라인(131)은 저항(R4)의 일단에 접속되고, 저항(R4)의 타단은 라인(133)를 거쳐서 라인(132)와 접속된다.
상기 사이리스터(SCR)의 양극은 공통 전위로 접속되고, 음극은 라인(134)를 통해 상기 라인(133)과 접속된다. 상기 라인(128)의 접속점(101)은, 저항(R1)의 일단과 접속되고, 저항(R1)의 타단은 라인(135)를 거쳐서 저항(R2)의 일단과 접속된다. 저항(R2)의 타단은 공통 전위로 접지된다. 라인(135)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접속된다.
라인(128)의 접속점(102)은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라인(136)을 거쳐 라인(135)과 접속된다. 상기 라인(128)은 저항(R6)의 일단에 접속되고, 저항(R6)의 타단은 라인(137)을 거쳐 저항(R7)의 일단에 접속된다. 저항(R7)의 타단은 라인(138)을 거쳐서 제너 다이오드(ZD1)의 음극에 접속된다. 상기 라인(137)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상기 라인(137)은 저항(R8)의 일단에 접속되고, 저항(R8)의 타단은 제너 다이오드(ZD2)의 음극에 접속된다. 제너 다이오드(ZD2)의 양극은 공통 전위로 접속된다.
제너 다이오드(ZD1)의 양극은 라인(139)을 통해 중간 탭(3)과 다이오드(D9)을 접속하는 라인(140)의 접속점(103)에 접속된다. 라인(140)의 한쪽 단부는 전원 트랜스(2)의 2차 권선(16)의 중간 탭(3)이며, 라인(140)의 다른쪽 단부는 양극이 공통 전위로 접지된 다이오드(D9)의 음극에 접속된다. 또, 라인(140)의 접속점(103)과 다이오드(D9)의 중간부는, 한쪽의 공통 전위로 접속된 전해 콘덴서(C4)의 타단부에 접속된다. 라인(128)의 접속점(105)은, 라인(142)를 통해 그 일단이 공통 전위로 접지된 부하(17)의 타단과 접속되고, 이 부하(17)에는 전압(EO)이 인가되게 된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제5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7도 및 제8도는 제5도에 도시한 부하(17) 및 접속점(103)의 전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에,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원 회로(100)의 스위칭 회로(14)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2)가 오프 상태일때, 트랜지스터(Q1)가 온상태로 되도록, 저항(R1, R2)의 값이 선택된다. 트랜지스터(Q1)가 온상태로 되면, 전류는 라인(129), 트랜지스터(Q1) 및 저항(R3)을 통해 사이리스터(SCR)의 게이트 측으로 흘러, 사이리스터 SCR이 도통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파 정류 회로(8)의 접속점(99)이 사이리스터(SCR)를 통해 공통 전위로 접지된 상태로 된다. 이때, 전원 트랜스(2)의 2차 권선(16)의 양단에 전류가 흐르므로 2차 권선(16)의 전압(E1)에 대해서, 중간 탭(3)의 전압은 1/2로 된다. 따라서 라인(140)은 정전위로 되며, 다이오드(D9)와 라인(140)과 중간 탭(3)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제5도에 도시한 전원 회로(100)는 기본적으로 제6a도에 도시된 회로와 등가로 된다.
또, 트랜지스터(Q2)가 온 상태로 되면, 트랜지스터(Q2)를통해 라인(128) 및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등일 전압으로 되며, 따라서, 트랜지스터(Q1)는 오프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사이리스터(SCR)의 게이트에 흐르는 전류와, 사이리스터(SCR)의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압이 모두 제거되고, 사이리스터(SCR)은 오프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전파 정류 회로(8)의 접속점(99)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인(140)의 접속점(103)이 마이너스 전위로 되므로, 다이오드(D9)를 거쳐서 라인(14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전원 회로(100)는 기본적으로는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와 등가로 된다.
이때, 전원 트랜스(2)의 2차측에 나타나는 전압(E2)과 제6a도에 있어서의 전압(E1)과의 관계는,
E1=2. E2………………………………………………………………………(4)
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원 회로(100)에서 1배압/2배압의 양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원 회로가 실현될 수 있다.
이 1배압/2배압의 절환 작동을 제5도 내지 제8도 및 제1표, 제2표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표 1]
전원 트랜스(2)의 1차 권선측 교류 전원(V1)을, 예를들어, 80V 근방으로부터 서서히 상승시킨다. 이때, 제1표와 같이 부하(17)에 인가되고 있는 전압(EO)이 전압(EO1) 미만인 동안에는 트랜지스터(Q2)는 오프 상태이며, 트랜지스터(Q1) 및 사이리스터(SCR)은 온 상태이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한 전원 회로(100)은 제6a도의 회로와 등가로 된다.
부하(17)의 전압(EO)이 제1표와 같이 EO1로 된때 제너 다이오드(ZD2)가 도통하고, 이 제너 다이오드(ZD2)에 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Q2)는 온 상태로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라인(128)이 트랜지스터(Q2)를 통해 단락 상태로 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베이스와의 전위는 트랜지스터(Q1)가 오프 상태로 되기에 충분한 정도에 접근하고, 트랜지스터(Q1)는 오프 상태로 된다. 또, 사이리스터 SCR의 음극과 양극의 전위가 같아지며, 사이리스터 SCR은 오프 상태로 된다. 그 결과, 브릿지 회로(8)의 접속점(99)이 사이리스터 SCR을 거쳐서 공통 전위로 접지하는 회로가 차단된다.
이때, 제5도의 전원 회로(10)는 제6b도의 회로와 등가로 된다. 제6b도에 있어서, 전원 트랜스(2)의 2차 권선(16)측에 나타나는 전압(E2)은 제6b도의 경우의 2차 권선(16)측에 나타나는 전압(E1)과 비교하면,
E1=2. E………………………………………………………………………(5)
로 된다. 따라서 제6b도의 부하(17)에 나타나는 전압(EO2)는, 제6a도의 부하(17)에 나타나는 전압(EO1)과 비교한 경우,
E1=2. EO2………………………………………………………………………(6)
로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도 하강하게 되기 때문에, 이대로는 트랜지스터(Q2)가 오프 상태로 되어 버린다.
이때 다이오드(D5)를 통해 전원 트랜스(2)의 2차 권선(16)측에 설치된 중간 탭(3)과 라인(140)에 전류가 흐르고 있으므로, 접속점(103)의 전위와 다이오드(D5) 양극의 공통 전위를 비교하면 공통 전위쪽이 높아야 한다. 따라서 접속점(103)의 전위는 제8도의 라인(21)에 있어서, 화살표(22,23)로 표시된 변화를 행하고, 다이오드(D5)의 포화 전압(0.6V)만큼 공통 전위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접속점(102)의 전위는 -0.6V로 되며, 제너 다이오드(ZD1)는 도통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저전압이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2)는 온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이리하여, 제5도의 부하(17)에 나타나는 전압(EO)는 제7도의 화살표(200,201,202)로 표시된 변화를 행한다.
다음에, 전원 트랜스(2)의 1차 관선측 입력 전압을, 예를들어, 260V 부근에서부터 서서희 하강시킨다.
[표 2]
이때, 제2표에 표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2)는 온 상태이며, 트랜지스터(Q1) 및 사이리스터 SCR은 온 상태이다. 또, 제너 다이오드(ZD1,ZD2)는 온 상태이다. 따라서, 제5도의 전원 회로(10)는 제6b도의 회로와 등가로 된다.
여기서, 부하(17)의 전압(EO)이 제너 다이오드(ZD1)의 제너 전압보다 낮아진때, 즉 제7도에서 EOEO2로 된때, 제너 다이오드(ZD1)는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는 오프 상태로 되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라인(128)을 트랜지스터(Q2)를 통해 단락하는 회로가 차단된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이 하강하여 트랜지스터(Q1)는 온 상태로 되며, 따라서 사이리스터 SCR의 게이트측에 전류가 흐르고, 시이리스터(SCR)는 온 상태로 된다.
이 결과, 전파 정류 회로(8)의 접속점(99)을, 사이리스터(SCR)을 거쳐 공통 전위로 접지하는 회로가 구성되게 된다. 이때 전원 트랜스(2)의 2차 권선(16)의 양단 간에 전류가 흐르므로, 부하(17)의 전압(EO)는,
EO=2. EO2………………………………………………………………………(7)
로 된다. 전원 트랜스(2)의 2차 권선(16)측 전압(E3)에 대하여, 중간 탭(3)의 전압은 제8도의 라인(21)에 있어서, 화살표(24,25)로 도시한 변화를 행하여, E3/2로 되며, 정전위로 되므로, 다이오드(D5)와 중간 탭(3)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의 전원 회로(10)는 제6b도의 회로와 등가로 되며, 1배압의 전력이 계속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파 정류 회로(8)로부터의 제너 다이오드(ZD1,ZD2)에 의해 예정되는 값과 비교하여 변별한다. 이때의 제너 다이오드(ZD1,ZD2)의 출력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Q1, Q2) 및 사이리스터 SCR이 각각 온/오프 동작한다. 그 결과, 전파 정류 회로(8)로부터의 출력을 입력 전압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1배압/2배압 사이에서 절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회로(100)에 있어서는, 기계적인 스위칭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위칭 수단 부분의 기계적인 손상등에 기인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전원 회로(100)에 있어서는, 대형 트랜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원 회로(100)를 사용하는, 예를 들어 텔레비젼 수상기와 같은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전원 절환 회로에 있어서, 중간 탭(3)을 갖는 2차 권선을 구비한 전원 트랜스(2)와 상기 전원 트랜스의 2차 권선 양단에 접속되어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2차 권선 양단에 발생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한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전파 정류 회로(8)와, 상기 전원 트랜스와 2차 권선 중간 탭과 접지 사이 및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와 접지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중간 탭 및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중 어느쪽을 선택적으로 접지하기 위한 절환 제어수단(D9,SCR,14,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제어 수단은,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이 예정 전압을 초과하였는지를 레벨 변별하는 레벨 변별 수단(15)과, 상기 전원 트랜스의 2차 권선 중간 탬과 접지간 및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다른쪽 출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절환 스위칭 소자(D9,SCR)와, 상기 레벨 변별 수단이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전압이 예정 전압 이하임을 레벨 변별하는데 따라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다른쪽 단자를 접지하고,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이 예정 전압 이상임을 레벨 변별하는데 따라 상기 전원 트랜스의 2차 권선 중간 탭을 접지하도록 상기 절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변별 수단은, 그 음극이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한족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그 양극이 접지되는 제1제너 다이오드(ZD2)와, 그 음극이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그 양극이 상기 전원 트랜스의 2차 권선 중간 탭에 접속되는 제2 제너 다이오드(ZD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원 트랜스의 2차 권선 중간 탭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9)와, 그 제어 전극이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그 음극이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다른쪽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그 음극이 접지된 사이리스터(SC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 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은, 그 에미터가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가 상기 레벨 변별 수단의 레벨 변별 출력에 접속되는 제1트랜지스터(Q2)와, 그 에미터가 상기 전파 정류 회로의 한족 출력 회로의 한쪽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절환 스위칭 소자에 저속되는 제2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 회로.
KR2019900004817U 1984-06-14 1990-04-19 전원 절환 회로 KR900007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817U KR900007132Y1 (ko) 1984-06-14 1990-04-19 전원 절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088396U JPS617289U (ja) 1984-06-14 1984-06-14 電源回路
JP88396 1984-06-14
JP141405 1984-09-17
JP14140584U JPS6155493U (ko) 1984-09-17 1984-09-17
KR1019850004167A KR860000737A (ko) 1984-06-14 1985-06-13 전원 절환 회로
KR2019900004817U KR900007132Y1 (ko) 1984-06-14 1990-04-19 전원 절환 회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167A Division KR860000737A (ko) 1984-06-14 1985-06-13 전원 절환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32Y1 true KR900007132Y1 (ko) 1990-08-06

Family

ID=2746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817U KR900007132Y1 (ko) 1984-06-14 1990-04-19 전원 절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1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0423A (en) Transformer coupled pass element
KR980006762A (ko) 교류/직류 변환 회로
US4763061A (en) Primary switched-mode DC-DC converter with summed input current and input voltage responsive control
EP0168183B1 (en) Power transfer circuit
US5532528A (en) Converter including direct current detection
US4277824A (en) Start-up circuit
US4947313A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
US5914869A (en) Ac/dc transformerless voltage converter
EP0058399B1 (en) High frequency switching circuit
KR900007132Y1 (ko) 전원 절환 회로
EP0964504B1 (en)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US10659041B2 (en) Control of an anode-gate thyristor
CN215186489U (zh) 开关电源电路以及多级输出开关电源
JPH0424789Y2 (ko)
CN211352039U (zh) 启动电路及具有所述启动电路的开关电源
JPS58212370A (ja) 電源回路
KR930005928Y1 (ko)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구동회로
KR840000992Y1 (ko) 전원전압 자동 절환회로
CA1081322A (en) Emitter follower voltage controlled power supply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JPS5855703Y2 (ja) 水平発振開始用電源装置
JPH0930823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SU1403299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осто нное
KR840001051Y1 (ko) 전압 자동 조절회로
SU1003223A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нагрузки в цеп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