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115Y1 - 가설 콘센트 - Google Patents

가설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115Y1
KR900007115Y1 KR2019880007732U KR880007732U KR900007115Y1 KR 900007115 Y1 KR900007115 Y1 KR 900007115Y1 KR 2019880007732 U KR2019880007732 U KR 2019880007732U KR 880007732 U KR880007732 U KR 880007732U KR 900007115 Y1 KR900007115 Y1 KR 900007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jack
extension
plu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795U (ko
Inventor
고일용
이중석
Original Assignee
고일용
이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일용, 이중석 filed Critical 고일용
Priority to KR2019880007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115Y1/ko
Publication of KR890023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설 콘센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콘센트를 발췌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제3도는 종래의 설치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장대 2 : 플럭
3 : 잭 4 : 전원선
5 : 접착부 6 : 접착층
7 : 테이프 10 : 콘센트
11 : 삽입구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AC전원이 공급되는 건축내에 설치된 기존의 콘센트에 연결하여 원거리에 있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인가선이 내설된 유연성을 가진 연장대를 형성하고, 이에 콘센트 삽입용 플러그와, 기기연결용 잭을 연결하여서 된 콘센트를 안출하여서 미관상 미려하고 안전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한 것에 주안점을 둔 가설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건축물에는 각종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벽면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콘센트 설치는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가 위치하여야 하는 장소 역시도 기기 자체의 플럭이 콘센트에 연결시킬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지거나 설치하여야만 하는 불편이 따른다.
즉, 기기 (전원으로 구동이 가능한 가전제품이나, 일반적인 기기등)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가장 저합한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설치하여야 하는 위치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럭과, 기기측에 연결하는 잭을 구비한 전선을 이용하여서 원거리에 설치된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전선으로 벽면이나 바닥면을 통과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서,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시에는 별도의 고정핀으로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 벽면이나 바닥면이 콘크리트 구조물일때는 전선고정이 불가능하여 미관상 미려하게 설치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전선을 고정시킬 수 없음에 따라서 느려뜨려 설치하여야 함으로 다른 물체에 걸리거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걸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서 단선의 위험이 따르게 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럭과 기기에 연결하는 잭을 구비하고 이 사이에 전원인가이 내설된 연장대 이면에 접착부를 두어서 벽면이나 바닥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미관상 미려하고 안정된 설치가 가능하게 한 것에 주목적을 둔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같이, 건축물 벽면에 설치된 기존콘센트(10)의 삽입구(11)에 삽입될 플럭(2)을 연결하고 기기의 플럭과 연결될 잭(3)을 구비하여서 상기 플럭(2)과 잭(3) 사이에 전원인가선(4)이 내설된 유연성 연장대(1)를 형성하는데 연장대(1)의 이면에는 접착부(5)를 갖도록 한다.
상기 접착부(5)에는 접착층(6)과 코팅된 테이프(7)를 접착시켜서 벽면이나 바닥면에 부착시에 테이프(7)를 분리시킨 다음 접착층(6)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연장대(1)에 연결 설치하는 잭(3)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연장대 길이를 조정하여 잭(3)을 연결 설치할 수 있게되고 필요에 따라서 잭(3)의 수도 증가 설치할 수 있고, 이는 전원공급 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하는 전화선이나 음향기기의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선으로서도 사용할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10)에서 원거리에 설치된 기기등에 전원을 공급시키고자 할때에는 즉 전원선을 연장시켜야 할때 본 고안의 연장대(1)에 연결 설치된 상기 콘센트(10)의 삽입구(11)에 삽입될 플럭(2)을 콘센트(10)에 삽입시키고 이면의 접착부(5)측의 접착층(6)에 접착되어 있는 테이프(7)를 분리시킨 다음 접착층(6)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잭(3)이 설치되도록 연장대(1)를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에 부착시켜서 고정시킨다.
상기에서 잭(3)의 연결 설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임의로 연장대(1)를 절단시켜서 내부의 전원선(4)을 잭(3)에 연결시킨후에 이 잭(3)을 가전제품등의 기기에 연결하면 전원을 공급시켜서 기기가 구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연장대(1) 내부에 내설된 전원선(4)은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전원선(4)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데는 모두 이용할수 있으므로서 전화의 전기적 신호나 음향기기의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데는 모두 사용할 수 있게 , 기기의 전원공급이나 가전제품의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인가선을 내설한 연장대에 잭과 플럭을 연결 설치하고, 이를 건축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부착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게됨에 따라서 외관상 미려하고 안전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건축물에 설치된 콘센트(10)에서 원거리에 설치된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전선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 상기 콘센트(10)에 삽입될 플럭(2)과 거기에 연결되는 잭(3)을 구비하고, 상기 플럭(2)과 잭(3)사이에는 내부에 전원선(4)을 내설시킨 임의의 길이를 갖는 유연성 연장대(1)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대(1)의 이면에는 건축물의 일면에 부착 가능한 접착층(6)을 갖고 절연테이프(7)를 부착시킨 접착부(5)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콘센트.
KR2019880007732U 1988-05-26 1988-05-26 가설 콘센트 KR900007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732U KR900007115Y1 (ko) 1988-05-26 1988-05-26 가설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732U KR900007115Y1 (ko) 1988-05-26 1988-05-26 가설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795U KR890023795U (ko) 1989-12-04
KR900007115Y1 true KR900007115Y1 (ko) 1990-08-06

Family

ID=1927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732U KR900007115Y1 (ko) 1988-05-26 1988-05-26 가설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1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351B1 (ko) * 1998-04-03 2006-03-15 텍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가변 휘도 또는 컬러 디스플레이 및 가변 휘도 래스터라이저를 가진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에서 드문 사건 강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351B1 (ko) * 1998-04-03 2006-03-15 텍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가변 휘도 또는 컬러 디스플레이 및 가변 휘도 래스터라이저를 가진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에서 드문 사건 강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795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70590B2 (ja) 電気プラグ
US3763307A (en) Electrical strip cable assembly
CA2255443A1 (en) Remote power inlet box for an auxiliary power supply system
GB2313493A (en) Modular telephone plug
US4553798A (en) Electrical outlet
KR900007115Y1 (ko) 가설 콘센트
JPS5848837Y2 (ja) 接続装置
US3941915A (en) Switch receptacle
US3559149A (en) Electrically wired baseboard
USD478871S1 (en) Electrical cable box
GB2350493A (en) Adaptor for mains socket
KR200312266Y1 (ko) 멀티조인트박스
KR100359301B1 (ko) 전원공급장치
CN217584190U (zh) 一种带安装盒的led灯
KR200285097Y1 (ko) 배선 덕트용 커버
US4176343A (en) Portable remote control signal
JPS5936097Y2 (ja) 電気機器を有する室内家具の給電装置
JPS5821299Y2 (ja) 室内家具の給電装置
KR200255184Y1 (ko) 일면에 접착제를 가지는 전선
WO2006064092A1 (en) Electric component to be connected to electrical network of building
JPH044377Y2 (ko)
KR200302647Y1 (ko) 도전선 내장 경질발포 걸레받이
JPS63113Y2 (ko)
KR200360200Y1 (ko) 전기와 전화를 동시에 연결시키는 플러그와 콘센트
KR200211152Y1 (ko) 테이프전선·코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